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190U -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 Google Patents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190U
KR20120002190U KR2020100009746U KR20100009746U KR20120002190U KR 20120002190 U KR20120002190 U KR 20120002190U KR 2020100009746 U KR2020100009746 U KR 2020100009746U KR 20100009746 U KR20100009746 U KR 20100009746U KR 20120002190 U KR20120002190 U KR 201200021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roove
fastening
bottom case
touch tab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항
Original Assignee
김태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항 filed Critical 김태항
Priority to KR2020100009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190U/ko
Publication of KR20120002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타블렛PC 또는 아이패드 등등을 거치하는 거치케이스와 지지하는 서포트패널 및 바닥케이스을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휴대시에는 케이스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경량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기기의 손상이 없이 안전적으로 소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외주테두리에는 격벽이 형성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일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이 절개된 상태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ㄴ'형상으로 끝단부에는 걸림훅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이 절개된 상태에서 양끝단에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의 내측면 중앙에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네모서리에 사선으로 형성된 구획판에 의해 수납홈이 구비되어 있는 바닥케이스와, 상기 바닥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네모서리에는 터치 타블렛의 착탈 가능키 위하여 체결돌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훅에 체결 가능하도록 걸림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중앙면에서 타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한쌍의 체결공이 양측면에 각각 천공되어 있는 거치케이스와, 외측으로 라운딩된 사각형상으로서 가로방향 일측에는 상기 바닥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 고정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개폐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ㄷ'자 형상의 구획판이 외곽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 내측 상단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한쌍의 체결편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서포트패널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바닥케이스의 결합홈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일측에 사각형상의 돌부가 타측에는 원형의 회동홈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회동홈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원형의 회동돌부가 타측에는 피스공이 천공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피스공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패널의 가로방향 일측 양면에 구비된 피스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공과 피스고정홈에 피스로 고정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패널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전면에는 커버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A CASE OF TOUCH TABLET}
본 고안은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타블렛PC 또는 아이패드 등등을 거치하는 거치케이스와 지지하는 서포트패널 및 바닥케이스을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휴대시에는 케이스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경량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기기의 손상이 없이 안전적으로 소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입력장치들은 PC의 용도 확대에 따라 인터페이스로서의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제품 대응이 어렵고 보다 간단하고 오조작은 적으면서 누구라도 입력할 수 있고 또 휴대하면서 손으로 문자입력도 가능한 필요성에 의해 발전했다.
현재는 이러한 입력장치의 일반적 기능과 관련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 신뢰성, 새로운 기능의 제공, 내구성, 재료나 물질을 포함한 설계 및 가공과 관련된 제조 기술 등과 같이 미세한 기술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특히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으며, 휴대하면서 누구라도 입력이 가능하고, 다른 입력기기 없이 문자입력도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전자 기술의 발달은 하나의 장치 내에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촉각 입력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노트북컴퓨터의 개념과 조합하여 타블렛 컴퓨터 (또는 타블렛 PC)로 통칭 되는 제품이 나타나게 되었다. 타블렛 컴퓨터는 첨필 또는 직접 접촉으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타블렛 PC의 일례는 Acer America사로부터 "Travelmate" 상표로 구매할 수 있는 제품과 최근 출시된 아이패드등이 있다.
통상의 노트북 컴퓨터와 비교하여, 타블렛 PC 또는 아이패드는 한 손만으로의 데이터 입력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강화된 휴대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입력 첨필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한 손으로는 타블렛PC 또는 아이패드를 지지하면서 다른 손으로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타블렛 PC들은 너무 무거워서 한 손으로 오랫동안 편안하게 지지하기가 어렵고, 아이패드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더불어 휴대 및 보관등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로 인한 손상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사용 중에는 거치대로서 휴대 및 운반시에는 케이스로서 쉽게 변형 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10년 6월 16일자로 실용신안출원 제2010-6336호 고안의 명칭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를 출원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내용은,
"판형상으로 중앙에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네모서리에 이탈방지돌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 중앙에는 서포트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판 하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의 양측면에는 회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케이스와, 판형상으로 전방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와 체결시 상기 수납케이스의 두께와 일치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의 중앙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회동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파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후방 중앙면에는 상기 서포트판과 일치하는 위치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홈의 네모서리에는 피스나사홈이 구비된 바닥케이스와, 상기 바닥케이스의 절개홈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케이스가 바닥케이스를 축으로 개폐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수납케이스가 상기 바닥케이스를 축으로 360도 회동 가능하도록 한 개폐회동수단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개폐회동수단은,
바닥 중앙에는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체결공 상부에는 바닥패킹이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구로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구비된 바닥판재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부 중앙에는 고정공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수직판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의 외측에는 각각 고정패킹과 중앙에 나사홈이 구비된 고정봉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공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패킹과 고정봉을 고정 결합토록 한 고정구가 고정 결합된 회동브라켓과, 상기 회동브라켓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네모서리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판재와, 상기 결합공과 일체토록 네모서리에 삽입공이 천공되어 결합구에 의해 상기 결합판재 및 상기 피스나사홈이 고정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관통공에 결합 돌출되도록 된 것으로 상부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체결구와 고정 결합된 고정나사홈이 형성된 원기둥돌부가 일체로 구비된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출원 실용신안은 사용자의 사용각도의 자유로움에 대한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그 구조나 중량감에는 약간의 미흡한 문제점이 없지 아니하였으며 특히, 사용각도에 따른 모니터의 각도이동에 대하여는 그 해결점을 발휘하나 사용자가 사용시 즉, 예를들어 눕거나 앉거나 기타 등등의 자세에 모두 적합하게 적용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고 특히, 운반시 케이스의 분리 즉, 착탈이 용이치 아니하여 운반 및 휴대하기 위해서는 전체 케이스를 모두 운반, 휴대하여야 함으로서 그 중량감과 번거로운 문제점에도 미흡한 점이 없지 아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패드 등등을 거치하는 거치케이스와 지지하는 서포트패널 및 바닥케이스을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휴대시에는 케이스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경량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기기의 손상이 없이 안전적으로 소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직사각형상으로 외주테두리에는 격벽이 형성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일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이 절개된 상태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ㄴ'형상으로 끝단부에는 걸림훅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이 절개된 상태에서 양끝단에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의 내측면 중앙에는 결합홈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네모서리에 사선으로 형성된 구획판에 의해 수납홈이 구비되어 있는 바닥케이스와, 상기 바닥케이스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네모서리에는 터치 타블렛의 착탈 가능키 위하여 체결돌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훅에 체결 가능하도록 걸림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중앙면에서 타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한쌍의 체결공이 양측면에 각각 천공되어 있는 거치케이스와, 외측으로 라운딩된 사각형상으로서 가로방향 일측에는 상기 바닥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 고정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개폐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ㄷ'자 형상의 구획판이 외곽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 내측 상단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한쌍의 체결편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서포트패널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바닥케이스의 결합홈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일측에 사각형상의 돌부가 타측에는 원형의 회동홈이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회동홈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원형의 회동돌부가 타측에는 피스공이 천공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피스공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패널의 가로방향 일측 양면에 구비된 피스고정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공과 피스고정홈에 피스로 고정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패널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전면에는 커버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아이패드 등등을 거치하는 거치케이스와 지지하는 서포트패널 및 바닥케이스을 편리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휴대시에는 케이스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경량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기기의 손상이 없이 안전적으로 소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사용상 편리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바닥케이스와 서포트 패널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서포트패널에서 회동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와 터치 타블렛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와 터치 타블렛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터치 타블렛을 거치케이스에 거치한 후 바닥케이스로 부터 서포트패널 및 거치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 및 서포트패널을 절첩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 및 서포트패널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바닥케이스와 서포트 패널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서포트패널에서 회동수단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와 터치 타블렛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와 터치 타블렛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터치 타블렛을 거치케이스에 거치한 후 바닥케이스로 부터 서포트패널 및 거치케이스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 및 서포트패널을 절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인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 구조에 있어서 거치케이스 및 서포트패널을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지시부호 100은 바닥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케이스(100)은 직사각형상으로 외주테두리에는 격벽(110)이 형성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일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110)이 절개된 상태에서 힌지(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ㄴ'형상으로 끝단부에는 걸림훅(131)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3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110)이 절개된 상태에서 양끝단에는 결합돌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140)의 내측면 중앙에는 결합홈(1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 지시부호 200은 거치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거치케이스(200)는 터치 타블렛(P)등을 체결 즉,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하여 거치토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상기 바닥케이스(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네모서리에는 터치 타블렛(P)의 착탈 가능키 위하여 체결돌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훅(131)에 체결 가능하도록 걸림공(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중앙면에서 타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한쌍의 체결공(230)이 양측면에 각각 천공되어 있는 구조이다.
다음,지시부호 300은 서포트패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패널(300)은 상기 바닥케이스(100)로 부터 터치 타블렛(P)이 거치된 상태의 거치케이스(200)를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외측으로 라운딩된 사각형상으로서 가로방향 일측에는 상기 바닥케이스(100)의 결합홈(141)에 결합 고정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40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개폐손잡이(310)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ㄷ'자 형상의 구획판(320)이 외곽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320) 내측 상단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2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한쌍의 체결편(330)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서포트패널(300)은 바닥케이스(100)의 결합돌부(140)의 내측면 중앙에 구비된 결합홈(141)에 결합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수단(400)을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회동수단(4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바닥케이스(100)의 결합홈(141)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일측에 사각형상의 돌부(411)가 타측에는 원형의 회동홈(412)이 구비된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회동홈(412)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원형의 회동돌부(421)가 타측에는 피스공(422)이 천공된 회동부재(420)와,
상기 회동부재(420)의 피스공(422)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패널(300)의 가로방향 일측 양면에 구비된 피스고정홈(4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공(422)과 피스고정홈(430)에 피스로 고정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패널(300)이 상기 회동부재(420)의 회동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전면에는 커버체(4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결합홈(141)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10)는 상기 결합홈(141)과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410)의 회동홈(412)에 결합되는 회동부재(420)의 회동돌부(421)가 상기 회동홈(412) 내에서 회동함으로서 상기 회동돌부(421)의 타측에 구비된 피스공(422)과 피스고정홈(430)이 피스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서포트패널(30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터치 타블렛(P)은 타블렛PC, 아이패드, 네비게이션 등등 다양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케이스(100)에 서포트패널(300)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바닥케이스(100)의 전면 가로방향 중앙에 체결부(130)를 힌지(120)를 이용하여 결합 한 다음, 서포트패널(300)을 결합돌부(140)의 내측 중앙에 구비된 결합홈(141)에 결합함에 있어 상기 서포트패널(300)의 회동수단(400)의 구성요소중 회동부재(420)의 피스공(422)과 서포트패널(300) 하단 본체에 구비된 피스고정홈(430)과 일치시킨 후 피스로 고정 결합한 다음, 상기 회동부재(420)의 회동돌부(421)를 고정부재(410)의 회동홈(412)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고 사각형상의 돌부(411)을 상기 결합돌부(140)의 결합홈(141)내로 체결 고정하면 상기 고정부재(410)가 결합돌부(140)에 고정 결합됨으로서 결국 서포트패널(300)의 회동은 상기 회동홈(412)에 결합되어 있는 호동돌부(421)의 회동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타블렛(P)을 거치케이스(200)에 결합하면 상기 거치케이스(200)의 네모서리에 구비된 체결돌부(210)에 의해 터치 타블렛(P)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거치케이스(200)를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패널(300)에 거치하면 자연스럽게 거치케이스(200)의 하단은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50)에 결합되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아니하도록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책상등에서 터치 타블렛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순히 거치케이스(200)내에 터치 타블렛(P)을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폭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운반이나 보관 등등을 위해서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거나 또는 도 6 자체로 운반도 가능하며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도 8에는 거치케이스(200)내에 터치 타블렛(P)이 도시되지 아니한 상태이나 이는 문제가 되지 아니하고 일단, 바닥케이스(100) 상면에 거치케이스(200)을 안착한 후 결합돌부(140)를 축으로 해서 서포트패널(300)을 회동하여 거치케이스(200)에 구비된 체결공(230)에 서포트패널(300)에 구비된 체결편(330)을 체결하면 거치케이스(200)와 서포트패널(300) 및 이와 결합된 바닥케이스(100)의 일단이 결합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며, 타단은 상기 바닥케이스(100)에 구비된 체결부(130)를 힌지(120)를 이용하여 회동하면 상기 체결부(130)의 끝단부에 구비된 걸림훅(131)이 상기 거치케이스(200)의 걸림공(220)에 체결되어 바닥케이스(100)와 거치케이스(200)의 타단의 결합도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이를 해지코자 할 경우 즉, 서포트패널(300)을 거치케이스(200)로 부터 이탈키 위해서는 개폐손잡이(310)을 상측으로 들면 자연스럽게 체결공(230)으로 부터 체결편(330)이 해지되어 또한 체결부(130)도 마찬가지로 상측으로 들면 걸림공(220)으로 부터 걸림훅(131)이 탈락되면서 바닥케이스(100)로 부터 거치케이스(200)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자유자재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고 휴대시에는 케이스의 착탈이 가능하므로 경량화를 유지한 상태에서 기기의 손상이 없이 안전적으로 소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 사용상 편리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바닥케이스 110 : 격벽
120 : 힌지 130 : 체결부
131 : 걸림훅 140 : 결합돌부
141 : 결합홈 150 : 미끄럼방지용 요철부
200 : 거치케이스 210 : 체결돌부
220 : 걸림공 230 : 체결공
300 : 서포트패널 310 : 개폐손잡이
320 : 구획판 330 : 체결편
400 : 회동수단 410 : 고정부재
411 : 돌부 412 : 회동홈
420 : 회동부재 421 : 회동돌부
422 : 피스공 430 : 피스고정홈
P : 터치 타블렛

Claims (2)

  1. 직사각형상으로 외주테두리에는 격벽(110)이 형성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일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110)이 절개된 상태에서 힌지(12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ㄴ'형상으로 끝단부에는 걸림훅(131)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13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중앙에는 상기 격벽(110)이 절개된 상태에서 양끝단에는 결합돌부(140)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부(140)의 내측면 중앙에는 결합홈(1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50)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케이스(100)와,
    상기 바닥케이스(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네모서리에는 터치 타블렛(P)의 착탈 가능키 위하여 체결돌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면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걸림훅(131)에 체결 가능하도록 걸림공(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중앙면에서 타측으로 치우친 부분에 한쌍의 체결공(230)이 양측면에 각각 천공되어 있는 거치케이스(200)와,
    외측으로 라운딩된 사각형상으로서 가로방향 일측에는 상기 바닥케이스(100)의 결합홈(141)에 결합 고정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400)이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개폐손잡이(310)가 구비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ㄷ'자 형상의 구획판(320)이 외곽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판(320) 내측 상단 양측에는 상기 체결공(230)에 착탈 가능하도록 각각 한쌍의 체결편(330)이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서포트패널(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2. 상기 회동수단(400)은,
    상기 바닥케이스(100)의 결합홈(141)에 고정 결합가능하도록 일측에 사각형상의 돌부(411)가 타측에는 원형의 회동홈(412)이 구비된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의 회동홈(412)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원형의 회동돌부(421)가 타측에는 피스공(422)이 천공된 회동부재(420)와,
    상기 회동부재(420)의 피스공(422)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포트패널(300)의 가로방향 일측 양면에 구비된 피스고정홈(4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공(422)과 피스고정홈(430)에 피스로 고정 결합하여 상기 서포트패널(300)이 상기 회동부재(420)의 회동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전면에는 커버체(4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타블렛용케이스구조.
KR2020100009746U 2010-09-16 2010-09-16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KR201200021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46U KR20120002190U (ko) 2010-09-16 2010-09-16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746U KR20120002190U (ko) 2010-09-16 2010-09-16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90U true KR20120002190U (ko) 2012-03-26

Family

ID=4617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746U KR20120002190U (ko) 2010-09-16 2010-09-16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1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00B1 (ko) * 2014-10-17 2015-02-23 주식회사 티씨엠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5102465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465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KR20150081752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 가능한 전자 장치
US10001814B2 (en) 2014-01-06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irst body and separable second body
KR101494800B1 (ko) * 2014-10-17 2015-02-23 주식회사 티씨엠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6060477A1 (ko) * 2014-10-17 2016-04-21 주식회사 티씨엠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614B2 (en) Expandable shelf
US8132670B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10297564A1 (en)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US9144279B2 (en) Rugged cases for tablets
US8960618B2 (en) Detachable hanger and supporting stand with hanger
US20080253066A1 (en) Power supply support system
TWI496529B (zh) Can stand the electronic device
US20120224323A1 (en) Tablet pc supplementary device
WO2016085439A1 (en) Kickstan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TWI438610B (zh) 可攜式電子裝置及其殼體
KR20120002190U (ko)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TWI459884B (zh) 支撐結構
US20130099638A1 (en) Printer cabinet latch assembly
TW201427561A (zh) 電子裝置
KR20060067159A (ko) 컴퓨터 장치
JP2007183917A (ja) 電子機器載置テーブル機能を有する収納ケース
US9085920B2 (en) Security apparatus with blocking element
US20150098185A1 (en) Foldable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KR20120015749A (ko) 거치각도 조절이 용이한 태블릿pc용 케이스
KR101041225B1 (ko) 휴대형 플레이어 장착을 위한 거치대
TWI578877B (zh) 鎖固結構
TWI409022B (zh) 支撐機構及具有該支撐機構的電子裝置
JP2005293178A (ja) ノート型パソコン支持台及びノート型パソコン支持装置
KR20110011795U (ko)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TWI521329B (zh) 可分離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