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02465A1 -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02465A1
WO2015102465A1 PCT/KR2015/000099 KR2015000099W WO2015102465A1 WO 2015102465 A1 WO2015102465 A1 WO 2015102465A1 KR 2015000099 W KR2015000099 W KR 2015000099W WO 2015102465 A1 WO2015102465 A1 WO 20151024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electronic device
mounting surface
shaft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00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동일
김동학
이기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80011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068485B/zh
Priority to EP15733161.2A priority patent/EP3093730B1/en
Priority to US15/110,031 priority patent/US10001814B2/en
Publication of WO20151024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024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9Detach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장착면에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겹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일정 거치 각도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바디를 제1바디에서 거치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며, 결합시에는 휴대성이 극대화되고, 외력에도 전자 장치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 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TV(Television),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데이터 입출력을 동일한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들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전자 장치들은 휴대성이 극대화되어가는 현재의 추세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다양한 부가 기능을 소화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까지 갖춘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후면에 일정 각도로 개폐 가능한 지지 부재를 설치하여 전자 장치를 일정 각도로 거치시켜 동영상 등을 감상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여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휴대시, 전자 장치의 외관을 보호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부가 장치들은 전자 장치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며, 좀더 유용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 가능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되거나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된 바디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분리시 하나의 바디를 이용하여 나머지 하나의 바디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일정 이상의 과도한 외력에도 부속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거치 각도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장착면에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겹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바디에서 분리된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바디에서 거치시키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겹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들이 장착되는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장착면에서 일정 거치 각도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장치에서 분리된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면에서 거치시키는 커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 가능한 커버 장치는, 예를 들어, 개폐 가능한 지지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에 지지 부재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C 부분을 도시한 요구 구성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에 지지 부재 및 힌지 샤프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D 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에 지지 부재 및 힌지 샤프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폐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장치에 관련한 것으로, 커버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액세서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두 개의 바디들이 분리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기술하였으나, 그 이상의 개 수로 분리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두 개의 바디가 전자 장치로써 작용하며, 상호 연동되는 개념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서로 연동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일 수 있다. 또한, 각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지 않는 액세서리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로써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를 디스플레이를 갖는 태블릿 PC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갖지 않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MP3,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 플렉서블(Flexible) 전자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다른 전자 장치와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 가능한 장치(10)는, 예를 들면, 다른 전자 장치(20)를 정해진(specified) 각도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두 장치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분리 가능한 장치(10)를 제1바디로,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제2바디로 칭한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는 제1바디(10)와, 제1바디(10)와 결합되는 제2바디(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바디(2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는 방식으로 제1바디(10)와 결합되어 전자 장치(1)의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0)의 디스플레이(21)는 제1바디(10)의 장착면(101)과 접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0)의 배면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과 접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0)는, 제2바디(20)의 모든 방향으로 제1바디(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0)는 사용될 경우, 제1바디(10)에서 분리되며,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에 배치된 지지 부재(16)에 의해 일정 각도로 거치시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방형의 제2바디(20)와 제1바디(10)는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의 일부 영역만을 이용하여 제2바디(20)를 수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예컨대, 통신 모듈, 안테나, 프로세서, 메모리, 배터리, 컨넥터, 버튼, 또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제2바디(20)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 버튼(131)을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예: 키보드 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해 제2바디(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제2바디(20)와 컨넥터, 접점, 케이블 등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NFC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제2바디(2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버튼(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 버튼(132)은 제1바디(10)(예: 액세서리 장치)와 제2바디(20)(예: 태블릿 컴퓨터)의 통신 연결을 on 또는 off할 수 있는 버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16)의 개폐에 따라 제1바디(10)의 전원을 on 또는 off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16)가 열리면, 상기 제1바디(10)는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바디(2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부재(16)가 닫히면, 상기 제1바디(10)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바디(20)와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6)의 개폐 정도(예: 각도)에 따라 제1바디(10)의 전원 또는 제2바디(2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장착면(101)에서 일정 각도 θ로 개방이 가능한 지지 부재(1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제1바디(10)의 장착면(101)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장착면(101)으로부터 개방되어, 상기 장착면(101)과 정해진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지지 지부재의 인출을 위하여, 장착면(101)에 형성된 지지 부재 인출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12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123)는 제1바디(10)에 장착되는 제2바디(20)를 지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전면 케이스 프레임(12)과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케이스 프레임(12)은 제2바디(20)를 수용하기 위한 장착면(101)으로 활용되며,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은 전자 장치(1)의 외관 일부로써 기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는 제2바디(20)가 장착면(1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의도치 않게(unintentionally)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부(14, 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걸림부(14, 15)는 후면 케이스 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14, 15)는 장방형인 제2바디(20)의 네 모서리를 단속하기 위하여, 제1바디(10)의 대응하는 네 모서리(도 3의 A, B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2바디(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14, 15)는 제1바디(10)의 이웃하는 두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는 제1걸림부(14)와, 나머지 두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걸림부(14)와 제2걸림부(15)는 제1바디(10)의 각 모서리에서 교번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걸림부(14, 15)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0)는 디스플레이(21)를 포함하는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의 주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2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 부품(22)은 스피커 모듈, 마이크로폰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센서 모듈, 안테나 모듈 및 키 버튼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걸림부(14)는 제1바디(10)의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에서 상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4)는 장착면(10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걸림부(14)는 제1바디(10)에 장착되는 제2바디(2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신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걸림부(14)는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에서 상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지리브(141)와 지지 리브(141)에서 각각 장착면(10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걸림편(142) 및 제2걸림편(1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걸림편(142)은 모서리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걸림편(143)은 모서리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에 제2바디(20)가 장착될 경우, 제2바디(20)의 대응 모서리는 제1, 2걸림편(142, 143)에 의해 단속받을 수(예: 고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제2걸림부(15)는 제1바디(10)의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에서 상방향(z-축 방향)으로 신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15)는 장착면(10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걸림부(15)는 제1바디(10)에 장착되는 제2바디(2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로 신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걸림부(15)는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에서 상방향으로 신장되는 지지리브(151)와 지지 리브(151)에서 장착면(101)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5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편(152)은 모서리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에 제2바디(20)가 장착될 경우, 제2바디(20)의 대응 모서리는 걸림편(15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제1바디(10)는 다수의 걸림부(14, 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바디(10)에서 상방향으로 신장된 걸림부(14, 15)는 사용자가 키패드 어셈블리를 조작할 때 방해 요인이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편(142, 143)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1걸림부(14)는 키패드 어셈블리(13)와 이격된 영역인 제1바디(10)의 상부에 각각 배치하며, 걸림편(152)이 y-축 방향으로만 형성된 제2걸림부(15)는 제1바디(10)의 키패드 어셈블리(13)와 인접하는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x-축 방향으로의 걸림편이 배제된 제2걸림부(15)에 의해 손바닥(P)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2바디(20)는, 예컨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과 디스플레이(21)가 마주보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바디(10)의 네 모서리는 제2바디(20)의 네 모서리에 형성된 제1, 2걸림부(14, 15)의 각 걸림편(142, 143, 152)들에 의해 단속받기 때문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바디(20)를 제1바디(10)에서 분리시킬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바디(10)의 제1걸림부(14) 부분을 1차적으로 ①방향(z-축 방향)으로 가압한 후, ②방향으로 잡아 당겨 분리시킬 수 있다. 걸림부(14)의 구조에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가 y축 반대 방향(예: -y축)의 힘을 가하면 제1바디(10)가 걸림부(14)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바디(10)가 걸림부(14)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분리된 제2바디(20)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제2걸림부(15)에서 제2바디(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바디(20)는 제1바디(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에 지지 부재가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바디(10)에는 분리된 제2바디(20)를 일정 각도 θ로 거치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16)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6)는 제1바디(10)의 전면 케이스 프레임(12)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용 슬릿(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제2바디(20)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부(161)와, 플레이트부(161)의 단부에서 수용 슬릿(121)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암(16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부(161)와 힌지암(16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금속,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제1바디(10)의 장착면(101)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될 경우, 장착면(101)으로부터 분리되어 안착면(101)과 지지 부재(16)를 일정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에는 지지 부재(16)가 안착되기 위한 지지 부재 안착홈(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슬릿(121)은 지지 부재 안착홈(124)에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폴딩되었을 때, 제1바디(10)의 장착면(101)과 일치하거나, 장착면(101)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슬릿(121)은 지지 부재(16)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바디(20)를 거치시킬 경우, 제2바디(20)의 단부를 수용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 안착홈(124)은 지지 부재(16)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바디(20)를 거치시킬 경우, 제2바디(20)의 단부를 수용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슬릿(121)의 적어도 일부에는 자석을 포함함으로써 제2바디(20)를 제1바디(10)와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C 부분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에 지지 부재 및 힌지 샤프트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d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D 부분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8a를 참고하면, 수용 슬릿(121)의 측면에는 힌지 샤프트(18)의 샤프트부(182)가 돌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부(182)는 지지 부재(16)의 힌지암(162)의 측면에 형성된 샤프트 수용홈(도 8d의 163)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지지 부재(16)를 단속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슬릿(121)에는 스토퍼(17)의 돌출부(1731)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7)의 돌출부(1731)는 지지 부재(16)의 힌지암(162)에 형성된 리세스(recess)(도 8d의 1621, 162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b 및 8c를 참고하면, 수용 슬릿(121)과 대응되는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의 일부에는 스토퍼(17)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7)는 개구(172)를 포함하는 바디(171)와, 개구(172)에서 인출되는 텐션 리브 (173) 및 텐션 리브(173)에서 수용 슬릿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7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71)의 양측에는 스크류 도입홀(1741)을 포함하는 플랜지(174)가 형성되어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에 스크류(30)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텐션 리브(173)는 돌출부(1731)의 가압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18)는 제1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헤드(181) 및 헤드(181)에 일체로 형성되어 일부가 제1바디(10)의 수용 슬릿(121)에 돌출되는 샤프트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18)는 합성 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18)의 헤드(181)는 후면 케이스 프레임(11)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19)에 의해 수용 슬릿 방향으로 압력을 받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 슬릿(121)내에 돌출된 샤프트부(182)는 탄성 부재(19)의 압력을 받으면서 제1바디(10)의 내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가압이 제거되면 샤프트부(182)는 탄성 부재(19)에 의해 적어도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지 부재(16)는,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경우, 파손되지 않고 샤프트부(182)에서 이탈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19)로는 헤드(181)를 가압할 수 있는 판형 스프링, 코일형 스프링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d를 참고하면, 지지 부재(16)는 제2바디(20)를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에서 일정 각도로 거치시키고, 거치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플레이트부(161)와, 플레이트부(161)의 일단에서 제1바디(10)의 수용 슬릿(2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힌지암(16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암(162)의 측면에는 힌지 샤프트(18)의 샤프트부(182)를 수용하기 위한 샤프트 수용홈(16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암(16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리세스(recess)(1621, 16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리세스(1621)는 지지 부재(16)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에 대하여 폴딩되어닫히는 경우, 스토퍼(17)의 텐션 리브(173)에 형성된 돌출부(1731)에 안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리세스(1622)는 지지 부재(16)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으로부터 개방되는 경우, 스토퍼(17)의 텐션 리브(173)에 형성된 돌출부(1731)에 안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스토퍼(17)의 돌출부(1731)가 각각의 리세스(1621, 1622)에 안착되는 동작에 의해 폴딩된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 채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18)는 수용 슬릿(1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힌지 샤프트(18)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19)는 한 쌍의 힌지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18)는 수용 슬릿(121)의 한 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 샤프트(18)가 지지 부재(16) 측에 설치되고, 샤프트 수용홈(163)이 안착면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바디에 지지 부재 및 힌지 샤프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지지 부재(16)는 힌지암(162)의 샤프트 수용홈(163)에 힌지 샤프트(18)의 샤프트부(18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힌지 샤프트(18)의 샤프트부(182)는 제1바디(10)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 부재(19)에 의해 수용 슬릿 방향(도 9의 ③방향)으로 가압받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가 무리한 힘을 받아 개방 각도 θ보다 큰 각도로 개방되려 할 때, 샤프트부(182)는 지지 부재(16)의 샤프트 수용홈(163)에서 이탈되어 제1바디(10)의 내측 방향(도 9의 ④방향)으로 인입되면서, 지지 부재(16)를 제1바디(10)에서 탈거시킴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부(182)는, 지지 부재(16)가 정해진 힘을 받으면 샤프트부(182)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거된 지지 부재(16)를 다시 제1바디(10)에 결합시킬 경우, 지지 부재(16)의 힌지암(16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암 수용홈(163)에 수용 슬릿(121)의 일측에 돌출된 샤프트부(182)를 삽입시킨 후, 수용 슬릿(121)의 타측에 돌출된 샤프트부(182)를 내측으로 가압하고 힌지암(162)의 타측에 형성된 힌지암 수용홈(163)에 또 다른 샤프트부를 삽입시키는 것으로 지지 부재(16)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작동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방향으로 접힘으로써 장착면(101)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경우, 제1리세스(1621)는 스토퍼(17)의 텐션 리브(173)에 형성된 돌출부(1731)에 안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가 제1바디(10)의 장착면(101)에서 거치 각도 θ로 개방되는 경우, 제2리세스(1622)는 스토퍼(17)의 텐션 리브(173)에 형성된 돌출부(1731)에 안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스토퍼(17)의 돌출부(1731)가 각각의 리세스(1621, 1622)에 안착되는 동작에 의해 폴딩된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의 힌지암(162)에 두 개의 리세스(1621, 1622)가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두 개 이상의 리세스를 형성시켜 다양한 각도로 개방시킬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는 탄성 부재(예: 판형 스프링, 코일형 스프링 등)를 이용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부재(16)가 탄성 부재를 이용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는, 체결홈 등을 포함하는 기구적인 구조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다양한 개방 각도로 회동하는 지지 부재에 의해 제1바디에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적어도 하나의 제2바디를 거치시킬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일정 거치 각도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의 장착면에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겹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바디에서 분리된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바디에서 거치시키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케이스 프레임에서 적어도 상기 제2바디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로 신장되어, 장착되는 제2바디를 단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바디는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수직으로 신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리브; 및
    상기 지지 리브에서 제1바디의 장착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편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2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의 장착면에 형성되는 수용 슬릿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힌지암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샤프트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수용 슬릿의 양측면으로 샤프트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힌지 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샤프트 수용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부재가 제1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힌지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recess)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수용 슬릿의 상기 리세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의 돌출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 부재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일정 간격으로 한 쌍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부재가 제1바디에서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및 완전히 폴딩되었을 때, 각 리세스에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형 바디;
    상기 바디에서 개구로 연장되는 텐션 리브;
    상기 텐션 리브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 슬릿내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기 바디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제1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되, 탄성 수단에 의해 수용 슬릿 방향으로 가압받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서 연장되며, 상기 수용 슬릿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장착면상에 상기 지지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부재 안착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안착홈은 상기 지지 부재가 제1바디에서 폴딩되었을 때, 상기 장착면보다 적어도 높지 않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안착홈은 상기 지지 부재가 폴딩되었을 때, 개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부재 인출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는 개별적으로 동작하거나,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자 장치.
  15. 커버 장치에 있어서,
    겹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들이 장착되는 장착면;
    상기 장착면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 및
    상기 장착면에서 일정 거치 각도로 개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장치에서 분리된 상기 전자 장치를 상기 지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면에서 거치시키는 커버 장치.
PCT/KR2015/000099 2014-01-06 2015-01-0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WO20151024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80011904.7A CN106068485B (zh) 2014-01-06 2015-01-06 可分离电子装置
EP15733161.2A EP3093730B1 (en) 2014-01-06 2015-01-06 Separable electronic device
US15/110,031 US10001814B2 (en) 2014-01-06 2015-01-06 Electronic device with first body and separable second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39 2014-01-06
KR1020140001539A KR102196475B1 (ko) 2014-01-06 2014-01-0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2465A1 true WO2015102465A1 (ko) 2015-07-09

Family

ID=5349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0099 WO2015102465A1 (ko) 2014-01-06 2015-01-06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01814B2 (ko)
EP (1) EP3093730B1 (ko)
KR (1) KR102196475B1 (ko)
CN (1) CN106068485B (ko)
WO (1) WO2015102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018A (ko) *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M578813U (zh) * 2017-12-26 2019-06-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TWM562419U (zh) * 2018-03-07 2018-06-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EP3849161A4 (en) * 2018-09-06 2021-10-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AND ITS HOST END
TWI681427B (zh) * 2019-04-10 2020-01-01 群光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裝置
TWI712355B (zh) * 2019-12-03 2020-12-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多機體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7516A1 (en) * 2003-09-15 2005-03-17 Prosenjit Ghosh Computer system with detachable display
KR20120002190U (ko) * 2010-09-16 2012-03-26 김태항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KR20120008365U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US20130170125A1 (en) * 2011-12-31 2013-07-04 Beijing Lenovo Software Ltd. Terminal device
KR20140000043A (ko) * 2012-06-22 2014-01-02 오준수 멀티미디어 단말기 휴대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25425D0 (en) * 1989-11-10 1989-12-28 Active Book Co Ltd Improvements in computer cases
US7042713B2 (en) * 2004-05-26 2006-05-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lide case with pivotable stand member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US7239505B2 (en) * 2004-10-08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Direct hinge for optimizing conversion
CN101904661A (zh) * 2009-06-08 2010-12-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支架的设备
US20120008269A1 (en) * 2010-07-08 2012-01-12 David Gengler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systems including protective cover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20327580A1 (en) 2011-06-23 2012-12-27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Protective devices and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TWI433634B (zh) 2011-11-25 2014-04-01 Primax Electronics Ltd 電子裝置之收納裝置
KR200465713Y1 (ko) * 2012-03-20 2013-03-12 (주) 에이치케이씨앤씨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고정구
TWI498708B (zh) * 2012-06-06 2015-09-01 Wistron Corp 可攜式電子裝置及滑軌裝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7516A1 (en) * 2003-09-15 2005-03-17 Prosenjit Ghosh Computer system with detachable display
KR20120002190U (ko) * 2010-09-16 2012-03-26 김태항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KR20120008365U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US20130170125A1 (en) * 2011-12-31 2013-07-04 Beijing Lenovo Software Ltd. Terminal device
KR20140000043A (ko) * 2012-06-22 2014-01-02 오준수 멀티미디어 단말기 휴대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52A (ko) 2015-07-15
EP3093730A1 (en) 2016-11-16
US20160327994A1 (en) 2016-11-10
EP3093730B1 (en) 2020-12-30
KR102196475B1 (ko) 2020-12-29
EP3093730A4 (en) 2017-10-11
CN106068485B (zh) 2019-12-10
US10001814B2 (en) 2018-06-19
CN106068485A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02465A1 (ko)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WO2019139371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KR102131392B1 (ko) 보호 커버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21075726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WO2016190574A1 (en) Wearable smart device
WO2018080114A1 (en) Remote control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infrared windows, and display system
WO2015034270A1 (ko) 키 버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22417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39117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KR100723903B1 (ko) 전자기기
WO2015147519A1 (ko) 휴대 장치
WO2013048041A2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EP3382498A1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WO2021085914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ot antenna module
WO2012060585A2 (ko) 단말기 장치
WO2014035047A1 (en) Docking station
US9552083B2 (en) Multi-function touch pen an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function touch pen
WO2016200117A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EP3175315B1 (en) Protective jacket for a device
WO2016143926A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WO2017126750A1 (en) Circuit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331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10031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7331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733161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