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090B1 -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090B1
KR102150090B1 KR1020160104518A KR20160104518A KR102150090B1 KR 102150090 B1 KR102150090 B1 KR 102150090B1 KR 1020160104518 A KR1020160104518 A KR 1020160104518A KR 20160104518 A KR20160104518 A KR 20160104518A KR 102150090 B1 KR102150090 B1 KR 10215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otrest
folding
kickboard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899A (ko
Inventor
김기현
심재훈
양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림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림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림슨
Priority to KR102016010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0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발판과; 조향핸들과;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어질 수 있는 접이식 킥보드이되, 발판접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접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판이 접어짐으로써, 상기 킥보드의 전륜 및 후륜이 일정 거리 이격하여 좌우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때 킥보드가 좌우로 넘어지려고 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전륜과 후륜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하면, 전조등과 후미등이 동시에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4점에서 지면에 착지되므로 라이더가 핸들손잡이를 잡지 않더라도 킥보드가 임의로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CARRIER TYPE FOLDABLE KICK BOARD}
본 발명은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쉽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은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울 수 있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 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이동하기 위한 시간은 너무나 아깝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전거, 오토바이, 자동차 등을 선택한다. 하지만 바쁜 현대인들에게 우리나라의 도로는 너무나도 답답하다. 그래서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노력한다. 대도시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은 대체로 정시 운행이 이루어지는 지하철이다.
지하철을 타러 가기 위한 거리가 가깝거나 도착역에서 최종 목적지가 가까운 경우에는 고민을 하지 않고 지하철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출발역까지의 거리와 도착역에서 최종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또 다시 시간이 아깝고 힘들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따라서 출발지에서 출발역까지, 그리고 도착역에서 도착지까지 자전거나 킥보드 등을 사용하여 환승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휴일에만 자전거를 휴대하여 지하철을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사용에 제약이 뒤따르며, 이에 비하여 킥보드는 자전거에 비해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지하철에도 휴대하여 탑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특히 젊은 층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4403호 (2000.09.15. 등록)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는 핸들과 보드에 각각 프레임과 플레이트를 샤프트로 조립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프레임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핸들이 보드 위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으로, 운반 시에는 후륜 측에 위치하는 핸들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세워 전륜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전륜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마치 외발수레와 같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넘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접은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없어 한 손으로는 계속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운반 도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 다른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국제공개특허 WO2013065978 A1 (2013.05.10. 공개)의 "접이식 킥보드"가 있다.
상기 국제공개특허의 접이식 킥보드는 핸들지지프레임이 발판 위로 접히도록 구성하고, 후륜 측에 스탠드를 구비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 도중에 스탠드에 의해 세워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국제공개특허의 접이식 킥보드는 발판의 후단부에 스탠드를 구비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하는 도중에 넘어지지 않게 세워 둘 수 있게 되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후륜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마치 외발수레와 같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넘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들지지프레임과 발판을 접기 위한 접이구조가 핸들지지프레임의 하단과 발판의 선단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었을 때 전체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전체 길이가 보드의 길이 이하로 짧아질 수 없어 보관하거나 차량에 적재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3개의 바퀴가 있는 "접이식 킥보드"가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킥보드는 후륜을 좌우 2개로 구성하여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전륜 1개와 후륜 2개를 포함하는 3개의 바퀴가 지면에 닿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접이식 킥보드는 접은 상태에서 전륜 1개와 후륜 2개가 좌우로 일직선상에 놓이기 때문에 접은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없어 한 손으로는 계속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운반 도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 다른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3개의 바퀴가 조밀하게 위치되어 불안정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킥보드를 수직으로 접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 및 선행기술의 장점을 모두 살리면서 단점은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개발을 반복해 왔으며, 본 발명의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4403호 (2000.09.15. 등록) "절첩 가능한 킥보드" 국제공개특허 WO2013065978 A1 (2013.05.10. 공개)의 "접이식 킥보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쉽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은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울 수 있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판과; 조향핸들과;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는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접어질 수 있는 접이식 킥보드이되, 발판접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접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판이 접어짐으로써, 상기 킥보드의 전륜 및 후륜이 일정 거리 이격하여 좌우방향으로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발판의 전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조향핸들이되,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 또는 접은 상태에서 상기 조향핸들이 상기 발판에 고정되기 위한 조향핸들 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발판은 상면데코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발판접이수단은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전, 후방발판을 회동시켜 접기 위한 것이되, 상기 회동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향핸들 로커는 조향핸들 접힘로커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는 상기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로, 접은상태의 전방발판의 후단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는 중간부가 핸들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 프레임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는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의 상기 상면데코패널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림편 및, 전단부에 형성되는 로킹해제손잡이를 가지는 로킹판과; 상기 로킹판을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에 의하면 발판과; 상기 발판의 전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핸들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과;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판은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는 전, 후방발판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접기 위한 발판접이수단과; 상기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펼친 상태로 로킹하기 위한 발판펼침로커와;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을 접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발판접힘로커와; 상기 넥 가이드와 넥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에서 넥 바디를 넥 가이드에 고정하는 조향핸들 세움로커와;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로 상기 전방발판의 전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핸들 세움로커와; 상기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로 후방발판의 후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핸들 접힘로커;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 후방발판을 접었을 때 전, 후륜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때 킥보드가 좌우로 넘어지려고 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에 의하면,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전륜과 후륜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하면, 전조등과 후미등이 동시에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4점에서 지면에 착지되므로 라이더가 핸들손잡이를 잡지 않더라도 킥보드가 임의로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운반 도중 킥보드를 세워두고 라이더가 자유로운 양손을 이용하여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것이며,
도 1 내지 도 4는 발판, 조향핸들을 모두 펼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저면도,
도 4는 발판펼침로커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발판을 접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5는 사시도,
도 6은 평면도,
도 7은 저면도,
도 8은 발판이 완전히 접히기 전의 상태의 발판접힘로커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5는 발판은 완전히 접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평면도,
도 11은 저면도,
도 12는 발판이 완전히 접힌 상태의 발판접힘로커를 보인 저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각각 발판접힘로커를 보인 사시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조향핸들을 접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16은 사시도,
도 17은 평면도,
도 18은 저면도이고,
도 19 내지 도 30은 조향핸들을 완전히 접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9는 사시도,
도 20은 평면도,
도 21은 저면도,
도 22 내지 도 26은 각각 핸들펼침로커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부분 사시도, 부분 절개 측면도,
도 27 내지 도 30은 각각 조향핸들 접힘로커를 보인 측면도, 사시도, 부분 측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31 내지 도 33은 핸들손잡이를 접은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1은 사시도,
도 32는 평면도,
도 33은 저면도이고,
도 34 내지 도 36은 핸들포스트의 길이를 중간단계로 줄인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4는 사시도,
도 35는 평면도,
도 36은 저면도이며,
도 37 내지 도 39는 핸들포스트의 길이를 완전히 줄인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7은 사시도,
도 38은 평면도,
도 39는 저면도이고,
도 40은 발판과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지면에 세워둔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수동식 킥보드에 적용한 예를 들고 있으며, 수동식 킥보드와 전동식 킥보드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예의 킥보드에 전동기구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전동 킥보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는 도 1 내지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핸들손잡이(45)11)과 후방핸들손잡이(45)12)로 구성되는 핸들손잡이(45)10)과; 상기 전방핸들손잡이(45)11)의 전단부에 하단부가 고정되고 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호형 넥 가이드(Neck Guide)(20)와, 상기 넥 가이드(20)에 안내되는 넥 바디(30)와; 상기 넥 바디(30)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40)과; 상기 조향핸들(40)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Fork)(50)와; 상기 포크(50)의 하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륜(60)과; 상기 후방핸들손잡이(45)12)의 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70)과;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수평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발판접이수단(80)과; 상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에 구비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펼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발판펼침로커(90)와;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접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발판접힘로커(100)와; 상기 넥 가이드(20)와 넥 바디(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조향핸들(40)을 세운 상태에서 넥 바디(30)를 넥 가이드(20)에 고정하는 조향핸들 세움로커(110)와; 상기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로 전방발판(11)에 고정하기 위한 조향핸들 접힘로커(1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발판(11)의 전후방향 거리는 전방발판(11)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넥 가이드(20)의 전, 후단 간의 거리를 감안하여 후방발판(12)보다 전후방향 길이를 짧게 하여 발판접이수단(80)의 회전중심에서 전륜(60)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와 발판접이수단(80)의 회전중심에서 후륜(70)의 회전중심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을 접었을 때 조향핸들(40)의 하단부에 지지되는 전륜(60)과 후방발판(12)에 지지되는 후륜(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내지 도 12 참조).
또한, 이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케하여, 전륜 및 후륜은 일정 거리 이격하게 되는데, 이 이격거리는 상기 발판의 폭에 의하여 결정되고 형성된다.
상기 전방발판(11)은 박스형 전방발판 프레임(11a)과, 상기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상면, 정면 및 저면에 부착되는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과,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1c) 및 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1d)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발판(12)은 박스형 후방발판 프레임(12a)과, 상기 후방발판 프레임(12a)의 상면, 측면 및 저면에 부착되는 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2b)과, 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2c) 및 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2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발판 프레임(11a)에 대한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과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1c) 및 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1d)의 부착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과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11c) 및 전방발판 저면데코패널(11d)을 관통하는 스크루(미도시)를 전방발판 프레임(11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넥 가이드(20)는 하단이 전방발판(11)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원호형 가이드홈(22)이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판(21)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21)의 전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넥 바디(30)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홈(22)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와, 상기 조향핸들(40)의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향핸들지지공(32)을 포함한다.
상기 원호형 가이드홈(22)은 하나의 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한 쌍의 홈을 나란히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돌기(31)는 원호형 가이드홈(22)에 대응하여 넥 바디(30)의 양측면에 한 쌍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향핸들(40)은 하단이 상기 넥 바디(3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41)과, 상기 핸들축(41)의 상단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핸들암(Handle Arm)(42)과, 상기 핸들암(42)이 전단부에 하단이 고정되는 핸들포스트(43)와, 상기 핸들포스트(43)의 상단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핸들손잡이(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축(41)은 넥 바디(30)의 조향핸들지지공(32)에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핸들암(42)은 핸들포스트(43)의 중심축과 포크(50)의 회전중심을 이격시켜 조향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핸들포스트(43)는 하나의 봉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라이더의 신체조건에 따라, 그리고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핸들포스트(4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신축조절 가능한 복수개의 핸들포스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포스트(43)는 하단이 핸들암(42)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하단 핸들포스트(43a)와,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부에 신축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단 핸들포스트(43b) 및, 상기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상부에 신축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 핸들포스트(43c)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 중단 핸들포스트(43b) 및 상단 핸들포스트(43c)는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하여 하단 핸들포스트(43a)가 중단 핸들포스트(43b)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중단 핸들포스트(43b)가 상단 핸들포스트(43c)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단과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 사이와,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상단과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 사이에는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은 C자형으로 형성되어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 외주면과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 외주면을 조이는 조임링(44a)과, C자형 조임링(44a)의 양단에 절곡되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편(44b, 44c)과, 일측 연장편(44b)에 고정되어 타측 연장편(44c)을 관통하는 클램프 로드(44d)와, 클램프 로드(44d)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레버(44e) 및, 상기 클램프 레버(44e)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측 연장편(44c)을 조이는 조임캠부(44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손잡이(45)는 상기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손잡이(46)와, 상기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타측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는 접이식 손잡이(47) 및, 상기 접이식 손잡이(47)를 펼친 상태 및 접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핸들손잡이로커(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손잡이(46)는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일측에 고정되는 손잡이봉(46a)과, 상기 손잡이봉(46a)의 단부에 씌워지는 손잡이고무(46b)로 구성된다(도 1 및 도 31 참조).
상기 접이식 손잡이(47)는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타측에 위치하는 손잡이봉(47a)과, 상기 손잡이봉(47a)의 단부에 씌워지는 손잡이고무(47b)로 구성된다(도 1 및 도 31 참조).
상기 핸들손잡이로커(48)는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상단 타측에 고정되며 힌지장공(48b)이 형성된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와, 상기 손잡이봉(47a)에 고정되어 상기 힌지장공(48b)에 슬라이드 및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핸들손잡이(45)48c)과, 상기 손잡이봉(47a)의 외주면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를 감싸는 로킹링(48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31 참조).
상기 손잡이봉(47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로킹링(48d)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이식 손잡이(47)의 손잡이봉(47a)에는 브레이크 레버(BL)가 설치된다.
상기 포크(50)는 상기 핸들축(4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는 수평판(51)과, 상기 수평판(51)의 좌우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는 차축지지판(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3 및 도 16 참조).
상기 전륜(60)은 상기 포크(50)의 차축지지판(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륜차축(61)과, 상기 전륜차축(61)에 고정되는 전륜휠(62) 및, 상기 전륜휠(62)에 결합되는 전륜타이어(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륜(70)은 상기 후방발판(12)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차축(71)과, 상기 후륜차축(71)에 고정되는 후륜휠(72) 및, 상기 후륜휠(72)에 결합되는 후륜타이어(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차축(61)과 후륜차축(71)은 각각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발판접이수단(80)은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는 각각 힌지편(81, 82)과, 상기 힌지편(81, 82)을 연결하는 힌지핀(8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발판펼침로커(90)는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타측에 구비되며 후단부에 걸고리(92)가 형성되고 전단부에 로킹해제손잡이(93)가 형성되는 탄성후크(91)와, 상기 후방발판(12)의 전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후크(91)의 걸고리(92)가 걸리는 걸림홈(94) 및, 상기 탄성후크(91)를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4 참조).
상기 탄성후크(91)는 로킹해제손잡이(93)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접힘로커(100)는 전방발판(11)의 전단부 일측에 탄력지지되며 선단부에 걸고리(102)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로킹해제레버(115)가 형성된 탄성후크(101)와, 상기 후방발판(12)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걸고리(102)가 걸리는 걸림턱(105)을 가지는 걸림편(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3 내지 도 15 참조).
상기 걸림편(104)의 일측에는 걸림편(104)을 상기 후방발판(12)의 전단부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06)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후크(101)는 토션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향핸들 세움로커(110)는 넥 가이드(20)의 원호형 가이드판(21)의 상단부측 안쪽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1)과, 상기 넥 바디(30)의 후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걸림홈(111)에 걸리는 걸림편(113)을 가지는 로킹판(112)과, 상기 로킹판(112)을 걸림편(113)이 걸림홈(111)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114) 및, 상기 로킹판(112)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킹해제레버(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2 내지 도 26 참조).
도 22, 도 24 및 도 26은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고, 도 25는 조향핸들(40)이 접힌 상태에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
상기 걸림홈(111)은 원호형 가이드판(21)의 상단부에만 형성되어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에서만 로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120)는 중간부가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11)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는 걸고리(122)와, 상기 걸고리(122)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림편(123) 및, 전단부에 형성되는 로킹해제손잡이(124)를 가지는 로킹판(121)과; 상기 로킹판(121)을 로킹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토션스프링(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7 내지 도 30 참조).
상기 걸고리(122)는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며, 걸림편(123)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상면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킹판(121)은 중간부에 형성된 지지부(125)를 상기 하단 핸들포스트(43a)에 고정되는 지지축(126)에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암(42)의 선단부 하측에는 전조등(130)이 구비되고, 후륜(70)의 상측에는 후미등(140)이 구비된다.
상기 전조등(130)은 넥 가이드(20)의 연결판(23)에 고정 설치되고, 후미등(140)은 후륜(70)의 상부에 설치되는 후륜흙받이(14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은 발판(10)과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에서 킥보드를 지면에 세울 때 전, 후륜(60, 70)과 함께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넘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은 통상적인 전조등과 후미등과 마찬가지로 램프하우징과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지는 램프 및 램프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전조등(130)의 램프하우징은 전면 가장자리가 렌즈보다 돌출되게 형성하고, 후미등(140)의 램프하우징은 후면 가장자리가 렌즈보다 돌출되게 형성하여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이 지면에 착지될 때 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51은 전륜(60)의 양측에서 포크(50)의 양측 차축지지판(52)에 결합되는 데코플레이트이고, 152는 넥 가이드(20)에 씌워지는 데코플레이트이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딩 상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이딩을 위하여 발판, 조향핸들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는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일측에서는 발판접이수단(80)을 구성하는 전방발판(11) 측 힌지편(81)과 후방발판(12) 측 힌지편(82) 및 힌지편(81, 82)을 연결하는 힌지핀(8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서는 발판펼침로커(90)를 구성하는 탄성후크(91)가 토션스프링 또는 탄성후크(91)를 구성하는 재질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걸고리(92)가 후방발판(12)에 형성된 걸림홈(94)에 걸려 있으므로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하나로 연결된 발판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조향핸들 세움로커(110)를 구성하는 로킹판(112)의 걸림편(113)이 넥 가이드(20)의 원호형 가이드판(21)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걸려 있어 넥 바디(30)와 넥 바디(30)에 이에 결합된 핸들암(42)과 핸들암(42)에 고정된 핸들포스트(43)가 임의로 접히지 않고, 핸들포스트(43)가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라이더가 발판(10) 위에 발을 딛고 양손으로 핸들손잡이(45)를 잡은 상태에서 라이딩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라이딩 상태에서는 발판접힘로커(100)와 조향핸들 접힘로커(120)가 로킹 해제된 상태로 유지된다.
[발판을 접는 과정]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상태에서 발판펼침로커(90)를 구성하는 탄성후크(91)의 로킹해제손잡이(93)를 누르면, 탄성후크(91)가 회동하면서 걸고리(92)가 후방발판(12)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94)로부터 이탈되면서 로킹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후방발판(12)에 좌측으로 힘을 가하면, 후방발판(12)이 발판접이수단(80)을 구성하는 힌지편(81, 82)과 힌지핀(83)을 중심으로 하여 좌측으로 회동하여 접히기 시작한다(도 5 내지 도 7 참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접힘에 따라 전방발판(11)의 전단부와 후방발판(12)의 후단부가 점차 접근하게 되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완전히 접히기 직전에 이르면, 전방발판(11)의 전단부 일측에 고정되는 탄성후크(101)의 걸고리(102)와 후방발판(12)의 후단부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편(104)의 걸림턱(105)이 근접하게 되고(도 8 참조), 이 상태에서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의 접힘동작이 더 진행되면, 탄성후크(101)의 걸고리(102)가 걸림편(103)의 측부에 접촉하면서 자체 탄성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걸림턱(105)을 타고 넘게 되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완전히 접히게 되면, 탄성후크(101)가 자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걸고리(102)가 걸림턱(105)에 걸리게 되고(도 13 내지 도 15 참조),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접힌 상태로 로킹된다(도 9 내지 도 1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접힌 상태에서 전륜(60)과 후륜(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게 된다.
[조향핸들을 접는 과정]
넥 바디(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로킹판(112)의 로킹해제손잡이(124)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누르면, 로킹판(112)이 토션스프링(114)의 탄성에 대항하여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홈(111)에 걸려 있던 걸림편(113)이 걸림홈(111)로부터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후방으로 밀면, 조향핸들(40)을 구성하는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하단에 결합된 넥 바디(30)가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넥 바디(3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1)가 넥 가이드(20)의 가이드판(21)에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홈(2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넥 바디(20), 핸들축(41), 핸들암(42), 핸들포스트(43), 손잡이(45)를 포함하는 조향핸들(40) 전체가 후방으로 하향 회동하면서 접히기 시작한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
조향핸들(40)이 접힘에 따라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상단에 결합된 로킹판(121)의 걸고리(122)가 전방발판(11)의 전방발판 프레임(11a)과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에 접근하게 되며, 조향핸들(40)이 완전히 접히기 직전에 이르면, 로킹판(121)의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에 접촉하면서 로킹판(121)이 토션스프링(127)의 탄성에 대항하여 회동하여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과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을 통과하게 되며,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과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을 통과하게 되면, 토션스프링(127)의 탄성에 의하여 로킹판(121)이 복원되면서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 걸리게 됨과 아울러 걸림편(123)이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게 되어 조향핸들(40)과 이에 결합된 넥 바디(30)는 임의로 세워지는 일이 없이 로킹된다(도 27 내지 도 30 참조).
이때,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 걸린 걸고리(122)는 조향핸들(40)이 세워지는 방향에 대하여 로킹작용을 하게 되고,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후단부 상면에 걸린 걸림편(123)은 조향핸들(40)이 더 접히는 방향에 대하여 로킹작용을 하게 되어 조향핸들(40)은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22는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에서 넥 가이드(20)에 대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고, 도 25는 조향핸들(40)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넥 가이드(20)에 대한 넥 바디(30)의 위치를 보인 것이다.
[조향핸들의 길이조절 과정]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구성하는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에 구비된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구성하는 클램프 레버(44e)를 위로 당기면, 연장편(44c)을 조이던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으로부터 이완되며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 외주면을 조이던 C자형 조임링(44a)이 이완되어 하단 핸들포스트(43a)와 중단 핸들포스트(43b)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중단 핸들포스트(43b)와 상단 핸들포스트(43c) 및 핸들손잡이(45)를 하단 핸들포스트(43a) 방향으로 누르면 하단 핸들포스트(43a)가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핸들포스트(43)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도 34 내지 도 36 참조).
핸들포스트(43)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후, 클램프 레버(44e)를 누르면,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을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이완되어 있던 C자형 조임링(44a)이 조여지게 되고,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하단부 내주면이 하단 핸들포스트(43a)의 외주면에 조여지게 되어 핸들포스트(43)가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에 구비된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구성하는 클램프 레버(44e)를 위로 당기면, 연장편(44c)을 조이던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으로부터 이완되며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 외주면을 조이던 C자형 조임링(44a)이 이완되어 중단 핸들포스트(43b)와 상단 핸들포스트(43c)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상단 핸들포스트(43c) 및 핸들손잡이(45)를 중단 핸들포스트(43b) 방향으로 누르면 중단 핸들포스트(43b)가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핸들포스트(43) 전체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도 37 내지 도 39 참조).
핸들포스트(43)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 후, 클램프 레버(44e)를 누르면, 조임캠부(44f)가 연장편(44c)을 조이게 되고, 이에 따라 이완되어 있던 C자형 조임링(44a)이 조여지게 되고,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하단부 내주면이 중단 핸들포스트(43b)의 외주면에 조여지게 되어 핸들포스트(43)가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조향핸들(4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는 경우에는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하단 핸들포스트(43a), 중단 핸들포스트(43b) 및 상단 핸들포스트(43c)의 길이를 길게 한 다음, 다시 핸들포스트 고정수단(44)을 조이면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를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조향핸들(40)의 길이를 라이더의 신체조건에 따라 도31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게 하거나 도 34 내지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을 보관하거나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조향핸들(40)의 길이를 최소 길이로 짧게 조절하여 보관이나 운반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접이식 핸들손잡이를 접는 과정]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한 상태에서 접이식 핸들손잡이(45)의 손잡이봉(47a)에 나사결합되고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를 감싸고 있는 로킹링(48d)을 이완되는 방향으로 돌려서 로킹링(48d)이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다음, 접이식 핸들손잡이(45)를 당기면서 돌림으로써 접이식 핸들손잡이(45)가 힌지장공(48b)에 지지되는 슬라이드힌지핀(48c)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로킹링(48d)을 조임방향으로 돌려서 그 선단부가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핸들손잡이(45)가 임의로 회동되지 않도록 한다(도 31 참조).
[캐리어형 운반 과정]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0)과 조향핸들(40)이 모두 접힌 상태에서 전륜(60)과 후륜(70)이 지면에 닿도록 하고 라이더는 고정손잡이(46)를 잡고 견인하여 캐리어형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전륜(60)과 후륜(70)이 좌우방향 동일선상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하고 있으므로 캐리어형으로 운반과정에서 킥보드가 좌우로 넘어지려고 하는 일이 없이 안정되고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킥보드를 지면에 세워두는 과정]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0)과 조향핸들(40)을 접은 상태에서 전륜(60)과 후륜(70)이 지면에 착지되도록 하면,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이 동시에 지면에 착지되어 킥보드가 4점에서 지면에 착지되므로 킥보드가 임의로 넘어지는 일이 없이 안정된 자세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0 참조).
이때, 전조등(130)과 후미등(140)은 하우징의 가장자리가 렌즈보다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렌즈가 지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렌즈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라이딩 상태로 복원]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0)과 조향핸들(40)을 모두 접은 상태에서 다시 라이딩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먼저, 접힌 접이식 핸들손잡이(45)를 펼치는 과정과 접힌 조향핸들(40)을 세우는 과정과 발판(10)을 펼치는 과정을 순차 진행한다.
[접이식 핸들손잡이의 펼침 과정]
도 31 내지 도 39에 도시한 상태에서 선단부가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에 밀착되어 있는 로킹링(48d)을 이완되는 방향으로 돌려서 선단부가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에서 이격되도록 한 다음, 접이식 핸들손잡이(45)를 돌려서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와 동일선 상에 놓이도록 하고, 다시 로킹링(48d)을 로킹방향으로 돌려서 슬라이드회동지지대(48a)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핸들손잡이(45)가 펼쳐진 상태로 로킹된다.
[조향핸들을 세우는 과정]
조향핸들 접힘로커(120)를 구성하는 로킹판(121)의 로킹해제손잡이(124)를 전방을 향해 누르면 로킹판(121)이 토션스프링(127)의 탄성에 대항하여 회동하여 걸고리(122)가 전방발판 프레임(11a)의 후단부 하면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걸림편(123)이 전방발판 상면데코패널(11b)의 상면에서 이탈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 사이의 접힘상태 로킹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전방을 향해 상향 회동시키면 조향핸들(40)이 세워지면서 조향핸들(40)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넥 바디(30)의 가이드돌기(31)가 넥 가이드(20)의 가이드홈(22)을 따라 안내되면서 전방을 향해 상향 이동하게 되며, 조향핸들(40)이 완전히 세워지기 직전에 이르면 조향핸들 세움로커(110)를 구성하는 로킹판(112)의 걸림편(113)이 넥 가이드(20)의 걸림홈(111)에 접근하게 되고, 이때, 로킹판(112)의 로킹해제레버(115)를 누른 상태에서 조향핸들(40)을 더 회동시켜 걸림편(113)이 걸림홈(111)에 일치하도록 한 다음, 로킹해제레버(115)를 놓으면 토션스프링(114)의 탄성에 의하여 로킹판(112)이 회동하면서 걸림편(113)이 걸림홈(111)에 삽입되어 조향핸들(40)이 세워진 상태로 로킹된다.
[발판을 펼치는 과정]
발판접힘로커(100)를 구성하는 탄성후크(101)의 로킹해제레버(115)를 눌러서 걸고리(102)가 걸림편(104)의 걸림턱(105)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접힘상태 로킹을 해제하고, 발판접이수단(80)의 힌지핀(83)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발판(12)을 수평방향으로 돌리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펼쳐지게 되고,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완전히 펼쳐지기 직전에 이르면, 탄성후크(91)의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 근접하게 되며,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 접촉하면서 토션스프링(95)의 탄성에 대항하여 벌어졌다가 걸고리(92)와 걸림홈(94)이 완전히 일치되면 토션스프링(95)의 탄성에 의하여 탄성후크(91)가 회동하면서 걸고리(92)가 걸림홈(94)에 끼워지게 되어 전방발판(11)과 후방발판(12)이 임의로 접히는 일이 없이 펼쳐진 상태로 로킹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발판
11: 전방발판
11a: 전방발판 프레임
11b: 상면데코패널
11c: 전방발판 측면데코패널
11d: 저면데코패널
12: 후방발판
12a: 후발발판 프레임
12b: 상면데코패널
12c: 측면데코패널
12d: 저면데코패널
20: 넥 가이드
21: 가이드판
22: 원호형 가이드홈
23: 연결판
30: 넥 바디
31: 가이드돌기
32: 조향핸들지지공
40: 조향핸들
41: 핸들축
42: 핸들암
43: 핸들포스트
43a: 하단 핸들포스트
43b: 중단 핸들포스트
43c: 상단 핸들포스트
44: 핸들포스트 고정수단
44a: 조임링
44b, 44c: 연장편
44d: 클램프 로드
44e: 클램프 레버
44f: 조임캠부
45: 핸들손잡이
46: 고정손잡이
46a: 손잡이봉
46b: 손잡이고무
47: 접이식 손잡이
47a: 손잡이봉
47b: 손잡이고무
48: 핸들손잡이로커
48a: 슬라이드회동지지대
48b: 힌지장공
48c: 슬라이드힌지핀
48d: 로킹링
50: 포크
51: 수평판
52: 차축지지판
60: 전륜
61: 전륜차축
62: 전륜휠
63: 전륜타이어
70: 후륜
71: 후륜차축
72: 후륜휠
73: 후륜타이어
80: 발판접이수단
81, 82: 힌지편
83: 힌지핀
90: 발판펼침로커
91: 탄성후크
92: 걸고리
93: 로킹해제손잡이
94: 걸림홈
95: 토션스프링
100: 발판접힘로커
101: 탄성후크
102: 걸고리
103: 걸림편
104: 걸림편
105: 걸림턱
106: 고정편
110: 조향핸들 세움로커
111: 걸림홈
112: 로킹판
113: 걸림편
114: 토션스프링
115: 로킹해제레버
120: 조향핸들 접힘로커
121: 로킹판
122: 걸고리
123: 걸림편
124: 로킹해제손잡이
125: 지지부
126: 지지축
127: 토션스프링
130: 전조등
140: 후미등
141: 후륜흙받이
151, 152: 데코플레이트

Claims (3)

  1. 조향핸들, 전륜, 후륜 및 ‘전방발판과 후방발판으로 구성된 발판’을 포함하는 접이식 킥보드이되,
    상기 발판을 접는 발판접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판접이수단은 상기 전방발판의 후단부 일측과 후방발판의 전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전, 후방발판을 회동시켜 접기 위한 것이되, 상기 회동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접이수단에 의하여 상기 발판이 접어짐으로써, 상기 킥보드의 전륜 및 후륜이 일정 거리 이격하여 동일선상에서 나란히 위치하며,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발판의 전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설치되는 조향핸들이되,
    상기 조향핸들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조향핸들이 상기 발판에 고정되기 위한 조향핸들 접힘로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는 중간부가 핸들포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에 걸리는 걸고리와, 전단부에 형성되는 로킹해제손잡이를 가지는 로킹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발판은 상면데코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핸들 접힘로커에는 상기 걸고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발판의 상기 상면데코패널의 후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을 세운 상태에서 상기 조향핸들이 상기 발판에 고정되기 위한 조향핸들 로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1020160104518A 2016-08-17 2016-08-17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10215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18A KR102150090B1 (ko) 2016-08-17 2016-08-17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18A KR102150090B1 (ko) 2016-08-17 2016-08-17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120A Division KR101660466B1 (ko) 2014-10-20 2014-10-20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087A Division KR20200103595A (ko) 2020-08-25 2020-08-25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899A KR20160100899A (ko) 2016-08-24
KR102150090B1 true KR102150090B1 (ko) 2020-08-31

Family

ID=5688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18A KR102150090B1 (ko) 2016-08-17 2016-08-17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038B1 (ko) * 2019-04-17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KR102451058B1 (ko) * 2021-03-22 2022-10-06 주식회사 대화에스피엠 킥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202Y1 (ko) * 2000-10-28 2001-05-02 김재호 킥보드의 절첩구조
KR200321749Y1 (ko) 2003-04-08 2003-07-31 장병수 킥보드
KR200358887Y1 (ko) 2004-05-12 2004-08-11 이갑수 킥보드
US20090160143A1 (en) 2007-12-21 2009-06-25 Pluto Technologies, Inc. Skateboard Deck and Spring-Based Truck
US20120256386A1 (en) 2010-12-02 2012-10-11 Jacques Benarrouch Three-piece folding scoo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85389B (zh) * 2009-06-15 2011-09-28 邰举 一种折叠式踏板车
KR20110121235A (ko) * 2010-04-30 2011-11-07 박성인 스윙 보드
KR101270756B1 (ko) 2011-11-02 2013-06-03 김영산 접철식 퀵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202Y1 (ko) * 2000-10-28 2001-05-02 김재호 킥보드의 절첩구조
KR200321749Y1 (ko) 2003-04-08 2003-07-31 장병수 킥보드
KR200358887Y1 (ko) 2004-05-12 2004-08-11 이갑수 킥보드
US20090160143A1 (en) 2007-12-21 2009-06-25 Pluto Technologies, Inc. Skateboard Deck and Spring-Based Truck
US20120256386A1 (en) 2010-12-02 2012-10-11 Jacques Benarrouch Three-piece folding sco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899A (ko)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466B1 (ko)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102468886B1 (ko)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US11535330B2 (en) Folding bicycle and method of use
US20120018968A1 (en) Scoo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501141B2 (en) Folding tricycle
US3419283A (en) Folding bicycles
US7341270B1 (en) Rear carrier rack for a folding bicycle
US9266579B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TWM289405U (en) Folding bike
US7134677B2 (en) Foldable scooter
US20060290081A1 (en) Multi-function child transporter
US20080185812A1 (en) Collapsible bicycle
US10683026B2 (en) Tricycle tow platform
JP2017500251A (ja) 複合型スクータおよび手押し車
KR102150090B1 (ko)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US8814193B2 (en) Drop-down bicycle trailer
KR20160100898A (ko)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JP7077340B2 (ja) 折り畳まれた自転車を転動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KR100971651B1 (ko) 접이식 자전거
KR100935324B1 (ko) 접이식 자전거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JP3132037U (ja) 折り畳み式二輪車
CN212685830U (zh) 折叠式电动滑板车
US3999777A (en) Bicycle trailer
RU2274575C1 (ru) Складной веломоби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