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021A - 접이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접이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021A
KR20180129021A KR1020170064283A KR20170064283A KR20180129021A KR 20180129021 A KR20180129021 A KR 20180129021A KR 1020170064283 A KR1020170064283 A KR 1020170064283A KR 20170064283 A KR20170064283 A KR 20170064283A KR 20180129021 A KR20180129021 A KR 2018012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base
fixing part
adjacent
rotatab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510B1 (ko
Inventor
고훈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51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고, 일단에 보조바퀴가 마련된 베이스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로 구성되고, 일단에 조향바퀴가 마련되며 타단에 조향 핸들이 마련된 컬럼부; 및 일측은 컬럼부를 둘러싸면서 컬럼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베이스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킥보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접이식 킥보드{FOLDABLE KICK BOARD}
본 발명은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부와 컬럼부가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조향 핸들은 회전하여 접을 수 있으며 베이스부와 컬럼부가 서로 접혀질 때 조향 핸들을 회전하여 뒷바퀴의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킥보드는 전방에 외바퀴가 형성되고, 발판 후방에 보조바퀴가 형성된 것으로 탑승자는 조향 핸들을 통해 전방의 외바퀴를 조향하고, 발판에 한쪽 발을 올리면서 다른쪽 발을 통해 지면에 힘을 가하여 구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킥보드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킥보드는 인라인 스케이트, 스케이트 보드 및 자전거 등과 같이 평상시 이동수단으로 이용되거나, 레포츠용으로 속도감을 즐기는데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킥보드는 스케이트 보드와는 달리 핸들부가 마련되어 차지하는 부피가 작지 않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한다. 특히, 보조 이동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지하철 또는 버스 등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킥보드를 운반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접이식 자전거처럼 접이식 킥보드가 발명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WO 2013/065978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베이스부와 컬럼부는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 가능하고, 연결부를 통하여 베이스부와 컬럼부가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조향핸들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와 컬럼부가 접혀지는 경우에 보조바퀴의 회전축과 결합하여 베이스부와 컬럼부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고, 일단에 보조바퀴가 마련된 베이스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로 구성되고, 일단에 조향바퀴가 마련되며 타단에 조향 핸들이 마련된 컬럼부; 및 일측은 컬럼부를 둘러싸면서 컬럼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베이스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패널 중 어느 한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인접한 패널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베이스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고정부가 인접한 패널에 접촉되면 인접한 패널과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고정부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인접한 패널에는 베이스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베이스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한 패널에는 베이스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베이스삽입홈이 복수로 마련되어 베이스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고정부의 타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베이스 고정부가 인접한 패널에 접촉될 수 있다.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인접한 링크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컬럼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컬럼 고정부가 인접한 링크에 접촉되면 인접한 링크와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컬럼 고정부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인접한 링크에는 컬럼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한 링크에는 컬럼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복수로 마련되어 컬럼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컬럼 고정부의 타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컬럼 고정부가 인접한 링크에 접촉될 수 있다.
조향 핸들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손잡이부를 접거나 펼 수 있다.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컬럼부가 접혀지는 경우 복수의 손잡이부는 베이스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각의 단부가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 일단에 마련된 보조바퀴의 회전축은 베이스부 외측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손잡이부 단부는 베이스부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바퀴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킥보드는 매우 간편한 방식으로 접을 수 있고,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또한, 킥보드를 접은 상태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어 하나의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키면서 운반할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베이스 고정부 또는 컬럼 고정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베이스부(100) 및 컬럼부(200)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킥보드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패널(110, 120)로 구성되고, 일단에 보조바퀴(130)가 마련된 베이스부(100);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210, 220)로 구성되고, 일단에 조향바퀴(230)가 마련되며 타단에 조향 핸들(240)이 마련된 컬럼부(200); 및 일측은 컬럼부(200)가 회전 가능하도록 둘러싸고, 타측은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컬럼부(2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패널(110, 120)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로써 베이스부(100)는 전방 패널(110)과 후방 패널(120)로 구성될 수 있고, 베이스부(100)의 일단인 후방 패널(120)의 후단에 보조바퀴(1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후방 패널(120)이 전방 패널(110)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반대의 구조도 가능하다.
복수의 패널 중 어느 한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인접한 패널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베이스 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고정부(400)는 전방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 고정부(400)의 일단이 인접한 후방 패널(12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고정부(400)가 인접한 패널인 후방 패널(120)에 접촉되면 베이스 고정부(400)가 결합된 전방 패널(110)은 인접한 후방 패널(120)과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고정부(400)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인접한 패널에는 베이스 고정부(400)의 일단에 대응되는 베이스삽입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한 패널에는 베이스 고정부(400)의 일단에 대응되는 베이스삽입홈(미도시)이 복수로 마련되어 베이스(100)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고정부(400)의 타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베이스 고정부(400)가 인접한 패널에 접촉될 수 있다.
컬럼부(200)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210, 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컬럼부(200)는 상방 링크(220) 및 하방 링크(210)로 구성될 수 있고, 컬럼부(200)의 일단인 하방 링크(210)의 하단에 조향바퀴(230)가 마련되고, 컬럼부(200)의 타단인 상방 링크(220) 상단에는 조향 핸들(240)이 마련될 수 있다.
조향 핸들(240)의 회전에 따라 상방 링크(220) 및 하방 링크(210)가 함께 회전되고, 조향바퀴(230) 또한 하방 링크(21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동되어 킥보드가 조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방 링크(220)가 하방 링크(210)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반대의 구조도 가능하다.
복수의 링크(210, 220) 중 어느 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인접한 링크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컬럼 고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컬럼 고정부(500)는 하방 링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이 상방 링크(22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컬럼 고정부(500)가 인접한 패널인 상방 링크(220)에 접촉되면 컬럼 고정부(500)가 하방 링크(210)는 인접한 하방 링크(210)와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을 수 있다.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인접한 링크에는 컬럼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인접한 링크에는 컬럼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복수로 마련되어 컬럼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컬럼 고정부의 타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컬럼 고정부가 인접한 링크에 접촉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일측이 컬럼부(200)를 둘러싸면서 컬럼부(2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베이스부(10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컬럼부(200)가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00)의 일측은 하방 링크(2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하방 링크(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하방 링크(210)의 길이 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300)의 타측은 전방 패널(110)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연결부(300)가 전방 패널(110)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컬럼부(200)가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베이스 고정부 또는 컬럼 고정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이하 설명은 접이식 킥보드의 컬럼 고정부(500) 및 이와 관련된 복수의 링크(210, 220)에 관하여 설명하는 것이나 베이스 고정부(400) 및 이와 관련된 복수의 패널(110, 120) 또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컬럼 고정부(500)는 하방 링크(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컬럼 고정부(500)의 회전에 의해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이 인접한 상방 링크(22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하방 링크(210)가 인접한 상방 링크(220)와 고정되거나 슬라이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상방 링크(220)에는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221)이 마련될 수 있다.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상방 링크(220)에 닿는 면적이 작고, 상방 링크(220)에도 이에 대응되게 컬럼삽입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컬럼 고정부(500)가 상방 링크(220) 및 하방 링크(210) 사이의 슬라이딩을 방지하도록 더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컬럼 고정부(500)의 타단에는 탄성체(520)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컬럼 고정부(500)가 상방 링크(220)에 접촉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탄성체(520)에 의하여 컬럼 고정부(500)와 상방 링크(220)는 접촉되어 상방 링크(220)와 하방 링크(210)는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외부에서 컬럼 고정부(500)의 타단에 힘을 가하여 탄성체(520)가 수축되면 컬럼 고정부(500)와 상방 링크(220) 사이의 고정이 해제되어 상방 링크(220)와 하방 링크(210)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방 링크(220)에는 컬럼 고정부(500)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221)이 복수로 마련되어 컬럼(200)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과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조향 핸들(240)의 양단에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손잡이부(24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손잡이부(241)는 조향 핸들(240)의 좌우측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시에는 펼쳐 조향 핸들(240)의 길이를 길게 확보하여 조향을 용이하게 하고, 이동 및 보관시에는 접어 킥보드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연결부(300)가 전방 패널(110)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컬럼부(200)가 접혀지는 경우 복수의 손잡이부(241)는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각의 단부가 베이스부(100)와 결합되어 컬럼부(200)가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00) 일단에 마련된 보조바퀴(130)의 회전축(140)은 베이스부(100) 외측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손잡이부(241) 단부는 베이스부(100)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바퀴(130)의 회전축(14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컬럼부(200)는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접혀진 채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의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되고 베이스부(100) 및 컬럼부(200)가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는 컬럼부(200)가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조향 핸들(240)의 손잡이부(241)가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바퀴(130) 회전축(미도시)에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패널(110, 120) 및 복수의 링크(210, 220)가 서로 슬라이딩되어 베이스부(100) 및 컬럼부(200)는 신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이식 킥보드는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컬럼부(200)가 접혀지는 경우에도 베이스부(100) 및 컬럼부(200)를 신장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채로 고정될 수 있어 조향 바퀴(230)을 지면에 접촉시킨 채로 끌고다니거나 들고다니기 편하게 변형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컬럼부
300 : 연결부 400 : 베이스 고정부
500 : 컬럼 고정부

Claims (12)

  1.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고, 일단에 보조바퀴가 마련된 베이스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로 구성되고, 일단에 조향바퀴가 마련되며 타단에 조향 핸들이 마련된 컬럼부; 및
    일측은 컬럼부를 둘러싸면서 컬럼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측은 베이스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킥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패널 중 어느 한 패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인접한 패널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베이스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 고정부가 인접한 패널에 접촉되면 인접한 패널과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고정부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인접한 패널에는 베이스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베이스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인접한 패널에는 베이스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베이스삽입홈이 복수로 마련되어 베이스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5.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고정부의 타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베이스 고정부가 인접한 패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링크 중 어느 한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단이 인접한 링크에 접촉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컬럼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컬럼 고정부가 인접한 링크에 접촉되면 인접한 링크와 서로 슬라이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컬럼 고정부의 일단은 돌출된 형상이고, 인접한 링크에는 컬럼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인접한 링크에는 컬럼 고정부의 일단에 대응되는 컬럼삽입홈이 복수로 마련되어 컬럼의 길이가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컬럼 고정부의 타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되어 외부힘이 없으면 컬럼 고정부가 인접한 링크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조향 핸들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손잡이부를 접거나 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컬럼부가 접혀지는 경우 복수의 손잡이부는 베이스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각의 단부가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컬럼부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펼쳐지지 않도록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베이스부 일단에 마련된 보조바퀴의 회전축은 베이스부 외측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손잡이부 단부는 베이스부 외측으로 연장된 보조바퀴의 회전축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킥보드.
KR1020170064283A 2017-05-24 2017-05-24 접이식 킥보드 KR10243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83A KR102434510B1 (ko) 2017-05-24 2017-05-24 접이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283A KR102434510B1 (ko) 2017-05-24 2017-05-24 접이식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21A true KR20180129021A (ko) 2018-12-05
KR102434510B1 KR102434510B1 (ko) 2022-08-22

Family

ID=6474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83A KR102434510B1 (ko) 2017-05-24 2017-05-24 접이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741A (ko) 2020-02-05 2021-08-13 김승희 휴대용 개인 이동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17Y1 (ko) * 2000-02-02 2000-07-15 에스앤드이, 인코포레이티드 킥 스쿠터
KR200199363Y1 (ko) * 2000-05-10 2000-10-02 쿠오-룽 리 접철식 킥 스쿠터
KR200239463Y1 (ko) * 2000-09-05 2001-09-13 은성전자 주식회사 킥보드의 핸들 높낮이조절장치
WO2011095931A1 (fr) * 2010-02-02 2011-08-11 Richard Ghisolfi Véhicule à deux roues dépliable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접철식 퀵보드
KR20160046425A (ko) * 2014-10-20 2016-04-29 김기현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17Y1 (ko) * 2000-02-02 2000-07-15 에스앤드이, 인코포레이티드 킥 스쿠터
KR200199363Y1 (ko) * 2000-05-10 2000-10-02 쿠오-룽 리 접철식 킥 스쿠터
KR200239463Y1 (ko) * 2000-09-05 2001-09-13 은성전자 주식회사 킥보드의 핸들 높낮이조절장치
WO2011095931A1 (fr) * 2010-02-02 2011-08-11 Richard Ghisolfi Véhicule à deux roues dépliable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접철식 퀵보드
KR20160046425A (ko) * 2014-10-20 2016-04-29 김기현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741A (ko) 2020-02-05 2021-08-13 김승희 휴대용 개인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510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63379T3 (es) Monopatin/patinete convertible.
US10583887B2 (en) Foldable kick board
US20120080859A1 (en) Foldable scooter
EP1950126B1 (en) Collapsible scooter with tri-footboard
US20160137254A1 (en) Foldable motorized bicycle
KR20180001995A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A2471692A1 (en) Foldable mobility support device
CN109789908B (zh) 可折叠防震滑板车
US10737738B2 (en) Scooter
US20160355231A1 (en) A foldable vehicle
US9643680B2 (en) Folding structure for two-wheeled vehicle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CN106585813B (zh) 一种可展开式平衡车
US20090115160A1 (en) Collapsible scooter with tri-footboard
KR20180129021A (ko) 접이식 킥보드
KR100928688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접이장치
KR100576306B1 (ko) 스케이트 보드
US20170190374A1 (en) Engagement Mechanism Assembly for a Scooter
US6182985B1 (en) Restoring device of a frame for a skateboard
WO2003082652A3 (en) Folding steering assemblies for wheeled devices
KR20140122120A (ko) 전방향 이동형 스케이트보드
KR101234800B1 (ko) 접철식 퀵보드
KR101779662B1 (ko) 이동수단용 폴딩구조
JP3103657U (ja) キックボード
KR200196489Y1 (ko) 미니 스쿠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