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65U -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65U
KR20120008365U KR2020110004665U KR20110004665U KR20120008365U KR 20120008365 U KR20120008365 U KR 20120008365U KR 2020110004665 U KR2020110004665 U KR 2020110004665U KR 20110004665 U KR20110004665 U KR 20110004665U KR 20120008365 U KR20120008365 U KR 20120008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rotating part
mounting case
stopper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2020110004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365U/ko
Publication of KR20120008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키보드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함께 휴대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 일측에는 접이면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부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경사를 이룬 상태로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베이스부를 덮는 덮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Supporting case for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거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사용자들은 개인용 디스플레이장치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정보화시대에서 통신의 원활화 및 신속화는 업무추진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사항이기 때문에 이미 많은 개인이나 회사 또는 공공기관에서는 필수적으로 개인용 디스플레이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개인용 디스플레이장치는 대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의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개인용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태블릿 PC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되어 별도의 마우스나 키보드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기에 노트북 PC에 비해 소형화로 제조될 수 있어 휴대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태블릿 PC는 노트북 PC에 비해 그 사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태블릿 PC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는 태블릿 PC를 사용함에 있어 태블릿 PC를 바닥면에 놓은 상태에서 작업하거나 태블릿 PC를 직접 들고 작업을 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 태블릿 PC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태블릿 PC를 기울인 상태로 벽면에 기대어 거치시키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태블릿 PC를 잡은 상태에서 동영상을 시청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태블릿 PC를 작동함에 있어 태블릿 PC와 연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키보드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하여 일일이 글자나 숫자를 입력해야되기에 작업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사용자는 태블릿 PC와 연동되는 별도의 키보드를 함께 가지고 다니며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휴대함에 있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에, 개인용 디스플레이장치의 거치가 가능하고 키보드와 함께 휴대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키보드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함께 휴대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 일측에는 접이면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부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경사를 이룬 상태로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베이스부를 덮는 덮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접이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1회전부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제1회전부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1회전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2회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그립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제1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부의 양면에는 제2패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부의 양면에는 제3패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단부가 상기 제2회전부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3회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부를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이 상기 제3회전부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라이딩이 구속되도록 하는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와의 사이에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돌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착면에는 키보드가 탈착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키보드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2스토퍼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태블릿 PC(Tablet P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는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장치를 다양한 경사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동영상을 감상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원하는 경사 각도에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에는 별도의 힌지(hinge) 구성이 없어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를 제작함에 있어 제작이 단순하다.
둘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는 키보드가 탈착되는 부착면이 구비되어 키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를 손쉽게 작동할 수 있으며, 이동시 디스플레이장치와 키보드의 휴대가 간편하다.
셋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함에 있어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를 보호하도록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키보드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베이스부에 덮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면의 상측에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가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 제2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베이스부에 덮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덮개 결합부재와 탈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키보드가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베이스부에 덮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이면의 상측에 제1회전부와 제2회전부가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는 베이스부(100)와 덮개부(2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 일측에는 접이면(110)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부착면(12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부착면(120)에는 키보드(300)가 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부착면(120)에는 키보드 미끄럼방지 패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미끄럼방지 패드(미도시)는 상기 부착면(120)에 상기 키보드(300)가 부착될 경우에 상기 키보드(300)가 상기 부착면(120)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키보드(300)는 상기 부착면(120)과 탈착형태가 아닌 볼트 결합에 의해 상기 부착면(120)에 고정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부착면(120)과 키보드(300)는 완전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300)는 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400)와 연동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키보드(300)의 자판을 입력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키보드(300)로부터 입력된 값을 전송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키보드(3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와 연동되는 무선 키보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면에는 제1패드(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패드(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놓여지는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놓여지는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패드(130)는 고무재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제1스토퍼(14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접이면(110)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상기 키보드(300)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라면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 어디라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슬라이딩이 구속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돌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거치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다양한 형태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스토퍼(140)는 상기 접이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140)는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돌출부(141)는 상기 접이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142)는 상기 제1돌출부(141)와 이격되어 상기 접이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공간부(143)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의 돌출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스토퍼(140)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100)를 덮거나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펼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일정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거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포개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덮혀진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200)는 제1회전부(210)와 제2회전부(2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부(21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부(210)의 길이(L2)는 상기 접이면(110)의 길이(L1)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회전부(220)의 하단부는 상기 제1회전부(21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부(220)의 길이(L3)는 상기 제1회전부(210)의 길이(L2)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부(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그립부(2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그립부(224)는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로 덮혀지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의 외측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그립부(224)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상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회전부(210)의 양면에는 제2패드(21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패드(211)는 제2 내측패드(212)와 제2 외측패드(21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내측패드(212)는 상기 덮개부(200)가 덮혀지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부(210)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회전되어 꺽여짐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에 접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가 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과 접촉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지지하는 상기 제1회전부(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와 상기 제1회전부(210)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외측패드(213)는 상기 덮개부(200)가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00)가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패드(211)는 고무재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220)의 양면에는 제3패드(22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패드(221)는 제3 내측패드(222)와 제3 외측패드(22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3 내측패드(222)는 상기 덮개부(200)가 덮혀지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외측패드(223)는 상기 덮개부(200)가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00)가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1회전부(21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예각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부(21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예각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에 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는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는 상기 제1돌출부(141)와 제2돌출부(142)에 각각 접촉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단턱지게 돌출된 상기 키보드(300)의 단턱부(31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가 상기 단턱부(310)에 거치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제1스토퍼(140)에 거치된 상태와는 다른 거치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덮개부(200)는 일정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상기 덮개부(200)는 일정이상의 힘을 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를 형성한 후 상기 덮개부(20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가 형성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접이면(110)과 제1회전부(210) 및 제2회전부(220)의 길이는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접이면(1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회전부(210)와 제2회전부(220)가 접어져서 포개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부(210)와 제2회전부(220)가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내측패드(212)는 상기 제1스토퍼(140)와 밀착되고 상기 제2 외측패드(213)는 상기 제3 외측패드(223)와 밀착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전면에 형성된 표시부(410)가 외부로 보여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를 조절한 것으로 제1회전부(210)는 베이스부(100)로부터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회전부(220)만 상기 제1회전부(210)로부터 회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거치함에 있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000)가 놓여지는 바닥면에는 상기 베이스부(100)와 제1회전부(210)가 맞닿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부(220)는 상기 제1회전부(210)로부터 회전되어 꺽여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상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부(220)는 상기 제1회전부(210)로부터 회전됨에 있어 예각 범위에서 회전이 이루어져 그립부(224)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상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상단부가 상기 그립부(224)와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는 제1스토퍼(140) 또는 단턱부(310)에 지지되어 거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제1 실시예와는 다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를 이루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에 제2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를 조절한 것으로 키보드(300)에는 제2스토퍼(320)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가 상기 제2스토퍼(32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30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스토퍼(3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제2스토퍼(320)는 상기 키보드(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스토퍼(32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토퍼(320)의 폭의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의 폭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스토퍼(320)는 그립부(224)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키보드(300)에 홈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320)가 고무재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가 상기 제2스토퍼(320)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는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스토퍼(320)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가 상기 제2스토퍼(320)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로 지지된 것을 설명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하단부가 상기 제2스토퍼(320)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경우에서의 상기 덮개부(200)의 재질은 일정이상의 힘을 가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를 형성한 후 상기 덮개부(20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각도가 형성된 상태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디스플레이장치가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가 베이스부에 덮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덮개 결합부재와 탈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100)는 제2회전부(220)와 연결되는 제3회전부(230)가 더 구비되어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100)에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3회전부(230)의 하단부는 상기 제2회전부(22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회전부(230)에는 고정부재(235)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235)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모서리부를 잡아줌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이 상기 제3회전부(23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제3회전부(230)의 길이는 제1회전부(210)의 길이(L2, 도 1참조)와 상기 제2회전부(220)의 길이(L3, 도 1참조)가 더해진 길이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35)는 제1고정부재(231), 제2고정부재(232), 제3고정부재(233) 및 제4고정부재(234)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35)는 제1고정부재(231)와 제2고정부재(232)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제3고정부재(233)와 제4고정부재(234)로만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을 상기 제3회전부(230)에 밀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5)는 4개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재(235)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이 상기 제3회전부(230)에 밀착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35)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후면을 상기 제3회전부(230)에 전체적으로 밀착 고정시키기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1100)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시 베이스부(100)와 맞닿는 상기 제2고정부재(232)의 하측에는 고무재와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거치시 상기 제2고정부재(232)가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전후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서는 키보드(300')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상기 키보드(300')에는 제3스토퍼(3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스토퍼(330)는 상기 제1고정부재(231)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스토퍼(330)는 고무재와 같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덮개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로 덮혀지는 경우에 상기 제1고정부재(231)는 상기 제3스토퍼(330)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3스토퍼(330)는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제1회전부(210), 제2회전부(220) 및 제3회전부(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회전부(220)의 제3 외측패드(223)에는 덮개 결합부재(2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 결합부재(225)는 상기 덮개 결합부재(225) 자체가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덮개 결합부재(225)의 내부에 금속재가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덮개 결합부재(225)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연장되는 탈착부재(150)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재(150)에는 자석부재(151)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 결합부재(225)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덮혀지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자석부재(151)를 상기 덮개 결합부재(225)에 위치시켜 상기 자석부재(151)와 덮개 결합부재(225)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탈착부재(150)는 상기 덮개부(200')가 상기 베이스부(100)에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200')와 베이스부(100)가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부(200')와 베이스부(10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휴대함에 있어 상기 덮개부(200')와 베이스부(100)는 상기 자석부재(151)에 의해 벌어지지 않으므로 휴대가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12에 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별도의 마우스나 키보드 없이도 작동이 가능하며 그 사용범위가 점차적으로 넓어지고 있는 태블릿 PC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다양한 경사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며 휴대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접이면
120: 부착면 130: 제1패드
140: 제1스토퍼 200: 덮개부
210: 제1회전부 211: 제2패드
220: 제2회전부 221: 제3패드
224: 그립부 230: 제3회전부
300: 키보드 310: 단턱부
320: 제2스토퍼 330: 제3스토퍼
400: 디스플레이장치 410: 표시부
1000, 1100: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Claims (10)

  1. 상면 일측에는 접이면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에는 부착면이 형성되는 베이스부;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디스플레이장치가 경사를 이룬 상태로 거치되도록 지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베이스부를 덮는 덮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접이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1회전부;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제1회전부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1회전부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제2회전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진 그립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에는 제1패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부의 양면에는 제2패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부의 양면에는 제3패드가 더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제2회전부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3회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회전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모서리부를 고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이 상기 제3회전부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슬라이딩이 구속되도록 하는 제1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돌출부와의 사이에 삽입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돌출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에는 키보드가 탈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2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태블릿 PC(Tablet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2020110004665U 2011-05-27 2011-05-27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20120008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665U KR20120008365U (ko) 2011-05-27 2011-05-27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665U KR20120008365U (ko) 2011-05-27 2011-05-27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65U true KR20120008365U (ko) 2012-12-05

Family

ID=4751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665U KR20120008365U (ko) 2011-05-27 2011-05-27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36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237B1 (ko) * 2014-01-22 2015-02-04 전덕규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15073020A1 (en) * 2013-11-15 2015-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hinges for computing devices
WO2015102465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US9983688B2 (en) 2015-03-23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ve cove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3020A1 (en) * 2013-11-15 2015-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hinges for computing devices
US9857831B2 (en) 2013-11-15 2018-0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hinges for computing devices
WO2015102465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KR20150081752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US10001814B2 (en) 2014-01-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irst body and separable second body
KR101487237B1 (ko) * 2014-01-22 2015-02-04 전덕규 휴대단말기 케이스
US9983688B2 (en) 2015-03-23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ve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541B1 (ko) 스탠드가 내장된 태블릿 컴퓨터용 무선 키보드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KR20120138429A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
US8282060B2 (en) Auxiliary fastening apparatus
US8490783B1 (en) Protective cover
TWI488563B (zh) 周邊輸入裝置
US1040263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component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CN105874400B (zh) 用于便携式计算装置的支架
TWI531887B (zh) 底座及使用該底座的電子設備組件
CN101730429A (zh) 保护装置及使用该保护装置的电子设备组件
US20130284615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479975B (zh) The protective cover structur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TW201803429A (zh) 保護殼
TWM415545U (en) Hand-held buckling Plate computer screen Cover Pivot cap of
US9179567B2 (en) Electronic device
KR20130082285A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201345382A (zh) 保護殼
JP2012227794A (ja) 携帯端末用指掛け及び携帯端末
TW201304663A (zh) 電子裝置之支撐裝置
KR20120008365U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KR20130066853A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TW201305479A (zh) 兼具懸掛、支撐及握持結構之裝置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