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227B1 -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227B1
KR101469227B1 KR1020130059854A KR20130059854A KR101469227B1 KR 101469227 B1 KR101469227 B1 KR 101469227B1 KR 1020130059854 A KR1020130059854 A KR 1020130059854A KR 20130059854 A KR20130059854 A KR 20130059854A KR 101469227 B1 KR101469227 B1 KR 10146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ver
rotation
bicycle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333A (ko
Inventor
정경렬
김사엽
형준호
최준호
박성빈
노종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2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접이과정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잠금구조를 간편하게 개선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전방바퀴를 포함하는 전방프레임이 힌지부재를 매개로 전,후 방향으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축으로 접이되는 전방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레버의 회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회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A Clooapsible Bicycle}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접이과정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잠금구조를 간편하게 개선함으로써 사용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와 더불어 웰빙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이용함으로써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형태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공간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점차 어려워지고, 녹지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면서 야외 취미활동을 위해서는 자전거를 멀리 운반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교통이 불편한 대도시에서는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 주변까지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한 뒤 자전거를 이용하여 직장이나 학교 등 짧은 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9767호와 같이 자전거의 부피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이식 자전거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접이식 자전거는 자전거의 접이과정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잠금구조에 대한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의 회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회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됨으로써 사용상태에 맞게 자전거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전방바퀴를 포함하는 전방프레임이 힌지부재를 매개로 전,후 방향으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축으로 접이되는 전방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레버의 회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회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길이의 회전축을 갖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길이중간에 편심연결되는 회전구와, 관통형성된 장착공에 상기 회전구가 삽입배치되는 위치변경부재와 일측이 상기 위치변경부재와 고정연결된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단부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후방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공은 상기 위치변경부재의 일단부 측에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일정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장공의 삽입공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과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레임과, 후방바퀴를 갖추어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는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부 및 가이드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제2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돌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 어느 일면에 제1밀폐단과 제2밀폐단을 갖는 반호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제1밀폐단 및 제2밀폐단 사이를 왕복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제2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 어느 일면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으로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왕복이동되는 제1돌부 및 제2돌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속바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속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구속레버의 단부가 상기 구속바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제2프레임이 회동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회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회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어 사용상태에 맞게 자전거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후방프레임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2프레임이 제1프레임에 대하여 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구조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접이시 자전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제2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잠금수단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전방프레임이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접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에서 잠금수단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1에서 잠금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8은 도 1에서 제1프레임에 대한 제2프레임의 회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100)는 레버(131)의 회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축(132)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134)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후방프레임(120)에 대한 전방프레임(110)의 회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됨으로써 사용상태에 맞게 자전거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1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잠금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프레임(110)은 상기 후방프레임(120)과 연결되어 자전거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핸들(111)의 조작을 통해 조향기능을 수행하는 전방바퀴(112)가 구비되고 상부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전방바퀴(112)의 방향을 좌,우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핸들(111)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프레임(110)은 일측단부가 힌지부재(113)를 매개로 상기 후방프레임(120)측으로 접이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100)는 탑튜브를 구성하는 전방프레임(110)의 제1부분(110a)과 후방프레임(120)의 제2부분(120a)이 상기 힌지부재(113)를 매개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 인해 자전거의 접이시 상기 전방프레임(110)이 후방프레임(120) 측으로 접이됨으로써 전방프레임(110)에 장착된 전방바퀴(112)가 후방프레임(120)에 장착된 후방바퀴(114)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프레임(110)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핸들(111)은 상기 전방프레임(11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되어 자전거의 접이시 전방바퀴(112) 측으로 접혀짐으로써 운반시 자전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120)에 대한 전방프레임(110)의 접이동작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배치되는 잠금수단(130)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의 회전축(132)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134)가 레버(131)의 회동시 위치변경을 통해 전방프레임(110)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여 함으로써 후방프레임(120)에 대한 전방프레임(110)의 접이를 가능하게 하거나 구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수단(130)은 일정길이의 회전축(132)을 갖는 레버(131)와, 상기 회전축(132)의 길이중간에 편심연결되는 회전구(133)와, 관통형성된 장착공(134a)에 상기 회전구(133)가 삽입배치되는 위치변경부재(134)와, 일측이 상기 위치변경부재(134)와 고정연결된 홀더(135) 및 상기 홀더(135)의 단부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레버(131)의 회동시 전방프레임(110)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구속부재(1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1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2)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잠금수단(130)은 회전축(132)의 길이중간에 편심연결되는 회전구(133)가 위치변경부재(134)의 장착공(134a)에 결합됨으로써 레버(131)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구(133)의 회전을 통해 위치변경부재(134)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러한 위치변경부재(134)의 위치변경을 통하여 상기 위치변경부재(134)와 결합된 홀더(135)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홀더(135)의 단부에 고정연결된 구속부재(136)의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후방프레임(120)에 대한 전방프레임(110)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1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면이 상기 장착공(134a)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힘의 전달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무리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공(134a)은 일정길이를 갖는 위치변경부재(134)의 일단부 측에 치우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35)는 일정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측판(135b)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135b)에는 상기 회전축(132)이 통과하는 삽입공(135c)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공(135c)은 장공의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축(132)에 편심연결된 회전구(133)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132)이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홀더(135)는 한 쌍의 측판(135b)이 바닥판(135a)을 매개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측판(135b) 사이에 위치변경부재(134)가 배치된 상태에서 핀부재와 같은 하나의 고정부재(138)를 매개로 한 쌍의 측판(135b) 및 위치변경부재(134)가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135a)의 외측에는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구속부재(136)가 볼트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위치변경부재(134)의 위치변경을 통하여 구속부재(136)가 위치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잠금수단(130)은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이 서로 접하는 일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은 서로 접하는 일단부에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안착홈(115,125)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홀더(135) 및 회전축(132)이 삽입배치되고, 상기 회전축(132)의 단부에 구비되는 레버(131)와 홀더(135)의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구속부재(136)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32)은 한 쌍의 고정구(137)를 통하여 상기 안착홈(115,125)에 지지되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안착홈(115,125)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돌출부(120b)가 구비되어 상기 구속부재(136)의 일면에 형성된 함몰부(136a)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132) 및 회전구(133)가 동시에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132)과 편심연결된 회전구(133)의 회전을 통해 위치변경부재(134)가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변경부재(134)와 연결된 홀더(135)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홀더(135)에 고정연결된 구속부재(136)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일면으로부터 접촉된 상태가 해제되어 후방프레임(120)에 대하여 전방프레임(110)이 힌지부재(113)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레버(1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회전축(132) 및 회전구(133)가 회전축(132)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132)과 편심연결된 회전구(133)의 회전을 통해 위치변경부재(134)가 도 6의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위치변경부재(134)와 연결된 홀더(135) 역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홀더(135)에 고정연결된 구속부재(136)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20)의 일면에 접촉됨으로써 후방프레임(120)에 대하여 전방프레임(110)이 힌지부재(113)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구속하게 된다.
상기 후방프레임(120)은 하부측에 자전거의 전진을 위한 후방바퀴(114)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10)과 힌지부재(113)를 매개로 연결되어 자전거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후방프레임(120)은 통상적인 자전거에 구비되는 페달(128) 및 안장(129)을 포함하며, 상기 안장(129)은 접이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프레임(120)은 일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110)과 힌지부재(113)를 중심축으로 하여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레임(121)과 상기 제1프레임(1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프레임(122)으로 구비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21) 및 제2프레임(122)에는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부(123) 및 가이드홈(124)이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돌부(123)가 가이드홈(124)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21)에 대하여 제2프레임(122)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24)은 제1밀폐단(124a)과 제2밀폐단(124b)을 갖는 반호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부(123)가 제1밀폐단(124a)과 제2밀폐단(124b) 사이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프레임(121)에 대한 제2프레임(122)의 회동시 제2프레임(122)의 회동각도가 제한됨으로써 사용자는 별다른 조절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자전거를 접고자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부(123)가 제1밀폐단(124a)에 위치되도록 제2프레임(122)을 회동시키고 원래의 자전거로 사용하고자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부(123)가 제2밀폐단(124b)에 위치되도록 제2프레임(122)을 회동시켜 사용상태에 맞게 제2프레임(122)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24)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2프레임(122)의 회동시 하중의 분산 및 힘의 전달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4)이 제2프레임(122)의 일면에 구비되고 돌부(123)가 제1프레임(121)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홈(124)이 제1프레임(121)의 일면에 구비되고 돌부(123)가 제2프레임(122)의 일면에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21)에 대한 제2프레임(122)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프레임(122)의 일측에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속바(127)가 구비되고 제1프레임(121)의 일측에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속레버(1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레버(126)는 일측이 힌지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가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상기 구속바(127)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121)에 대한 제2프레임(122)의 회동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통상적인 이동수단으로서 자전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레버(126)의 단부를 상기 구속바(127)에 체결하여 상기 제1프레임(121)에 대하여 제2프레임(122)이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고, 자전거를 접어서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속레버(126)의 단부를 구속바(127)에서 분리하여 제2프레임(122)을 회동시킴으로써 자전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프레임(122)은 한 쌍의 페달(128)을 연결하는 연결축(128a)을 중심축으로 하여 제1프레임(121)에 대하여 회동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회동시 상기 레버의 회전축과 편심연결되는 위치변경부재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후방프레임에 대한 전방프레임의 회동이 구속되거나 해제되어 사용상태에 맞게 자전거의 형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후방프레임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2프레임이 제1프레임에 대하여 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구조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접이시 자전거의 전체적인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을 통한 등가물, 변형물 및 교체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 :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110 : 전방프레임 110a : 제1부분
111 : 핸들 112 : 전방바퀴
113 : 힌지부재 114 : 후방바퀴
115 : 안착홈 120 : 후방프레임
120a : 제2부분 120b : 돌출부
121 : 제1프레임 122 : 제2프레임
123 : 돌부 124 : 가이드홈
124a : 제1밀폐단 124b : 제2밀폐단
125 : 안착홈 126 : 구속레버
127 : 구속바 128 : 페달
128a : 연결축 129 : 안장
130 : 잠금수단 131 : 레버
132 : 회전축 133 : 회전구
134 : 위치변경부재 134a : 장착공
135 : 홀더 135a : 바닥판
135b : 측판 135c : 삽입공
136 : 구속부재 136a : 함몰부
137 : 고정구 138 : 고정부재

Claims (8)

  1. 후방바퀴를 포함하는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전방바퀴를 포함하는 전방프레임이 힌지부재를 매개로 전,후 방향으로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 및 후방프레임이 서로 접하는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축으로 접이되는 전방프레임의 회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일정길이의 회전축을 갖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의 길이중간에 편심연결되는 회전구와, 관통형성된 장착공에 상기 회전구가 삽입배치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편심연결된 회전구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위치변경부재와, 상기 위치변경부재와 일측이 고정연결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단부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시 상기 홀더의 이동을 통해 상기 후방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변경부재는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홀더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구는 외부면이 상기 장착공의 내부면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은 상기 위치변경부재의 일단부 측에 치우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정면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은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장공의 삽입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과 접이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프레임과, 후방바퀴를 갖추어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는 서로 대면하는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부 및 가이드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제2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돌부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 어느 일면에 제1밀폐단과 제2밀폐단을 갖는 반호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돌부가 제1밀폐단 및 제2밀폐단 사이를 왕복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한 제2프레임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 어느 일면에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으로 구비되고, 타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홈 및 제2가이드홈을 따라 각각 왕복이동되는 제1돌부 및 제2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는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구속바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속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구속레버의 단부가 상기 구속바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하여 제2프레임이 회동되는 것을 구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1020130059854A 2013-05-27 2013-05-27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KR10146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854A KR101469227B1 (ko) 2013-05-27 2013-05-27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854A KR101469227B1 (ko) 2013-05-27 2013-05-27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333A KR20140139333A (ko) 2014-12-05
KR101469227B1 true KR101469227B1 (ko) 2014-12-12

Family

ID=5245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854A KR101469227B1 (ko) 2013-05-27 2013-05-27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396B1 (ko) 2018-12-14 2020-03-25 김창림 1인승과 2인승의 선택이 가능한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645A (ja) * 2006-04-04 2009-09-10 ステュディオ モデルナ エスアー セルフロック機構
KR20120000374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자전거
KR20120027917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만도 접이식 자전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2645A (ja) * 2006-04-04 2009-09-10 ステュディオ モデルナ エスアー セルフロック機構
KR20120000374A (ko) * 2010-06-25 2012-0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자전거
KR20120027917A (ko) * 2010-09-14 2012-03-22 주식회사 만도 접이식 자전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396B1 (ko) 2018-12-14 2020-03-25 김창림 1인승과 2인승의 선택이 가능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333A (ko)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85B1 (ko) 접이식 자전거
US20100078916A1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EP2138376B1 (en) Stroller
JP5436911B2 (ja) ベビーカー
US8381858B2 (en) Handlebar folding mechanism and foldable motorized vehicle having same
KR101473181B1 (ko) 접이식 자전거
EP2821316B1 (en) Caster and stroller
US7021650B2 (en) Collapsing device for carrier
ITTO20080207A1 (it) Dispositivo poggiapiedi per il passeggero di un motociclo.
EP3705372A1 (en) Wheeled vehicle for children
KR101232741B1 (ko) 접이식 자전거
KR101469227B1 (ko) 복합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GB2434419A (en) Braking device having braking rods actuated by co-operating spiral grooves
JP5798890B2 (ja) ベビーカー用の制動機構、ベビーカー用の車輪保持機構、および、ベビーカー
US9050991B2 (en) Strap adjuster and stroller backrest tilt adjusting device
CN215475529U (zh) 车辆系统
KR20200007914A (ko) 터닝 메커니즘 및 핸들
KR20150062002A (ko) 접이식 자전거
KR900008899B1 (ko) 캐스터
JP4188468B2 (ja) ストッパー装置
KR101473182B1 (ko) 접이식 자전거
GB2380520A (en) Stroller with a string actuating unit
JP2537980Y2 (ja) 乳母車
KR20230149003A (ko) 시트 암레스트
KR20140139331A (ko) 단일피벗을 이용한 접이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