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374A -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374A
KR20120000374A KR1020100060706A KR20100060706A KR20120000374A KR 20120000374 A KR20120000374 A KR 20120000374A KR 1020100060706 A KR1020100060706 A KR 1020100060706A KR 20100060706 A KR20100060706 A KR 20100060706A KR 20120000374 A KR20120000374 A KR 20120000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lding
bicycle
saddl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741B1 (ko
Inventor
정경렬
형준호
노종련
박성빈
김사엽
최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27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접이 동작을 통하여 자전거의 전체 크기 및 부피를 줄이고 접은 상태에서 끌고 이동하기가 용이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전방 일측에 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전방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후방 일측에 안장프레임을 매개로 안장이 장착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힌지 연결하는 수직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바퀴가 구비되고, 전방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수평힌지핀으로 힌지연결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방바퀴 측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동 및 제1프레임의 접이시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가 나란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자전거{A Clooapsible Bicycle}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접이 동작을 통하여 자전거의 전체 크기 및 부피를 줄이고 접은 상태에서 끌고 이동하기가 용이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와 더불어 웰빙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이용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형태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공간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점차 어려워지고, 녹지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서 야외 취미활동을 위해서는 자전거를 멀리 운반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교통이 불편한 대도시에서는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 주변까지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한 뒤 자전거를 이용하여 직장이나 학교 등 짧은 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자전거의 부피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이식 자전거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접이부를 중심으로 앞바퀴가 뒷바퀴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아서 취급이 매우 불편하고 이동시 사용자가 직접 들고 이동할 수밖에 없어 자전거의 자체 중량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의 접이시 앞바퀴와 뒷바퀴가 일렬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운반이 용이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 동작시 수평힌지핀과 수직힌지부를 중심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접힘되도록 함으로써 접혔을 때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끌고 이동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전방 일측에 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전방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후방 일측에 안장프레임을 매개로 안장이 장착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힌지 연결하는 수직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바퀴가 구비되고, 전방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수평힌지핀으로 힌지연결되어 상기 수평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방바퀴 측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동 및 제1프레임의 접이시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가 나란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과 서로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잠금수단의 작동을 통해 상기 수직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는 제1프레임의 접이 작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수단은 레버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각각 함몰형성되는 요입홈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레버부와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작동시 상기 전방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접촉하는 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접이 작동 구속시 상기 함몰부가 상기 전방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접촉되어 좌,우로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바퀴가 장착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과 대향배치 되어 상기 수평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판 및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전변위가 구속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장은 상기 제2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접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접이 동작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전방바퀴와 후방바퀴가 나란하게 정렬됨으로써 원하는 장소로 힘들이지 않고 쉽게 운반할 수 있어 운반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이 동작시 수평힌지핀과 수직힌지부를 중심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접힘되도록 함으로써 접혔을 때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끌고 이동할 수 있어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잠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회전 구속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수평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전방프레임의 폭방향을, 수직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전방프레임의 높이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잠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수단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의 회전 구속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100)는 후방바퀴(102)가 장착된 후방프레임(130)이 수평힌지핀(113)을 통하여 전방바퀴(101)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되고, 전방바퀴(101)가 장착된 전방프레임(110)이 수직힌지부(112)를 통하여 후방바퀴(102) 측으로 접이 되어 전방바퀴(101) 및 후방바퀴(102)가 나란하게 포개짐으로써 자전거 전체의 부피가 줄어들고 이동성이 극대화된 것으로,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10)은 상기 후방프레임(130)과 연결되어 자전거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 일측에는 핸들(140)의 조작에 의해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전방바퀴(101)가 포크프레임(111)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포크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취부하여 전방바퀴(101)의 방향을 좌·우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핸들(1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방프레임(110)의 후방 측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안장프레임(152)을 매개로 안장(1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방프레임(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자전거와는 달리 그 길이 중간이 수직힌지부(112)를 매개로 접이 가능하도록 제1프레임(114)과 제2프레임(115)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전방프레임(110)은 상기 핸들(140) 및 전방바퀴(101)가 장착되는 제1프레임(114)과 상기 안장(150)이 구비되는 제2프레임(115)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은 서로 접하는 단부가 상기 수직힌지부(11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자전거의 접이시 상기 제1프레임(114)의 전방 측이 제2프레임(115) 측으로 접이 됨으로써 제1프레임(114)에 장착된 전방바퀴(101)가 후술할 후방프레임(130)에 장착된 후방바퀴(102)와 나란하게 정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장(15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안장(1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안장프레임(15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115)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된 후 버튼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필요시 상기 제2프레임(115)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안장(150)의 높이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키에 맞게 조절할 수 있고 접이식 자전거(100)의 운반시 상기 제1프레임(114)이 접혀지고 상기 안장프레임(152)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자전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4)의 전방에 구비되는 핸들(140) 역시 상기 제1프레임(114)의 전방 측에 접이부(142)를 매개로 연결되어 전방바퀴(101) 측으로 접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운반시 자전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안장프레임(152)의 슬라이딩 구조와 핸들(140)의 접이구조는 공지의 접이식 자전거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14)의 접이 작동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4)과 제2프레임(115)이 서로 접하는 면에 배치되는 잠금수단(120)의 작동을 통해 가능하게 되는데, 도 3의 도면을 기준으로 레버부(121)를 제2프레임(115)측에 위치시키면 잠금수단(120)이 상기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의 일측을 구속하여 접이가 되지 않도록 구속하며, 상기 레버부(121)를 제1프레임(114)측에 위치시키면 잠금수단(120)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제1프레임(114)이 상기 수직힌지부(112)를 중심축으로 제2프레임(115) 측으로 회전되어 접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120)은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상부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레버부(121)와 상기 레버부(121)에서 하부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링크부(122)와, 상기 링크부(122)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121)의 작동시 전방프레임(110)의 폭방향을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되는 걸림부(12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잠금수단(120)은 상기 링크부(122)가 상기 레버부(121)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링크연결되고, 상기 걸림부(124)가 상기 레버부(121)의 길이 중간과 연결링크(123)를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하나의 링크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연결링크(123)의 일단과 연결되는 링크부(122)의 길이 중간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레버부(121)의 회전시 상기 링크부(122)의 회전에 의해 연결링크(123)와 연결된 걸림부(124)의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링크부(122)는 일단이 상기 레버부(12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디스크(122b)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122a)와, 상기 제1디스크(122b)와 동일형상으로 구비되어 대향배치되는 제2디스크(122c)와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122a)와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는 제2링크부(122d)와 상기 제1디스크(122b) 및 제2디스크(122c)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되 상기 제1링크부(122a) 및 제2링크부(122d)와는 편심축을 갖는 제3링크부(122e)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3링크부(122e)가 상기 제1,2링크부(122)와 서로 편심되도록 위치되고, 편심된 제3링크부(122e)가 상기 걸림부(124)와 연결링크(123)를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레버부(121)의 회전에 의한 링크부(122)의 회전시 연결링크(123)와 연결된 걸림부(124)의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잠금수단(120)은 상기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이 서로 접하는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은 서로 접하는 일단부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요입홈부(11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잠금수단(12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요입홈부(116)는 상기 제1프레임(114)과 제2프레임(115)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122a)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정길이로 함몰형성되는 수직요입홈부(116a)와, 상기 제1디스크(122b), 제2디스크(122c) 및 이를 연결하는 제3링크부(122e)가 안착되는 호형요입홈부(116b)와, 상기 걸림부(124) 및 제3링크부(122e)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23)가 안착되는 수평요입홈부(116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프레임(114)과 제2프레임(115)의 일단에 상기 요입홈부(11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잠금수단(120)이 상기 요입홈부(116)에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링크구조를 이루는 잠금수단(120)이 레버부(121)의 회전작동시 상기 요입홈부(116) 내에서 원활하게 편심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잠금수단(120)은 접이시 상기 요입홈부(116)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요입홈부(116)에 배치되는 제1링크부(122a)를 감싸는 홀더(12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14)과 제2프레임(115)의 일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요입홈부(116c)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돌출부(117)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124)의 일측면에 형성된 함몰부(12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잠금수단의 걸림부(124)는 레버부(121)의 회전시 편심운동에 의하여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과 접촉하는 면에 함몰부(125)가 일정깊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의 일측면에 상기 함몰부(125)와 대응되는 돌출부(117)가 각각 구비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121)가 제1프레임(114)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부(124)의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제1프레임(114) 및 제2프레임(115)의 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제1프레임(114)의 접이 작동을 구속하는 경우 상기 전방프레임(110)에 구비된 돌출부(117)는 상기 함몰부(125)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117)가 함몰부(125)에 끼워져 상기 걸림부(124)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요입홈부(116)에 배치되는 잠금수단(120)이 원활하게 편심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프레임(130)은 상기 전방프레임(110) 중 제2프레임(115)의 후방 측에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연결되는 수평힌지핀(113)을 매개로 상기 제2프레임(115)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수평힌지핀(113)을 중심축으로 상기 전방바퀴(101) 측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후방프레임(130)은 상기 후방바퀴(10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판(131)과, 상기 제1판(131)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수평힌지핀(113)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판(132) 및, 상기 제1판(131)과 제2판(13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3)로 구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자전거(100)는 제1판(131), 제2프레임(115) 및 제2판(132)이 수평힌지핀(113)을 매개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1판(131) 및 제2판(132)이 수평힌지핀(113)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제2프레임(115) 측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1판(131) 및 제2판(132)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프레임(130)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133)의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115)의 하부일측에 접촉됨으로써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즉, 상기 연결부(133)는 수평부와 수직부(A)를 갖는 대략 역'ㄱ'자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115) 역시 수평부와 수직부(B)를 갖는 대략 역'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후방프레임(130)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133)에 구비되는 수직부(A)의 일단이 상기 제2프레임(115)에 구비되는 수직부(B)에 걸리도록 제2프레임(115)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후방프레임(13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후방프레임(130)의 접이시 상기 후방프레임(130)은 상기 수평힌지핀(113)을 매개로 적정각도로 전방바퀴(101) 측으로 접이되고 수직힌지부(112)를 매개로 상기 제1프레임(114)이 회전되어 전방바퀴(101)가 제2프레임(115) 측으로 접이됨으로써 전방바퀴(101) 및 후방바퀴(102)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후방바퀴(102)가 장착되는 제1판(131)의 하부 일측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페달(106)과 연결된 구동스프라켓(104)이 구비되어 체인(103)을 매개로 후방바퀴(102) 측에 구비되는 피동스프라켓(105)과 연결됨으로써 페달(106)의 회전시 상기 구동스프라켓(104)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전거가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후방프레임(130)과 전방프레임(110)이 수평힌지핀(113)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완성된 자전거의 골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이식 자전거(100)의 접이 과정은 도 5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장(150)에 착석한 후 페달(106)의 회전을 통해 전진운동되는 자전거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30)을 수평힌지핀(113)을 매개로 전방바퀴(101)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이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121)를 전방프레임(110)의 제1프레임(114) 측으로 회전시켜 잠금수단(120)의 구속을 해제한 후, 제1프레임(114)을 수직힌지부(112)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2프레임(115) 측으로 접어준다. 동시에 전방프레임(110)에 접이부(142)를 매개로 연결된 핸들(140)을 전방바퀴(101) 측으로 접어 줌으로써 도 5d와 같이 전방바퀴(101) 및 후방바퀴(102)가 나란히 포개져 정렬되도록 한다.
이후, 안장(150)에 힘을 가하여 안장프레임(152)을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줌으로써 도 5e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100)의 접이를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자전거(100)는 간단한 접이 동작을 통하여 전방바퀴(101) 및 후방바퀴(102)가 포개져 나란하게 정렬되어 자전거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간단한 접이 동작을 통하여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수정 또는 변경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사항들은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 : 접이식 자전거 101 : 전방바퀴
102 : 후방바퀴 103 : 체인
104 : 구동스프라켓 105 : 피동스프라켓
106 : 페달 110 : 전방프레임
111 : 포크프레임 112 : 수직힌지부
113 : 수평힌지핀 114 : 제1프레임
115 : 제2프레임 116 : 요입홈부
116a : 수직요입홈부 116b : 호형요입홈부
116c : 수평요입홈부 117 : 돌출부
120 : 잠금수단 121 : 레버부
122 : 링크부 122a : 제1링크부
122b : 제1디스크 122c : 제2디스크
122d : 제2링크부 122e : 제3링크부
123 : 연결링크 124 : 걸림부
125 : 함몰부 126 : 홀더
130 : 후방프레임 131 : 제1판
132 : 제2판 133 : 연결부
140 : 핸들 142 : 접이부
150 : 안장 152 : 안장프레임

Claims (8)

  1.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전방 일측에 핸들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전방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프레임과, 후방 일측에 안장프레임을 매개로 안장이 장착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힌지 연결하는 수직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방프레임; 및
    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바퀴가 구비되고, 전방 일측이 상기 제2프레임의 후방 일측과 수평힌지핀으로 힌지연결되어 상기 수평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방바퀴 측으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동 및 제1프레임의 접이시 상기 전방바퀴 및 후방바퀴가 나란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과 서로 접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잠금수단의 작동을 통해 상기 수직힌지부를 중심축으로 하는 제1프레임의 접이 작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레버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일단부에 높이방향을 따라 각각 함몰형성되는 요입홈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레버부와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작동시 상기 전방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걸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걸림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편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방프레임과 접촉하는 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접이 작동 구속시 상기 함몰부가 상기 전방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접촉되어 좌,우로의 유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후방바퀴가 장착되는 제1판과 상기 제1판과 대향배치되어 상기 수평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판 및 상기 제1판과 제2판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 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후방프레임의 회전변위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은 상기 제2프레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자전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자전거.
KR1020100060706A 2010-06-25 2010-06-25 접이식 자전거 KR10123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06A KR101232741B1 (ko) 2010-06-25 2010-06-25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06A KR101232741B1 (ko) 2010-06-25 2010-06-25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74A true KR20120000374A (ko) 2012-01-02
KR101232741B1 KR101232741B1 (ko) 2013-02-15

Family

ID=4560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06A KR101232741B1 (ko) 2010-06-25 2010-06-25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27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517B1 (ko) * 2013-12-27 2014-12-10 백상기 회전가능한 페달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KR101469227B1 (ko) * 2013-05-27 2014-1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20150041735A (ko) 2013-10-08 2015-04-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퀴 평행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WO2015084069A1 (ko) * 2013-12-05 2015-06-11 백상기 접이식 자전거
CN104925194A (zh) * 2015-07-05 2015-09-23 范志东 一种空心轮结构及具有该结构的折叠式电动车
US9475537B2 (en) 2012-03-13 2016-10-25 H Young (Operations) Limited Folding bicycle
EP3003842A4 (en) * 2013-05-29 2016-12-21 Richard David Barnaby Latham HEIGHT-ADJUSTABLE BICY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159A (en) * 1900-05-31 1900-12-18 Charles Kitchin Automatic vehicle hitch-brake.
KR19990022234U (ko) * 1999-03-23 1999-06-25 성낙길 접는자전거
JP4641587B2 (ja) * 2000-05-17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畳み式自転車
JP2004075031A (ja) * 2002-08-13 2004-03-11 Tadao Matsumoto 前輪駆動自転車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5537B2 (en) 2012-03-13 2016-10-25 H Young (Operations) Limited Folding bicycle
KR101469227B1 (ko) * 2013-05-27 2014-1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EP3003842A4 (en) * 2013-05-29 2016-12-21 Richard David Barnaby Latham HEIGHT-ADJUSTABLE BICYCLE
US10040500B2 (en) 2013-05-29 2018-08-07 Richard David Barnaby Latham Height adjustable bike
KR20150041735A (ko) 2013-10-08 2015-04-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퀴 평행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WO2015084069A1 (ko) * 2013-12-05 2015-06-11 백상기 접이식 자전거
CN105473437A (zh) * 2013-12-05 2016-04-06 白湘基 折叠自行车
GB2535921A (en) * 2013-12-05 2016-08-31 Baek Sang-Ki Folding bicycle
KR101466517B1 (ko) * 2013-12-27 2014-12-10 백상기 회전가능한 페달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CN104925194A (zh) * 2015-07-05 2015-09-23 范志东 一种空心轮结构及具有该结构的折叠式电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2741B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741B1 (ko) 접이식 자전거
CN104129417B (zh) 折叠旅行婴儿车插销和轮定位机构
TWI449555B (zh) Collapsible elliptical sports machine
BRPI0615955B1 (pt) Carrinho de golfe acionado a bateria
KR101924328B1 (ko) 접이식 전동스쿠터
TWI503249B (zh) 自行車腳架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GB2479033A (en) A combined stroller brake and stand
US10723406B2 (en) Introduced in folding elliptical bicycle
WO2016082738A1 (zh) 小型折叠车
JP5368496B2 (ja) 折り畳み自転車
WO2016015652A1 (zh) 手推车
KR20150116759A (ko) 컴팩트 접이식 자전거
CN204056145U (zh) 一种折叠自行车
TWM555315U (zh) 折疊車
KR20150072267A (ko) 접철식 킥보드
KR20090079551A (ko) 접이식 자전거
KR200164478Y1 (ko) 접철식 자전거
KR20190072708A (ko) 수직형 접이식 킥보드
KR20090128003A (ko) 접이식 자전거
KR101469227B1 (ko)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JP2012106595A (ja) スタンド
TWI593591B (zh) 三輪車
TWI410226B (zh) Bicycle function with suitcase
TW202406786A (zh) 滑板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