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65978A1 - 접철식 퀵보드 - Google Patents

접철식 퀵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65978A1
WO2013065978A1 PCT/KR2012/008584 KR2012008584W WO2013065978A1 WO 2013065978 A1 WO2013065978 A1 WO 2013065978A1 KR 2012008584 W KR2012008584 W KR 2012008584W WO 2013065978 A1 WO2013065978 A1 WO 20130659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scaffold
ground
stee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858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산
Original Assignee
Kim Youngsa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Youngsan filed Critical Kim Youngsan
Publication of WO20130659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659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quick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quick board that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a folded state.
  • the quick board is a means of moving the user by placing one foot on the footrest on which the wheel is mounted and moving forward with spur propulsion on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It was developed for use.
  • the quick board is not small in volume and has not been developed in a fold like a bicycle, which brings a lot of inconvenience when storing or transporting the quick board.
  • the recently developed foldable quick board simply folds at a 90-degree angle so that the handle is adjacent to the footrest, so that the waist should be bent when folded.
  • the user does not stand in the folded state, the user has to lift it in order to carry the folded quick board.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folding quick board that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a folded state.
  • the handle support frame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installed on the lower end using a steering wheel provided on the upper end; It is provided in the rear of the handle support frame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the front end is formed with a fixed frame extending and the rear end is provided with a scaffold; And a first folding fram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ing frame.
  • the front end of the scaffold is The footrest is positioned above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while the footrest is erected from the ground, and the handle support frame is adjacent to the footrest whi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lding frame rotate together in opposite directions.
  • the steering wheel can be achieved by being folded so that the steering wheel can be positioned above the rolling wheel.
  • the folding quick boar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caffold, the handle support frame generated when the position of the scaffold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of the fixed frame And a second folding frame whose shape is changed to correspond to a change in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footrest and the footrest.
  •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the stand further supports to prevent the footrest from being horizontal to the ground again by the rolling wheel when the footrest is erected from the ground It may also include.
  •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handle support frame adjacent to the footrest to the original position, fixing the first folding frame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lding frame does not rotate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frame for fixing to the frame.
  •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ading frame detachably provid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or tiltable to the handle support frame so as to load a separate article.
  • the handle support frame when the handle support frame is adjacent to the footrest, so as to lower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from the ground,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can be reduced.
  • the steering wheel is protruded to both sides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support frame in a T-shape before lifting the fixed frame from the ground, but when lifting the fixed frame from the ground of the handle support frame
  •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lded.
  • the scaffolding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caffolding frame and the pair of scaffolding frame formed lo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and the rolling wheel before the fixed frame is lifted from the ground
  • the fixed frame is
  • An insertion groove is provided to allow the steering wheel to be inserted or any one of the pair of foot frames so that the steering wheel does not prevent the steering wheel from being adjacent to the footrest when lifted from the grou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caffolding plate provided to rotate about a hinge axis provided in one.
  • the fixed frame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pair of scaffolding frame, bent so that the end portion is rais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ground, the end portion is a handle to lift the fixed frame from the ground It may be provided.
  • the first folding frame is formed in a form bent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is connected to be rotatable 180 degrees at a point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tal end of the fixed frame, Before the fixed frame is lifted from the ground, the upper part of the portion from one end to the bent point is arranged to contact the fixed frame, but the fixed frame is lifted from the ground so that the handle support frame is adjacent to the footrest. Afterwards, the lower part of the portion from one end to the bent point may be arranged to contact the fixing frame.
  • a contact member may be provided.
  • first folding frame may be bent such that a predetermined angle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greater tha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fixed frame and the ground.
  • the second folding frame is formed of a front end member and a rear end member which mutually opposite ends are interconnected by a rotation axis, the end of the front end member opposite to the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member is fix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And an end portion of the rear end member opposite to the end connected with the front end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caffold so that when the fixed frame is lifted from the ground, the front end member rotates toward the rear end member.
  • the rear end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handle support frame and the footrest to be reduced by rotating toward the footrest.
  • the front end member is formed of a single arc-shaped frame in the rear of the steering wheel
  • the rear end member is formed in a parallel double frame so that the front end member can enter between, both of the double frame of the footrest It may be formed so as to enter between a pair of scaffolding frame corresponding to the side.
  • the fixed frame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by lifting or lowering, and when folded, it can be used as a hoop-type play equipment or a car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deployed.
  •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to stand from the ground.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to stand from the ground.
  • FIGS. 4 and 5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ully folded as shown in FIGS. 4 and 5.
  •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loading fram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a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fram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a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ootrest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modified form of the scaffolding and the loading fram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caffold 210 scaffold frame
  • hinge axis 230 fixed frame
  • wheel support bracket 300 the first folding fram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unfolded
  • Figure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and built up from the ground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folded down from the ground
  •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scaffold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comprises a handle supporting frame 100, the footrest 200, the first folding frame 300.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a component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so as to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by using the steering wheel 110 provided at the upper end.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formed in a pipe shape with an upper end open, but the steering wheel support bracket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120 is installed, the lower handle support frame, the lower end of the lower handle It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pen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is composed of a top handle support frame having a steering handle 110 in the upper end.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ootrest 200 through the fixed frame 230 and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handle support frame so that left and right rotation is not disturbed by the first folding frame 300 directly connected to the lower handle support frame described above.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bracket 140 connected to the one folding frame (300).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disposed in a position raised from the ground while being adjacent to the footrest 200 due to the action of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ixed frame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lifted from the ground I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in this way,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the user may bring considerable inconvenience to folding and using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when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adjacent to the footrest 20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lower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110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 position from the ground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can be reduced.
  • the length adjusting part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handle support frame and the lower handle support frame.
  • the length adjusting unit 150 may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for example, may have a structure using a length adjusting unit switch 152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handle supporting frame is inserted into the lower handle supporting frame. have.
  • the structure of the steering wheel 110 is also configured to be changeable Can be.
  • the steering wheel 110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n a T-shape before the fixed frame 230 is lifted from the ground, the fixed frame 230 is ground When lifted from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be folded to the protrud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by the user's selection.
  • the steering wheel 110 is temporarily tensioned by the elastic folding member 114 provided inside the protruding portions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S. 2 to 4. It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s shown.
  • the steering wheel 1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folded through the fixing pin 116.
  • the steering wheel 110 is recirculated by the elastic folding member 114 through the steering wheel fixture 112. It can prevent the return.
  • the steering wheel 110 when the user completely unfolds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ell (not given the number) and speed that can cause people to be alert in front of you.
  • a brake handle (not shown) for operating a brake (not shown) may also be provided.
  • the footrest 200 is a component provided in the rear of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horizontally to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put the foot, the front end is formed with the fixing frame 230 is extended and the rear end The rolling wheel 240 is installed.
  • the scaffold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limited to its shape and structure as long as i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function. However,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otrest 200 shown in the drawings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as follows.
  • the scaffold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caffold frame 210 and a scaffold plate 220, as shown in the figure.
  • the scaffold frame 210 is a pair of frames formed long between the steering wheel 120 and the rolling wheel 240 before the fixed frame 230 is lifted from the ground.
  • the scaffold frame 210 constitutes an outer shape of the scaffold 200, and the scaffold plate 220 is positioned therebetween, and in some cases, a hinge shaft (one of the pair of frames) as described below. 224 may be provided.
  • the scaffolding plate 220 is a plate located between the scaffolding frame 210 and is a part which actually contacts the foot of the user.
  • the scaffold plate 22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xing frame 230 is lifted from the ground, the steering wheel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djacent to the scaffold 200.
  •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should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ootrest 200 as described below.
  • the steering wheel 12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may be caught on the scaffold plate 220, thereby preventing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from being adjacent to the scaffold 200. Since it is possible to receive, for example, it is advantageous to configure the scaffolding plate 220 as follows.
  • the scaffold plate 220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222 provided to allow the steering wheel 120 to be inserted therein.
  • the steering wheel 1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2 provided in the footrest plate 220 is not caught by the footrest plate 220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not further disturbed in being adjacent to the footrest 200.
  •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when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is further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is also inserted into the groove 222 together with the steering wheel 120. Since the insertion groove 222 should be larger in size, the insertion groove 222 may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scaffold plate 220 is weakened.
  • the scaffold plate 220 may include the hinge shaft 224 provided in any one of the pair of scaffold frames 210 to allow the steering wheel 120 to be inserted therein. It may be provided to rotate about the center.
  • the footplate 2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24 so as not to contact the steering wheel 120, the handle support frame ( 100 is not disturbed in further proximity to the scaffold 200.
  • the scaffold plate 220 when configur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hinge shaft 224,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durability than that of the insertion groove 222.
  • the means for preventing the scaffolding plate 220 from being unexpectedly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24 when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folded state, it is natural that the means for preventing the scaffolding plate 220 from being unexpectedly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24.
  • the fixed frame 230 is formed to extend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200 is a component that adjoins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together with the first folding frame 300 as will be described later .
  • the fixed frame 230 may have any shape and structure as long as i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caffold 200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xed frame 230 may be formed as a pair of frames extending from the pair of scaffolding frames 210, respectively,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pair of frames. In the vicinity,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rotatably connected.
  • the fixed frame 230 formed of a pair of frames is bent so that the end portion is raised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ground, the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handle 232 in the form of crossing the pair of frames.
  • the reason why the handle 232 is bent in this way is that if the user wants to fold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fixed frame 230 can be lifted more comfortably from the ground without bowing the waist deeply. To do this.
  • the fixed frame 230 should serve to connect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together with the first folding frame 300, as described below.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not placed on the horizontal line and the fixed frame 230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200, the first There is a reason that both the folding frame 300 and the fixed frame 230 are advantageously bent.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which has been mentioned above,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with the fixed frame 230, one end is rotated to the fixed frame 230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 first folding frame 300 also has a point wher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here will be no limitations on the shape and structure.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bent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have a predetermined angle ⁇ 2. It may be formed in a V shape.
  • one end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180 degrees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end of the fixing frame 230, and before the fixing frame 230 is lifted from the g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from one end to the bent point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fixed frame 230.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s adjacent to the footrest 200 by lifting the fixed frame 230 from the ground, which is bent at one end.
  • the lower part of the portion up to the point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fixed frame 230.
  • constituting the first folding frame 300 serves to connect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together with the fixing frame 230 by the first folding frame 300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is at least a steering wheel 120. Should not hinder the movement of, in general, the cas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steering wheel 120 will be located in the upper side of the steering wheel 120. However,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not placed on the fixed frame 230 and the horizontal line, and thus,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advantageously bent along with the fixing frame 230.
  •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frame which is adjacent to each other using a fixing frame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210 may be randomly spaced apart again, but if not,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may be bent by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be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230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dvantageous because it is a way to prevent the scaffold frame 210 is randomly spaced again.
  • the contact membe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ion from one end to the bent point,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frame 230)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 the contact member 310 is a member that collectively means a member that can be applied to the buffer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riction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upport force, such a member is a first folding frame ( Not only the portion from one end of the 300 to the bent point, but also may be provided in the fixed frame 230, of course.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advantageous to have a bent shape for the above-described reasons, the following restrictions should be placed on the bent angle, that is, a predetermined angle ( ⁇ 2)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
  • the predetermined angle ⁇ 2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lding frame 300 should be bent to be greater than the angle ⁇ 1 form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fixed frame 230 and the ground.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Only a portion of one end of the 300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frame 230, the portion from one end to the bent poin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xed frame 23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his is because the advantageous effect when configured to the bent form is lost.
  •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the footrest 200, the first folding frame 300 as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the stand 500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is provid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ootrest 200, the handle by the fixing frame 230 and the first folding frame 300
  •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is a component for assisting the connection to each other.
  • the fixed frame 230 and the first folding frame 300 serves to connect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the handle to fold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also act to adjoin each o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may be deteriorated, and to compensate for this,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is provided. to be.
  •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may be located above the fixed frame 230 and the first folding frame 300, but may br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so the fixed frame 230 and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t is advantageous to be located below.
  •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when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is located below the fixed frame 230 and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t occurs when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200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frame 230.
  •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will be configured to be able to flexibly replace the change.
  •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are long connected, but when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folded, the handle supporting frame ( 100) and the scaffold 200 will be configured to be changed in shape so that the short connection.
  •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may be formed of the front end member 420 and the rear end member 430, the ends opposite to each other are interconnected by the rotation axis 410.
  • the end of the front end member 420 opposite to the end connected to the rear end member 430 is fix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the end of the rear end member 430 opposite to the end connected to the front end member 420 The en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caffold 200.
  • the end of the shear member 420 fix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may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120 when directly fixed to the lower handle support frame,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t is advantageous to fix to the connecting bracket 140 provided for rotatably connecting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 the front end member 420 rotates toward the rear end member 430 and the rear end member 430 is the footrest 200. By rotating toward), it may correspond to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to be reduced.
  • the front end member 420 can be conceived from the point that the end is fix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to be formed in a single arc-shaped frame in the rear of the steering wheel 120. That is, the front end member 420 may be conceived to serve as a component of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but may also serve as a cover for protecting the rear of the steering wheel 120.
  • the rear end member 430 may be formed in a parallel double frame so that the front end member 420 may enter.
  • the rear end member 430 formed as a double frame should be formed so as to enter between the pair of scaffold frames 2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caffold 200. This is the same as the purpose of the steering wheel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adjacent.
  • the stand 500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footrest 200, and supports to prevent the footrest 200 from being horizontal to the ground again by the rolling wheel 240 when the footrest 200 is erected from the ground Component.
  • the stand 500 serves to prevent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falling or being unfolded when the user folds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
  • the stand 500 also serves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in any structure. However, it is advantageous to have the form of a triangular structure that can have a stable structure when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 from the ground.
  • the stand 500 is formed of a pair of frames connected to a pair of scaffolding frames 210, and the support wheels 250 of the wheels o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s 240 are mounted. And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of the ground and the triangle.
  • the stand 500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ground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friction member 510 of a large friction material, so that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stably built on the ground.
  • the stand 500 may be tiltably connected to the scaffolding frame 210, which is tilted in parallel to the rolling support bracket 250 when the user rides in an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prevent the stand 500 from interfering with the ground.
  • each step is based on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for example, each step is said to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can change the order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 the first step is to fold the steering wheel 110 and change the length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t may proceed as follows.
  • the elastic folding member 114 is temporarily stretched and the steering wheel 110 is mounted. You can change the direction. Subsequently, when the steering wheel 110 is pulled downward, the elastic folding member 114 may be bent to thereby mount the steering wheel 110 to the steering wheel fixing fixture 112.
  • the length adjusting part switch 152 is released to insert the upper handle support frame into the lower handle support frame to reduce the length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 the second step the step of adjoining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to the footrest 200, it may proceed as follows.
  •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200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30 is located above the rear end while the footrest 200 is to be erected from the ground do.
  • using the stand 500 may prevent the footrest 200 from being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handle supporting frame 100 is adjacent to the footrest 200 whil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lding frame 300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230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 the second folding frame 400 also corresponds to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nd the footrest 200 while the angle between the front end member 420 and the rear end member 430 becomes smaller.
  • the third step is a final step to completely fold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eformed for use in place of the cart (cart) as described below, it can proceed as follows.
  • the steering wheel 120 is located above the rolling wheel 240, at the same time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the fixed frame 230 This comes in contact and is supported.
  • the first folding frame 300 when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supported only on the fixing frame 230, if one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eft still,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not expanded again, but is kept in a more stable form. If you want to mount a fixing frame 6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mounting frame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mounted or tilted so as to place the luggage.
  • the first to third steps as described above describe one exemplary method for fully folding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ully unfolded, and use it as a substitute for a cart.
  • the first steps to the third steps may be reversed,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s 6 to 8 and 10,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use of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n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mpletely folded as shown in FIGS. 4 and 5, and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folding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ading frame included in an example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xing fram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a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a modified form of the scaffolding and the loading frame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will use as a ride.
  • a user who is a right footed user places the left foot in front of the footrest 200 and rolls the right foot to rotate the steering wheel 120 and the rolling wheel 240 with respect to the ground to obtain driving force.
  • the user may be used as a cart as shown in the figure in addition to storing it upright in a narrow space.
  •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s supported only by the fixed frame 230 is handled It will be difficult to prevent the frame 100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caffold 200.
  •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frame 600 to prevent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adjacent to the footrest 200 to the original position.
  • the fixing frame 600 may have any shape or structure if the fixing frame 600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first folding frame 300 to the fixing frame 230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olding frame 300 are not rotated. You may have it.
  • the fixing frame 6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 shaped clasp with elasticity, as shown in Figure 8, although not shown of the fixed frame 230 or the first folding frame 300 It may be in the form of a clasp attached to the side.
  • a loading frame 700 for loading a separate article should be further included.
  • the loading frame 700 may be configured as a basket (basket) of the frame (basket) form detachably provided to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That is, the loading frame 700 may be composed of a hook 720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orage unit 710 and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n the form of a basket.
  • the bar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tilting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It may consist of a frame in the form of a bar.
  • the loading frame 700 may be provided to be tilted upward on the connecting bracket 14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support frame 100 or the steering wheel 120. will be.
  •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used as a kind of rides for children, as a quick board, as well as a cart, it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play that is modified as if playing a hoop in the past. Can be.
  • on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in which the children who are users, while fully folding the embodiment of the foldable quick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teering wheel 110 unfolds in a T-shape to play while holding and pushing it.
  • the steering wheel 110 unfolds in a T-shape to play while holding and pushing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퀵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지지프레임; 지면과 수평이 되게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되되, 전단부에는 고정프레임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는 발판;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접이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철식 퀵보드
본 발명은 접철식 퀵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으며, 접혀진 상태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접철식 퀵보드에 관한 것이다.
퀵보드는 사용자가 바퀴가 장착된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박차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서, 스케이트보드와 달리 발판에 수직되게 올라온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퀵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와 같이 평상시 출·퇴근의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주말에 강변 등에서 레포츠용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등 오늘날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제품이 되었다.
그러나 퀵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와 달리 부피가 작지 않으며 자전거와 같이 접철식으로 개발된 것이 많이 없어서, 퀵보드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가져왔다.
더욱이, 아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79040과 유사하게, 최근 개발된 접철식 퀵보드의 경우 단순히 핸들이 발판에 인접하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접을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지지도 않으며, 접혀져 있는 퀵보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를 들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접혀져 있는 퀵보드는 눕혀서 보관하거나 들어서 운반할 수 있을 뿐 이를 어디에도 활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효용성도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으며, 접혀진 상태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접철식 퀵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지지프레임; 지면과 수평이 되게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되되, 전단부에는 고정프레임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는 발판;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접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 상기 발판의 전단부는 상기 발판의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고,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은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되어, 상기 조향바퀴가 상기 구름바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는, 일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판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발판의 위치가 변화될 때 발생되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 사이의 이격된 거리의 변화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태가 변경되는 제2 접이프레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는,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발판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질 때 상기 구름바퀴에 의해 상기 발판이 다시 상기 지면과 수평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는, 상기 발판에 인접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는, 별도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재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될 때,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아진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조향핸들의 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전에는 T자 형으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 상기 조향바퀴와 상기 구름바퀴 사이에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상기 조향바퀴로 인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조향바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마련된 발판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말단부가 올라온 형태가 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말단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말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18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는,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상측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하도록 배치되나,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져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한 후에는,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하측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은, 상기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상측부 및 하측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 연직방향으로는 완충력이 작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마찰력이 작용될 수 있는 접촉부재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갖는 소정의 각도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말단부와 상기 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도록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접이프레임은, 서로 대향하는 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단부재와 후단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후단부재와 연결되는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전단부재의 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전단부재와 연결되는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후단부재의 단부는 상기 발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상기 전단부재는 상기 후단부재를 향해 회전하고 상기 후단부재는 상기 발판을 향해 회전함으로써, 감소되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단부재는 상기 조향바퀴의 후방에 원호 형태의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재는 상기 전단부재가 사이에 들어올 수 있도록 평행한 이중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중 프레임 모두 상기 발판의 양 측부에 해당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고정프레임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으며, 접혀 있을 때 굴렁쇠 형태의 놀이 기구 또는 카트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적재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판 및 적재프레임이 변형된 형태를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 핸들지지프레임 110 : 조향핸들
112 : 조향핸들고정구 114 : 탄성접힘부재
116 : 고정핀 120 : 조향바퀴
130 : 조향바퀴 지지브래킷 140 : 연결브래킷
150 : 길이조절부 152 : 길이조절부스위치
200 : 발판 210 : 발판프레임
220 : 발판플레이트 222 : 삽입홈
224 : 힌지축 230 : 고정프레임
232 : 손잡이 240 : 구름바퀴
250 : 구름바퀴 지지브래킷 300 : 제1 접이프레임
310 : 접촉부재 400 : 제2 접이프레임
410 : 회전축 420 : 전단부재
430 : 후단부재 500 : 스탠드
510 : 마찰부재 600 : 고정틀
700 : 적재프레임 710 : 보관부
720 : 후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졉혀져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판의 변형례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는, 핸들지지프레임(100), 발판(200), 제1 접이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핸들지지프레임(100)은,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110)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12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상단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조향바퀴 지지브래킷(130)이 마련되어 조향바퀴(120)가 설치된 하단핸들지지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하단핸들지지프레임의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상단부에 조향핸들(110)이 구비되는 상단핸들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후술할 고정프레임(230)과 제1 접이프레임(300)을 통해 발판(2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핸들지지프레임(100)은, 전술한 하단핸들지지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이프레임(300)에 의해 좌·우 회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단핸들지지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제1 접이프레임(300)과 연결되는 연결브래킷(14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후술할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후술할 제1 접이프레임(300)의 작용으로 인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되면서 지면으로부터 높아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면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어서 사용하는 것에 상당한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될 때,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조향핸들(110)의 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핸들지지프레임과 하단핸들지지프레임 사이에 길이조절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부(15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단핸들지지프레임이 하단핸들지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스위치(152)를 이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어서 사용할 때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향핸들(110)의 구조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향핸들(110)은,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는 T자형으로 핸들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향핸들(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측에 마련된 탄성접힘부재(114)가 일시적으로 인장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을 때에는 고정핀(116)을 통해 조향핸들(110)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있을 때에는 조향핸들고정구(112)를 통해 탄성접힘부재(114)에 의해 조향핸들(110)이 원상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조향핸들(110)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펴서 탈 때, 전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으킬 수 있는 벨(도면번호 미부여) 및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브레이크(미도시)를 조작할 수 있는 브레이크핸들(도면번호 미부여)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발판(200)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면에 수평되게 핸들지지프레임(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단부에는 고정프레임(230)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구름바퀴(24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발판(200)은 전술한 작용을 한다면 그 형상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발판(20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발판(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프레임(210)과 발판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프레임(210)은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 조향바퀴(120)와 구름바퀴(240) 사이에 길게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발판프레임(210)은 발판(2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그 사이에 발판플레이트(220)가 위치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힌지축(224)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발판플레이트(220)는 발판프레임(210)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로서, 사용자의 발과 실제 접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발판플레이트(220)는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조향바퀴(120)로 인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되는 방해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접혀지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최대한 인접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핸들지지프레임(100)의 두께보다 큰 지름을 갖는 조향바퀴(120)가 발판플레이트(220)에 걸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되는 것을 방해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발판플레이트(220)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먼저, 발판플레이트(220)는, 도 9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향바퀴(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삽입홈(22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될 때, 조향바퀴(120)는 발판플레이트(220)에 마련된 삽입홈(222)에 삽입되기 때문에 발판플레이트(220)에 걸리지 않게 되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더욱 인접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접이프레임(400)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2 접이프레임(400)도 조향바퀴(120)와 함께 삽입홈(222)에 삽입되어야 하기에 삽입홈(222)의 크기는 더 커져야 하는데, 삽입홈(222)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발판플레이트(220)의 내구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발판플레이트(220)의 재질을 적절한 것으로 선정하여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입홈(222)의 측부로 인해 조향바퀴(120)가 고정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은 큰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이어서, 발판플레이트(220)는, 도 1 내지 도 5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향바퀴(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발판프레임(21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힌지축(22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될 때, 발판플레이트(220)가 힌지축(22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향바퀴(120)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더욱 인접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축(224)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발판플레이트(22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삽입홈(222)을 구비하는 경우보다 내구성 측면에서 좋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철된 상태에서 이용될 때 발판플레이트(220)가 힌지축(224)을 중심으로 예상치 못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발판(200)의 전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프레임(2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과 함께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인접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고정프레임(230)은 발판(20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후술할 제1 접이프레임(30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례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프레임(230)은 한 쌍의 발판프레임(210)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프레임의 중앙부 부근에는 후술할 제1 접이프레임(30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230)은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말단부가 올라온 형태가 되도록 절곡되며, 말단부에는 한 쌍의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손잡이(23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절곡되고 손잡이(232)가 마련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철하고자 하는 경우 허리를 깊게 숙이지 않고 보다 편안하게 고정프레임(23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유 이외에도, 고정프레임(230)은 제1 접이프레임(300)과 함께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이 조향바퀴(1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될 경우 제1 접이프레임(300)이 발판(200)의 전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고정프레임(230)과 수평선 상에 놓여 있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1 접이프레임(300)과 고정프레임(230) 모두 적절히 절곡시켜 두는 것이 유리하다는 이유도 있다.
한편, 앞서 계속하여 언급되었던 제1 접이프레임(300)은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고정프레임(230)과 함께 연결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는 고정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핸들지지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접이프레임(300)도 일단부와 타단부가 연결되는 지점이 분명하면 그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는 제한적인 사항이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고정프레임(230)의 일례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접이프레임(300)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소정의 각도(θ2)를 갖도록 절곡된 형태, 즉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 접이프레임(300)의 경우, 일단부는 고정프레임(230)의 말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18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는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상측부가 고정프레임(23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을 접철하고자 하여, 고정프레임(23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한 후에는,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하측부가 고정프레임(23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을 구성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이 고정프레임(230)과 함께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때에는, 타단부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연결되는 제1 접이프레임(300)은 적어도 조향바퀴(120)의 움직임을 방해해서는 안 되는데, 일반적으로 조향바퀴(12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경우는 조향바퀴(12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일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은 고정프레임(230)과 수평선 상에 놓여 있지 않게 되는바, 고정프레임(230)과 함께 적절히 절곡되는 것이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있을 때에는, 후술할 고정틀(600)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하게 된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프레임(210)이 임의적으로 다시 이격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을 절곡시켜 고정프레임(2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프레임(210)이 임의적으로 다시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되므로 유리하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절곡된 형태를 갖는 제1 접이프레임(300)의 경우에는, 고정프레임(230)과 접하는 부분인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접촉부재(310)를 마련해 두는 것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때, 접촉부재(310)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연직방향으로는 완충력이 작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마찰력이 적용될 수 있는 부재를 총괄적으로 의미하는 부재이며, 이러한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의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뿐만 아니라, 고정프레임(230)에도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 것이 유리한 제1 접이프레임(300)은 절곡된 각도, 즉 일단부와 타단부가 갖는 소정의 각도(θ2)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제한을 두어야 할 것이다.
즉, 제1 접이프레임(30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갖는 소정의 각도(θ2)는 고정프레임(230)의 말단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θ1)보다 크도록 절곡되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제1 접이프레임(30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갖는 소정의 각도(θ2)는 고정프레임(230)의 말단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θ1)보다 작은 경우라면, 제1 접이프레임(300)의 일단부의 일부만이 고정프레임(230)에 접하게 될 뿐,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이 고정프레임(230)에는 접하지 않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을 절곡된 형태로 구성하였을 때의 유리한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핸들지지프레임(100), 발판(200), 제1 접이프레임(300)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제2 접이프레임(400), 스탠드(50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접이프레임(400)은, 일단부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발판(20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고정프레임(230) 및 제1 접이프레임(300)에 의해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고정프레임(230) 및 제1 접이프레임(300)은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철하기 위해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서로 인접시키는 작용도 하기 때문에,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의 연결이 부실해질 수 있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 제2 접이프레임(400)이다.
이러한 제2 접이프레임(400)은 고정프레임(230) 및 제1 접이프레임(300)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고정프레임(230) 및 제1 접이프레임(30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제2 접이프레임(400)이 고정프레임(230) 및 제1 접이프레임(30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프레임(230)의 위치에 따라 발판(200)의 위치가 변화할 때 발생되는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 사이의 이격된 거리가 변화되는 것에 유연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을 때에는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길게 연결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 있을 때에는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을 짧게 연결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변경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이프레임(400)은 서로 대향하는 단부가 회전축(41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단부재(420)와 후단부재(4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단부재(430)와 연결되는 단부에 반대되는 전단부재(420)의 단부는 핸들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고, 전단부재(420)와 연결되는 단부에 반대되는 후단부재(430)의 단부는 발판(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핸들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전단부재(420)의 단부는 하단핸들지지프레임에 바로 고정되는 경우 조향바퀴(120)의 회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제1 접이프레임(300)을 핸들지지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마련해둔 연결브래킷(140)에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제2 접이프레임(400)이 구성되면, 고정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전단부재(420)는 후단부재(430)를 향해 회전하고 후단부재(430)는 발판(200)을 향해 회전함으로써, 감소되는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전단부재(420)는 단부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된다는 점으로 부터 조향바퀴(120)의 후방에 원호 형태의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까지 착안될 수 있다. 즉, 전단부재(420)는 제2 접이프레임(400)의 일 구성요소로서 역할도 하지만 조향바퀴(120)의 후방을 보호하는 커버 역할도 할 수 있도록 착안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단부재(420)가 단일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경우, 후단부재(430)는 전단부재(420)가 사이에 들어올 수 있도록 평행한 이중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이중 프레임으로 형성된 후단부재(430)는 발판(200)의 양 측부에 해당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210)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조향바퀴(120)가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이 인접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동일하다.
한편, 스탠드(500)는 발판(20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발판(200)이 지면으로부터 세워질 때 구름바퀴(240)에 의해 발판(200)이 다시 지면과 수평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탠드(5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철시켜 지면에 세워둘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넘어지거나 다시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탠드(50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지면으로부터 세워졌을 때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삼각 구조의 형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500)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210)에 연결된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구름바퀴(240)의 회전축이 장착되는 구름바퀴 지지브래킷(250) 및 지면과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탠드(500)와 지면이 닿는 부분에는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 재질의 마찰부재(510)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지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500)는 발판프레임(210)에 틸팅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사용자가 타고 주행 중일 때에는 구름바퀴 지지브래킷(250)에 평행하게 틸팅되어 스탠드(500)가 지면에 닿아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어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각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펼쳐지고 접혀지는 구체적인 작용 과정에 대하여, 각 구성요소가 어떻게 복합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중점으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펼쳐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철하는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각 단계는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전제로 한 것으로서, 각 단계는 서로 독립적여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제1 단계는, 조향핸들(110)을 접고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를 변경시키는 단계로,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고정핀(116)을 해제하고 조향핸들(110)을 핸들지지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탄성접힘부재(114)가 일시적으로 늘어나면서 조향핸들(110)이 장착된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어서, 조향핸들(110)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면 탄성접힘부재(114)가 절곡되고 이를 통해 조향핸들(110)을 조향핸들고정구(112)에 장착시킬 수 있다.
그 후, 길이조절부스위치(152)를 해제시켜 상단핸들지지프레임을 하단핸들지지프레임에 삽입시켜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한편, 제2 단계는, 핸들지지프레임(100)을 발판(200)에 인접시키는 단계로,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손잡이(232)를 잡고 고정프레임(23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면, 고정프레임(230)에 연결된 발판(200)의 전단부는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발판(200)은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된다. 이때, 스탠드(500)를 이용하면 다시 발판(200)이 원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고정프레임(230)에 연결된 제1 접이프레임(300)은 일단부 및 타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인접하게 된다. 이때, 제2 접이프레임(400) 역시 전단부재(420)와 후단부재(430)가 이루는 각이 작아지면서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대응하게 된다.
한편, 제3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접기 위해 최종적으로 마무리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트(cart)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변형하는 단계로,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에 최대한 인접하게 하면, 구름바퀴(240) 상측에 조향바퀴(120)가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고정프레임(230)에 제1 접이프레임(300)이 접하게 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이 고정프레임(230)에 지지되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가만히 세워두는 경우라면 다시 펼쳐지지 않으나, 더욱 안정적인 형태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원한다면 후술할 고정틀(600)을 장착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완전히 접철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카트 대용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수화물을 올려둘 수 있도록 후술할 적재프레임(700)을 장착하거나 틸팅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는 완전히 펼쳐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접철하고 카트 대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반대로 완전히 접철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펼쳐 탈 것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반대로 진행하면 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의 사용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혀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적재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고정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발판 및 적재프레임이 변형된 형태를 사용하는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탈 것으로서 이용하게 된다.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른발잡이인 사용자라면 왼발을 발판(200)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오른발을 굴러 조향바퀴(120)와 구름바퀴(240)를 지면에 대하여 회전시켜 구동력을 얻는다.
이와 같이 얻은 구동력으로 주행하는 것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더 이상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당연한 것이라 할 것이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 완전히 접혀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좁은 공간에 세워서 보관하는 것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카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이프레임(300)의 절곡된 부분이 고정프레임(230)에 지지되는 것만으로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20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는 발판(200)에 인접한 핸들지지프레임(100)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틀(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틀(600)은 제1 접이프레임(300)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 접이프레임(300)을 고정프레임(230)에 고정시키기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일례로, 고정틀(6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이 있는 ‘ㄷ’자형의 걸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프레임(230) 또는 제1 접이프레임(300)의 측부에 부착된 걸쇠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카트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프레임(700)도 더 포함되어야 한다.
이때, 적재프레임(7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바스켓(basket)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재프레임(700)은 바구니 형태의 보관부(710)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후크(7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재프레임(700)의 경우에는 전술한 고정틀(600)과 같이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bar)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적재프레임(7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 또는 조향바퀴(12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결브래킷(140)에 상측으로 틸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충분히 예측 가능한 변형례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퀵보드가 어린이들의 놀이 기구의 일종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카트 뿐만 아니라 마치 과거에 굴렁쇠 놀이를 하던 것을 변형시킨 놀이 형태로도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인 어린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퀵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조향핸들(110)만 T자형으로 다시 펼쳐서 이를 잡고 밀면서 노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지지프레임;
    지면과 수평이 되게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후방에 마련되되, 전단부에는 고정프레임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구름바퀴가 설치되는 발판;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접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
    상기 발판의 전단부는 상기 발판의 후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발판은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고,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은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되어,
    상기 조향바퀴가 상기 구름바퀴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발판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발판의 위치가 변화될 때 발생되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 사이의 이격된 거리의 변화에 대응될 수 있도록 형태가 변경되는 제2 접이프레임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퀵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발판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세워질 때 상기 구름바퀴에 의해 상기 발판이 다시 상기 지면과 수평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퀵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 인접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을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는 접철식 퀵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별도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재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접철식 퀵보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될 때,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아진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조향핸들의 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기 전에는 T자 형으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때에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 상기 조향바퀴와 상기 구름바퀴 사이에 길게 형성된 한 쌍의 발판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상기 조향바퀴로 인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조향바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마련된 발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발판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지면의 반대 방향을 향해 말단부가 올라온 형태가 되도록 절곡되며, 상기 말단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말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18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전에는,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상측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하도록 배치되나,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져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한 후에는,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하측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은,
    상기 일단부에서 절곡된 지점까지의 부분의 상측부 및 하측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이 접하는 부분에, 연직방향으로는 완충력이 작용되고 수평방향으로는 마찰력이 작용될 수 있는 접촉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이프레임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갖는 소정의 각도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말단부와 상기 지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도록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이프레임은,
    서로 대향하는 단부가 회전축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단부재와 후단부재로 형성되되, 상기 후단부재와 연결되는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전단부재의 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전단부재와 연결되는 단부에 반대되는 상기 후단부재의 단부는 상기 발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이 상기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상기 전단부재는 상기 후단부재를 향해 회전하고 상기 후단부재는 상기 발판을 향해 회전함으로써, 감소되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재는 상기 조향바퀴의 후방에 원호 형태의 단일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단부재는 상기 전단부재가 사이에 들어올 수 있도록 평행한 이중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중 프레임 모두 상기 발판의 양 측부에 해당되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퀵보드.
PCT/KR2012/008584 2011-11-02 2012-10-19 접철식 퀵보드 WO20130659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432 2011-11-02
KR1020110113432A KR101270756B1 (ko) 2011-11-02 2011-11-02 접철식 퀵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5978A1 true WO2013065978A1 (ko) 2013-05-10

Family

ID=4819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8584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2-10-19 접철식 퀵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0756B1 (ko)
WO (1) WO2013065978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5075A1 (de) * 2013-11-07 2015-05-15 Onoii Kg Fahrzeug
KR20160046425A (ko) 2014-10-20 2016-04-29 김기현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60100899A (ko) 2016-08-17 2016-08-24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60100898A (ko) 2016-08-17 2016-08-24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JP6174833B1 (ja) * 2017-04-26 2017-08-02 昊基 井手 キックスケーター
KR20180129021A (ko) 2017-05-24 201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킥보드
KR20190003880A (ko) 2017-06-30 2019-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KR20200103595A (ko) 2020-08-25 2020-09-02 주식회사 크림슨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210067507A (ko) 2019-11-29 2021-06-08 오승용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CN113247161A (zh) * 2021-05-28 2021-08-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742B1 (ko) * 2016-07-06 2017-12-12 (주)머케인 폴딩형 킥보드
KR102108143B1 (ko) * 2017-12-15 2020-05-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KR102003386B1 (ko) * 2019-02-27 2019-07-24 정갑수 접이식 전동퀵보드
KR102551699B1 (ko) * 2021-06-28 2023-07-06 모델솔루션(주) 스탠드 폴딩 구조를 갖는 전동 킥보드
CN116625846B (zh) * 2023-06-01 2023-11-03 青海青厦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钢筋折弯性能检测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480U (ja) * 1983-03-09 1984-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自転車
WO2001005646A1 (de) * 1999-07-16 2001-01-25 Tribecraft Ag Roller
JP2003165479A (ja) * 2002-12-20 2003-06-10 Sakamoto Seisakusho:Kk 幅狭折畳自転車
WO2003093093A1 (en) * 2002-04-29 2003-11-13 Lars Eric Dahl Shopping trolley and personal transport vehicle in combination
JP2005219633A (ja) * 2004-02-05 2005-08-18 Murakami Seiichi 折り畳み自転車におけるフロントフレームのスライド装置
WO2006031128A1 (en) * 2004-09-15 2006-03-23 Peter Opsvik As Scoo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480U (ja) * 1983-03-09 1984-09-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折り畳み式自転車
WO2001005646A1 (de) * 1999-07-16 2001-01-25 Tribecraft Ag Roller
WO2003093093A1 (en) * 2002-04-29 2003-11-13 Lars Eric Dahl Shopping trolley and personal transport vehicle in combination
JP2003165479A (ja) * 2002-12-20 2003-06-10 Sakamoto Seisakusho:Kk 幅狭折畳自転車
JP2005219633A (ja) * 2004-02-05 2005-08-18 Murakami Seiichi 折り畳み自転車におけるフロントフレームのスライド装置
WO2006031128A1 (en) * 2004-09-15 2006-03-23 Peter Opsvik As Scoot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5075A1 (de) * 2013-11-07 2015-05-15 Onoii Kg Fahrzeug
KR20160046425A (ko) 2014-10-20 2016-04-29 김기현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60100899A (ko) 2016-08-17 2016-08-24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60100898A (ko) 2016-08-17 2016-08-24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JP6174833B1 (ja) * 2017-04-26 2017-08-02 昊基 井手 キックスケーター
KR20180129021A (ko) 2017-05-24 2018-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킥보드
KR20190003880A (ko) 2017-06-30 2019-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KR20210067507A (ko) 2019-11-29 2021-06-08 오승용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KR20200103595A (ko) 2020-08-25 2020-09-02 주식회사 크림슨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210084387A (ko) 2020-08-25 2021-07-07 주식회사 크림슨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CN113247161A (zh) * 2021-05-28 2021-08-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756B1 (ko) 2013-06-03
KR20130048542A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5978A1 (ko) 접철식 퀵보드
WO2020138827A1 (ko) 접이식 핸드카트
WO2011081359A2 (en) Folding type bicycle
WO2020204517A1 (ko) 접이식 사륜 핸드카트
WO2013025028A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WO2019177427A2 (ko) 디스플레이 폴딩형 휴대단말기
WO2014168421A1 (ko) 온열치료기
WO2020197251A1 (ko) 기지국용 안테나 지지장치
WO2020256352A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유닛을 구비한 탑승장치
WO2020166841A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WO2012138025A1 (ko) 펜스에 설치되는 가변형 벤치
WO2016060477A1 (ko) 절첩구조를 갖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WO2018066758A1 (ko) 원활한 균형유지를 위해 다축 연결체를 구비하는 운반기구
WO2021221336A1 (ko) 수납공간 조절이 가능한 골프백
WO2023128023A1 (ko) 틸팅형 셀프로더 갖는 트럭
WO2019027238A1 (ko) 카트
WO2010140764A1 (ko) 모드전환이 가능한 캐스터
WO2023182703A1 (ko) 다목적 전동차
WO2018174519A1 (ko) 여행가방
JPH10304921A (ja) キャリーバッグ
WO2022234912A1 (ko) 이동이 편리한 접이식 전동 카트
KR101234800B1 (ko) 접철식 퀵보드
WO2021162425A1 (ko)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KR100232003B1 (ko) 상용차량의 적재대 접철식 덮개장치
WO2022085842A1 (ko) 폴더블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454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9/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454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