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143B1 -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143B1
KR102108143B1 KR1020170173357A KR20170173357A KR102108143B1 KR 102108143 B1 KR102108143 B1 KR 102108143B1 KR 1020170173357 A KR1020170173357 A KR 1020170173357A KR 20170173357 A KR20170173357 A KR 20170173357A KR 102108143 B1 KR102108143 B1 KR 102108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kickboard
footrest
steering support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708A (ko
Inventor
김사엽
형준호
노종련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1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는 앞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핸들바; 뒷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발판부;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로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가 관통된 조향지지부; 상기 조향지지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타측을 힌지 연결하면서 발판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 연결바의 회전 상태를 통제하여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펼친 상태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속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Vertical foldable type kickboard}
본 발명은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킥보드의 접철시켜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킥보드는 사용자가 바퀴가 장착된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박차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서, 스케이트보드와 달리 발판에 수직되게 올라온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킥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와 같이 평상시 출·퇴근의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주말에 강변 등에서 레포츠용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킥보드는 보관과 휴대의 편의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핸들을 발판과 수평되게 접철시키도록 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단순히 핸들이 발판에 인접하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접을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킥보드가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지지도 않으며, 접혀져 있는 킥보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를 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이와 같이 접혀져 있는 킥보드는 눕혀서 보관하거나 들어서 운반할 수 있을 뿐 이를 어디에도 활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효용성도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종래기술의 킥보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9040호로서 공개된 접철식 자전거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종래의 접철식 킥보드는 단순히 핸들이 발판에 인접하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접을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지지도 않으며, 접혀져 있는 킥보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를 들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킥보드에 따르면, 90도 각도로 접혀지도록 마련된 힌지(hinge) 자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식으로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게 되는데, 힌지 자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만으로는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은 힌지의 구조상 안정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0466호,(2016년09월21일)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3265호,(2001년05월25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는 주행을 위해 조향지지부와 발판부의 펼친 상태에서 휴대를 위한 접철 상태로 전환시키면 조향지지부, 프레임 및 발판부가 상호 수직 상태로 밀착되어 접철되도록 하여 접철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는 앞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핸들바; 뒷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발판부;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로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가 관통된 조향지지부와, 상기 조향지지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타측을 힌지 연결하면서 발판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 연결바의 회전 상태를 통제하여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펼친 상태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속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뒷바퀴는 발판부 하부면 좌우로 한쌍을 이루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접철시키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상호 포개지면서 조향지지부의 일측면과 발판부의 하부면이 상호 수평선상으로 접철되고, 상기 뒷바퀴는 앞바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접철시키면, 상기 앞바퀴는 발판부에 형성시킨 개구공으로 내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판부는 일측단에 홈을 형성시켜 힌지 연결한 연결바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동시에 타측에는 개구공을 형성한 발판과, 상기 개구공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는 한 쌍의 뒷바퀴와, 상기 발판의 하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연결바의 하부 힌지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발판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결합공 및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가이드공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제1프레임에 설치된 걸림바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제1프레임과 연결바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걸림고리와, 상기 제2브라켓의 결합공에 설치되면서 걸림고리와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걸림고리를 가이드공에서 이동시켜 걸림바와 걸림고리의 걸림 상태를 제어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속수단은 클램프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 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에 관통되는 동시에 걸림고리와 연결되는 이동축으로 구성하여 상기 걸림고리를 제1프레임의 걸림바에 걸림시킨 다음 클램프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동축이 가이드공에서 이동하여 걸림고리와 걸림바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판부는 일측단에 홈을 형성시켜 힌지 연결한 연결바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동시에 타측에는 개구공을 형성한 발판과, 상기 개구공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는 한 쌍의 뒷바퀴와, 상기 발판의 하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연결바의 하부 힌지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발판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제1단턱이 형성된 제2브라켓과,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바가 연결된 힌지 중심에 일측에 형성된 회전공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링크의 회전 상태를 제어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제2브라켓의 제1단턱과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한 클램프와, 상기 회전공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와 힌지 연결되는 이동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바는 상기 홈의 단부에 밀착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브라켓에 형성된 제2단턱에 밀착되는 제2걸림부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는 앞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핸들바; 뒷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발판부;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연결하는 프레임로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가 관통된 조향지지부; 상기 조향지지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타측을 힌지 연결하면서 발판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 연결바의 회전 상태를 통제하여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펼친 상태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속수단; 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주행을 위해 조향지지부와 발판부의 펼친 상태에서 휴대를 위한 접철 상태로 전환시키면 주향지지부, 프레임 및 발판부가 상호 수직 상태로 밀착되어 접철되도록 하여 접철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이는, 킥보드의 부피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여 대중교통수단에 반입이 자유로워 개인운송수단으로서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전방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 접철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 접철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 접철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1실시예 접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의 접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킥보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킥보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킥보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킥보드를 나타낸 전방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킥보드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접철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접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킥보드의 제2실시예의 접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는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된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10의 제1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10는 조향지지부 100, 발판부 200, 프레임 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향지지부 10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핸들(미부호)의 중앙에 수직으로 핸들바 110가 고정된다.
여기서, 핸들은 접철 방식으로 설치되어 킥보드 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킥보드 1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접철 방식의 핸들을 회전시켜 일직선상으로 길이를 연장시켜 앞바퀴 120의 조향을 가능하도록 하고, 킥보드 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을 접철시킨다.
그리고, 상기 핸들바 110의 하부에는 앞바퀴 120가 굴림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핸들을 통해 앞바퀴 120를 조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바 110는 조향지지부 1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향지지부 100의 일측면에는 메인브라켓 130을 설치하여 후술 될 프레임 300의 일측을 힌지 연결한다.
상기 발판부 200는 일측에 뒷바퀴 220가 설치되고 타측에 브라켓이 설치된다.
즉, 발판부 200의 일측 하부면에는 2개의 뒷바퀴 220가 굴림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 200의 하부면의 타측 하부면에는 제1브라켓 230이 설치되어 후술 될 프레임 300을 힌지 연결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 300은 상기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에 힌지 연결된다.
상기 프레임 300은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으로 2개가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일측은 메인브라켓 130이 상하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타측에는 연결바 330를 힌지 연결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은 메인브라켓 130과 연결바 330를 통해 상호 수평선상으로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제1프레임 310이 결합된 상기 연결바 330의 하부는 제1브라켓 230에 힌지 연결된다.
다시 말해, 메인브라켓 130과 연결바 330에 결합된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은 상호 수평선상으로 힌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프레임 310이 힌지 연결된 연결바 330의 힌지 포인트가 제1브라켓 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의 펼침 또는 접철 동작을 수행하면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은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상호 밀착 정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발판부 200 상부면에 설치된 단속수단 220이 설치된다.
상기 단속수단 220은 제1프레임 310 및 제2프레임 320의 회전 상태를 통제하여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를 펼친 상태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단속수단 220은 연결바 330의 회전 상태를 단속하여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회전을 통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를 접철시키면 상기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이 상호 포개지면서 조향지지부 100의 일측면과 발판부 200의 하부면이 상호 수평선상으로 접철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상기 발판부 200는 발판 210, 뒷바퀴 220, 제1브라켓 230, 단속수단 220으로 구성한다.
상기 발판 210은 길이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발판 210에는 개구공 211을 형성시켜 조향지지부 100에 발판부 200를 접철시키면 앞바퀴 120가 개구공 211으로 내입되도록 하여 조향지지부 100와, 프레임 300 및 발판부 200의 하부면이 수평상태로 밀착되게 접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 220는 상기 개구공 211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제1브라켓 230은 상기 발판 210의 하부면 타측에 설치되어 연결바 330의 하부와 제1프레임 310의 타측이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제2프레임 320과 연결바 330의 힌지 연결부분과 연결바 330와 제1브라켓 230의 힌지 연결 부분은 일직선 상으로 일치 되지 않고, 각각 분리된 상태로 힌지 결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단속수단 220은 상기 발판 210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되어 제1프레임 310에 형성된 걸림바 311에 접철 상태에 따라 걸림된다.
여기서, 단속수단 220은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회전 동작과 발판부 200의 회전 동작의 두 가지 동작을 하나의 장치로 통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 330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홈 331이 형성되어 발판부 200와 조향지지부 100를 직립되게 펼쳤을 때 제1프레임 310에 형성된 걸림바 311가 걸림홈 331에 내입되어 걸림되면서 제1프레임 310의 회전을 제한시킨다.
또한, 상기 단속수단 220은 상기 발판 210의 상면에 설치되고 결합공 221a 및 가이드공 221b이 형성되는 제2브라켓 221과, 상기 결합공 221a에 힌지 연결되는 중심축 후방에 걸림고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축 222b이 가이드공 221b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 222로 구성하여 상기 걸림고리 222a가 걸림바 311에 걸림시킨 다음 클램프 222를 회전시키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동축 222b이 가이드공 221b에서 이동하여 걸림 구조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단속수단 220의 기능은 킥보드 10의 주행을 위해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를 펼치게 되면,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상태로 유지되면서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 330는 제1브라켓 230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발판 210의 단부에 형성됨 홈에 걸림되어 수직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 310에 설치된 걸림바 311는 연결바 330의 걸림홈 331에 내입되어 걸림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회전을 제한시켜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를 펼친 상태의 각도를 유지시킨다.
이후, 상기 걸림바 311에 상기 걸림고리 222a를 걸림 구조로 결합한 다음 클램프 222를 제2프레임 320측으로 회전시켜 밀착시키면 상기 제2브라켓 221에 힌지 결합된 클램프 222의 결합공 221a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에 편심된 걸림고리 222a의 이동축 222b은 가이드공 221b 상부로 이동하여 걸림바 311에 걸림된 걸림고리 222a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결합공 221a을 기준으로 이동축 222b의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걸림바 311를 걸림고리 222a가 잡아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보다 긴밀한 걸림 구조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킥보드 10의 펼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조향지지부 100와 발판부 200를 접철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클램프 222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걸림고리 222a와 연결된 이동축 222b이 가이드공 221b 하부로 이동하면서 결합공 221a 근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걸림고리 222a가 걸림바 311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시키도록 한 다음 걸림고리 222a를 걸림바 311에서 이탈시킨다.
다음으로 프레임 300과 힌지 연결된 발판부 200의 일측을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동하면서 회전하여 조향지지부 100와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 및 발판부 200의 하부면이 상호 수평선상 상태로 서로 밀착되면서 접철된다.
이때, 발판부 200의 개구공 211으로 앞바퀴 120가 내입되면서 앞바퀴 120를 통해 접철 상태의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10의 제2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상기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조향지지부 100, 프레임 300의 구성이 동일하고, 발판부 200의 구성에서 발판부200, 제1브라켓 230, 제2브라켓 221, 연결바 330, 클램프 222, 링크 222c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상기 발판부 200는 발판 210, 뒷바퀴 220, 제1브라켓 230, 제2브라켓 221, 링크 222c 및 단속수단 220으로 구성한다.
상기 발판 210은 일측단에 홈 212을 형성시켜 힌지 연결한 연결바 330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동시에 타측에는 개구공 211을 형성한다.
상기 뒷바퀴 22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개구공 211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구름 회전한다.
상기 제1브라켓 230은 상기 발판 210의 하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프레임 320과 힌지 연결된 연결바 330의 하부 힌지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브라켓 221은 상기 발판 21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제1단턱 221e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 222c는 상기 제2프레임 320과 연결바 330가 연결된 힌지 중심에 일측에 형성된 회전공 221c이 힌지 결합된다.
상기 단속수단 220은 상기 링크 222c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링크 222c의 회전 상태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단속수단 220은 상기 제2브라켓 221의 제1단턱 221e과 걸림되는 걸림턱 222d을 형성한 클램프 222와, 상기 회전공 221c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222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축 221d과, 상기 회전축 221d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 222c와 힌지 연결되는 이동축 222d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바 330는 상기 홈 212의 단부에 밀착되는 제1걸림부 332와, 상기 제2브라켓 221에 형성된 제2단턱 221f에 밀착되는 제2걸림부 33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실시예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제1실시예는 걸림고리 222a를 통한 걸림 구조로 킥보드 10의 펼침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 및 유지시킬 수 있고, 제2실시예는 링크 222c의 당김 및 클램프 222의 걸림구조로 킥보드 10의 펼침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 및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킥보드 10를 펼쳤을 때, 상기 연결바 330는 발판부 200의 홈 212에서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이고, 이때, 연결바 330의 제1걸림부 332가 홈 212의 단부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2걸림부 333는 제2브라켓 221의 제2단턱 211f에 밀착된다.
이는, 연결바 330가 발판부 200 후방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 되지 않도록 하여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링크 222c를 후방으로 회전시킨 다음 링크 222c에서 상기 클램프 222를 회전시켜 걸림턱 222d이 제2브라켓 221의 제1단턱 221e에 걸림시킨다.
이때, 제1단턱 221e와 걸림턱 222d의 접촉면이 상호 압착되면서 링크 222c를 미세하게 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를 통해, 연결바 330가 제2브라켓 221에 결합된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시켜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서, 킥보드의 펼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킥보드 10를 접철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클램프 222 일단을 상부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클램프 222의 걸림턱 222d이 제2브라켓 221의 제1단턱 221e에서 이탈되면서 링크 222c의 단속력을 해제시킨다.
이는, 제2브라켓 221과 연결바 330의 밀착 상태를 해제시키는 동시에 제1브라켓 230에서 연결바 330의 자유회전을 가능하도록 하여 제1프레임 310과 제2프레임 320의 동시 회전에 의해 발판부 200와 프레임 300이 상호 수직으로 밀착되면서 킥보드 10를 접철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주행을 위해 조향지지부와 발판부의 펼친 상태에서 휴대를 위한 접철 상태로 전환시키면 주향지지부, 프레임 및 발판부가 상호 수직 상태로 밀착되어 접철되도록 하여 접철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이는, 킥보드의 부피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여 대중교통수단에 반입이 자유로워 개인운송수단으로서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킥보드 100 : 조향지지부
110 : 핸들바 120 : 앞바퀴
130 : 메인브라켓 200 : 발판부
210 : 발판 211 : 개구공
212 : 홈 220 : 뒷바퀴
230 : 제1브라켓 220 : 단속수단
221 : 제2브라켓 221a : 결합공
221b : 가이드공 221c : 회전공
221d : 회전축 221e : 제1단턱
221f : 제2단턱 222 : 클램프
222a : 걸림고리 222b : 이동축
222c : 링크 222d : 걸림턱
300 : 프레임 310 : 제1프레임
311 : 걸림바 320 : 제2프레임
330 : 연결바 331 : 걸림홈
332 : 제1걸림부 333 : 제2걸림부

Claims (8)

  1. 앞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핸들바;
    뒷바퀴를 굴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발판부;
    상기 핸들바가 관통된 조향지지부;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조향지지부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호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타측을 힌지 연결하면서 발판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연결바;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 연결바의 회전 상태를 통제하여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펼친 상태 또는 접철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접철시키면,
    상기 앞바퀴는 발판부에 형성시킨 개구공으로 내입되는 하고,
    상기 발판부는,
    일측단에 홈을 형성시켜 힌지 연결한 연결바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동시에 타측에는 개구공을 형성한 발판과,
    상기 개구공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는 한 쌍의 뒷바퀴와,
    상기 발판의 하부면 일측에 설치되어 제2프레임과 힌지 연결된 연결바의 하부 힌지 중심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발판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고 결합공 및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가이드공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제1프레임에 설치된 걸림바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제1프레임과 연결바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걸림고리와,
    상기 제2브라켓의 결합공에 설치되면서 걸림고리와 힌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걸림고리를 가이드공에서 이동시켜 걸림바와 걸림고리의 걸림 상태를 제어하는 단속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는 발판부 하부면 좌우로 한쌍을 이루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조향지지부와 발판부를 접철시키면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상호 포개지면서 조향지지부의 일측면과 발판부의 하부면이 상호 수평선상으로 접철되고,
    상기 뒷바퀴는 앞바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클램프와,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 후방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에 관통되는 동시에 걸림고리와 연결되는 이동축으로 구성하여
    상기 걸림고리를 제1프레임의 걸림바에 걸림시킨 다음 클램프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동축이 가이드공에서 이동하여 걸림고리와 걸림바의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73357A 2017-12-15 2017-12-15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KR102108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57A KR102108143B1 (ko) 2017-12-15 2017-12-15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357A KR102108143B1 (ko) 2017-12-15 2017-12-15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08A KR20190072708A (ko) 2019-06-26
KR102108143B1 true KR102108143B1 (ko) 2020-05-08

Family

ID=6710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357A KR102108143B1 (ko) 2017-12-15 2017-12-15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1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82B1 (ko) 2022-04-28 2022-06-15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104B2 (ja) * 1991-08-20 2000-08-1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017100542A (ja) * 2015-12-01 2017-06-08 豊田鉄工株式会社 折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104U (ja) * 2000-09-05 2001-03-30 昌樹 謝 キックボードのハンドル折り畳み装置
KR200233265Y1 (ko) 2001-02-21 2001-10-06 박태인 전기충전식 스쿠터
KR101270756B1 (ko) * 2011-11-02 2013-06-03 김영산 접철식 퀵보드
KR101660466B1 (ko) 2014-10-20 2016-09-27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104B2 (ja) * 1991-08-20 2000-08-1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2017100542A (ja) * 2015-12-01 2017-06-08 豊田鉄工株式会社 折畳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882B1 (ko) 2022-04-28 2022-06-15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708A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143B1 (en) Folding bicycle assembly
US20120104714A1 (en) Folding wheel mechanism for vechile
US6325406B1 (en) Collapsible stroller
RU2750757C2 (ru) Складное персон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070161467A1 (en) Foldable exerciser
KR102108143B1 (ko)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NO317715B1 (no) Personlig transportenhet
US8919798B2 (en) Quickly foldable bicycle
CN211731697U (zh) 滑板车结构
JP7077340B2 (ja) 折り畳まれた自転車を転動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20000374A (ko) 접이식 자전거
KR102108676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US9561448B1 (en) Mobile action sports ramp
CA1272963A (en) Folding moped with a collapsible support for the saddle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US11186335B1 (en) Bicycle and supporting frame thereof
TW201028187A (en) Foldable treadill
TWI538844B (zh) 折疊電動代步車結構
KR20150116759A (ko) 컴팩트 접이식 자전거
CN104973112A (zh) 可收合婴儿车架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US5741204A (en) Structure of jogger exerciser
KR20230142855A (ko) 이동카트 또는 유모차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스쿠터
RU2763380C1 (ru) Складной самокат
KR20220104410A (ko) 역삼륜 전동스쿠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