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593Y1 -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593Y1
KR200491593Y1 KR2020180003993U KR20180003993U KR200491593Y1 KR 200491593 Y1 KR200491593 Y1 KR 200491593Y1 KR 2020180003993 U KR2020180003993 U KR 2020180003993U KR 20180003993 U KR20180003993 U KR 20180003993U KR 200491593 Y1 KR200491593 Y1 KR 200491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martphone
charging
groove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11U (ko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대한특허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특허개발(주) filed Critical 대한특허개발(주)
Priority to KR2020180003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59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원하는 위치에 각도조절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언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스마트폰을 회동시켜 거치시킬 수 있고, 스마트폰의 각기 다른 기종에 따라 별도의 충전잭이나 시거잭을 구비하지 않고도,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라면 어느 기종이라도 손쉽게 충전이 가능한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A wireless charger that doubles as a rotary type holder for a car-mounted smart 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차량에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거치가 가능하면서, 스마트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손쉬운 충전이 가능한 무선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거치대는 유동을 제한하여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의 안정적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대는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를 집게형상으로 형성되어 잡거나, 자석으로 이루어져 부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집게 형상의 거치대의 경우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집게를 열어야 하며, 집게로 인해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가 파손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가 지정되지 않아 무선 충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석 형상의 거치대의 경우도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의 결합방향에 따라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자기코어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는 무선 충전 시스템을 통해, 거치대와의 접촉만으로 각종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네비게이션, 태블릿PC 등)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선에 의한 구속과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특히, 각종 기기와 거치대가 자성체를 통해 탈부착 되도록 하여, 기기 거치의 편의를 배가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가 정확한 위치에 위치하지 못하는 경우 무선 충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휴대폰 또는 기타 각종 유무선 기기의 결합방향에 따라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자기코어가 구비되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339호(2017.01.20.)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렇게 거치된 스마트폰이 거치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어 회동되는 구조를 구조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스마트폰을 고정배치될 수 있는 회전거치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스마트폰이 아닌 거치대에 전원이 공급되어짐에 따라, 기존에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시거잭 또는 충전잭을 필요로 했던 것과 달리, 스마트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어떤 기종도 충전이 가능토록 한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스마트폰(P)을 거치하기 위한 차량의 거치대상면(B)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거치대상면(B)에 접촉되는 후면에는 착탈가능부재(13)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양측에 슬라이딩홈(1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삽입체(14)가 형성되며, 삽입체(14)의 일면에는 슬라이딩홈(15)과 동일방향을 향해 끼움홈(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체결되도록 후면에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부(22)는 하단 및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10)의 양측 슬라이딩홈(15)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끼움편(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끼움홈(16)에 대응체결되는 끼움돌기(24)가 끼움부(22) 내 길이방향으로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상측에서부터 중단을 향해 개구된 체결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무선충전코일(25) 및 이와 연결된 무선충전 회로기판(26)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충전부(27)가 삽입설치되되,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28)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P)이 무선충전가능토록 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P)의 기종에 따라, 각 스마트폰(P)에 사용가능한 충전잭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토록 하는 충전거치부(20);
상기 스마트폰(P)의 후면에 장착되도록, 일면에는 착탈가능부재(32)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충전거치부(20)의 체결홈(29)의 개구된 상부에서부터 중앙을 향해 슬라이딩 대응삽입체결되도록, 외주연이 내부로 함몰형성되어 내입부(33)를 형성하는 원형단면을 가진 끼움체(34)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충전거치부(20)에 스마트폰(P)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되,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방향에 맞춰)을 향해 좌, 우로 각도를 변화시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기종에 상관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라면, 별도의 충전잭 및 시거잭 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 내지 4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거치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거치부와 장착부의 결합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 충전거치부, 장착부, 스마트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결합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에서, 스마트폰의 거치방향이 자유롭게 변경가능함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스마트폰(P)을 거치하기 위한 차량의 거치대상면(B)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거치대상면(B)에 접촉되는 후면에는 착탈가능부재(13)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양측에 슬라이딩홈(1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삽입체(14)가 형성되며, 삽입체(14)의 일면에는 슬라이딩홈(15)과 동일방향을 향해 끼움홈(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체결되도록 후면에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부(22)는 하단 및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10)의 양측 슬라이딩홈(15)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끼움편(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끼움홈(16)에 대응체결되는 끼움돌기(24)가 끼움부(22) 내 길이방향으로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상측에서부터 중단을 향해 개구된 체결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무선충전코일(25) 및 이와 연결된 무선충전 회로기판(26)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충전부(27)가 삽입설치되되,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28)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P)이 무선충전가능토록 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P)의 기종에 따라, 각 스마트폰(P)에 사용가능한 충전잭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토록 하는 충전거치부(20);
상기 스마트폰(P)의 후면에 장착되도록, 일면에는 착탈가능부재(32)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충전거치부(20)의 체결홈(29)의 개구된 상부에서부터 중앙을 향해 슬라이딩 대응삽입체결되도록, 외주연이 내부로 함몰형성되어 내입부(33)를 형성하는 원형단면을 가진 끼움체(34)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충전거치부(20)에 스마트폰(P)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29)은 상기 충전거치부(20)의 전면에서 끼움체(34)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함몰형성되는 1차 체결홈(29a); 상기 1차 체결홈(29a)의 하단에 연장되어 연속형성되어 끼움체(34)가 대응삽입되되, 상기 끼움체(34)의 내입부(33)가 대응체결되는 경사부(29c)가 내주연에 형성되는 2차 체결홈(29b); 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체(34)가 1차 체결홈(29a)에 대응 삽입된 이후에, 하단으로 슬라이딩되며 2차 체결홈(29b)으로 가이드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24)와 끼움홈(16)은 상호간 대응되는 반원 또는 호 단면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끼움돌기(24)가 끼움홈(16)에 대응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좌, 우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충전거치부(20)가 고정부(10)에 장착되어 좌, 우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장착되는 스마트폰(P)의 거치위치가 좌, 우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는 고정부(10), 충전거치부(20), 장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는 스마트폰(P)을 고정하기 위한 차량의 다양한 사전설정위치에 장착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부(10)는 판재 형태를 이루는 부착부(11) 및 차량의 거치대상면(B)에 착탈가능토록 하기 위해, 이러한 부착부(11)의 후면에는 양면테이프 등의 착탈가능부재(13)가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고정부(10)의 형상의 착탈이 용이토록 하기 위해, 사방(상, 하, 좌, 우측을 향해 네잎클로버와 같은 형상 등)으로 다수의 돌출면(12)을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착부(11)의 정면에는 '┸' 단면의 삽입체(14)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체는 양측이 길이방향으로 함몰되어, 양측에 슬라이딩홈(1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삽입체(14)의 일면(외측면)에는 슬라이딩홈(15)과 동일방향(길이방향)을 향해 끼움홈(16)이 반원 단면형태로 함몰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충전거치부(20)는 스마트폰(P)이 거치되는 거치대 역할을 함과 동시에, 무선충전이 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한 충전거치부(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하우징(21)을 가지며, 하우징(21)은 상기 삽입체(14)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체결되는 끼움부(22)가 후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된 고정부(10)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즉, 상기 삽입체(14)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체결되도록 후면에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되, 이러한 상기 끼움부(22)는 내부의 별도의 끼움공간이 형성하도록 비어있으면서, 하단 및 일면이 개구되어 있도록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이러한 삽입체(14)는 전술된 고정부(10)의 삽입체(14) 양측 슬라이딩홈(15)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끼움편(23)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끼움편은 원호 단면형태로 상호간 대향되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삽입체(14)의 내부에는 끼움홈(16)에 대응체결되는 끼움돌기(24)가 끼움부(22) 내(더욱 자세히는 끼움부(22) 내 하우징(21)의 후면)에서 길이방향을 향해, 원호 단면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충전거치부(20)의 끼움돌기(24)와 고정부(10)의 끼움홈(16)은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 상호간 대응되는 반원 또는 호 단면형상을 가짐으로써,(끼움돌기는 반원단면 형태로 돌출되고, 끼움홈(16)은 반원 단면으로 함몰형성) 상기 끼움돌기(24)가 끼움홈(16)에 대응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좌, 우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충전거치부(20)가 고정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 우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이는 결국 장착되는 스마트폰(P)의 거치위치가 좌, 우로 다양하게 각도조절되어 고정(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방향에 맞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충전거치부(20)의 전면에는 상측에서부터 중단을 향해 개구된 체결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체결홈(29)은 후술될 장착부(30)가 대응되어 체결되는 곳으로서, 상기 장착부(30)는 스마트폰(P)에 부착되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체결홈(29)은 충전거치부(20)의 전면에서 후술될 끼움체(34)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직경)로 함몰형성되는 1차 체결홈(29a)과, 상기 1차 체결홈(29a)에서 연장되어 1차 체결홈의 하단(29a)에 연속형성되어 끼움체(34)가 대응삽입되되, 상기 끼움체(34)의 내입부(33)가 대응체결되는 경사부(29c)가 내주연에 형성되는 2차 체결홈(29b)으로 구성되어, 끼움체(34)가 1차 체결홈(29a)에 대응 삽입된 이후에, 하단으로 슬라이딩되며 2차 체결홈(29b)으로 가이드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충전거치부(20)의 내부에는 무선충전코일(25) 및 이와 연결된 무선충전 회로기판(26)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충전부(27)가 삽입설치되되,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28)를 통해 이러한 무선충전부(27)에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로써, 충전거치부(20)의 전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P)이 충전거치부(20)에 무선충전부(27)에 의해 무선충전가능토록 한 것이며, 충전거치부(20)에 충전단자(28)(ex: 충전잭, 전원잭, 시거잭 등)를 통해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사용자는 스마트폰(P)에 직접 각 스마트폰(P)의 기종에 맞는 충전단자(28)를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본 고안의 충전거치부(20)에 결합시키는것만으로, 기종에 상관없이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P)이라면 충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P)은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P)이 그 대상이며, 충전거치부(20) 내 무선충전부(27)의 무선충전 구조나 원리 또한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부(30)는 스마트폰(P)의 후면에 장착되어지는 것으로서, 충전거치부(20)에 스마트폰(P) 자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일면(충전거치부(20)의 전면과 대응되는 면)에는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착탈가능부재(32)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충전거치부(20)의 체결홈(29)의 1차 체결홈(29a)에서부터 2차 체결홈(29b)까지 슬라이딩 대응삽입체결되도록, 외주연이 내부로 함몰형성되어 내입부(33)를 형성하는 원형단면의 끼움체(34)가 돌출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부(10)는 차량에 부착되어 있고, 장착부(30) 또한 스마트폰(P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장착부(30)가 부착된 스마트폰(P)은 충전거치부(20)에 탈착이 가능하고, 이러한 충전거치부(20) 또한 차량의 고정부(10)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고정부 11: 부착부
12: 돌출면 13, 32: 착탈가능부재
14: 삽입체 15: 슬라이딩홈
16: 끼움홈 20: 충전거치부
21: 하우징 22: 끼움부
23: 끼움편 24: 끼움돌기
25: 무선충전코일 26: 무선충전 회로기판
27: 무선충전부 28: 충전단자
29; 체결홈 29a: 1차 체결홈
29b: 2차 체결홈 29c: 경사부
30: 장착부 31: 몸체
33: 내입부 34: 끼움체
B: 거치대상면 P: 스마트폰

Claims (3)

  1. 스마트폰(P)을 거치하기 위한 차량의 거치대상면(B)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되, 거치대상면(B)에 접촉되는 후면에는 착탈가능부재(13)가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는 양측에 슬라이딩홈(15)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삽입체(14)가 형성되며, 삽입체(14)의 일면에는 슬라이딩홈(15)과 동일방향을 향해 끼움홈(16)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체결되도록 후면에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끼움부(22)는 하단 및 일면이 개구되고, 상기 고정부(10)의 양측 슬라이딩홈(15)에 대응되며 끼워지는 끼움편(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끼움홈(16)에 대응체결되는 끼움돌기(24)가 끼움부(22) 내 길이방향으로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상측에서부터 중단을 향해 개구된 체결홈(29)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무선충전코일(25) 및 이와 연결된 무선충전 회로기판(26)으로 이루어지는 무선충전부(27)가 삽입설치되되, 저면에 형성된 충전단자(28)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면에 장착되는 스마트폰(P)이 무선충전가능토록 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폰(P)의 기종에 따라, 각 스마트폰(P)에 사용가능한 충전잭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충전이 가능토록 하는 충전거치부(20);
    상기 스마트폰(P)의 후면에 장착되도록, 일면에는 착탈가능부재(32)가 형성되어 있고, 타면에는 충전거치부(20)의 체결홈(29)의 개구된 상부에서부터 중앙을 향해 슬라이딩 대응삽입체결되도록, 외주연이 내부로 함몰형성되어 내입부(33)를 형성하는 원형단면을 가진 끼움체(34)가 돌출형성됨으로써, 충전거치부(20)에 스마트폰(P)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부(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돌기(24)와 끼움홈(16)은
    상호간 대응되는 반원 또는 호 단면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끼움돌기(24)가 끼움홈(16)에 대응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좌, 우로 회동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충전거치부(20)가 고정부(10)에 장착되어 좌, 우로 움직임이 가능하여, 장착되는 스마트폰(P)의 거치위치가 좌, 우로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29)은
    상기 충전거치부(20)의 전면에서 끼움체(34)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함몰형성되는 1차 체결홈(29a);
    상기 1차 체결홈(29a)의 하단에 연장되어 연속형성되어 끼움체(34)가 대응삽입되되, 상기 끼움체(34)의 내입부(33)가 대응체결되는 경사부(29c)가 내주연에 형성되는 2차 체결홈(29b);
    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체(34)가 1차 체결홈(29a)에 대응 삽입된 이후에, 하단으로 슬라이딩되며 2차 체결홈(29b)으로 가이드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3. 삭제
KR2020180003993U 2018-08-28 2018-08-28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KR200491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93U KR200491593Y1 (ko) 2018-08-28 2018-08-28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993U KR200491593Y1 (ko) 2018-08-28 2018-08-28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1U KR20200000511U (ko) 2020-03-09
KR200491593Y1 true KR200491593Y1 (ko) 2020-05-06

Family

ID=6976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993U KR200491593Y1 (ko) 2018-08-28 2018-08-28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5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357B1 (ko) * 2020-07-07 2022-07-08 주식회사 아트뮤코리아 각도조절이 가능한 보조배터리겸용 유무선충전기
KR102495129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휴대폰안착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33Y1 (ko) * 2005-07-18 2005-10-04 유조화 초슬림형 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439A (ko) * 2014-02-07 2015-08-18 강준묵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700339B1 (ko) 2015-11-16 2017-01-26 주식회사 핀크래프트엔지니어링 무선 충전 시스템에 적용된 차량용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433Y1 (ko) * 2005-07-18 2005-10-04 유조화 초슬림형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1U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7651B2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786858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US11192486B2 (en) Cup holder for a vehicle with wireless charging capability
CN111384750A (zh) 具有可旋转磁性支架的感应充电器
US20160294201A1 (en) Slim-form charger for a mobile phone
TWM493192U (zh)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KR200491593Y1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US20150148103A1 (en) System for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mobile device case to different mounts
CN105207322A (zh) 一种背夹式移动电源车载充电装置
US10778022B2 (en) Multi-purpose power bank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20140004290U (ko) 충전커넥터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CN104917219B (zh) 无线充电基座
KR101751820B1 (ko) 거치구조를 갖는 무선 충전기
KR20160109190A (ko) 단말기 충전 거치대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259784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KR102123453B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215120196U (zh) 一种移动电源及移动电源租赁系统
JP3184539U (ja) 電気コード収納機能を有する電力センサー式充電装置
JP3169098U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KR20190074929A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213192468U (zh) 游戏机的方向盘底座及方向盘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