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234U - 접는자전거 - Google Patents

접는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234U
KR19990022234U KR2019990004641U KR19990004641U KR19990022234U KR 19990022234 U KR19990022234 U KR 19990022234U KR 2019990004641 U KR2019990004641 U KR 2019990004641U KR 19990004641 U KR19990004641 U KR 19990004641U KR 19990022234 U KR19990022234 U KR 199900222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d
rear wheel
saddle
hinge
sea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길
Original Assignee
성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길 filed Critical 성낙길
Priority to KR2019990004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234U/ko
Publication of KR19990022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34U/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는 자전거, 특히 앞뒤바퀴와 핸들 및 안장을 모두 접을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뒷바퀴를 접을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안장의 하부쪽에 위치하는 시트 튜브(1)의 중간을 고정가능한 힌지(13)로 연결하여 뒷바퀴(9)가 상하로 접힐 수 있게 하고, 시트 튜브(1)와 뒷바퀴축 사이에 설치되는 짐받이(11)의 후단을 길게 형성하여 뒷바퀴가 접혀져서 짐받이(11)의 후단이 지면에 닿을 때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뜰 수 있도록 하며, 안장의 시트 포스트(16)를 길게 형성하여 뒷바퀴가 접혔을 때 시트 포스트(16)를 접으면 그 단부가 시트 튜브(1)를 관통하여 짐받이(1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뒷바퀴가 접혀지므로 부피가 작고, 그 접기가 용이하며, 접으면 세워지고, 헬스기구로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는 자전거{Folding Bicycle}
본 고안은 접는 자전거, 특히 앞뒤바퀴와 핸들 및 안장을 모두 접을 수 있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는 자전거는 앞바퀴와 핸들을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있었으며, 안장은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즉 앞바퀴를 접는 방식은, 앞바퀴를 잡아주는 헤드 튜브와 안장 하부의 시트 튜브 간을 한개의 크로스 바(프레임)로 연결하고, 이 크로스 바의 중간을 힌지로 연결하여 좌우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면서 노브로 임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핸들을 접는 방식은, 앞바퀴를 잡아주는 헤드 튜브에 끼워지면서 핸들 바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스팀의 중간을 힌지로 연결하여 상하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면서 노브로 임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안장의 높이조절방식은, 안장의 하부에 있는 시트 포스트를 시트 튜브 내로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위치 고정은 시트 포스트가 끼워지는 시트 튜브 입구에 볼트 또는 노브를 설치하여 임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접는 자전거는 실질적으로 뒷바퀴가 접히지 않기 때문에 그 접은 부피가 커서 보관장소가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소형 자동차의 트렁크에 넣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접는 자전거는 접은 후에도 똑 바로 세워지지 않아서 지면에 눕이거나 벽에 기대어 놓아야 하는 불편이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뒷바퀴를 접을 수 있게 하여 접은 부피를 최소화하고, 그 뒷바퀴의 접는 방법에 있어서도 안장을 들어올리기만 하면 간편히 접혀지는 방식으로 하며, 완전히 접혀 졌을 때에도 자체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뒷바퀴를 접었을 때 헬스기구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의 접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자전거 전체 측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접는 순서도로서, 도 2는 뒷바퀴를 접은 상태이고, 도 3은 앞바퀴를 접은 상태이며, 도 4는 핸들을 접은 상태이고, 도 5는 안장을 접은 상태이다.
도 6은 뒷바퀴를 접기 전의 요부 측면도.
도 7은 뒷바퀴를 접은 후의 요부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자전거를 헬스기구로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시트 튜브(Seat tube), 2:헤드 튜브(Head tube), 3:크로스 바(Crossbar), 4,8,13:힌지, 5:핸들 바(Handlebar), 6:앞바퀴, 7:스팀(Stem), 9:뒷바퀴, 10:핸들, 11:짐받이, 12:안장, 15:시트 스테이(Seat stay), 16:시트 포스트(Seat post)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장의 하부쪽에 위치하는 시트 튜브의 중간을 고정가능한 힌지로 연결하여 뒷바퀴가 상하로 접힐 수 있게 하고, 시트 튜브와 뒷바퀴축 사이에 설치되는 짐받이의 후단을 길게 형성하여 뒷바퀴가 접혀져서 짐받이의 후단이 지면에 닿을 때 뒷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떠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안장의 시트 포스트를 길게 형성하고 시트 튜브의 힌지 중 윗쪽의 힌지 플레이트를 관통시켜 뒷바퀴가 접혔을 때 시트 포스트를 접으면 그 단부가 시트 튜브를 관통하여 짐받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안장을 들면 뒷바퀴가 저절로 접히며, 이 상태에서 헬스기구로 이용할 수 있고, 이어서 앞바퀴와 핸들 및 안장을 접으면 뒷바퀴가 안장의 시트 포스트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부피가 작은 상태로 접혀지며, 짐받이에 의하여 지면에 세워져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체 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요부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8은 접는 순서와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공지된 부분부터 설명한다. 공지된 부분은 앞바퀴(6)와 핸들(10)의 접는 구조이다. 시트 튜브(1)와 헤드 튜브(2) 사이에 하나로 연결된 크로스 바(3)를 힌지(4) ―이하에서 힌지 세부(細部)에 대하여는 별도로 도시(圖示)하지 않는다― 로 연결하고 있다. 힌지(4)는 좌우로 절첩되는 것으로서 힌지축의 반대편에 노브와 고정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노브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 해제하고 나서 고정볼트를 해제하면 핸들 바(5)를 잡고 앞바퀴(6) 쪽을 옆으로 접을 수 있다. 도 3은 그 앞바퀴(6)가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핸들 바(5)와 일체를 이루는 스팀(7)은 통상적으로 헤드 튜브(2) 내에 끼워져 핸들(10)의 높이조절 및 방향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헤드 튜브(2)의 중간을 힌지(8)로 연결하고 있다. 힌지(8)는 상하로 절첩되는 것으로서 힌지축의 반대편에 노브와 고정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노브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 해제하고 나서 고정볼트를 해제하면 핸들 바(5)를 잡고 밑으로 접을 수 있다. 도 4는 핸들(10)이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요부는 도 6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뒷바퀴(9)를 접는 구조와, 지면에 지지되는 짐받이(11), 그리고 접혀진 뒷바퀴(9)를 고정시킬 수 있는 안장(12)의 접는 구조에 있다.
뒷바퀴(9)의 접는 구조를 설명한다. 크로스 바(3)와 연결된 부분에서 약간 아래로 내려온 위치의 시트 튜브(1)가 서로 분리되며 그 부분이 힌지(13)로 연결되어 있다. 힌지(13)는 힌지축(13a)이 시트 튜브(1)를 벗어난 후방지점에 있으며, 이 힌지축(13a)의 반대편에는 고정볼트(13b)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볼트(13b)는 너트(손잡이)가 있는 한쪽이 자유단을 이루고 다른 쪽은 축회전할 수 있도록 한쪽 힌지 플레이트(13c)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힌지 플레이트(13d)에는 고정볼트(13b)의 몸체가 끼워질 수 있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볼트(13b)의 몸체를 슬롯에 끼우고 나서 너트를 조이면 힌지(13)가 고정된다. 힌지(13)를 이루는 힌지 플레이트(13c,13d) 중에서 위쪽에 용접되는 힌지 플레이트(13d)에는 시트 튜브(1)의 내경과 일치하는 구멍이 뚫려 있으며, 아래쪽에 용접되는 힌지 플레이트(13c)에는 구멍이 없이 막혀 있다. 힌지(13)는 그 힌지축(13a)이 전방에 있으므로 고정볼트(13b)가 풀려도 안장(12)에 하중이 가해지고 있는 한 뒷바퀴(9)가 앞으로 접혀지는 일이 없어서 안전하다.
그래서 고정볼트(13b)를 풀고 안장(12)을 들어 올리면 뒷바퀴(9)가 힌지축(13a)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하여 안쪽으로 접힌다. 도 2는 뒷바퀴(9)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뒷바퀴(9)는 짐받이(11)에 의하여 고정된다. 짐받이(11)는 시트 튜브(1)와 바퀴축(14) 사이에 고정되는 시트 스테이(15)에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짐받이(11)의 후단은 접었을 때 지면과 맞닿는다. 그리고 이 짐받이(11)의 후단은 뒷바퀴(9)를 접었을 때 뒷바퀴(9)가 지면에 닿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소 긴 길이로 이루어져 있다. 짐받이(11)는 동일한 형상의 파이프를 폭이 주어지도록 서로 용접한 형태이다. 그래서 그 후단이 지면에 닿으면 접혀진 자전거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짐받이(11)가 접혀졌을 때 안장(12)을 들어올리면 짐받이(11)와 뒷바퀴(9)가 동시에 움직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히는 안장(12)이 채택되었다. 통상의 안장은 시트 튜브 내로 시트 포스트가 약간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높이조절밖에 못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시트 포스트(16)가 끼워지는 시트 튜브(1)의 하부가 접혀지므로 길이가 긴 시트 포스트(16)를 채용할 수 있다. 그래서 짐받이(11)가 접혀진 상태에서 시트 포스트(16)를 밑으로 접으면 시트 포스트(16)의 단부가 짐받이(11)에 닿게 되어 접혀진 뒷바퀴(9)가 움직이지 않는다. 도 5는 안장(12)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안장(12)의 시트 포스트(16)는 시트 튜브(1) 상단에 설치된 노브(17)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노브(17)는 회전축 부위가 캠형식의 면을 가지고 있어서 일방향으로 돌리면 캠면이 시트 튜브(1)의 상단부를 조여 시트 포스트(16)가 유동하지 않는다. 도 1과 같이 안장(12)과 뒷바퀴(9)가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트 튜브(1)에 끼워져 있는 시트 포스트(16)의 하단이 힌지(13)의 하부 플레이트에 걸려 있어서 압력을 받아도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접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힌지(13)의 고정볼트(13b)를 풀어 젖히고 안장(12)을 들면서 앞으로 회전하려는 뒷바퀴(9)를 전방으로 살짝 튕긴다. 그러면 뒷바퀴(9)가 지면과 닿으면서 회전하게 되고 짐받이(11)가 지면에 닿으면 뒷바퀴(9)가 지면으로부터 약간 뜨면서 도 2와 같이 세워진다. 그 다음에 앞바퀴(6)를 접는다. 앞바퀴(6)는 힌지(4)를 풀고 핸들 바(5)를 좌우로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일측의 후방으로 당기면 도 3과 같이 뒷바퀴(9)의 옆으로 포개지면서 접힌다. 앞바퀴(6)가 접혀지면 다시 핸들(10)을 접는다. 핸들(10)은 스팀(7) 중간의 힌지(8)를 풀고 핸들 바(5)를 아래로 젖히면 도 4와 같이 앞바퀴(6)의 옆으로 가서 붙는다. 이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시트 튜브(1)의 상단에 있는 노브(17)를 풀고 안장(12)을 도 5와 같이 밑으로 내리면 시트 포스트(16)의 하단이 짐받이(11)의 옆으로 내려가면서 맞닿게 되어 뒷바퀴(9)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자전거의 접힘이 완료된다.
도 8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장(12)에 앉아서 헬스를 위한 자전거로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자전거는 짐받이(11)와 앞바퀴(6)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고 뒷바퀴(9)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있어서 페달(18)을 돌리면 뒷바퀴(9)가 공회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앞바퀴와 핸들은 물론 뒷바퀴까지 접을 수 있어서 그 부피가 작아 사무실을 비롯한 어떤 장소에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소형 자동차의 트렁크에도 적재가 가능하다. 또 뒷바퀴를 접거나 펼 때에도 안장을 살짝 들어올리기만 하면 접혀지거나 펴지므로 자전거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뿐만 아니라 뒷바퀴를 접었을 때 짐받이에 의하여 지면에 세워지므로 일시적으로 세워두거나 접을 때에 매우 편리하며, 뒷바퀴를 접었을 때 헬스기구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외에서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스팀(7) 중간을 고정가능한 힌지(8)로 연결하여 핸들(10)이 상하로 접히고, 크로스 바(3)를 고정가능한 힌지(4)로 연결하여 앞바퀴(6)가 좌우로 접히며, 시트 포스트(16)가 시트 튜브(1) 내에 고정가능하게 끼워져 안장(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에 있어서, 뒷바퀴(9)가 상하로 접힐 수 있도록 상기 시트 튜브(1)의 중간을 고정가능한 힌지(13)로 연결하고, 접혀지는 뒷바퀴(9)가 지면으로부터 떠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 튜브(1)와 뒷바퀴축(14) 사이에 설치되는 짐받이(11)의 후단을 길게 형성하며, 뒷바퀴(9)가 접혔을 때 하방으로 접으면 그 단부가 상기 시트 튜브(1) 중간의 힌지(13)를 관통하여 짐받이(11) 외면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시트 포스트(16)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고 상기 시트 튜브(1)의 힌지 (13)중 윗쪽의 힌지 플레이트(13d)를 관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자전거.
KR2019990004641U 1999-03-23 1999-03-23 접는자전거 KR199900222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41U KR19990022234U (ko) 1999-03-23 1999-03-23 접는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41U KR19990022234U (ko) 1999-03-23 1999-03-23 접는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34U true KR19990022234U (ko) 1999-06-25

Family

ID=5475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641U KR19990022234U (ko) 1999-03-23 1999-03-23 접는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23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89B1 (ko) * 2007-10-05 2011-03-31 김환영 도난방지 및 이송과 보관이 간편한 분리식자전거
KR101232741B1 (ko) * 2010-06-25 2013-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자전거
KR20190105689A (ko) * 2018-03-05 2019-09-18 하민수 접이식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89B1 (ko) * 2007-10-05 2011-03-31 김환영 도난방지 및 이송과 보관이 간편한 분리식자전거
KR101232741B1 (ko) * 2010-06-25 2013-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접이식 자전거
KR20190105689A (ko) * 2018-03-05 2019-09-18 하민수 접이식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181B1 (ko) 절첩식 휴대용 자전거
JP3680174B2 (ja) 伸縮式自転車
US7232143B1 (en) Folding bicycle assembly
US6874802B2 (en) Tricycle and guide handle
US6481729B2 (en) Foldable scooter and method of use
US6595536B1 (en) Collapsible vehicle
US20070062327A1 (en) Motorcycle passenger footrest structure
US20080185812A1 (en) Collapsible bicycle
US20040050202A1 (en) Adjustable and foldable stem and bearings for wheeled vehicles
KR20210084387A (ko)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DE60300361T2 (de) Verlängerbares Fahrrad
KR19990022234U (ko) 접는자전거
CN103963894A (zh) 多功能电动车
KR102150090B1 (ko)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20020537A (ko) 더블 타입 자전거 주차 장치
CN108556978B (zh) 一种可翻转避污的分体式车座
JP3839033B2 (ja) 折り畳み収納式自転車
JP3503897B1 (ja) 折り畳み自転車用補助輪及び該補助輪付折り畳み自転車
JP2010052709A (ja) 3輪自転車
JP2515037Y2 (ja) 三輪自転車用スタンド
US2715033A (en) Bicycle stabilizer
DE4006095A1 (de) Fahrrad
JPH04218476A (ja) スクーターの同乗者用フートレスト
WO2015172431A1 (zh) 多功能自行车
CN211710994U (zh) 一种滑板车的车架以及安装该车架的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