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8117A -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8117A
KR20150128117A KR1020140054950A KR20140054950A KR20150128117A KR 20150128117 A KR20150128117 A KR 20150128117A KR 1020140054950 A KR1020140054950 A KR 1020140054950A KR 20140054950 A KR20140054950 A KR 20140054950A KR 20150128117 A KR20150128117 A KR 2015012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usb connection
smartphone
terminal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719B1 (ko
Inventor
오석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5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71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폰 충전용 USB 연결단자를 회전시켜서 스마트 폰을 거치하기 위한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 향상 및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100)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거치부(100)와 베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 충전용 USB 연결단자를 회전시켜서 스마트 폰을 거치하여 충전하기 위한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인 휴대폰은 최근에 이르러서 매우 발전 되어 가고 있으며, 인터넷과 사진, 동영상, 음악 등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휴대폰이 탄생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인터넷이 됨과 동시에 각종 동영상,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하면서 매우 다양한 사용층을 갖게 되었는바. 스마트 폰의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을 사용할 때 배터리의 용량 부족으로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도중에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어 특히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의 경우 스마트 폰 본연의 기능인 통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업무상 급한 통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통화를 하지 못하여 업무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도 대두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267호(2013.03.28. 등록)의 차량용 무접점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까지 돌출되게 올라선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30), 상기 지지패널(30)에 상응하는 크기로 밀착되는 충전패드(=1차기기;100)로 이루어진 차량용 휴대폰거치대; 상기 1차기기(100)인 충전패드에 전력이 공급되면, 휴대단말기(301)의 케이스(A)에 내장되어 휴대단말기(301)의 젠더연결부(310)를 통해 배터리(300)와 통전되는 2차기기(Gender; 200); 및 휴대단말기(301)의 전면을 제외한 배면과 측면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되, 상부 케이스(210b)와 하부 케이스(210a)가 서로 맞물려 상기 휴대단말기(301)를 커버하는 단말기 케이스(A);를 포함하며, 지지패널(30)과 1차기기(100)는 1차기기(100)를 지지패널(30)의 내측에 수용하여, 일체형의 1차기기(100)를 형성하고, 상기 1차기기(100)와 2차기기(200)는, 배터리(300)가 부착된 휴대단말기(301)에 2차기기(Gender; 200)가 내장된 단말기 케이스(A)의 젠더 커넥터(270)로 연결된 상태에서 무접점충전기 위에 놓이면, 대기 전류 모드에서 에너지 발진 모드로 전환되고 고유주파수로 발진시켜 코일 및 페라이트(Ferrite)를 통해 상기 2차기기(Gender; 200)의 페라이트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무접점충전기 본체인 1차기기(Pad; 100); 상기 1차기기(Pad; 100)로부터 코일 및 페라이트를 통해 상기 유도기전력을 수신받아 과충전이 방지되도록 충전하는 상기 휴대단말기(301)의 배터리(300)로 충전하고, 충전상태를 LED(250)로 표시하며, 만 충전 되었을때 휴대단말기(301)의 배터리(300) 충전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1차기기(Pad; 100)로 RF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2차기기(Gender; 200);를 포함하고, 상기 1차기기(Pad; 100)는, 휴대단말기(301)가 부착된 상기 휴대단말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가 상기 1차기기(Pad; 100) 위에 놓이면, 상기 휴대단말기(301)의 상부 케이스(210b) 또는 하부 케이스(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의 페라이트 자석에 의해 상기 1차기기(Pad; 100)에서 미세한 전위차가 발생하고, 젠더로부터 RF주파수 신호를 통해 휴대단말기(301)의 종류 및 전압과 전류를 상기 1차기기(Pad; 100)로 전송하고, 상기 미세한 전위차가 감지되면 대기 전류 모드에서 에너지 발진 모드로 전환되어 즉시 고유주파수로 발진하여 유도기전력을 상기 휴대단말기(301)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301)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를 상기 1차기기(Pad; 100)에 위에서 충전중에 일정거리를 이격시키거나 만 충전시 상기 2차기기(Gender; 200)로부터 충전 차단을 위한 RF 주파수 신호를 1차기기(Pad; 100)로 수신하면, 상기 에너지 발진 모드로부터 상기 대기전류 모드로 전환되어 코일과 페라이트로 전압과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단말기(301)를 충전시킴에 있어서, 전원젝과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단순하게 1차기기(Pad; 100)에 휴대단말기(301)를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충전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장착되고, 운행 중에 많은 흔들림이 있다 할지라도 휴대폰거치대에 정확히 위치하여 1차기기(Pad; 100)를 통해서 2차기기(Gender; 200)로 유도기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충전시키기에 충전이 정확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2차기기(Gender; 200)의 구성을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하기에, 현존하는 모든 휴대폰을 적용하여 무접점으로 충전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단말기 케이스(A)의 젠더 커넥터(270)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스마트 폰 등)는 마이크로 USB 단자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가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와 서로 다른 모바일 운영체계(예; iOS, iOS4)를 가지는 애플사의 휴대단말기(예; 아이폰, 아이팟 등)의 경우에는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가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USB 단자를 사용하지 못하고, 오로지 애플사에서 제공하는 특정 USB 단자(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9354호(2013.11.07. 등록) 참조)를 사용해야 하는 등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부 케이스(210b)와 하부 케이스(210a)가 서로 맞물려 상기 휴대단말기(301)를 커버하는 단말기 케이스(A)의 젠더 커넥터(270)에 의해 휴대단말기(301)의 기종에 따라 고가의 단말기 케이스(A)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1차기기(Pad; 100)를 통해서 2차기기(Gender; 200)로 유도기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301)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가 유도자기장 수신부(페라이트), 정류 회로, 충전회로, 충전량 감지회로, LED, 과충전 방지 회로 및 젠더 커넥터(27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바일 운영체계가 서로 다른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통신/충전 겸용 포트인 휴대단말기(301)의 젠더 연결부와 연결되는 USB 단자인 젠더 커넥터(270)만을 별도로 교체하여 휴대폰거치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267호(2013.03.2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9354호(2013.11.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마트 폰 충전용 USB 연결단자를 회전시켜서 스마트 폰을 거치하여 충전하기 위한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연결단자를 통해 스마트 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는,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 및 상기 거치부와 베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USB 연결단자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는 상기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와 제1 후면커버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단자몰딩부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커버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는 제1 후면커버의 일측단부 내부면에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부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설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전면 둘레부에 다수의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ㄴ"자로 절곡된 부분에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가 위치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제1 후면커버를 고정나사로 고정설치하기 위한 나사결합부가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후면커버에는 일측면 내부에 선단면이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가 상,하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나사결합부가 상,하부로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다수의 걸림부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나사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양측면 상,하부에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내부의 상하좌우 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단자몰딩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소켓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다수의 슬라이드 홈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면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는 스마트 폰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와, 상기 USB 연결단자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를 연결하여 성형되는 단자몰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USB 연결단자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상기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와 서로 다른 운영체계(iOS, iOS4)가 적용되는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부터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를 전부 분해할 필요없이 후면 일측의 제1 후면커버만 분리시키면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 부품들을 분해하여 손상된 부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USB 연결단자가 바뀌더라도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분해하여 스마트 폰과 호환가능한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SB 연결단자를 통해 스마트 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와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서 제1 후면커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
도 11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 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의 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서 제1 후면커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1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 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의 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A)는,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M)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100)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거치부(100)와 베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부(100)는 제1 프레임(120)과 제2 프레임(125)에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110)(130)가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설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제1 전면커버(110a)가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제1 및 제2 후면커버(130a)(130b)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부(100)의 제2 프레임(125)의 전면에는 제2 전면커버(110b)가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25)의 후면에는 제3 후면커버(130c)가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프레임(120)에는 전면 둘레부에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ㄴ"자로 절곡된 부분에 후술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위치하는 개방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 상기 제1 후면커버(130a)를 고정나사(135)로 고정설치하기 위한 나사결합부(123)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후면커버(130a)에는 일측면 내부에 선단면이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31)가 상,하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31)의 전측에 나사결합부(132)가 상,하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부에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편(133a 내지 113e)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나사결합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는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51)와, 상기 USB 연결단자(51)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53)를 연결하여 성형되는 단자몰딩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USB 연결단자(5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시한 애플사의 모바일 운영체계(예; iOS, iOS4)를 적용한 스마트 폰(M)의 경우에는 애플사에서 제공하는 특정 USB 단자(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354호 참조)로 이루어지고,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스마트 폰(M)은 마이크로 USB 단자(도 7의 USB 연결단자(51) 형상 참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상기 거치부(100)의 제1 전면커버(110a)와 제1 후면커버(130a)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0)와,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20)와, 상기 회전부재(10)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0)는 양측면 상,하부에 걸림돌기(1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상하좌우 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부에 지지돌기(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0)의 지지돌기(13)는 제1 전면커버(110a)의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도시생략)와 제1 후면커버(130a)의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31)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부재(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0)는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소켓(21)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10)의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양측면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지지소켓(21)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게 위치되는 USB 연결단자(51)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도시생략)를 연결(도 11의 (a) 참조)시킨 후 스마트 폰(M)을 밀게 되면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0)가 USB 연결단자 인출공(111)을 통해 밀려 들어가게 되어(도 4 및 도 11의 (b) 참조) 상기 거치부(100)에 거치하기 용이한 위치로 스마트 폰(M)이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폰(M)을 회전시켜서 거치부(100)에 거치한 후 놓으면(도 11의 (c) 참조)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0)가 밀려나오게 되어 원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견고하게 상기 거치부(100)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제1 후면커버(130a)의 일측단부 내부면의 나사결합부(132)에 고정나사(62)로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지지부(61)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게 되어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USB 연결단자(51)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도시생략)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A)는, 상기 거치부(100)의 제1 및 제2 프레임(120)(125)으로부터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110)(130) 중 제1 전면커버(110a)와 제2 전면커버(110b) 및 제2 후면커버(130b)와 제3 후면커버(130c)를 분해할 필요없이 후면 일측의 제1 후면커버(130a) 하나만 분리, 즉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나사결합부(123)에 고정설치한 상하 2개의 고정나사(135)를 풀고 다수의 걸림편(133a 내지 133e)을 상기 제1 프레임(120)의 걸림부(121a 내지 121e)로부터 걸림을 해제시켜서 상기 제1 후면커버(130a)를 분리시키기면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를 외부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 분리되는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별도의 공구 없이 커버(30)의 걸림통공(31)를 회전부재(10)의 걸림돌기(11)로부터 걸림을 해제시키면 회전부재(10)와 커버(30)가 분리되고,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된 슬라이드부재(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에 삽입 지지된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40)을 분해하여 손상된 부품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 스마트 폰(M)의 기종에 따라 상기 USB 연결단자(51)가 바뀌더라도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를 분해하여 스마트 폰(M)과 호환가능한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통해 스마트 폰(M)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A)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회전부재 11 : 걸림돌기
12 : 슬라이드 홈 13 : 지지돌기
20 : 슬라이드부재 21 : 지지소켓
22 : 슬라이드 돌기 30 : 커버
31 : 걸림통공 40 : 스프링
50 :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 51 : USB 연결단자
52 : 단자몰딩부 53 : 전원코드
60 : 탄성부재 61 : 탄성지지부
62, 135 : 고정나사 100 : 거치부
110 : 전면커버 110a : 제1 전면커버
110b : 제2 전면커버 111 : USB 연결단자 인출공
120 : 제1 프레임
121a, 121b, 121c, 121d, 121e : 걸림부
122 : 개방부 123, 132 : 나사결합부
125 : 제2 프레임 130 : 후면커버
130a : 제1 후면커버 130b : 제2 후면커버
130c : 제3 후면커버 131 : 지지부
133a, 133b, 133c, 133d, 133e : 걸림편
134 : 나사결합공 200 : 베이스
300 : 연결부 400 :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
A :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M : 스마트 폰

Claims (11)

  1.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M)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100)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거치부(100)와 베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상기 거치부(100)의 제1 전면커버(110a)와 제1 후면커버(130a)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20);
    상기 회전부재(10)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제1 후면커버(130a)의 일측단부 내부면에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는 제1 프레임(120)과 제2 프레임(125)에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110)(130)가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설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20)에는 전면 둘레부에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가 각각 형성되고, "ㄴ"자로 절곡된 부분에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위치하는 개방부(122)가 형성되며, 후면에 제1 후면커버(130a)를 고정나사(135)로 고정설치하기 위한 나사결합부(123)가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커버(130a)에는 일측면 내부에 선단면이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31)가 상,하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1)의 전측에 나사결합부(132)가 상,하부로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편(133a 내지 113e)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나사결합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1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0)는 양측면 상,하부에 걸림돌기(11)가 돌출형성되고, 내부의 상하좌우 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지지돌기(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0)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소켓(21)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0)의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2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양측면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통공(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는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51)와, 상기 USB 연결단자(51)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53)를 연결하여 성형되는 단자몰딩부(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51)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상기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와 서로 다른 운영체계(iOS, iOS4)가 적용되는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KR1020140054950A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KR101570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950A KR101570719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950A KR101570719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117A true KR20150128117A (ko) 2015-11-18
KR101570719B1 KR101570719B1 (ko) 2015-11-23

Family

ID=5483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950A KR101570719B1 (ko) 2014-05-08 2014-05-08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7419A (zh) * 2018-10-30 2019-01-08 王思橦 一种移动智能装置
CN109547613A (zh) * 2019-01-16 2019-03-29 浙江森凯汽车科技有限公司 手机数据线固定装置和手机支架
CN109167419B (zh) * 2018-10-30 2024-05-17 王思橦 一种移动智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ko)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휴대폰용 핸드 프리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7419A (zh) * 2018-10-30 2019-01-08 王思橦 一种移动智能装置
CN109167419B (zh) * 2018-10-30 2024-05-17 王思橦 一种移动智能装置
CN109547613A (zh) * 2019-01-16 2019-03-29 浙江森凯汽车科技有限公司 手机数据线固定装置和手机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719B1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031B2 (en)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KR101822855B1 (ko) 휴대용 충전 케이스 모듈
KR101751389B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US8513914B2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KR20046909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CN114981903A (zh) 无线充电传输设备和方法
KR101845832B1 (ko) 아답터 일체형 무선 충전기
KR101570719B1 (ko)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KR101743286B1 (ko) 무선 충전 기능을 갖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91593Y1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KR102123453B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KR20110096514A (ko) 휴대단말기용 태양전지 충전 타입의 배터리 팩 장치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CN209627644U (zh) 耳机无线式充电结构
KR20160072437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102602283B1 (ko) 무선충전기
CN104954517B (zh) 接触式无线充电器用的手机套
KR101528552B1 (ko) 충전 장치
KR101520935B1 (ko)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다이어리 설치용 다용도 충전장치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217691452U (zh) 电池装配结构及户外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