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60477A1 -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60477A1
WO2016060477A1 PCT/KR2015/010851 KR2015010851W WO2016060477A1 WO 2016060477 A1 WO2016060477 A1 WO 2016060477A1 KR 2015010851 W KR2015010851 W KR 2015010851W WO 2016060477 A1 WO2016060477 A1 WO 20160604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lder
base
portable terminal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85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의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씨엠
Publication of WO20160604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604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computer can be stored in a folded state when it is not us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inside of a vehicle, a table, or a desk. It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 Such a cradle is, for example, when installed in a vehicl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detachably mount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driver's driver's front dashboard or fixed to the windshield.
  • the conventional cradle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constantly attached to the vehicle.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69907
  • 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12601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convenient to stand by holding the holder only whe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by folding the base and the holde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to provide a support forc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aesthetics and securing the driver's field of view by storing the holder in a folding manner.
  •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computer, on a vehicle or table, and provides a base for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
  • a holder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and folded or stands, and which can be adjusted in orientation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in an upright state;
  • a locker for locking the connector to the base in a folded state is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for mounting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computer, on a vehicle or table, and provides a base for providing a supporting force.
  • a holder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and folded or stands, and which can be adjusted in orientation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 the locker may include: a locking jaw provided at the base to form a locking portion of the connector; A latch that is movably embedded in the connector to lock the connector while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or to unlock the connector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A pressing button,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while the other end thereof rotates, while the other end rotates by pressing; A pressing block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button and the latch and moving the latch to separate from the locking step while descending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button; And a return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and returns the latch, the pressing block, and the pressing butto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 the pressing block is faced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cladding in a state that is vertically movable in the connector, the cladding facing the pressure block and inclined surface in a state that is embedded in the connector to be movable horizontally As the pressure block descends, it is characterized by horizontal movement while being pressed by the inclined surface.
  • the locker the latching projection protruding to the latching to form a locking portion while moving with the latching; And facing the clasp engaging projection in the state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base, and descends while being pressed by the clasp engaging pro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lasp, as the latch is unlock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be caught by the clasp engaging projec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 latching jaw for fixing the latch in the unlocked state.
  • the cladding proj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acing through the cladding jaw and the inclined surface, while moving with the cladding to press down the cladding jaw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 the holder may include a holder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A gripping blad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lder body to grip both side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gripping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gripping wings.
  • the connector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in which a part of the locker is built in a rod shape; A hinge shaf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or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ll join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holder.
  • the base may include: a base body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of the connector while one side of the connector is foldable; A vacuum suction plate provided below the base body to provide a support force; And an adsorption lev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while connecting the vacuum adsorption plate to the base body to control the vacuum adsorption plate.
  • the base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normal computer mouse together with the connector and the holder by folding the connector and the holder.
  •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solution means, when the holder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base with a connector so that it can be folded to the base with the connector
  • the holder can be used only to stand up,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used, the holder can be stored in the base in a folded stat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while securing the driver's view.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ffect of an orna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 use, as the holder, the base and the connector form a folded state of a conventional computer mouse.
  •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low the holder to stand arbitrarily as the connector is locked to the base in a folded state by the locker.
  • the present invention can lock or unlock the connector to the base in a one-touch manner because the pressure block is lowered by the pressing of the pressure button constituting the locker to move the latch to unlock the connector.
  •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pressure block constituting the locker to press the bar while facing through the bar and the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horizontally move the bar while switch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ressing button to the horizontal motion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 the locking bar latch protrusion constituting the locker moves together with the locking bar to lock the locking bar while locking the locking bar while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button, so the unlocking state of the locking bar is maintained.
  • the holder can be stood by rotating easi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nding state of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state of the holder shown in FIG.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of the holder shown in FIG.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lder shown in FIG.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and the locker shown in FIG.
  • Figure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er shown in FIG. 8;
  •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rocker.
  •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nlocking state of a locker.
  •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rticular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adle 10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100, a holder 200, a connector 300, and a locker 400 as shown in FIGS. 1 and 2. Can be.
  • Base 10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support while being attached to the dashboard or glass, table or desk of the vehicle.
  • the bas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body 110, a vacuum suction plate 120 and the suction lever 130 as shown in FIG.
  • the base body 110 is formed in a block shape of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s shown in FIG. 5, and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111 of the connector 30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a depression is formed in the center.
  • the vacuum suction plate 120 is a conventional fixing member that provides a fixing force while being vacuum suction on the flat surface,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body (110).
  • Suction lever 13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base body 110 as shown in Figure 5 connects the vacuum suction plate 120 and the base body 110, and rotated in the form of pulling by the user While adsorbing the vacuum adsorption plate 120.
  • the holder 200 is a component that grips and mounts the mobile terminal.
  • the holder 200 is foldably connected to the base 100 through the connector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 use, the base 100 is illustrated in FIG. 1.
  • the holder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lder body 210, the grip wing 220 and the grip spring 230, as shown in FIG.
  • the holder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change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holder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ll joint 330 of the connector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with a spherical coupling groove 211 is formed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ure 5, the coupling groove 211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adjacent state to the receiving space 212 of the connector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holder body 210 is coupled to each other while forming two bodies as shown in Figure 6 is a part of the gripping wing 220 to be described later is embedded to move.
  • the gripping blade 220 is a component that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older main body 210 as shown in Figure 2 to hold the mobile terminal while fix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holder body 210.
  • the gripping blades 2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forming two bodies as shown in FIG. 6, the rails 221 movably embedded in the holder body 210, and the same body at the ends of the rails 221. It is fixed to the gripping portion 222 is configured to hold the mobile terminal (1).
  • the gripping spring 230 is a member for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gripping blade 220. As shown in FIG. 6, the gripping spring 230 is embedded in the rail 221 constituting the gripping blade 220, and has one end thereof.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ail 221 in a state fixed to (210).
  • the gripping spring 230 is tensioned as the gripping blade 220 is drawn out of the holder body 210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gripping blade 220.
  • the grip wing 220 gripping and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restoring force of the gripping spring 230.
  • the connector 300 is folded together with the holder 200 while connecting the holder 200 and the base 100 to be accommodated in the base 100 or to allow the holder 200 to change direction while standing up the holder 200. Element.
  • the connector 300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310, a hinge shaft 320 and a ball joint 330 as shown in FIGS. 5 and 7.
  • the connector body 310 forms a rod shap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holder body 210 while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body 110, and a part of the locker 400 to be described below is built into the connector body 310. A locking part is formed.
  • Hinge shaft 3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body 310 as shown in Figure 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base body 110.
  • the connector body 310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320 while being folded in a state in which a par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base body 110, and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320 to stand upright. While standing up the holder 200.
  • Ball joint 330 is formed in the ball shape o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body 310 as shown in Figure 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1 of the holder body 210, the holder body 210 It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212 of the).
  • the connector body 310 is folded together with the holder 200 as shown in FIG. 1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 use, and a portion of the connector body 310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base body 110 while the remaining portion is the holder body.
  • the storage space 212 of the 210 is accommodated.
  • the connector body 31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shaft 320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stands together with the holder 200 as shown in FIG. 2, the holder body 210 through the ball joint 330. Rotating) allows the mobile terminal to chang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 the base 100, the holder 200 and the connector 300 is folded as shown in Figure 1 while providing a decorative effect by forming a conventional computer mouse form.
  • the locker 400 is a component that locks the connector 300 to the base 100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8.
  • the locker 400 may include a locking jaw 410, a latch 420, a pressing button 430, a pressing block 440 and a return spring 450 as shown in FIG.
  • the locking jaw 410 is a component forming a locking portion of the connector body 310 and is formed in the stepped shape on the base body 110 as shown in FIGS. 7 and 9.
  • the latch 420 is a member that locks or unlocks the connector 300 while being caught by the catching jaw 410 or separated from the catching jaw 410, and as shown in FIGS. 7 and 9. It is coupled to the movable button 430 and moved by the pressing block 440 to be described later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410 or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410.
  • Press button 430 is a component that is pressed by the user,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body 310 as shown in Figures 7 and 9 as shown in Figure 10 by the user's pressing The other end descends.
  • Pressing block 440 is a component for moving the bar 420 in accordance with the lowering of the pressing button 43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step 410, as shown in Figure 7 and 9 and the pressing button 430 Interposed so as to be movable between the bar 420, as shown in Figure 10 moves the bar 420 while descending by the pressing button 430.
  • the pressing block 440 is built in the connector body 310 to move vertically while facing the latch 42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460 as shown in Figure 9, the latch 420 is inclined surface 460 While facing the pressure block 440 through it is preferably embedded in the connector body 310 to be moved horizontally.
  • the pressing block 440 is lowered by the pressing button 430 as shown in FIG. 10 while horizontally moving the bar 42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460 to separate from the locking step 410 connector 300 ) Can be unlocked with the base 100.
  • the return spring 450 returns the latch 420, the pressing block 440, and the pressing button 430 to the original position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420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locker 400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421 and a latching jaw 470 for fixing the latch 420 in an unlocked state as shown in FIG. 11.
  • the latching protrusion 42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atch 420 as shown in FIG. 9 and moves together with the latch 420, and is caught by the latching jaw 470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A jam is formed.
  • the latching jaw 470 is a component that locks the latch 420 in the unlocked state while being caught by the latching protrusion 421 as the latch 42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410 as shown in FIG. 11. .
  • the latching jaw 470 faces the latching protrusion 421 in a state of being able to lift and lower on the base 100 as shown in FIG. 9, and the latching 420 moves as shown in FIG. 10. After descending while being pressed by the latching protrusion 421, as shown in FIG. 11, the latching 420 is caught by the latching protrusion 421 while being rais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cladding projection 421 pressurizes the cladding jaw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10 while moving with the cladding as it faces each other with the cladding jaw 47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as shown in FIG. 9. 11, the latch 4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caught by the latch claw 470 as it faces each other through the vertical latch 470 after the movement of the latch 420 as shown in FIG. 11. Prevent.
  • the connector 300 is allowed to rotate as the latch 420 is locked in the unlocked state while being caught by the latch catching jaw 470, and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320 together with the holder 200. Stand 200.
  • the latch 420 is separated from the latching jaw 470 while rotating together with the connector 300, and then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450.
  • the locking jaw 410 is preferably a locking guide surface 411 forming an inclined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 the locking guide surface 411 is a component that automatically latches the latch 420 to the latching jaw 410 by guiding the latch 420 in an inclined state and horizontally moving when the connector 300 is folded in the standing state. to be.
  • the latch 420 rotates together with the connector 300 while locking the connector 300 to face the locking guide surface 411 and then the locking guide surface 411 as the connector 300 continues to be rotated by the user. While being horizontally moved along the locking jaw 410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spring 450 is locked.
  • the latch 420 may be caught by the locking step 410 while horizontally moving through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button 430 even when the connector 300 is locked.
  • the holder 200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s connected to the base 100 through the connector 300 and the connector 300. As it is connected to the base 100 so as to be foldable, the holder 200 can be used to stand on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used, the holder 100 is folded to the base 100. Because it can be stored in the driver's eyesight, the appearance can be improved.
  • the holder 200, the base 100, and the connector 300 form a folded state while forming a normal computer mous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an orna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in use. .
  • the holder 200 does not stand up arbitrarily.
  • the pressing block 440 is lowered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button 430 constituting the locker 400 while moving the bar 420 to unlock the connector 300 because the connector 300 It can be locked or unlocked to the base 100 in a one-touch manner.
  • the pressing block 440 constituting the locker 400 presses the bar 420 while facing the bar 420 and the inclined surface 460, the pressing button 43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460
  •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ar 420 can be moved while convert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tion into a horizontal motion.
  • the locking latch 421 constituting the locker 400 moves together with the latch 420 and is locked to the latching jaw 470 while fixing the latch 420 in an unlocked state. Since the unlocking state of the latch 420 is maintained eve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ing button 430, the holder 200 may be raised by easily rotating the connector 300.
  • base body 111 storage space
  • connector 310 connector body
  • Locking guide surface 420 Latche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이나 테이블에 거치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절첩되거나 기립하며, 기립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홀더; 상기 베이스에 일측부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홀더에 타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홀더와 함께 절첩되어 수납되거나 상기 홀더와 함께 기립하면서 상기 홀더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절첩상태로 상기 베이스에 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본 발명은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테플릿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나 테이블 또는 책상에 거치시키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절첩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DMB, 네비게이션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컴퓨터와 같은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에서나 책상이나 테이블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예컨대 차량에 설치될 경우, 차량의 운전석 전방 대시보드에 고정되거나 전면 유리에 흡착고정된 상태로 휴대 단말기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된다.
즉, 통상의 거치대는 차량에 상시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시에만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상의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지 않을 때에도 차량에 부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고,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907호에 제안된 거치대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2601호에 제안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이 거치되지 않을 경우에도 기립되어 거치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저해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90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26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와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는 홀더를 절첩식으로 구성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시에만 홀더를 기립시켜 거치함으로써 편리하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홀더를 절첩식으로 수납시킴으로써 미관의 개선은 물론, 운전자의 시야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홀더를 절첩상태로 베이스에 록킹시킴으로써 홀더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이나 테이블에 거치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절첩되거나 기립하며, 기립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홀더; 상기 베이스에 일측부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홀더에 타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홀더와 함께 절첩되어 수납되거나 상기 홀더와 함께 기립하면서 상기 홀더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절첩상태로 상기 베이스에 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록커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걸림부위를 이루는 걸림턱; 상기 커넥터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서 상기 커넥터를 록킹시키거나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커넥터를 언록킹시키는 빗장; 상기 빗장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커넥터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가압버튼; 상기 가압버튼과 상기 빗장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가압버튼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빗장을 이동시켜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시키는 가압블록; 및 상기 빗장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빗장과 상기 가압블록 및 상기 가압버튼을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블록은 상기 커넥터에 수직이동가능하게 내장된 상태로 상기 빗장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고, 상기 빗장은 상기 커넥터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내장된 상태로 상기 가압블록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여 상기 가압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커는, 상기 빗장에 돌출되어 상기 빗장과 함께 이동하면서 걸림부위를 이루는 빗장걸림돌기; 및 상기 베이스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빗장걸림돌기에 대면하고, 상기 빗장의 이동에 따라 상기 빗장걸림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강하며, 상기 빗장이 언록킹됨에 따라 원위치로 상승하여 상기 빗장걸림돌기에 걸리면서 상기 빗장을 언록킹상태로 고정하는 빗장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빗장걸림돌기는, 상기 빗장걸림턱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고, 상기 빗장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빗장걸림턱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홀더는, 상기 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양측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날개; 및 상기 파지날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넥터는, 봉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록커의 일부분이 내장되는 커넥터본체; 상기 커넥터본체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 상기 커넥터본체의 타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부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커넥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본체;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착판; 및 상기 진공흡착판을 상기 베이스본체에 연결하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흡착판을 제어하는 흡착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의 절첩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와 함께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홀더가 커넥터를 통해 베이스에 연결되면서 커넥터와 함께 베이스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만 홀더를 기립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홀더를 절첩상태로 베이스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함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홀더와 베이스 및 커넥터가 절첩상태를 이루면서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에 장식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가 록커에 의해 절첩상태로 베이스에 록킹됨에 따라 홀더가 임의로 기립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록커를 구성하는 가압버튼의 가압에 의해 가압블록이 하강하면서 빗장을 이동시켜 커넥터를 언록킹시키므로 커넥터를 원터치식으로 베이스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록커를 구성하는 가압블록이 빗장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면서 빗장을 가압하므로 경사면을 통해 가압버튼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빗장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커를 구성하는 빗장걸림돌기가 빗장과 함께 이동하여 빗장걸림턱에 걸림면서 빗장을 언록킹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버튼을 놓은 상태에서도 빗장의 언록킹상태가 유지되므로 커넥터를 용이하게 회전시켜서 홀더를 기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절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홀더의 파지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홀더의 회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 및 록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록커의 록킹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0은 록커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1은 록커의 언록킹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 홀더(200), 커넥터(300) 및 록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유리, 테이블 또는 책상에 부착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베이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 진공흡착판(120) 및 흡착레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반구형의 블록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함몰부가 형성되면서 후술되는 커넥터(300)의 수납공간(111)이 구비된다.
진공흡착판(120)은 편평면에 진공흡착되면서 고정력을 제공하는 통상의 고정부재로, 베이스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흡착레버(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설치되어 진공흡착판(120)과 베이스본체(110)를 연결하며,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는 형태로 회전하면서 진공흡착판(120)을 흡착시킨다.
홀더(200)는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거치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후술되는 커넥터(300)를 통해 베이스(100)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절첩상태로 수납되고,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다.
이러한 홀더(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 파지날개(220) 및 파지스프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본체(210)는 후술되는 커넥터(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거치방향을 전환시킨다.
이러한 홀더본체(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구형을 이루는 결합홈(21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커넥터(300)의 볼조인트(3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홈(211)에 인접상태로 개구부가 형성되면서 후술되는 커넥터(300)의 수납공간(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홀더본체(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몸체를 이루면서 서로 결합되어 후술되는 파지날개(220)의 일부분이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파지날개(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의 양측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휴대 단말기를 홀더본체(210)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파지날개(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몸체를 이루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홀더본체(210)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레일(221)과, 레일(221)의 단부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1)를 파지하는 파지부(222)로 구성된다.
파지스프링(230)은 파지날개(22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파지시키는 부재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220)를 구성하는 레일(221)에 내장되면서 일단부가 홀더본체(210)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부가 레일(221)에 고정된다.
즉, 파지스프링(230)은 파지날개(220)가 홀더본체(210)에서 인출됨에 따라 인장되면서 파지날개(22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파지날개(220)는 파지스프링(230)의 복원력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여 고정한다.
커넥터(300)는 홀더(200)와 베이스(100)를 연결하면서 홀더(200)와 함께 절첩되어 베이스(100)에 수납되거나 홀더(200)를 기립시키면서 홀더(200)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넥터(3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310), 힌지축(320) 및 볼조인트(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본체(310)는 봉형태를 이루면서 일측부가 베이스본체(110)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부가 홀더본체(210)에 결합되며, 후술되는 록커(400)의 일부분이 내장되면서 베이스(100)와의 록킹부위를 이룬다.
힌지축(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310)의 일측단에 구비되어 베이스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커넥터본체(310)는 힌지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일부분이 수용된 상태로 절첩되며, 힌지축(320)을 중심으로 역회전하여 기립하면서 홀더(200)를 기립시킨다.
볼조인트(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310)의 타측단에 볼 형태로 형성되어 홀더본체(210)의 결합홈(2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일부분이 홀더본체(210)의 수납공간(212)에 수용된다.
즉, 커넥터본체(310)는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와 함께 절첩되면서 일부분이 베이스본체(110)의 수납공간(111)에 수용되는 동시에 나머지부분이 홀더본체(210)의 수납공간(212)에 수용된다.
그리고, 커넥터본체(310)는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 힌지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와 함께 기립하며, 볼조인트(330)를 통해 홀더본체(210)를 회전시키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방향전환을 허용한다.
이때, 베이스(100)와, 홀더(200) 및 커넥터(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면서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룸으로써 장식효과를 제공한다.
록커(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00)를 절첩상태로 베이스(100)에 록킹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록커(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410), 빗장(420), 가압버튼(430), 가압블록(440) 및 리턴스프링(4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턱(410)은 커넥터본체(310)의 걸림부위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110)에 단턱형태로 형성된다.
빗장(420)은 걸림턱(410)에 걸리거나 걸림턱(410)과 분리되면서 커넥터(300)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부재로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본체(3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되는 가압버튼(430) 및 가압블록(440)에 의해 이동하면서 걸림턱(410)에 걸리거나 걸림턱(410)과 분리된다.
가압버튼(43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커넥터본체(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하강한다.
가압블록(440)은 가압버튼(430)의 하강에 따라 빗장(420)을 이동시켜 걸림턱(410)에서 분리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430)과 빗장(420)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개재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430)에 의해 하강하면서 빗장(42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가압블록(4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60)을 통해 빗장(420)과 대면하면서 커넥터본체(310)에 수직이동가능하게 내장되고, 빗장(420)은 경사면(460)을 통해 가압블록(440)과 대면하면서 커넥터본체(310)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압블록(4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430)에 의해 하강하면서 경사면(460)을 통해 빗장(420)을 수평이동시켜 걸림턱(410)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커넥터(300)를 베이스(100)와 언록킹시킬 수 있다.
리턴스프링(45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빗장(420), 가압블록(440) 및 가압버튼(430)을 원위치로 리턴시킨다.
또한, 록커(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을 언록킹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빗장걸림돌기(421) 및 빗장걸림턱(4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빗장걸림돌기(4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어 빗장(420)과 함께 이동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빗장걸림턱(470)에 걸리는 걸림부위를 이룬다.
빗장걸림턱(47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이 걸림턱(410)에서 분리됨에 따라 빗장걸림돌기(421)에 걸리면서 빗장(420)을 언록킹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빗장걸림턱(47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빗장걸림돌기(421)와 대면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이 이동함에 따라 빗장걸림돌기(421)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강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이 언록킹됨에 따라 원위치로 상승하면서 빗장걸림돌기(421)에 걸린다.
여기서, 빗장걸림돌기(4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통해 빗장걸림턱(470)과 서로 대면함에 따라 빗장과 함께 이동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을 통해 빗장걸림턱을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420)의 이동 후 빗장걸림턱(470)과 서로 수직면을 통해 대면함에 따라 빗장걸림턱(470)에 걸리면서 빗장(420)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막는다.
이에 따라, 커넥터(300)는 빗장(420)이 빗장걸림턱(470)에 걸리면서 언록킹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회전이 허용되며, 홀더(200)와 함께 힌지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홀더(200)를 기립시킨다.
이때, 빗장(420)은 커넥터(300)와 함께 회전하면서 빗장걸림턱(470)에서 분리된 후, 리턴스프링(45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전술한 걸림턱(4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경사면을 이루는 록킹가이드면(4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가이드면(411)은 커넥터(300)가 기립상태에서 절첩될 경우, 빗장(420)을 경사상태로 가이드하여 수평이동시킴으로써 빗장(420)을 걸림턱(410)에 자동을 걸리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빗장(420)은 커넥터(300)의 록킹시 커넥터(300)와 함께 회전하면서 록킹가이드면(411)에 대면한 후 커넥터(300)가 사용자에 의해 계속 회전함에 따라 록킹가이드면(411)을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리턴스프링(450)의 탄성력을 통해 걸림턱(410)에 걸려서 록킹된다.
물론, 빗장(420)은 커넥터(300)의 록킹시에도 가압버튼(430)의 가압을 통해 수평이동하면서 걸림턱(410)에 걸릴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홀더(200)가 커넥터(300)를 통해 베이스(100)에 연결되면서 커넥터(300)와 함께 베이스(100)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거치시에만 홀더(200)를 기립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홀더(200)를 절첩상태로 베이스(100)에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시야확보와 함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200)와 베이스(100) 및 커넥터(300)가 절첩상태를 이루면서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룸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미사용시에 장식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300)가 록커(400)에 의해 절첩상태로 베이스(100)에 록킹됨에 따라 홀더(200)가 임의로 기립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록커(400)를 구성하는 가압버튼(430)의 가압에 의해 가압블록(440)이 하강하면서 빗장(420)을 이동시켜 커넥터(300)를 언록킹시키므로 커넥터(300)를 원터치식으로 베이스(100)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록커(400)를 구성하는 가압블록(440)이 빗장(420)과 경사면(460)을 통해 대면하면서 빗장(420)을 가압하므로 경사면(460)을 통해 가압버튼(430)의 수직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시키면서 빗장(420)을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록커(400)를 구성하는 빗장걸림돌기(421)가 빗장(420)과 함께 이동하여 빗장걸림턱(470)에 걸림면서 빗장(420)을 언록킹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버튼(430)을 놓은 상태에서도 빗장(420)의 언록킹상태가 유지되므로 커넥터(30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서 홀더(200)를 기립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거치대 100 : 베이스
110 : 베이스본체 111 : 수납공간
120 : 진공흡착판 130 : 흡착레버
200 : 홀더 210 : 홀더본체
211 : 결합홈 212 : 수납공간
220 : 파지날개 221 : 레일
222 : 파지부 230 : 파지스프링
300 : 커넥터 310 : 커넥터본체
320 : 힌지축 330 : 볼조인트
400 : 록커 410 : 걸림턱
411 : 록킹가이드면 420 : 빗장
421 : 빗장걸림돌기 430 : 가압버튼
440 : 가압블록 450 : 리턴스프링
460 : 경사면 470 : 빗장걸림턱

Claims (8)

  1.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차량이나 테이블에 거치시키기 위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로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어 절첩되거나 기립하며, 기립 상태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면서 방향조절이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홀더;
    상기 베이스에 일측부가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홀더에 타측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홀더와 함께 절첩되어 수납되거나 상기 홀더와 함께 기립하면서 상기 홀더의 방향전환을 허용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절첩상태로 상기 베이스에 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봉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록커의 일부분이 내장되는 커넥터본체;
    상기 커넥터본체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커넥터본체의 타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걸림부위를 이루는 걸림턱;
    상기 커넥터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서 상기 커넥터를 록킹시키거나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커넥터를 언록킹시키는 빗장;
    상기 빗장과 인접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커넥터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타단부가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가압버튼;
    상기 가압버튼과 상기 빗장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가압버튼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빗장을 이동시켜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시키는 가압블록; 및
    상기 빗장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빗장과 상기 가압블록 및 상기 가압버튼을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은 상기 커넥터에 수직이동가능하게 내장된 상태로 상기 빗장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고,
    상기 빗장은 상기 커넥터에 수평이동가능하게 내장된 상태로 상기 가압블록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여 상기 가압블록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수평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빗장에 돌출되어 상기 빗장과 함께 이동하면서 걸림부위를 이루는 빗장걸림돌기; 및
    상기 베이스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로 상기 빗장걸림돌기에 대면하고, 상기 빗장의 이동에 따라 상기 빗장걸림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강하며, 상기 빗장이 언록킹됨에 따라 원위치로 상승하여 상기 빗장걸림돌기에 걸리면서 상기 빗장을 언록킹상태로 고정하는 빗장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빗장걸림돌기는,
    상기 빗장걸림턱과 경사면을 통해 대면하고, 상기 빗장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상기 빗장걸림턱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의 양측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하는 파지날개; 및
    상기 파지날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파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부가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커넥터의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베이스본체;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진공흡착판; 및
    상기 진공흡착판을 상기 베이스본체에 연결하면서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흡착판을 제어하는 흡착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의 절첩에 의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홀더와 함께 통상의 컴퓨터용 마우스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PCT/KR2015/010851 2014-10-17 2015-10-14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60604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0620A KR101494800B1 (ko) 2014-10-17 2014-10-17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4-0140620 2014-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0477A1 true WO2016060477A1 (ko) 2016-04-21

Family

ID=5259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851 WO2016060477A1 (ko) 2014-10-17 2015-10-14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4800B1 (ko)
WO (1) WO20160604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4797B2 (en) 2017-06-05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 assembly
CN113100697A (zh) * 2021-04-09 2021-07-13 中国人民解放军南部战区空军医院 一种多功能医学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192B1 (ko) * 2016-06-07 2017-11-29 송순영 원터치형 거치대
CN112416059B (zh) * 2020-11-10 2023-12-12 深茂智联(深圳)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站立式智能家用电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190U (ko) * 2010-09-16 2012-03-26 김태항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KR20130082443A (ko) * 2010-06-07 2013-07-19 타거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부대용품, 관련 시스템 및 방법
WO2013147376A1 (ko) * 2012-03-26 2013-10-03 Shon Tae-Gug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40011842A (ko) * 2012-07-20 2014-01-29 이정욱 가변형 거치대
WO2014163233A1 (ko) * 2013-04-05 2014-10-09 Choi Sanghy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264B1 (ko) 2011-03-25 2011-07-19 최병삼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443A (ko) * 2010-06-07 2013-07-19 타거스 그룹 인터내셔널, 인크. 휴대용 전자 기기 케이스 부대용품, 관련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02190U (ko) * 2010-09-16 2012-03-26 김태항 터치 타블렛용 케이스구조
WO2013147376A1 (ko) * 2012-03-26 2013-10-03 Shon Tae-Gug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20140011842A (ko) * 2012-07-20 2014-01-29 이정욱 가변형 거치대
WO2014163233A1 (ko) * 2013-04-05 2014-10-09 Choi Sanghy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4797B2 (en) 2017-06-05 2020-10-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 assembly
CN113100697A (zh) * 2021-04-09 2021-07-13 中国人民解放军南部战区空军医院 一种多功能医学检测装置
CN113100697B (zh) * 2021-04-09 2024-04-16 合肥市健晖医学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医学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800B1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60477A1 (ko)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5147462A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9177427A2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CN107250652A (zh) 云台、手柄云台、锁定结构及控制方法
WO2013065978A1 (ko) 접철식 퀵보드
WO2014168421A1 (ko) 온열치료기
WO2017007114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09116843A2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WO201413326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7086510A1 (ko) 핸들 어셈블리, 카트리지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면도기
WO2020004791A1 (ko) 플리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 검사방법
WO2017086600A1 (en) Headrest folding device
WO2016153101A1 (ko) 이동 단말기
WO2013025028A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WO2016111517A1 (ko) 마운팅 부재
KR20080035316A (ko) 휴대 단말기의 내장형 배터리팩 커버 락킹 장치
WO2024025214A1 (ko) 악세사리용 잠금장치
WO2020106130A1 (ko) 다기능 거치대
WO2013118924A1 (ko) 폴더용 휴대단말기의 프리스탑 힌지모듈
WO2020145535A1 (ko) 경첩 장치
WO2016021946A2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21221336A1 (ko)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골프백
WO2013172570A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WO2022075537A1 (ko) 개인용 이동수단을 위한 충전장치
WO2023106792A1 (ko) 플로팅 기능이 있는 수술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99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99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