KR200469096Y1 -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096Y1 KR200469096Y1 KR2020130004247U KR20130004247U KR200469096Y1 KR 200469096 Y1 KR200469096 Y1 KR 200469096Y1 KR 2020130004247 U KR2020130004247 U KR 2020130004247U KR 20130004247 U KR20130004247 U KR 20130004247U KR 200469096 Y1 KR200469096 Y1 KR 2004690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plug
- charger body
- cradle
- inclined cra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충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충전기 몸체;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1 경사거치대;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2 경사거치대; 그리고,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결합되어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기 몸체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제2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연결전선과, 일단은 상기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갖는 전력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거치대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 거치블럭과, 상기 제1 거치블럭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제1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충전기 몸체;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1 경사거치대;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2 경사거치대; 그리고,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결합되어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기 몸체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제2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연결전선과, 일단은 상기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갖는 전력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거치대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 거치블럭과, 상기 제1 거치블럭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제1 고정블럭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충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대중에게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이런 추세에 힘입어 다양한 휴대단말기가 생산되고 있고, 각각의 기종에 맞는 다양한 충전기가 생산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수시로 충전작업이 요구되는 제품으로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자신의 자동차,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별도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충전장치는 외부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별도의 충전라인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충전라인은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어지럽게 널려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충전기 자체가 딱딱한 재질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정해진 일정 거치구조에서 벗어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충전기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충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되는 상태에서의 거치각도가 다르지만, 종래의 충전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충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충전기 몸체;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1 경사거치대;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2 경사거치대; 그리고,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결합되어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기 몸체,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제2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연결전선과, 일단은 상기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갖는 전력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거치대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 거치블럭과, 상기 제1 거치블럭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제1 고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블럭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수평부와 함께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에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블럭 및 상기 제1 고정블럭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흔들림에도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전선은 상기 충전기 몸체에 매몰되어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메인연결전선과, 상기 제1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제1 연결전선과,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제2 연결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자는 일단은 상기 제1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제1 연결단자와, 일단은 상기 제2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는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력공급원과 연결되는 플러그 단자와, 상기 플러그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충전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 이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몸체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 몸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플러그 이동레버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레버 안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상기 제1 경사거치대가 상기 충전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 몸체와 상기 제1 경사거치대를 힌지결합하는 제1 힌지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가 충전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충전라인이 필요치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사거치대가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거치블럭이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블럭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하부의 전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흔들리더라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힌지유닛을 설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경사거치대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어 충전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종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어 충전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은 도 2의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종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내기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충전기 몸체(100), 제1 경사거치대(200), 제2 경사거치대(300) 및 전력공급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는 상기 충전기 몸체(100)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에는 제1 휴대용 단말기(10)가 거치된다.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도 상기 충전기 몸체(100)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에는 제2 휴대용 단말기(20)가 거치된다.
상기 전력공급유닛(400)은 상기 충전기 몸체(100)와 결합되어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410)와, 상기 플러그(410)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 및 제2 경사거치대(300)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연결전선과, 일단은 상기 연결전선과 연결되 타단은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 및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20)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의 후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거치블럭(210)과, 상기 제1 거치블럭(210)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제1 고정블럭(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블럭(220)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수평부(221)와, 상기 제1 수평부(221)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수평부(221)와 함께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직부(223)와, 상기 제1 수직부(223)에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의 전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 즉 상기 제1 거치블럭(210) 및 상기 제1 고정블럭(220)은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의 흔들림에도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는 제2 거치블럭(310), 제2 고정블럭(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블럭(320)은 제2 수평부(321), 제2 수직부(323) 및 제2 가압부(325)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도 탄력성 있는 재질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플러그(410)에는 상기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 단자(4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전선은 상기 충전기 몸체(100)에 매몰되어 상기 플러그(410)와 연결되는 메인연결전선(430)과,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제1 연결전선(460)과,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제2 연결전선(44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단자는 일단은 상기 제1 연결전선(46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10)와 결합되는 제1 연결단자(470)와, 일단은 상기 제2 연결전선(44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20)와 결합되는 제2 연결단자(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단자(470) 및 상기 제2 연결단자(450)는 상기 제1 경사거치대(200)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300)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돌출된다.
도 4를 참조하며,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충전기 몸체(500), 제1 경사거치대(600), 제2 경사거치대(700) 및 전력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거치대(600)는 상기 충전기 몸체(500)와 힌지결합되는 제1 거치블럭(610)과, 상기 제1 거치블럭(6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제1 고정블럭(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블럭(620)은 제1 휴대폰 단말기를 지지하면서 고정하기 위한 제1 수평부(621), 제1 수직부(623) 및 제1 가압부(6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블럭(62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블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경사거치대(700)는 상기 충전기 몸체(500)와 힌지결합되는 제2 거치블럭(710)과, 상기 제2 거치블럭(7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제2 고정블럭(720)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공급유닛은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결합되는 플러그(8000)와, 상기 플러그(800)와 연결되는 연결전선과, 상기 연결전선과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800)는 플러그 몸체(810)와, 상기 플러그 몸체(8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력공급원과 연결되는 플러그 단자(820)와, 상기 플러그 몸체(8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81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충전기 몸체(5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 이동레버(83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기 몸체(500)의 내부, 즉 몸체블럭(510)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몸체(810)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블럭(510)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플러그 이동레버(83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레버 안내홀(511)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충전장치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 이동레버(83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플러그 몸체(810)가 상기 충전기 몸체(5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단자(82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상기 제1 경사거치대(600)가 상기 충전기 몸체(50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 몸체(500)와 상기 제1 경사거치대(600)를 힌지결합하는 제1 힌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힌지유닛은 상기 몸체블럭(510)과 단차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힌지블럭(910)과, 상기 제1 힌지블럭(9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축(9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축(920)은 상기 제1 거치블럭(610)의 상부 내측면에서 상기 제1 힌지블럭(910)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힌지블럭(9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회전축(920)이 삽입되는 제1 회전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경사거치대(700)와 상기 충전기 몸체(500) 사이에는 제2 힌지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제2 힌지유닛은 제2 힌지블럭(930)과 제2 회전축(94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기 몸체(500)에 대한 상기 제1 경사거치대(600)의 경사각을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1 각도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제1 거치블럭(610)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제1 각도조절돌기와 상기 제1 힌지블럭(9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돌기와 대응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경사거치대(600)가 상기 충전기 몸체(50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상기 제1 각도조절돌기는 상기 제1 스토퍼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1 경사거치대(600)가 상기 충전기 몸체(500)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 충전기 몸체 200: 제1 경사거치대
210: 제1 거치블럭 220: 제1 고정블럭
221: 제1 수평부 223: 제1 수직부
225: 제1 가압부 300: 제2 경사거치대
310: 제2 거치블럭 320: 제2 고정블럭
400: 전력공급유닛 410: 플러그
430: 메인연결전선 440: 제2 연결전선
450: 제2 연결단자 460: 제1 연결전선
470: 제1 연결단자
210: 제1 거치블럭 220: 제1 고정블럭
221: 제1 수평부 223: 제1 수직부
225: 제1 가압부 300: 제2 경사거치대
310: 제2 거치블럭 320: 제2 고정블럭
400: 전력공급유닛 410: 플러그
430: 메인연결전선 440: 제2 연결전선
450: 제2 연결단자 460: 제1 연결전선
470: 제1 연결단자
Claims (5)
- 충전기 몸체;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1 경사거치대;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2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되는 제2 경사거치대; 그리고,
상기 충전기 몸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직접 연결되는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면서 상기 충전기 몸체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제2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연결전선과, 일단은 상기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갖는 전력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거치대는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1 거치블럭과, 상기 제1 거치블럭의 하단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고정하는 제1 고정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블럭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수평부와 함께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수직부와, 상기 제1 수직부에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블럭 및 상기 제1 고정블럭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의 흔들림에도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전선은 상기 충전기 몸체에 매몰되어 상기 플러그와 연결되는 메인연결전선과, 상기 제1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제1 연결전선과,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내부에 매몰되어 있는 제2 연결전선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단자는 일단은 상기 제1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제1 연결단자와, 일단은 상기 제2 연결전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휴대용 단말기와 결합되는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단자 및 상기 제2 연결단자는 상기 제1 경사거치대 및 상기 제2 경사거치대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몸체와, 상기 플러그 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전력공급원과 연결되는 플러그 단자와, 상기 플러그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충전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러그 이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몸체가 삽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기 몸체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면서 상기 플러그 이동레버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레버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거치대가 상기 충전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 몸체와 상기 제1 경사거치대를 힌지결합하는 제1 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247U KR200469096Y1 (ko) | 2013-05-28 | 2013-05-28 |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4247U KR200469096Y1 (ko) | 2013-05-28 | 2013-05-28 |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096Y1 true KR200469096Y1 (ko) | 2013-09-17 |
Family
ID=5139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4247U KR200469096Y1 (ko) | 2013-05-28 | 2013-05-28 |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096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9952A (ko) * | 2013-12-16 | 2015-06-24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160003623U (ko) * | 2015-04-10 | 2016-10-1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거치 모듈 |
KR102005296B1 (ko) * | 2019-03-12 | 2019-10-01 | 최우창 |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
KR20200123396A (ko) * | 2020-10-13 | 2020-10-29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200135748A (ko) * | 2013-12-16 | 2020-12-03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220103896A (ko) * | 2020-11-18 | 2022-07-25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58Y1 (ko) | 2001-10-25 | 2002-01-17 | 이홍우 |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
KR101159443B1 (ko) | 2010-04-28 | 2012-06-22 | 주인선 |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
KR101259784B1 (ko) | 2011-11-29 | 2013-05-02 | 김영욱 |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
-
2013
- 2013-05-28 KR KR2020130004247U patent/KR20046909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0858Y1 (ko) | 2001-10-25 | 2002-01-17 | 이홍우 | 접이식 휴대폰 충전기 |
KR101159443B1 (ko) | 2010-04-28 | 2012-06-22 | 주인선 | 충전기 부착용 핸드폰 충전기 |
KR101259784B1 (ko) | 2011-11-29 | 2013-05-02 | 김영욱 |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69952A (ko) * | 2013-12-16 | 2015-06-24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2182669B1 (ko) * | 2013-12-16 | 2020-11-26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200135748A (ko) * | 2013-12-16 | 2020-12-03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2261384B1 (ko) | 2013-12-16 | 2021-06-09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160003623U (ko) * | 2015-04-10 | 2016-10-19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거치 모듈 |
KR200493080Y1 (ko) * | 2015-04-10 | 2021-01-27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거치 모듈 |
KR102005296B1 (ko) * | 2019-03-12 | 2019-10-01 | 최우창 |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
WO2020184765A1 (ko) * | 2019-03-12 | 2020-09-17 | 최민웅 | 휴대단말기 거치대 겸용 충전기 |
KR20200123396A (ko) * | 2020-10-13 | 2020-10-29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2247016B1 (ko) | 2020-10-13 | 2021-05-03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이종의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20220103896A (ko) * | 2020-11-18 | 2022-07-25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KR102631834B1 (ko) * | 2020-11-18 | 2024-01-30 |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벽에 설치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9096Y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 |
US20190326767A1 (en) |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9318906B2 (en) | Universal dock for portable phone | |
KR101712822B1 (ko) |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 |
KR20140004290U (ko) |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 |
CN103855763B (zh) | 底座和平板电脑 | |
CN103166287B (zh) | 移动电子终端设备的底座 | |
KR200456008Y1 (ko) | 휴대단말기 통합형 충전장치 | |
KR200431514Y1 (ko) | 휴대폰 충전기 | |
CN205321530U (zh) | 充电眼镜盒以及眼镜 | |
US8076902B2 (en) | Charger | |
KR101495775B1 (ko) |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 |
KR102178214B1 (ko) | 무선 충전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보관함 | |
KR20110096514A (ko) |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 |
JP5572051B2 (ja) | 移動体電話機用充電器 | |
CN108808806A (zh) | 一种用于壁式插座的可充电托架 | |
CN205644619U (zh) | 一种u盘 | |
KR200385075Y1 (ko) |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 |
JP2012055122A (ja) | 充電器 | |
KR20180001448U (ko) |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 |
CN207994692U (zh) | 一种用于墙壁插座的手机充电座 | |
KR100663551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탁상용 거치대 | |
KR20150128117A (ko) |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 |
KR102266212B1 (ko) | 휴대 단말기 충전용 케이블 고정 장치 | |
WO2018028014A1 (zh) | 一种无线音频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