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437A - 이동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437A
KR20160072437A KR1020140180040A KR20140180040A KR20160072437A KR 20160072437 A KR20160072437 A KR 20160072437A KR 1020140180040 A KR1020140180040 A KR 1020140180040A KR 20140180040 A KR20140180040 A KR 20140180040A KR 20160072437 A KR20160072437 A KR 2016007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erminal
angle
charging
termin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김동은
김정민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437A/ko
Publication of KR2016007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04Tool holder carried by belt

Abstract

접힘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바닥 지지부재를 단말기 배면 안착 영역에 접더라도 여전히 단말기 측면 받침 영역이 돌출됨으로 인한 부피감의 증가 및 파손의 위험 등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바닥 지지패드를 펼치는 경우에는 단말기 거치패드가 같이 펴지다 필요한 위치에서 펼쳐짐이 멈춰지고 바닥 지지패드는 끝까지 펼쳐질 수 있고 바닥 지지패드를 접는 경우에는 바닥 지지패드를 회전하여 접는 것 만으로 단말기 거치패드를 접을 수 있으며, 접힌 후에는 단말기 거치패드가 돌출됨 없이 부피감 및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거치대{TERMINAL DOCK}
본 발명은 단말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필요시에는 거치대를 접음으로써 부피감을 최소화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으며, 다양화 되는 이동 단말기의 기능에 대응하여 단말기 관련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자의 눈에서 적당한 기울기 및 위치를 제공하고, 이동 단말기를 안정감 있게 안착시키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존재한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단순한 거치뿐만 아니라, 충전기능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의 충전은 충전 커넥터를 이용한 유선 충전 방식 및 외부와의 물리적인 연결 없이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유선 충전 방식인 경우, 단말기가 거치되는 부분에 충전 단자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무선 충전 방식 중 자기 유도 방식의 경우,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맞닿는 안착부의 내부에 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이동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안착되는 영역과 이동 단말기를 안착시켰을 때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동 단말기의 배면 안착 영역과 이동 단말기 측면 받침 영역이 적당한 기울기로 서 있을 수 있도록 바닥을 지지하는 지지영역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최소한 세 가지의 역할을 하는 물리적 구성이 필요한데, 이러한 물리적 구성을 포함하되 휴대성 등의 이유로 사용자로 하여금 부피감을 최소로 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있다. 접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거치대의 경우, 안착 영역과 받침 영역은 보통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바닥 지지부재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안착 영역과 받침 영역을 특정한 각도로 만들어 준다. 그리고 필요시에는 배면 안착 영역에 접하도록 접힐 수 있다. 그런데 측면 받침 영역은 배면 안착 영역과 수직을 이루어 측면 받침 영역이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보통이며, 이로 인해 바닥 지지부재를 접는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사용자가 느끼는 부피감을 최소화 하기 어렵고, 나아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형상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접힘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바닥 지지부재를 단말기 배면 안착 영역에 접더라도 여전히 단말기 측면 받침 영역이 돌출됨으로 인한 부피감의 증가 및 파손의 위험 등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충전을 위한 코일을 실장하고, 하측 단부에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충전패드, 하측 단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접힌 경우에는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에 접하고,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펴진 경우에는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과 제 1 각도에서 회전을 멈추는 단말기 거치패드, 하측 단부에 상기 제 2 결합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고, 접힌 경우에는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에 접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펴진 경우에는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제 2 각도에서 회전을 멈추는 바닥 지지패드를 포함하고,상기 바닥 지지패드는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과 제 1 각도까지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1 각도에서 제 2 각도까지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와 분리되어 회전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을 위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하측 단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형상의 제 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의 하측 단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내부에 함몰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와 회전결합하는 제 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2 돌출부 외측 둘레와 맞닿아 회전 결합하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한편, 회전의 제한을 위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에서 중심축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돌출된 제 2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함몰부 내측에서 중심축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가 상기 제 1 각도까지 펼쳐진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에 걸리는 제 3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2 걸림부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바닥 지지패드가 상기 제 2 각도까지 펼쳐진 경우 상기 제 2 걸림부에 걸리는 제 2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한편, 바닥 지지패드의 펼침으로 인해 단말기 거치패드도 같이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의 측면 경계는 상기 바닥 지지패드의 개구부 경계와 일치하고 상기 일치하는 경계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와 상기 바닥 지지패드의 결합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는 상기 측면 경계에 구비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지지패드는 상기 개구부 경계에 구비되고 상기 홈에 결합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각도까지는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결합하고 상기 제 1 각도부터 제 2 각도까지는 상기 돌기는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 지지패드를 펼치는 경우에는 단말기 거치패드가 같이 펴지다 필요한 위치에서 펼쳐짐이 멈춰지고 바닥 지지패드는 끝가지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바닥 지지패드를 접는 경우에는 바닥 지지패드를 회전하여 접는 것 만으로 단말기 거치패드를 접을 수 있으며, 접힌 후에는 단말기 거치패드가 돌출됨 없이 부피감 및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에 대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종래기술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종래기술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패드 및 단말기 거치패드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거치패드 및 바닥 지지패드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바닥 지지패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의 접힌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도 4 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에 대한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3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3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3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91)는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303)가 배터리(3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302)에 결합되어 배터리(3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3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3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303)는 리어 케이스(3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91)는 무선 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충전을 위한 2차 코일(305)를 실장할 수 있다. 2차 코일(305)은 배터리(391)의 배면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은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 단말기 거치대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 하지 않고, 일반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 중 공진방식의 단말기 거치대에도 적용 가능하며, 충전이 아닌 단순한 단말기 거치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 는 종래기술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20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자기 유도 방식은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에 구비되고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1차코일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어 1차 코일(111)의 영향으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2차 코일(305, 도 1 참조)의 상호작용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다. 1차 코일(111)과 2차 코일(305, 도 1 참조)의 상호 작용을 위해 코일면이 서로 겹쳐야하고 적정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동 단말기 거치대(200)는 1차 코일(202)이 실장된 충전패드(20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패드(201)는 2차 코일(305, 도 1 참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203)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패드(201)는 충전 중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져 충전패드(201)에 안착되는 경우, 안착면(203)에서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미끌어져 이탈하지 않도록 충전 패드의 일 단에서 안착면(203)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부(204)를 가질 수 있다. 충전패드(201)가 일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도록 이동 단말기 거치대(200)는 바닥지지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종래기술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200)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바닥 지지패드(205)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패드(201)에 접힐 수 있도록 충전패드(201)에 회전결합 할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205)는 상기 돌출부(204)가 있는 충전패드(201) 면으로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204)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단부에 개구부(205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205)가 충전패드(201)에 접힌 경우에도 돌출부(204)가 여전히 돌출되어 있어, 실직적으로 부피감을 증가시키고, 외력에 의해 파손될 위험을 갖는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는 1차 코일(111)이 실장된 충전패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1 차 코일(111)은 이동 단말기가 충전패드(110)에 가로로 거치된 경우 및 세로로 거치된 경우를 위해 각각에 이동 단말기의 2차 코일(305, 도 1 참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충전패드(1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충전단자를 배면에 포함할 수 있다. 충전패드(110)는 2차 코일(305, 도 1 참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배면이 안착되는 안착부(112)가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충전패드(110)는 충전 중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충전패드(110)에 회전 결합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단말기 거치패드(120)가 펼쳐진 경우에 안착부(112)에서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미끌어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전패드(110)의 안착부(112)에 돌출된 거치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안착부(112)와 수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접힌 경우에 충전패드(110)에 접할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130)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가 펼쳐진 경우 충전패드(110)가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 세워질 수 있도록 충전패드(110)와 일정각도를 이루면서 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충전패드(110)의 전면에서 제 1 방향(C)으로 회전하여 제 1 각도(a)에서 회전을 멈출 수 있고, 바닥 지지패드(130)는 충전패드(110)의 전면에서 제 1 방향(C)으로 회전하여 제 2 각도(b)에서 회전을 멈출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130)는 충전패드(110)의 전면과 제 1 각도(a)까지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함께 회전하고, 제 1 각도(a)에서 제 2 각도(b)까지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분리되어 회전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충전패드(110) 및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충전패드(110)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회전을 가이드 또는 제한 하는 제 1 결합부(140)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하측 단부(113)에 충전패드(110)의 제 1 결합부(140)와 회전 결합할 수 있는 제 2 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패드(110)는 하측 양쪽이 돌출된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의 내측에 마주보는 제 1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140)는 하측 단부(113)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 1 돌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충전패드(110)의 하측 양쪽 단부 사이에 결합되도록 회전축을 형성하는 거치패드 회전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150)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거치패드 회전축부(122)의 외측방향으로 원통형상의 돌출된 제 2 돌출부(151)를 가질 수 있다. 제 2 돌출부(151)의 내부에는 함몰되어 제 1 결합부(140)의 제 1 돌출부(141)와 회전결합하는 제 1 함몰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140)의 제 1 돌출부(141) 최대 직경과 제 2 결합부(150)의 제 1 함몰부(152)의 외경은 동일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140)는 제 1 돌출부(141)에서 중심축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부(142)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결합부(150)는 제 1 함몰부(152) 내측에서 중심축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제 3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걸림부(142)는 제 1 함몰부(152) 내측에서 회전하다 단말기 거치패드(120)가 제 1 각도(a)까지 펼쳐지는 경우, 제 3 걸림부에 걸리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거치패드(120) 및 바닥 지지패드(130)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바닥 지지패드(130)의 제 3 결합부(160)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제 2 돌출부(151)의 외측 둘레와 맞닿아 회전 결합하는 홀(1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바닥 지지패드(13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바닥 지지패드(130)는 하측 단부(113)에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제 2 결합부(150)와 회전 결합하는 제 3 결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130)는 충전패드(110)의 하측 양쪽 단부 사이에 결합되도록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패드 회전축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130)의 제 3 결합부(160)는 바닥 지지패드(130)가 충전패드(110)의 제 1 결합부(140) 제 2 걸림부(143)가 갖는 회전 직경과 동일한 위치의 일부에 제 2 걸림부(143)에 대응하는 제 2 함몰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패드(110)의 제 2 걸림부(143)는 바닥 지지패드(130)의 제 2 함몰부(162)에 끼워져 회전하다 바닥 지지패드(130)가 제 2 각도(b)까지 펼쳐지는 경우, 제 4 걸림부(163)에 걸리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의 접힌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바닥 지지패드(130)는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134, 도 6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 및 바닥 지지패드(130)가 접힌 경우,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개구부에 안착될 수 있다. 바닥 지지패드(130)와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두께가 일치하는 경우 접혔을 때 동일 평면을 가지므로 돌출됨 없이 매끄러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도 4 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거치패드 측면 경계(123)는 바닥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132)와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일치하는 경계(132, 123)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바닥 지지패드(130)의 결합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바닥 지지패드(130)의 경계가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바닥 지지패드(130)의 결합 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경우, 바닥 지지패드(130)가 단말기 거치패드(120)로부터 분리되려고 하는 제 1 각도(a)에서 바닥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 상부(1321)가 거치패드 측면 경계 하부(1232)에 걸려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경계 상부(1321, 1231)가 경계 하부(1322, 1232)보다 회전축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하면 바닥 지지패드(130)를 펼칠 때 단말기 거치패드(120)에 걸림이 없이 열릴 수 있고, 반대로 바닥 지지패드(130)를 접을 때 단말기 거치패드(120)에 걸려 바닥 지지패드(130)만 접더라도 단말기 거치패드(120)까지 함께 접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일치하는 경계(132, 123)는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바닥 지지패드(130)가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67도의 각을 이룰 수 있고, 또는 67도 보다 작을 수도 있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측면에 구비된 홈(124)을 포함하고, 바닥 지지패드(130)는 홈(124)에 결합하는 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33)는 홈(124)에 결합하여 단말기 거치패드(120)와 바닥 지지패드(130)가 결합하여 같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닥 지지패드(130)만을 잡고 충전패드(110)에 대해 제 1 방향(C, 도 4 참조)으로 회전시켜 펴는 경우 단말기 거치패드(120)도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제 1 각도(a, 도 4 참조)까지 회전할 수 있으며, 바닥 지지패드(130)는 제 1 각도(a, 도 4 참조)보다 더 큰 제 2 각도(b, 도 4 참조)까지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으므로,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제 1 각도(a, 도 4 참조) 까지만 회전한 후에 제 2 각도(b, 도 4 참조)까지는 돌기(133)가 홈(124)으로부터 이탈하여 바닥 지지패드(130)와 분리될 수 있다.
홈(124)은 단말기 거치패드(120)의 상측면(1233, 도 4 참조)에 구비되거나 좌/우측면(1234, 도 4 참조)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돌기(133)는 바닥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132)에서 홈(124)과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돌기(133)는 바닥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132)를 이루는 면을 기준으로 0.3mm가 돌출되는 경우, 바닥 지지패드(130)를 단말기 충전패드(110)로부터 분리하는데 방해 받지 않고, 동시에 돌기(133)를 홈(124)으로부터 적당한 힘에 의해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말기 거치패드(120)는 거치부(121) 중 단말기가 거치되는 면에 탄성이 있는 소재의 단말기 미끄럼 방지패드(125)를 구비할 수 있고, 바닥에 접하는 부분에는 바닥 미끄럼 방지패드(126)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 미끄럼 방지패드(125)를 통해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로부터 미끄러짐 방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바닥 미끄럼 방지패드(126)를 통해 이동 단말기 거치대(100)가 바닥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100: 무선 충전기 110: 충전패드
111: 1차 코일 112: 안착부
113: 하측 단부 120: 단말기 거치패드
121: 거치부 122: 거치패드 회전축부
123: 거치패드 측면경계 1231: 거치패드 측면경계 상부
1232: 거치패드 측면경계 하부 124: 홈
125: 단말기 미끄럼 방지패드 126: 바닥 미끄럼 방지패드
130: 바닥 지지패드 131: 지지패드 회전축부
132: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
1321: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 상부
1322: 지지패드 개구부 경계 하부
133: 돌기 134: 지지패드 개구부
C: 제 1 방향 a: 제 1 각도
b: 제 2 각도 140: 제 1 결합부
141: 제 1 돌출부 142: 제 1 걸림부
143: 제 2 걸림부 150: 제 2 결합부
151: 제 2 돌출부 152: 제 1 함몰부
160: 제 3 결합부 161: 홀
162: 제 2 함몰부 163: 제 4 걸림부
200: 무선 충전기 201: 충전패드
202: 1차 코일 203: 안착면
204: 돌출부 205: 바닥지지패드
2051: 개구부

Claims (9)

  1. 단말기 충전을 위한 코일을 실장하고, 하측 단부에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충전패드;
    하측 단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과 접한 상태에서 제 1 방향으로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 기준 제 1 각도까지 회전하는 단말기 거치패드; 및
    하측 단부에 상기 제 2 결합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 3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 기준 제 2 각도까지 회전하는 바닥 지지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각도는 상기 제 1 각도보다 큰 이동 단말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하측 단부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형상의 제 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의 하측 단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의 내부에 함몰되어 상기 제 1 돌출부와 회전결합하는 제 1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2 돌출부 외측 둘레와 맞닿아 회전 결합하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돌출부에서 중심축 바깥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부; 및
    상기 제 1 돌출부와 이격되어 돌출된 제 2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함몰부 내측에서 중심축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가 상기 제 1 각도까지 펼쳐진 경우 상기 제 1 걸림부에 걸리는 제 3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결합부는,
    상기 제 2 걸림부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바닥 지지패드가 상기 제 2 각도까지 펼쳐진 경우 상기 제 2 걸림부에 걸리는 제 2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패드는 상기 충전패드의 전면과 제 1 각도까지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1 각도에서 제 2 각도까지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와 분리되어 회전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패드는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 및 상기 바닥 지지패드가 접힌 경우,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는 상기 개구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의 측면 경계는 상기 바닥 지지패드의 개구부 경계와 일치하고 상기 일치하는 경계는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와 상기 바닥 지지패드의 결합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는,
    상기 측면 경계에 구비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 지지패드는,
    상기 개구부 경계에 구비되고 상기 홈에 결합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각도까지는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결합하고,
    상기 제 1 각도부터 제 2 각도까지는 상기 돌기는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의 상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거치패드는,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일면에 구비된 단말기 미끄럼 방지 패드; 및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면에 구비된 바닥 미끄럼 방지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1020140180040A 2014-12-15 2014-12-15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20160072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040A KR20160072437A (ko) 2014-12-15 2014-12-15 이동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040A KR20160072437A (ko) 2014-12-15 2014-12-15 이동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437A true KR20160072437A (ko) 2016-06-23

Family

ID=5635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040A KR20160072437A (ko) 2014-12-15 2014-12-15 이동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4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13A (ko) * 2018-05-18 2019-11-27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EP4092872A4 (en) * 2020-05-18 2023-06-07 Guangdong Gopod Group Holding Co., Ltd CHARGING B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13A (ko) * 2018-05-18 2019-11-27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EP4092872A4 (en) * 2020-05-18 2023-06-07 Guangdong Gopod Group Holding Co., Ltd CHARGING 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0035B2 (en) Device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307656B2 (en) Electronic device case
KR200482089Y1 (ko) 휴대단말기 충전거치대
JP4685956B2 (ja) 入力デバイス充電システム
US20100317412A1 (en) Portable phone holder and charger
CN103475834B (zh) 一种智能手机及其外置微投影仪
US20060238164A1 (en) Desktop charg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TWM493192U (zh)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US9755688B1 (en) MemEx cell phone case systems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EP2472697A1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72437A (ko) 이동 단말기 거치대
KR200481425Y1 (ko) 휴대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23453B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KR200491593Y1 (ko) 차량용 부착형 스마트폰 회전용 거치대를 겸하는 무선충전기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US10250051B2 (en)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KR200483316Y1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7661Y1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EP3840341B1 (en) Mobile terminal
KR102324828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KR102015548B1 (ko) 휴대단말기 거치용 충전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