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24B1 -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24B1
KR100935324B1 KR1020090090980A KR20090090980A KR100935324B1 KR 100935324 B1 KR100935324 B1 KR 100935324B1 KR 1020090090980 A KR1020090090980 A KR 1020090090980A KR 20090090980 A KR20090090980 A KR 20090090980A KR 100935324 B1 KR100935324 B1 KR 10093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ocking
joint block
fix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원
Original Assignee
박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원 filed Critical 박인원
Priority to KR102009009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24B1/ko
Priority to PCT/KR2010/006517 priority patent/WO201103741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4Fork crow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62K3/04Frames having a substantially horizontal top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앞바퀴를 지지하는 헤드 튜브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시트 튜브를 연결하는 크로스 바아의 일측 단부 또는 양단에 접이를 위한 관절구조를 두되, 튜브에 고정되는 가동 관절블록과 크로스 바아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 관절블록이 서로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통해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접이되는 부분이 횡 방향이 아닌 종 방향으로 접이되도록 한 것으로, 접이동작에 소요되는 점유면적이 감소되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쉽게 접이가 가능하고, 부품수의 절감과 동작의 단순화를 통해 기술 적용에 어려움이 없고 고장 발생의 최소화와 제조 공정을 감소시켜 제작원가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접이 준비 과정과 접이 동작의 신속 간편함을 통해 취급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되는 관절블록간의 결속 안정성과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 구조의 사용수명의 연장과 자전거의 사용 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접이 후의 체적이 최소화되고 접이 상태에서 전후 바퀴의 축이 횡으로 일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끌고 이동하거나 안정되게 세워 놓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과 거치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접이식, 자전거, 관절구조, 종방향 접이.

Description

접이식 자전거{the folder type bicycle}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앞바퀴를 지지하는 헤드 튜브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시트 튜브를 연결하는 크로스 바아의 일측 단부 또는 양단에 접이를 위한 관절구조를 두되, 튜브에 고정되는 가동 관절블록과 크로스 바아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 관절블록이 서로 소정 각도의 경사면을 통해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접이되는 부분이 횡 방향이 아닌 종 방향으로 접이되도록 한 것으로, 접이동작에 소요되는 점유면적이 감소되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쉽게 접이가 가능하고, 부품수의 절감과 동작의 단순화를 통해 기술 적용에 어려움이 없고 고장 발생의 최소화와 제조 공정을 감소시켜 제작원가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접이 부분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무게 중심을 찾아 자동으로 안으로 모여지면서 자동 접이되도록 함으로써 접이 준비 과정과 접이 동작의 신속 간편함을 통해 취급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되는 관절블록간의 결속 안정성과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여 접이 구조의 사용수명의 연장과 자전거의 사용 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크로스 바아가 바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방식이므로 접이 후의 체적이 최소화되고 접이 상태에서 전후 바퀴의 축이 횡으로 일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끌고 이동하거나 안정되게 세워 놓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과 거치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과거 교통수단으로만 여겨져 왔던 자전거는, 최근 들어 건강과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이나 취미활동목적으로서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악용(山岳用), 묘기용(妙技用) 등 다양한 목적과 기능의 자전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자동차와 같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교통수단 대신에, 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자전거를 사용하자는 움직임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전거 전용도로 등의 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도 점차 늘고 있다.
이렇듯, 자전거의 다양한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집중으로 인하여, 주거형태가 아파트와 같은 집단주거형태 변화하면서 협소한 주거 공간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보관이 어려워지고, 녹지가 점차 줄어들면서 산악용 자전거 등 야외 취미활동을 위해서는 자전거를 멀리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체로서 자전거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접이부를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자전거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자전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한편 도 17에서는 자전거의 접이를 위한 일 예의 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며, 이의 구조는 앞바퀴(41)를 잡아주는 헤드 튜브(42)와 안장 하부의 시트 튜브(43) 사이를 한 개의 크로스 바아(44)로 연결하고, 이 크로스 바아(44)의 중간을 힌지(45)로 연결하여 횡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좌우로 접힐 수 있도록 하면서 노브(46)를 통해 임의로 접은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접은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8내지 도 20는 또 다른 구조의 자전거 접이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헤드 튜브(50)와 안장 하부의 시트 튜브(51)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 바아(52)를 두되 크로스 바아(52)가 시트 튜브(51)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상단에 걸림홈(54)을 가진 로킹관(53)을 시트 튜브(51)에 일체로 연결 구성시키며 시트 튜브(51)에는 상기한 로킹관(53)의 걸림홈(54)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로킹봉(55)과 이 로킹 봉(55)을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노브(56)를 두도록 한 것으로,
자전거의 접이 시에는 노브를 풀러 로킹봉(55)을 로킹관(53)에서 분리 해제시킨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52)와 앞바퀴 부분을 시트 튜브(51)를 중심으로 뒤로 돌려 도 19에서와 같이 일차적으로 접어준 후 접이 과정에서 뒷바퀴(58)보다 하향 위치되는 앞바퀴(57)를 헤드 튜브(50)의 포크(50')에서 분리시킨 뒤 따로 운반, 보관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상기한 기존의 구조 중 두 구조 모두 크로스 바아(44)(52)가 각각 힌지(45)와 시트 튜브(43)(51)를 중심으로 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접이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접이동작에 소요되는 점유면적이 증가되어 협소한 장소에서는 접이가 불가능하여 공간이 넓은 장소로 옮겨 접이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전자는 접이 후 크로스 바아(44)의 일부분이 바퀴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어서 접은 부피가 커짐으로써 보관 장소가 한정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운반 이동이 불편하게 되었으며,
또한 접이를 위한 크로스 바아(44)의 관절이 일반적인 힌지구조를 적용한 것이어서 종 방향으로의 지지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것이어서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수직하중과 진동이 크게 작용되는 산악용에 적용될 경우 관절의 변형과 고장을 초래하여 관절의 사용수명의 단축과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8내지 도 20에 도시된 후자의 종래 구조는 접이 시 크로스 바아(52)의 형성 각도에 의해 전 후 바퀴의 축이 같은 높이로 일치하지 못하고 앞바퀴(57)가 뒷바퀴(58) 보다 밑으로 돌출되는 것이어서 접이 후의 체적 감소가 크지 않아 할 수 없이 튀어나온 앞바퀴(57)를 헤드 튜브(50)의 포크(50')에서 분리시킨 후 따로 운반 보관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그리고, 앞바퀴의 신속한 착탈을 위해 일반적인 너트 고정식이 아닌 별도의 레버식 노브(59)를 적용하여 앞바퀴와 포크를 체결하도록 하는 구조이어서 제조공정과 제작원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있었으며,
또한 비접이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52)의 무단 회동을 방지시키기 위한 로킹 구조인 노브(56)가 크로스 바아(52)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취급 시 외부의 접촉이 용이하게 되며, 구조 상 잦은 진동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나 노브의 장시간 사용 시 접촉면의 마모로 인한 마찰력 감소로 노브의 체결력이 무단으로 이완되기 쉬워 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이동작에 소요되는 점유면적을 감소시켜 협소한 장소에서도 쉽게 접이가 가능하며, 부품수의 절감과 동작의 단순화가 가능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접이 부분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무게 중심을 찾아 자동으로 안으로 모여지면서 자동 접이되도록 함으로써 접이 준비 과정과 접이 동작의 신속 간편함을 추구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되는 관절블록간의 결속 안정성과 지지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크로스 바아가 바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접이 후의 체적이 최소화되고 접이 상태에서 전후 바퀴의 축이 횡으로 일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끌고 이동하거나 안정되게 세워 놓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바퀴를 지지하는 헤드 튜브와 뒷바퀴를 지지하는 시트 튜브를 연결하는 크로스 바아의 일측 단부 또는 양단에 접이를 위한 접이용 관절을 두되, 헤드와 시트 튜브에 각각 고정되는 가동 관절블록과 크로스 바아의 양단에 고정되는 고정 관절블록이 서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접촉면을 갖는 상태에서 종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접이되는 부분이 횡 방향이 아닌 종 방향으로 접이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 튜브 상단에 핸들 로킹구조를 두어 핸들과 앞바퀴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접이된 부위가 무단으로 접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절구조에 접이 로킹구조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접이되는 부위가 기존과 같이 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접이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상하의 종 방향으로 접이되는 것이므로 접이 동작에 소요되는 점유면적이 감소되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쉽게 접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구조에 비해 부품수의 절감과 동작의 단순화가 가능하여 기술 적용에 어려움이 없고 고장 발생의 최소화와 제조 공정을 감소시켜 제작원가의 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접이 부분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무게 중심을 찾아 자동으로 안으로 모여지면서 자동 접이되도록 함으로써 접이 준비 과정과 접이 동작의 신속 간편함을 통해 취급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 및 고정관절 블록을 일정 각도로 비틀어 고정시킴으로써 접이되는 전, 후 바퀴를 평행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가동 관절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고정관절 블록의 본체와 걸림턱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토록 하여 하중의 편중방지를 통한 변형 억제력 개선을 통한 접이 구조의 사용수명의 연장 및 고정 관절블록의 걸림턱이 가동관절 블록의 상단을 입체적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관절에의 횡방향 충격 시 가동 및 고정관절 블록간의 이탈 억제를 통해 자전거의 사용 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크로스 바아가 바퀴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접이 후의 체적이 최소화되고 접이 상태에서 전후 바퀴의 축이 횡으로 일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끌고 이동하거나 안정되게 세워 놓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과 거치에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보이는 자전거의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예시도로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자전거(1)는 일반적인 앞바퀴(2)와 뒷바퀴(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앞바퀴(2)의 상단에는 핸들(4)의 축(4')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튜브(5)가 설치되며 뒷바퀴(3)의 축 양 끝단은 지지 프레임(6)을 통해 안장(7)의 하단에 위치한 시트 튜브(8)에 고정된다.
상기 헤드 튜브(5)에는 횡으로 크로스 바아(9)의 일단이 고정되고 이 크로스 바아(9)의 타단과 시트 튜브(8)의 내측 사이에는 접이용 관절(10)을 결합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접이용 관절(10)에는 접이 각도를 제한시킴과 동시에 접이용 관절(10)을 접이 또는 비 접이상태로 로킹시켜 주기위한 접이 로킹구조(20)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헤드 튜브(5)의 상단에는 핸들 로킹구조(30)를 두어 핸들(4)의 축(4')과 앞바퀴(2)를 일정한 각도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접이용 관절(10)의 상세구성은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의 도면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접이용 관절(10)은,
헤드 튜브(5) 또는 시트 튜브(8)의 내측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가동 관절블록(11)과, 고정축(13)을 통해 이 가동 관절블록(11)과 밀접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9)의 일 측단 또는 양측 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관절블록(12)으로 대별되게 구성된다.
상기 가동 관절블록(11)은,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11A)을 두고 있으며, 상기 가동 관절블록(11)과 마주 접촉하는 고정 관절블록(12) 또한 본체(12A)의 일측 면에 상기 가동 관절블록(11)의 경사면(11A)과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는 동일 각도의 경사면(12B)을 갖게 되며, 상기 고정 관절블록(12)의 본체(12A)의 상부에는 가동 관절블록(11)의 역방향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2C)이 구성된다.
그리고, 마주 접하는 가동 관절블록(11)과 고정 관절블록(12)에는 상호 축 중심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경사면(11A)(12B)과 직각으로 고정축(13)을 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이 로킹구조(20)는,
상기 고정 관절블록(12)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요입 구성되는 접이 로킹공(21) 및 비 접이 로킹공(21')과,
상기 가동 관절블록(11)에 천공되며 외측단 내연부에 스프링 걸림턱(24')을 구비하는 설치공(24)과,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접이 로킹공(21) 및 비 접이 로킹공(21')에서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24)내에 유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중간에 스프링 받침편(22B)을 구비하는 로킹봉(22A)과, 이 로킹봉(22A)의 상단에 일체로 구성되는 상태에서 설치공(24)의 외부로 노출되며 손잡이 기능을 하는 머리부(22C)를 포함하는 로킹핀(22)과,
상기 머리부(22C)와 설치공(24)의 스프링 걸림턱(24')사이에 설치되며 로킹핀(22)에 내측 방향으로의 상시 몰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23)으로 구성하게 된다.
한편 헤드 튜브(5)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핸들 로킹구조(30)는,
조임을 위한 오므라짐 변형이 가능하도록 헤드 튜브(5)의 상단에서 분리 구성되고 단부에 일체로 지지편(32')이 절곡 구비되는 수축부(32)를 포함하며 단부에 고정편(33)을 돌출 구비하는 상태로 상기 헤드 튜브(5)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형성되는 로킹편(31)과,
상기 수축부(32)의 지지편(32')과 로킹편(31)의 고정편(33)에 결합 설치되는 조임봉(34)과,
상기 조임봉(34)의 일측 단부에 고정핀(36)을 통해 편심되게 축설되는 편심 누름구(35')를 갖는 로킹 레버(35)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용 관절(10)을 시트 튜브(8)측의 한 군데에 적용한 상태로서, 자전거를 탈수 있는 상태 즉 비 접이 상태에서는,
상기 접이 로킹구조(20)의 로킹봉(22A)이 도 8에서와 같이 비 접이 로킹공(2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로서 이때, 스프링(23)의 탄발력에 의해 로킹핀(22)은 비 접이 로킹공(21')으로의 몰입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인위적으로 로킹핀(22)의 머리부(22A)를 잡아당겨 로킹봉(22A)이 상기 비 접이 로킹공(21')에서 이탈되도록 하지 않는 이상 비 접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핸들 로킹구조(30)는 원형 단관 형태의 수축부(32)와 로킹편(31)의 내에 끼워진 핸들의 축(4')이 헤드 튜브(5)와 체결 구속되지 않도록 하여 핸들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6(A) 및 도 16(B)에서와 같이 언 로킹 상태 즉 로킹레버(35)를 도 16(A)의 실선과 같이 당겨 해정상태로 위치시킴으로써 고정축(36)을 기준으로 편심 누름구(35')의 단(短)측부가 로킹편(31)쪽으로 위치되어 편심 누름구(35')가 고정편(33)을 가압하지 않게 됨으로써 수축부(32)와 로킹편(31)이 수축되지 않아 핸들의 축(4')을 구속하지 않게 되는 상태이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은 자전거의 운전 가능한 상태에서 자전거의 운전 필요성이 종료되어 자전거를 차량에 싣거나 체적을 축소하여 이동할 필요성이 있어 자전거를 접이하기 위하여는 먼저 도 8(B)에서와 같이 인위적으로 가동 관절블록(11)의 외부로 돌출된 로킹핀(22)의 머리부(22C)를 잡아당겨 주게 되면 로킹핀(22)이 외향으로 인출되면서 로킹봉(22A)의 내측 단부가 상기 비 접이 로킹공(21')에서 빠져나오면서 가동 관절블록(11)이 고정 관절블록(12)의 구속에서 해제되어 접이를 위한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 바아(9)를 잡고 위로 들어 올려주게 되면 가동 관절블록(11)과 연결된 부분 즉 안장(7)과 시트 튜브(8), 지지프레임, 뒷바퀴(3)등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이 되는 고정축(13) 쪽으로 옮겨져 시계방향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종 방향 접이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접이용 관절(10)의 가동 관절블록(11)은 무게 중심의 이동을 따라 하향 회동하면서 점차 세워지게 되고 경사면(11A)(12B)간의 경사각 접촉을 통해 가동 관절블록(11)이 일정 각도만큼 비틀어지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뒷바퀴(3)가 크로스 바아(9)와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한편 인출 상태로 회동되는 로킹봉(22A)의 내측 단부가 상기 접이 로킹공(21)에 도달하면 스프링(23)의 탄발력을 통해 로킹봉(22A)의 내측 단부가 자동적으로 돌출되면서 접이 로킹공(21)에 끼워져 걸리게 되면서 가동 관절블록(11)과 고정 관절블록(12)이 상호 구속됨을 통해 자전거의 접이 동작이 완료된다.
이후에는 핸들(4)을 틀어 도 3에서와 같이 앞바퀴(2)를 접혀진 뒷바퀴(3)와 평행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이 팽행 유지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핸들 로킹구조(30)의 로킹 레버(35)를 도 16(A)의 가상선에서와 같이 로킹 방향으로 돌려주면, 도 16(C)에서와 같이 고정축(36)을 기준으로 편심 누름구(35')의 장(長)측부가 로킹편(31)쪽으로 위치되면서 고정축(36)이 고정편(33)에서 멀어지게 되고 따라서 고정축(36)에 축설된 조임봉(34)이 당겨지게 되면서 동시에 조임봉(34)에 연결 지지된 지지편(32')이 당겨져 수축부(32)를 안으로 오므라지게 함으로써 내경이 수축되는 로킹편(31)과 수축부(32)의 내면부가 끼워진 핸들의 축(4')의 외면을 강하게 압압하여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튜브(5)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바퀴(2)와 일체로 회동 조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핸들(4)의 축(4')과, 크로스 바아(9)와 일체로 연결되어 회동이 불가능한 구조의 헤드튜브(5)가 로킹편(31)을 통해 상호 일체로 결속 고정되는 것이므로 평행이 유지된 앞바퀴(2)는 같이 움직이는 핸들의 축(4')이 회동될 수 없도록 로킹됨으로써 핸들의 축(4')의 구속에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앞바퀴(2)의 평행 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앞, 뒷바퀴(2)(3)가 상호 일치하게 되어 도 6과 같은 구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호 이격된 앞, 뒷바퀴(2)(3)의 두 접지점과 안장(7)이 지면에서 삼각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세워 질 수 있어 거치가 편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용 관절(10)과 접이 로킹구조(20)는 도 12에서와 같이 크로스 바아(9)의 양단과 헤드 튜브(5) 및 시트 튜브(8)의 내측연부 사이에 이중으로 적용시켜 도 13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앞바퀴(2)와 뒷바퀴(3)를 동시에 안쪽으로 접이시켜 로킹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접이용 관절(10)과 접이 로킹구조(20)의 동작은 상기한 도 2내지 도 3에서의 접이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동 관절블록(11)과 고정 관절블록(12)에 구성되는 경사면(11A)(12B)의 경사각이 클수록 접이 시 앞, 뒷바퀴(2)(3)간의 간격이 비례하여 커짐으로써 접이 후의 체적과 구름 이동시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0은 설명을 편의를 위하여 접이용 관절(10)의 고정 시 비틀림 각을 주지 않고 정립 상태로 헤드 튜브와 시트튜브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이와 같이 접이용 관절(10)을 고정하게 되면 가동 관절블록(11)의 회동 시 경사면(11A)의 경사각으로 인해 이에 고정된 헤드 튜브(5)나 시트튜브(8) 또한 외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결국 앞, 뒷바퀴(2)(3)가 수직으로 세워지지 않고 상측이 안쪽으로 기울게 되어 구름이동이 원활치 못할 뿐 아니라 종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고정 관절블록(12)의 본체(12A)가 아닌 걸림턱(12C)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과 파손이 초래될 수 있으며 또한 좌우의 횡 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일치하는 고정 관절블록(12)의 걸림턱(12C)은 전혀 억제력을 가질 수 없고 본체(12A) 또한 일 방향의 외력만을 담당할 뿐 양방향의 외력을 모두 담당할 수는 없어 고정축(13)의 결속 부위에 취약성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정 방식에서 초래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접이용 관절(10)의 고정 시 소정 각도의 비틀림을 주어 헤드 튜브(5)와 시트튜브(8)에 고정시킨 것으로,
구조상 가동 관절블록(11)의 회동 시 경사면(11A)의 경사각으로 인해 이에 고정된 헤드 튜브(5)나 시트튜브(8) 또한 외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미리 경사각만큼 고정 관절블록(12)과 가동 관절블록(11)을 이동되는 쪽으로 비틀어 준 상태로 고정시키게 되면 결국 앞, 뒷바퀴(2)(3)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어 구름이동이 원활하게 될 뿐 아니라 종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고정 관절블록(12)의 본체(12A)와 걸림턱(12C)에 분산되게 가해짐으로써 변형과 파손이 방지 될 수 있으며 또한 좌우의 횡 방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본체(12A)와 걸림턱(12C)이 가동 관절블록(11)의 상단의 양 측면을 모두 입체적으로 지지 홀딩하게 됨으로써 접이용 관절(10)의 안정된 결속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보이는 자전거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을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이시킨 상태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접이시킨 자전거를 세워 거치시킨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도 6은 접이시킨 자전거를 끌고 이동하는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동 및 고정관절블록의 분리 사시도.
도 8(A)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절구조의 비 접이 상태로 로킹된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 예시도.
도 8(B)는 도 8(A)에서 접이를 위해 로킹핀을 당겨주는 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절구조를 헤드 튜브와 시트튜브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이는 종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절구조를 비틀지 않은 정립 상태로 헤드 튜브와 시트튜브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이는 종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절구조를 소정의 비틀림을 주어 헤드 튜브와 시트튜브에 고정시킨 상태를 보이는 종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크로스 바아의 양단에 관절구조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이는 자전거의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 예시도.
도 14는 도 12를 도 13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이시킨 상태를 보이는 평면 예시도.
도 15는 도 14의 측면 예시도.
도 16(A)는 도 1에 적용된 핸들 로킹구조의 요부 확대도.
도 16(B)및 도 16(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핸들 로킹구조의 언 로킹 및 로킹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17은 기존의 접이식 자전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18은 기존의 접이식 자전거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예시도.
도 19은 도 18의 접이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도 20은 도 19에서 앞바퀴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이는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접이식 자전거 2:앞바퀴
3:뒷바퀴 4:핸들
5:헤드 튜브 6:지지 프레임
7:안장 8:시트 튜브
9:크로스 바아 10:접이용 관절
11:가동 관절블록 11A:경사면
12:고정 관절블록 12A:본체
12B:경사면 13:고정축
20:접이 로킹구조 21:로킹공
22:로킹핀 22A:머리부
22B:로킹단부 23:스프링
30:핸들 로킹구조 31:로킹편
32:수축부 33:고정편
34:조임봉 35:레버

Claims (5)

  1. 앞바퀴(2)와 뒷바퀴(3)를 구비하며, 상기 앞바퀴(2)의 상단에는 핸들(4)의 축(4')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 튜브(5)가 설치되고 뒷바퀴(3)의 축 양 끝단은 지지 프레임(6)을 통해 안장(7)의 하단에 위치한 시트 튜브(8)에 고정되는 통상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시트 튜브(8)의 내측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태에서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11A)을 구비하는 가동 관절블록(11)과, 고정축(13)을 통해 상기 가동 관절블록(11)과 밀접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태로 크로스 바아(9)의 일 측단에 고정 설치되며, 본체(12A)에 상기 가동 관절블록(11)의 경사면(11A)과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는 동일 각도의 경사면(12B)과 가동 관절블록(11)의 역방향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12C)을 구비하는 고정 관절블록(12)을 각각 포함하여 구성되는 접이용 관절(10)과;
    상기 고정 관절블록(12)의 내면에 상호 이격되는 상태로 요입 구성되는 접이 로킹공(21) 및 비 접이 로킹공(21')과, 상기 가동 관절블록(11)에 천공되며 외측단 내연부에 스프링 걸림턱(24')을 가진 설치공(24)과, 하단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접이 로킹공(21) 및 비 접이 로킹공(21')에서 삽탈될 수 있도록 상기 설치공(24)내에 유동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며 중간에 스프링 받침편(22B)을 구비하는 로킹봉(22A) 및 이 로킹봉(22A)의 상단에 일체로 구성되는 상태에서 설치공(24)의 외부로 노출되며 손잡이 기능을 하는 머리부(22C)를 포함하는 로킹핀(22)과, 상기 머리부(22C)와 설치공(24)의 스프링 걸림턱(24')사이에 설치되며 로킹핀(22)에 내측 방향으로의 상시 몰입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동 관절블록(11)의 접이 각도를 제한시켜 접이용 관절(10)을 접이 또는 비 접이상태로 로킹시켜 주기위한 접이 로킹구조(20)와;
    조임을 위한 오므라짐 변형이 가능하도록 헤드 튜브(5)의 상단에서 분리 구성되고 단부에 일체로 지지편(32')이 절곡 구비되는 수축부(32)를 포함하며 단부에 고정편(33)을 돌출 구비하는 상태로 상기 헤드 튜브(5)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 형성되는 로킹편(31)과, 상기 수축부(32)의 지지편(32')과 로킹편(31)의 고정편(33)에 결합 설치되는 조임봉(34)과, 상기 조임봉(34)의 일측 단부에 고정핀(36)을 통해 편심되게 축설되는 편심 누름구(35')를 갖는 로킹 레버(3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로킹편(31)내에 끼워지는 핸들(4)의 축(4')과 앞바퀴(2)를 선택적으로 임의의 각도에서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 해제시키기 위한 핸들 로킹구조(30);
    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튜브(5) 및 시트 튜브(8)에 고정되는 접이용 관절(10)에 비틀림 각을 주어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용 관절(10)을 크로스 바아(9)의 양단과 헤드 튜브(5) 및 시트 튜브(8)의 내측연부 사이에 이중으로 적용시켜 앞바퀴(2)와 뒷바 퀴(3)가 동시에 안쪽으로 접이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KR1020090090980A 2009-09-25 2009-09-25 접이식 자전거 KR10093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80A KR100935324B1 (ko) 2009-09-25 2009-09-25 접이식 자전거
PCT/KR2010/006517 WO2011037419A2 (ko) 2009-09-25 2010-09-24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80A KR100935324B1 (ko) 2009-09-25 2009-09-25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324B1 true KR100935324B1 (ko) 2010-01-06

Family

ID=4180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80A KR100935324B1 (ko) 2009-09-25 2009-09-25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51B1 (ko) 2010-03-03 2010-07-22 박인원 접이식 자전거
KR101490848B1 (ko) 2013-05-29 2015-02-06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KR20150041735A (ko) * 2013-10-08 2015-04-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퀴 평행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KR20180057799A (ko) 2016-11-22 2018-05-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전거
USD964218S1 (en) * 2020-03-14 2022-09-20 Thomas Martin Piszkin Electric-assist adult stri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88Y1 (ko) 2001-10-19 2002-01-24 육종령 자전거용 절첩구
KR200314798Y1 (ko) 2003-01-29 2003-05-27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접이식 자전거
KR100853023B1 (ko) 2007-02-16 2008-08-20 임춘남 접이식 자전거
KR100854018B1 (ko) 2008-05-26 2008-08-26 제너럴로터(주) 휴대용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88Y1 (ko) 2001-10-19 2002-01-24 육종령 자전거용 절첩구
KR200314798Y1 (ko) 2003-01-29 2003-05-27 주식회사 알톤스포츠 접이식 자전거
KR100853023B1 (ko) 2007-02-16 2008-08-20 임춘남 접이식 자전거
KR100854018B1 (ko) 2008-05-26 2008-08-26 제너럴로터(주) 휴대용 자전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51B1 (ko) 2010-03-03 2010-07-22 박인원 접이식 자전거
KR101490848B1 (ko) 2013-05-29 2015-02-06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자전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KR20150041735A (ko) * 2013-10-08 2015-04-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퀴 평행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KR101579230B1 (ko) 2013-10-08 2015-1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바퀴 정렬형 접이식 자전거
KR20180057799A (ko) 2016-11-22 2018-05-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자전거
USD964218S1 (en) * 2020-03-14 2022-09-20 Thomas Martin Piszkin Electric-assist adult stri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239B2 (en) Foldable utility cart
KR100935324B1 (ko) 접이식 자전거
US7290780B2 (en) Folding bicycle
US9120523B2 (en) Foldable frame for two-wheel vehicle
KR101139065B1 (ko) 접이식 자전거 프레임
EP2336014B1 (fr) Véhicule transformable permettant de passer d'un mode de roulage à empattement long à celui d'un empattement court en une seule opération rapide
TWM289405U (en) Folding bike
KR100908789B1 (ko)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KR102468886B1 (ko) 개량형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100971651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40067950A (ko) 차량 프레임 보강 및 잠금 장치
CN103895672B (zh) 一种沙滩推车
JP2010042710A (ja) 前二輪自転車
KR102150090B1 (ko)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WO2006031128A1 (en) Scooter
KR100911241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WO2012034158A1 (en) Folding diamond type frame for a bicycle
CN204056145U (zh) 一种折叠自行车
EP3634842B1 (fr) Velo pliant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CN201026941Y (zh) 一种自行车衣物架及安装有该衣物架的伸缩自行车
WO2011017818A1 (zh) 一种四轮平板车的脚轮定位收合装置
US20020093164A1 (en) Skate cart kickstand
KR20110015088A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WO2011037419A2 (ko) 접이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