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995A -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995A
KR20180001995A KR1020160172246A KR20160172246A KR20180001995A KR 20180001995 A KR20180001995 A KR 20180001995A KR 1020160172246 A KR1020160172246 A KR 1020160172246A KR 20160172246 A KR20160172246 A KR 20160172246A KR 20180001995 A KR20180001995 A KR 2018000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footrest
folded
hand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368B1 (ko
Inventor
구동한
최재영
박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368B1/ko
Priority to US15/643,689 priority patent/US10328986B2/en
Priority to DE102017214951.5A priority patent/DE102017214951A1/de
Priority to EP17205317.5A priority patent/EP3335970B1/en
Priority to ES17205317T priority patent/ES2745898T3/es
Priority to CN201721691910.4U priority patent/CN207644546U/zh
Priority to CN201711286340.5A priority patent/CN108202810B/zh
Publication of KR2018000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10Means for carrying cycles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6Handlebars; Handlebar stems having adjustable parts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andcart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관한 것으로, 바퀴(10)가 구비된 발판부(100) 및 핸들(20)이 구비된 핸들부(200)가 완전히 포개어지도록 접혀졌을 때, 접혀진 부위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않게 됨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FOLDING PERSONAL MOBILITY VEHICLE}
본 발명은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편리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관한 기술이다.
환경에 오염 문제 및 사용상의 재미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최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라는 1인용 차량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의 일예로 킥 보드(kick board)라는 운송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킥 보드의 구성은 크게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부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발판부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킥 보드와 같이 발판부와 핸들부로 구성된 종래 대부분의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접이식 구조가 아니어서 휴대시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슬라이딩 타입과 같이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는 강성확보를 위해 슬라이딩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최소한의 중복구간이 존재하며, 이와 같은 중복구간으로 인해 길이가 최대로 줄어들지 않음에 따라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여전히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반적인 힌지 타입의 접이식 구조는 접혀져서 중첩을 이루는 구성부품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는 구조로, 상기와 같은 빈공간으로 인해 접혀진 상태에서도 부피가 최소한으로 줄어들지 않음에 따라 이 역시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여전히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힌지구조를 이용한 접이식 구조의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중첩을 이루는 부품들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와 핸들부는 각각 힌지구조를 이용해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 및 핸들부의 접혀진 상태가 핸들부사이에 발판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사이에 발판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중첩된 방향을 따라 핸들부와 발판부사이 및 발판부와 발판부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사이에 발판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은 핸들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전방에 바퀴캐리어가 결합되고 바퀴캐리어에 앞바퀴가 결합된 전방발판부, 및 전방발판부와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 뒷바퀴가 결합되며 전방발판부상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후방발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는 바퀴캐리어와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 하단핸들부와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결합된 중간핸들부, 및 중간핸들부와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핸들부에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한 쌍의 핸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에 구비된 것으로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펴짐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록킹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핸들부에 운반용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발판부에는 전방발판부상에 후방발판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졌을 때 뒷바퀴가 삽입되는 바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발판부상에 후방발판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후방발판부상에 하단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의 밑면에 상단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며; 상기 상단핸들부의 양측면에 핸들이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혀진 상태의 하단핸들부와 중간핸들부와 상단핸들부 및 핸들은 힌지록킹기구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캐리어의 상단과 하단핸들부의 하단, 하단핸들부의 상단과 중간핸들부의 하단, 중간핸들부의 상단과 상단핸들부의 하단, 상단핸들부의 상단과 핸들의 일단은 각각 핸들부의 접힘동작이 가능한 힌지부가 되고; 상기 힌지부는 한 개의 내측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는 요크형상과 같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면서 내측플랜지와는 분리된 구성이고; 상기 내측플랜지와 좌측플랜지 및 우측플랜지가 중첩된 부위에 힌지록킹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록킹기구는 일단의 누름부와 타단의 록킹부 및 누름부와 록킹부를 연결하는 로드부를 구비한 록킹핀; 및 상기 록킹핀의 록킹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록킹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우측플랜지에 형성된 조작홈속에 삽입되어서 로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내측플랜지에 형성된 록킹홈 및 좌측플랜지에 형성된 릴리즈홈속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면서 누름부의 가압시 록킹홈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부는 우측플랜지와 내측플랜지를 관통해서 누름부와 록킹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록킹스프링은 록킹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릴리즈홈속에 타단이 지지되어서 축적된 탄성력으로 록킹부를 누름부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를 가압함에 따라 록킹부가 록킹홈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면 내측플랜지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는 로드부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내측플랜지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의 회전에 의해 핸들부의 접힘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와 록킹홈은 외곽 둘레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서 내측플랜지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가 로드부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을 할 때에 90도 회전 후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발판부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와 후방발판부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록킹기구는 전방발판부의 후방 하단 모서리부에 레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레버; 상기 록킹레버의 일단에 형성된 록킹돌기가 삽입되어서 걸려지도록 후방발판부의 전방 하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록킹돌기홈; 및 상기 레버축에 감겨지면서 일단은 전방발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레버축에 고정된 것으로 록킹돌기가 록킹돌기홈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록킹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발판부상에 후방발판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후방발판부상에 하단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상단핸들부가 전방발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앞바퀴를 지면과 접촉시킨 후 끌고 다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와 핸들부가 완전히 접혀져서 포개어지고 나면 중간핸들부에 구비된 운반용 손잡이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는 접혀진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을 운반용 손잡이를 이용해서 들고 다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휴대 또는 보관을 위해 완전히 접었을 때 하단핸들부와 후방발판부사이, 후방발판부와 전방발판부사이, 전방발판부와 상단핸들부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완전히 접혀진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발판부 및 발판록킹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의 접혀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접혀진 상태의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을 끌고 다니는 실시예 및 들고 다니는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0)가 구비된 발판부(100), 및 핸들(20)이 구비된 핸들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발판부(100)와 핸들부(200)는 각각 힌지구조를 이용해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100) 및 핸들부(200)의 접혀진 상태가 핸들부(200)사이에 발판부(100)가 위치하도록 접혀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핸들부(200)사이에 발판부(100)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중첩된 방향을 따라 핸들부(200)와 발판부(100)사이 및 발판부(100)와 발판부(100)사이에는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되고, 또한 상기 핸들부(200)사이에 발판부(100)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20)은 핸들부(20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구조가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판부(100)는 전방에 바퀴캐리어(30)가 결합되고 바퀴캐리어(30)에 앞바퀴(11)가 결합된 전방발판부(110), 및 전방발판부(110)와 힌지축(1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 뒷바퀴(12)가 결합되며 전방발판부(110)상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후방발판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부(200)는 바퀴캐리어(30)와 힌지록킹기구(40)를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210), 하단핸들부(210)와 힌지록킹기구(40)를 매개로 결합된 중간핸들부(220), 및 중간핸들부(220)와 힌지록킹기구(40)를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20)은 상단핸들부(230)의 양측에 힌지록킹기구(40)를 매개로 결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판부(100)에 구비된 것으로 전방발판부(110)와 후방발판부(130)의 펴짐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록킹기구(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핸들부(220)에는 운반용손잡이(300)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방발판부(110)의 전방쪽에는 위쪽으로 개구된 바퀴홈(111)이 형성되는 바, 상기 바퀴홈(111)에는 전방발판부(110)상에 후방발판부(130)가 밀착되도록 접혀졌을 때 뒷바퀴(12)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도 1과 같은 펼쳐진 상태(사용시 상태)와 도 4와 같은 접혀진 상태(휴대 및 보관시 상태)가 가능한 구조로, 도 1과 같은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발판부(110)상에 후방발판부(13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후방발판부(130)상에 하단핸들부(21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110)와 후방발판부(130)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220)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110)의 밑면에 상단핸들부(23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며, 상기 상단핸들부(230)의 양측면에 핸들(20)이 밀착되도록 접혀지면 도 6과 같이 완전히 접혀져서 포개어진 상태가 되며, 도 6과 같이 접혀진 상태일 때 하단핸들부(210)와 후방발판부(130)사이, 후방발판부(130)와 전방발판부(110)사이, 전방발판부(110)와 상단핸들부(230)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완전히 밀착되는 바, 이를 통해 접혀진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하단핸들부(210)와 중간핸들부(220)와 상단핸들부(230) 및 핸들(20)은 각각 힌지록킹기구(40)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즉, 바퀴캐리어(30)의 상단과 하단핸들부(210)의 하단, 하단핸들부(210)의 상단과 중간핸들부(220)의 하단, 중간핸들부(220)의 상단과 상단핸들부(230)의 하단, 상단핸들부(230)의 상단과 핸들(20)의 일단은 각각 핸들부(200)의 접힘동작 및 펼쳐짐동작이 가능한 힌지부(400)가 되며, 상기 힌지부(400)는 한 개의 내측플랜지(410)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좌측플랜지(420)와 우측플랜지(430)가 중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플랜지(420)와 우측플랜지(430)는 요크형상과 같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면서 내측플랜지(410)와는 분리된 구성이고, 상기 내측플랜지(410)와 좌측플랜지(420) 및 우측플랜지(430)가 중첩된 부위에 힌지록킹기구(40)가 설치된다.
상기 힌지록킹기구(40)는 일단의 누름부(41a)와 타단의 록킹부(41b) 및 누름부(41a)와 록킹부(41b)를 연결하는 로드부(41c)를 구비한 록킹핀(41); 및 상기 록킹핀(41)의 록킹부(41b)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록킹스프링(42)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41a)는 우측플랜지(430)에 형성된 조작홈(431)속에 삽입되어서 로드부(41c)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41b)는 내측플랜지(410)에 형성된 록킹홈(411) 및 좌측플랜지(420)에 형성된 릴리즈홈(421)속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면서 누름부(41a)의 가압(누름)시 록킹홈(411)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부(41c)는 우측플랜지(430)와 내측플랜지(410)를 관통해서 누름부(41a)와 록킹부(41b)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록킹스프링(42)은 록킹부(41b)에 일단이 지지되고 릴리즈홈(421)속에 타단이 지지되어서 축적된 탄성력으로 록킹부(41b)를 누름부(41a)쪽으로 가압하는 압축스프링이 된다.
사용자가 누름부(41a)를 가압함에 따라 록킹부(41b)가 록킹홈(411)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면 내측플랜지(410)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420)와 우측플랜지(430)는 로드부(41c)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내측플랜지(410)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420)와 우측플랜지(430)의 상대회전에 의해 핸들부(200)의 접힘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록킹부(41b)와 록킹홈(411)은 외곽 둘레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서 내측플랜지(410)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420)와 우측플랜지(430)는 로드부(41c)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을 할 때에 90도 회전 후 다시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즉 록킹부(41b)가 록킹홈(411)으로부터 빠진 릴리즈 상태에서 90도 회전 후 록킹부(41b)가 다시 록킹홈(411)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재차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상기 전방발판부(110)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와 후방발판부(130)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힌지축(1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120)의 아래쪽에 발판록킹기구(50)가 설치된다.
상기 발판록킹기구(50)는 전방발판부(110)의 후방 하단 모서리부에 레버축(5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레버(52), 상기 록킹레버(52)의 일단에 형성된 록킹돌기(52a)가 삽입되어서 걸려지도록 후방발판부(130)의 전방 하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록킹돌기홈(53), 및 상기 레버축(52)에 감겨지면서 일단은 전방발판부(110)에 고정되고 타단은 레버축(52)에 고정된 것으로 록킹돌기(52a)가 록킹돌기홈(53)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록킹레버(5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54)을 포함하는 바, 상기 레버스프링(54)은 토션스프링이 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전방발판부(110)와 후방발판부(130)가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발판부(110)와 후방발판부(130)가 발판록킹기구(5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발판부(100)상에 탑승하더라도 발판록킹기구(50)의 결합력에 의해 일자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발판록킹기구(50)의 록킹을 해지시킨 후 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후방발판부(13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전방발판부(110)상에 후방발판부(130)가 밀착되도록 하고, 이때 뒷바퀴(12)가 바퀴홈(111)속에 삽입됨에 따라 발판부(100)가 접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도 5와 같이 전방발판부(110)상에 후방발판부(13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후방발판부(130)상에 하단핸들부(21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110)와 후방발판부(130)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220)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상단핸들부(230)가 전방발판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펼쳐진 상태일 때, 사용자는 핸들(20)을 잡고 앞바퀴(11)를 지면과 접촉시킨 후 끌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후방발판부(130)상에 하단핸들부(21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110)와 후방발판부(130)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220)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110)의 밑면에 상단핸들부(230)가 밀착되도록 접혀지며, 상기 상단핸들부(230)의 양측면에 핸들(20)이 밀착되도록 완전히 접혀져서 포개어진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중간핸들부(220)에 구비된 운반용 손잡이(300)를 이용해서 들고 다니거나 또는 차량의 러기지 룸 또는 트렁크 룸으로 수납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은, 킥 보드와 같이 바퀴(10)가 구비된 발판부(100) 및 핸들(20)이 구비된 핸들부(200)를 포함한 구성으로, 휴대 또는 보관을 위해 완전히 접었을 때 하단핸들부(210)와 후방발판부(130)사이, 후방발판부(130)와 전방발판부(110)사이, 전방발판부(110)와 상단핸들부(230)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완전히 접혀진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바퀴 20 - 핸들
30 - 바퀴캐리어 40 - 힌지록킹기구
50 - 발판록킹기구 100 - 발판부
110 - 전방발판부 120 - 힌지축
130 - 후방발판부 200 - 핸들부
210 - 하단핸들부 220 - 중간핸들부
230 - 상단핸들부

Claims (16)

  1.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와 핸들부는 각각 힌지구조를 이용해서 접혀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 및 핸들부의 접혀진 상태가 핸들부사이에 발판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사이에 발판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일 때 중첩된 방향을 따라 핸들부와 발판부사이 및 발판부와 발판부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사이에 발판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은 핸들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4.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전방에 바퀴캐리어가 결합되고 바퀴캐리어에 앞바퀴가 결합된 전방발판부, 및 전방발판부와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에 뒷바퀴가 결합되며 전방발판부상에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후방발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는 바퀴캐리어와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결합된 하단핸들부, 하단핸들부와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결합된 중간핸들부, 및 중간핸들부와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결합된 상단핸들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핸들부에 힌지록킹기구를 매개로 한 쌍의 핸들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에 구비된 것으로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펴짐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록킹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핸들부에 운반용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발판부에는 전방발판부상에 후방발판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졌을 때 뒷바퀴가 삽입되는 바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발판부상에 후방발판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후방발판부상에 하단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의 밑면에 상단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며;
    상기 상단핸들부의 양측면에 핸들이 밀착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접혀진 상태의 하단핸들부와 중간핸들부와 상단핸들부 및 핸들은 힌지록킹기구에 의해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퀴캐리어의 상단과 하단핸들부의 하단, 하단핸들부의 상단과 중간핸들부의 하단, 중간핸들부의 상단과 상단핸들부의 하단, 상단핸들부의 상단과 핸들의 일단은 각각 핸들부의 접힘동작이 가능한 힌지부가 되고;
    상기 힌지부는 한 개의 내측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좌우측에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는 요크형상과 같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이면서 내측플랜지와는 분리된 구성이고;
    상기 내측플랜지와 좌측플랜지 및 우측플랜지가 중첩된 부위에 힌지록킹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힌지록킹기구는 일단의 누름부와 타단의 록킹부 및 누름부와 록킹부를 연결하는 로드부를 구비한 록킹핀; 및
    상기 록킹핀의 록킹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록킹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우측플랜지에 형성된 조작홈속에 삽입되어서 로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내측플랜지에 형성된 록킹홈 및 좌측플랜지에 형성된 릴리즈홈속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면서 누름부의 가압시 록킹홈으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부는 우측플랜지와 내측플랜지를 관통해서 누름부와 록킹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록킹스프링은 록킹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릴리즈홈속에 타단이 지지되어서 축적된 탄성력으로 록킹부를 누름부쪽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를 가압함에 따라 록킹부가 록킹홈으로부터 빠져서 이탈되면 내측플랜지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는 로드부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내측플랜지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의 회전에 의해 핸들부의 접힘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와 록킹홈은 외곽 둘레가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서 내측플랜지 및 일체형의 좌측플랜지와 우측플랜지가 로드부를 중심으로 상대회전을 할 때에 90도 회전 후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방발판부의 후방 상단 모서리부와 후방발판부의 전방 상단 모서리부가 서로 중첩되면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발판록킹기구는 전방발판부의 후방 하단 모서리부에 레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록킹레버;
    상기 록킹레버의 일단에 형성된 록킹돌기가 삽입되어서 걸려지도록 후방발판부의 전방 하단 모서리부에 형성된 록킹돌기홈; 및
    상기 레버축에 감겨지면서 일단은 전방발판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레버축에 고정된 것으로 록킹돌기가 록킹돌기홈속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록킹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방발판부상에 후방발판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후방발판부상에 하단핸들부가 밀착되도록 접혀지고;
    상기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일측으로 중간핸들부가 위치하도록 접혀지고;
    상기 상단핸들부가 전방발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잡고 앞바퀴를 지면과 접촉시킨 후 끌고 다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1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와 핸들부가 완전히 접혀져서 포개어지고 나면 중간핸들부에 구비된 운반용 손잡이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사용자는 접혀진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을 운반용 손잡이를 이용해서 들고 다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KR1020160172246A 2016-12-16 2016-12-16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191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46A KR101918368B1 (ko) 2016-12-16 2016-12-16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US15/643,689 US10328986B2 (en) 2016-12-16 2017-07-07 Folding personal mobility vehicle
DE102017214951.5A DE102017214951A1 (de) 2016-12-16 2017-08-28 Klappbares personenmobilitätsfahrzeug
EP17205317.5A EP3335970B1 (en) 2016-12-16 2017-12-05 Folding personal mobility vehicle
ES17205317T ES2745898T3 (es) 2016-12-16 2017-12-05 Vehículo de movilidad personal plegable
CN201721691910.4U CN207644546U (zh) 2016-12-16 2017-12-07 折叠式个人移动式车辆
CN201711286340.5A CN108202810B (zh) 2016-12-16 2017-12-07 折叠式个人移动式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46A KR101918368B1 (ko) 2016-12-16 2016-12-16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95A true KR20180001995A (ko) 2018-01-05
KR101918368B1 KR101918368B1 (ko) 2018-11-13

Family

ID=6066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46A KR101918368B1 (ko) 2016-12-16 2016-12-16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28986B2 (ko)
EP (1) EP3335970B1 (ko)
KR (1) KR101918368B1 (ko)
CN (2) CN108202810B (ko)
DE (1) DE102017214951A1 (ko)
ES (1) ES2745898T3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02B1 (ko) * 2019-08-30 2020-04-07 (주)크로스오버존 폴더블 전동킥보드
KR20200121990A (ko) * 2019-04-17 2020-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WO2023022498A1 (ko) * 2021-08-20 2023-02-23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휴대가 용이한 전동 킥보드의 접이식 구조
KR102534254B1 (ko) * 2021-12-10 2023-05-26 (주)씨에스이 다단 접이식 킥보드
KR20230127502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라오닉스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KR20240054688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라오닉스 슬라이딩 홈 접이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68B1 (ko) * 2016-12-16 201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N115107922B (zh) * 2018-08-07 2024-03-08 特里奥汽车公司 三模式可折叠滑板车
US11345429B2 (en) 2018-08-07 2022-05-31 Trio Motors, Inc. Articulating, self-centering truck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s
JP6837463B2 (ja) * 2018-11-22 2021-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GB2581787B (en) * 2019-02-22 2021-12-29 Aer Electric Company Ltd A foldable scooter
FR3101604A1 (fr) * 2019-10-07 2021-04-09 Celerifere Sas Trottinette pliable
CN111907633A (zh) * 2020-07-09 2020-11-10 刘思尧 一种折叠电动滑板车
CN114670964A (zh) * 2022-03-29 2022-06-28 杭州久高科技有限公司 一种轻便式折叠随行车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5821A1 (de) 2000-09-15 2002-03-28 Harald Kutzke Faltbarer Tretroller
US8162090B2 (en) 2006-05-08 2012-04-24 Paul Atherton Powered foldable scooter
GB0809278D0 (en) * 2008-05-22 2008-06-25 Re Creation Group Plc Scoo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10140143A1 (en) * 2009-06-02 2010-12-09 Riccardo Nimrod Sapir Folding wheel mechanism for vehicle
KR101152580B1 (ko) * 2010-06-30 2012-06-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487489B2 (en) * 2010-07-30 2013-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cooling an electric machine
FR2968266B1 (fr) 2010-12-02 2012-12-21 Jacques Benarrouch Trottinette triptyque pliante a roues escamotables
NL2008301C2 (en) * 2012-02-16 2013-08-19 Leev Mobility B V Foldable scooter.
CN203032849U (zh) * 2012-10-29 2013-07-03 吴结华 便携式倒三轮快速折叠电动车
US20150008431A1 (en) * 2013-07-04 2015-01-08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layout for detecting die cracks
KR20160033582A (ko) * 2014-09-18 2016-03-28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CN104743033B (zh) 2015-04-17 2018-03-23 胡振宇 一种新型可折叠滑板车及使用方法
US9718512B2 (en) * 2015-09-14 2017-08-01 Chengzhai Mei Foldable scooter and method of folding same
CN106564550B (zh) * 2016-10-27 2020-01-14 芦慧 可折叠个人交通工具
KR101918368B1 (ko) * 2016-12-16 201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990A (ko) * 2019-04-17 2020-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KR102079902B1 (ko) * 2019-08-30 2020-04-07 (주)크로스오버존 폴더블 전동킥보드
WO2023022498A1 (ko) * 2021-08-20 2023-02-23 주식회사 서진오토모티브 휴대가 용이한 전동 킥보드의 접이식 구조
KR102534254B1 (ko) * 2021-12-10 2023-05-26 (주)씨에스이 다단 접이식 킥보드
KR20230127502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라오닉스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KR20240054688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라오닉스 슬라이딩 홈 접이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5970B1 (en) 2019-08-21
EP3335970A1 (en) 2018-06-20
US20180170473A1 (en) 2018-06-21
ES2745898T3 (es) 2020-03-04
CN108202810B (zh) 2021-05-28
US10328986B2 (en) 2019-06-25
CN207644546U (zh) 2018-07-24
KR101918368B1 (ko) 2018-11-13
DE102017214951A1 (de) 2018-06-21
CN108202810A (zh)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995A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US8596669B2 (en) Baby stroller
AU760087B2 (en) Convertible skateboard/scooter
US7229091B2 (en) Automatically unfoldable stroller
US9205890B2 (en) Foldable scooter
KR20170012175A (ko) 접이식 킥보드
US20120018968A1 (en) Scoo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422230B1 (en) Collapsible stand and barbecue grill assembly
US10214262B2 (en) Collapsible kick-scooter vehicle
KR20180001996A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RU2562085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например, типа самоката, с системой складывания
CA2471692A1 (en) Foldable mobility support device
CN112839862A (zh) 具有可折叠车把的折叠式滑板车和这种车把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US20120217727A1 (en) Wheeled Collapsible Stand for a Power Driven Machine
JPH0651471B2 (ja) 折り畳み式台車
JP5325743B2 (ja) 歩行補助車
TW201233582A (en) Foldable scoo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175304U1 (ru) Самокат
GB2467328A (en) Collapsible Trolley
KR20230162940A (ko) 스쿠터
JP2001334011A (ja) スケートボード
JP3072483U (ja) 片足用スクータのハンドル折り畳み装置
TW202406786A (zh) 滑板車
KR20080002225U (ko) 휴대용 절첩식 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