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789B1 -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789B1
KR100908789B1 KR1020090008409A KR20090008409A KR100908789B1 KR 100908789 B1 KR100908789 B1 KR 100908789B1 KR 1020090008409 A KR1020090008409 A KR 1020090008409A KR 20090008409 A KR20090008409 A KR 20090008409A KR 100908789 B1 KR100908789 B1 KR 10090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olding
bracket
steer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운
Original Assignee
박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운 filed Critical 박성운
Priority to KR102009000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6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separate evaporating and condensing chambers connected by at least one conduit; Loop-type heat pipes; with multiple or common evaporating or condensing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27Cooling by change of state, e.g. use of heat p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2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oling heat generating elements, e.g. for cooling electronic components or electric devices
    • F28D2021/0029Heat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전륜이 한쌍으로 구비되어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절첩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후륜부와 안장부를 절첩시킬 수 있어 더욱 최소한의 부피를 갖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고, 안정성능이 향상된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는, 수평으로 배치된 센터프레임;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단에 축설된 기동스프로켓과 이에 연결된 크랭크축 및 페달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센터프레임의 전단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결합되며 한쌍의 전륜이 설치된 전륜부;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단 상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부에 안장이 구비된 안장포스트;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후륜프레임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일단에 축설된 허브축과 상기 허브축에 결합된 후륜 및 상기 기동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축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이 구비된 후륜부;로 구성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후륜프레임에는 후륜의 허브축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음프레임이 더 설치되고, 상기 이음프레임과 안장포스트를 연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음프레임과 완충기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08409
자전거, 접이, 전륜, 한쌍, 후륜

Description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folding vehicle equipped a pair of front wheel}
본 발명은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륜이 한쌍으로 구비되어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절첩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후륜부와 안장부를 접을 수 있어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고, 안정성능이 향상된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전거는 사용자가 다리로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면 체인이 후륜을 회전구동시켜 운행된다.
또한, 전륜에 부속된 조향축 및 핸들을 조작하여 방향조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는 전륜과 후륜이 각각 하나씩만 구비되어 있어 균형잡기가 어려워 균형감각이나 운동감각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주부 또는 노약자 등은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후륜을 복수개로 구성한 삼륜 자전거 또는 전륜과 후륜을 복수개로 구성한 사륜 자전거 등이 개발되어 어린이나 주부 또는 노약자 등도 쉽게 균형을 잡으면서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관한 선행특허를 몇가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공개특허 2002-337779호에는 「삼륜차」가 게시되어 있다.
도 21은 일본공개특허 2002-337779호에 대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여 일본공개특허 2002-337779호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페달(67)과 체인(70)으로 연결된 하나의 후륜(WR)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안장(71)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5), 메인프레임(25)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핸들포스트, 핸들포스트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개재된 상태로 상부에는 조향핸들(28)이 장착되고 하부에는 조향암이 고정부착된 조향축(27), 핸들포스트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링크브라켓, 링크브라켓의 좌우양측에는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하부링크, 조향축(27)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륜장착부를 견인하면서 한쌍의 전륜(WFL)이 조향작동 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대(33L)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차이다.
한편, 미국특허공보 제5544906호에는 「인력으로 구동되는 누워서 타는 탈것」가 게시되어 있다.
도 22는 미국특허공보 제5544906호에 대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미국특허공보 제5544906호는, 조향축과 연결된 지지 대(38), 지지대(38)와 전륜을 연결하는 요크, 요크에서 지지대(38)가 회전가능하도록 체결하는 수직핀으로 구성된 인력으로 구동되는 누워서 타는 탈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미국특허공보 제6953203호에는 「인력 탈것」이 게시되어 있다.
도 23은 미국특허공보 제6953203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미국특허공보 제6953203호는 연결판의 양끝에 각각 잠금장치와 전륜지지대(130a,b)가 연결되어 전륜지지대(130a,b)와 전륜(138)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력 탈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미국특허공보 제5762351호에는 「고정 및 운전 경사조절시스템을 갖는 다중 트랙 탈것」이 게시되어 있다.
도 24는 미국특허공보 제5762351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미국특허공보 제5762351호는 속력센서, 관성센서, 위치센서, 토크센서, 엔진속력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값을 제어판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이를 근거로 자전거의 추가 동력을 생산하는 엔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및 운전 경사조절시스템을 갖는 다중 트랙 탈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7761호에는 「앞에 이륜을 갖는 주행차」가 게시되어 있다.
도 25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7761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7761호는 핸들포스트(4)의 하단부에는 좌우에 전륜(6)이 연결된 연결프레임(10)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결 합부(11)를 구비하고 핸들포스트(4)의 중단부에는 스프링(12)을 장착하는 연결고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에 이륜을 갖는 주행차에 관한 것이다.
한편, 미국특허공보 제4903857호에는 「 원심력 보상으로 기울어지는 탈것 」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공보 제4903857호는 2개의 전륜을 갖는 전방 프레임; 상기 2개의 전륜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향수단; 단일 후륜을 갖는 후방 프레임; 그리고 상기 후방 프레임과 상기 조향수단과 상기 전방 프레임에 결합되며 피봇식을 대신하여 기울어짐 방식으로 상기 조향수단의 방향전환을 수행하여 방향전환하는 조절수단 및 상기 전방 프레임과 2개의 전륜 및 결합된 그들 뿐 아니라 상기 조향수단도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방향전환 실행부로 구성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2008-0089976호의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자전거를 출원한 바 있다.
도 26은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인 특허출원 2008-0089976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여, 상기 2008-0089976호를 살펴보면, 후방에는 페달(5)과 체인으로 연결된 하나의 후륜(3)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안장(4)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과, 상기 메인프레임(2)의 전방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프론트축(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축(8)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관통 개재된 상태로 상부에는 핸들(11)이 장착되고 프론트축(8)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하단면에는 조향판(12)이 고정부착된 조향축(10)으로 이루어진 프론트축부(6)와,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프론트축부(6)의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축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축지부를 중심으로 프론트축부(6)가 좌우회동되면서 프론트축부(6)에 연결된 메인프레임(2)의 중심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축지부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전륜지지프레임(22a)(22b)이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고정부착된 전륜지지축(20)과, 상기 각 전륜지지프레임(22a)(22b)의 외측 끝단에 축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륜(7a)(7b)이 각각 연결장착되는 한쌍의 전륜장착부(37a)(37b)와, 상기 조향판(12)의 후방 양측과 각 전륜장착부(37a)(37b)의 후방을 각각 연결하여 조향축(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전륜장착부(37a)(37b)를 견인하면서 한쌍의 전륜(7a)(7b)이 조향작동되도록 하는 한쌍의 조향대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한 선행기술들은 전륜을 복수로 구비함으로써 주행이 좀더 안정적이고, 특히 차체가 기울어짐에 의해 방향전환이 더욱 안정되고 짧은 반경으로 조향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실용적인 면으로 살펴보면, 상기 선행기술들은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매우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도 어렵고, 운반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는 레저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자전거에도 접이기능이 있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선행기술들로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이미 공지된 기술인 폴딩자전거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센터프레임을 접 어서 측면으로 밀착시키는 기술 정도인데, 이는 자전거의 중간부위를 접어서 옆으로 붙이는 정도이므로 여전히 그 부피가 큰 문제점은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들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전륜이 상호 근접되게 절첩가능하고, 특히 후륜 및 후륜프레임이 센터프레임의 하부로 접혀져 밀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장포스트가 센터프레임의 상부로 접혀져 밀착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쌍의 전륜을 전개시켰을때 그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구조를 개선한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향축과 전륜부가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곡선로를 주행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여 커브를 돌 수 있도록 한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의 일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다.
수평으로 배치된 센터프레임;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단에 축설된 기동스프로켓과 이에 연결된 크랭크축 및 페달로 구성된 구동부; 상기 센터프레임의 전단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하부에 결합되며 한쌍의 전륜이 설치된 전륜부;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단 상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부에 안장이 구비된 안장포스트; 상기 센터프레임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후륜프레임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일단에 축설된 허브축과 상기 허브축에 결합된 후륜 및 상기 기동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축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이 구비된 후륜부;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후륜프레임에는 후륜의 허브축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음프레임이 더 설치되고, 상기 이음프레임과 안장포스트를 연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음프레임과 완충기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완충기와 이음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된 지지대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나사봉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 핸들; 상기 완충기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결합판; 으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의 나사봉을 상기 결합판의 끼움홈에 끼우고 핸들을 조임으로써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장포스트의 중간부위에는 안장을 센터프레임의 상부측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접이부는,
상,하부로 이분된 안장포스트 중에서 상부안장포스트의 하단에 형성된 제1접이브라켓; 하부안장포스트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접이브라켓과 힌지핀으로 결합된 제2접이브라켓; 상기 제1접이브라켓에 나사결합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결합되며 첨부를 갖는 고정구와, 상기 나사축에 결합된 핸들로 구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구의 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접이브라켓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륜부는,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하부힌지브라켓과, 상기 하부힌지브라켓의 양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하부링크축과, 상기 하부링크축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하부너클로 구성된 하부연결부재; 상기 조향축의 상부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상부힌지브라켓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의 양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부링크축과, 상기 상부링크축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상부너클로 구성된 상부연결부재; 상기 하부 및 상부연결부재의 너클을 연결하는 너클연결축; 상기 너클연결축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너클연결축의 고정브라켓끼리 연결 고정시키는 가로지지바; 상기 상부링크축과 조향축을 연결하며,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기울어짐 운동을 하도록 하는 텐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상부링크축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와 하부링크축의 힌지결합부에는 잠금수단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상,하부연결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부재브라켓; 상기 상,하부링크축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브라켓와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링크축브라켓; 상기 연결부재브라켓의 단부에 나사결합된 나사축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브라켓 및 링크축브라켓의 측면에 밀착되는 걸림구를 갖는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재는, 상기 조향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 상기 상부연결부재와 좌,우상부링크축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에 그 양단부가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슬리브축; 상기 슬리브축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향축에는 센터프레임의 상부로 접힐 수 있도록 조향축접이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조향축접이부는, 상,하로 이분된 조향축에서 상부조향축의 하단에 형성되며 일측에 조임구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핀홈이 형성된 상부접이브라켓; 하부조향축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접이브라켓의 일단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된 하부접이브라켓; 상기 하부접이브라켓의 타단에 끼워지며 일측이 돌출되어 상기 핀홈에 끼워지는 멈춤핀; 상기 멈춤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조임구홈에 삽입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레버로 구성된 접이부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 의하면, 한쌍의 전륜이 상호 근접되게 절첩가능하고, 특히 후륜 및 후륜프레임이 센터프레임의 하부로 접혀져 밀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안장포스트가 센터프레임의 상부로 접혀져 밀착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한쌍의 전륜을 전개시켰을때 가로지지바에 의해 고정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조향축과 전륜부가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곡 선로를 주행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여 커브를 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점을 종합해보면, 종래 한쌍의 전륜을 갖는 자전거에 비해 접철이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여 보다 개선된 자전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A)는, 수평으로 배치된 센터프레임(F1);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에 축설된 기동스프로켓(31)과 이에 연결된 크랭크축(32) 및 페달(33)로 구성된 구동부(3); 상기 센터프레임(F1)의 전단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향축(W); 상기 조향축(W)의 하부에 결합되며 한쌍의 전륜(FW-1)이 설치된 전륜부(FW);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 상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부에 안장(42)이 구비된 안장포스트(4);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후륜프레임(RW-2)과, 상기 후륜프레임(RW-2)의 일단에 축설된 허브축(RW-3)과 상기 허브축(RW-3)에 결합된 후륜(RW-1) 및 상기 기동스프로켓(31)과 체인(C)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축(RW-3)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RW-4)이 구비된 후륜부(RW);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후륜프레임(RW-2)에는 후 륜(RW-1)의 허브축(RW-3)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음프레임(F2)이 더 설치되고, 상기 이음프레임(F2)과 안장포스트(4)를 연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SU)가 더 설치되며, 상기 이음프레임(F2)과 완충기(SU)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Q)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통상의 자전거의 기본 구조와 유사하다. 즉, 일정 길이를 갖는 센터프레임(F1)이 수평으로 배치되고, 센터프레임(F1)의 전단에는 수직되게 조향축(W)이 설치되며, 상기 조향축(W)의 하부에는 한쌍의 전륜(FW-1)을 갖는 전륜부(FW)가 결합되고, 조향축(W)의 상부에는 조향핸들(W2) 및 브레이크 레버(W3)가 장착된다.
또한, 센터프레임(F1)의 후단에는 기동스프로켓(31)이 축설되고, 이 기동스프로켓(31)의 중심에 크랭크축(32)이 각기 상반되는 각도로 결합되며 크랭크축(32)의 단부에는 페달(33)이 힌지결합되어 구동부(3)를 구성한다.
상기 구동부(3)의 기동스프로켓(31)은 후륜부(RW)의 종동스프로켓(RW-4)과 체인(C)으로 연결됨으로써 페달(33)을 밟는 답력이 후륜(RW-1)에 전달되어 기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 상부에는 후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안장포스트(4)가 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착석이 가능토록 안장(42)이 결합된다.
후륜부(RW)는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후륜프레임(RW-2); 상기 후륜프레임(RW-2)의 일단에 축설된 허브축(RW-3); 상기 허브축(RW-3)에 결합 된 후륜(RW-1); 및 상기 기동스프로켓(31)과 체인(C)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축(RW-3)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RW-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전거의 기본 구성외에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상기 후륜프레임(RW-2)에 후륜의 허브축(RW-3)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음프레임(F2); 상기 이음프레임(F2)과 안장포스트(4)를 연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SU); 상기 이음프레임(F2)과 완충기(SU)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Q);이 더 설치된 것에 있다.
상기 이음프레임(F2)은 대략 "U"자 형상이며, 그 갈라진 양끝단이 허브축(RW-3)에 각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후륜프레임(RW-2)에 수직되게 용접된 지지대(F4)에 고정설치된다.
완충기(SU)는 후륜(RW-1)및 안장(42)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통상의 쇽업쇼버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갖는 슬리브타입으로 설치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대별된 구성요소들마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수단
고정수단(Q)은 이음프레임(F2)과 완충기(SU)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것으로, 고정수단(Q)을 해제하면 이음프레임(F2)과 완충기(SU)가 분리됨으로써 안장포스트(4)와 후륜프레임(RW-2)이 분리된 상태가 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고정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2는 결합된 상태이고, 도 3은 분리된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Q)은,
상기 완충기(SU)와 이음프레임(F2)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된 지지대(F4)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나사봉(Q1)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 핸들(Q2);
상기 완충기(SU)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Q1)이 끼워지는 끼움홈(Q32)이 형성된 결합판(Q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Q2)의 나사봉(Q1)을 상기 결합판(Q3)의 끼움홈(Q32)에 끼우고 핸들(Q2)을 조임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접이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안장포스트의 접이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안장포스트의 접이부"를 분리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포스트(4)의 중간부위에는 안장(42)을 센터프레임(F1)의 상부측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부(6)가 형성된다.
상기 접이부(6)는,
상,하부로 이분된 안장포스트(4) 중에서 상부안장포스트(42)의 하단에 형성 된 제1접이브라켓(61);
하부안장포스트(4)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접이브라켓(61)과 힌지핀(60)으로 결합된 제2접이브라켓(62);
상기 제1접이브라켓(61)에 나사결합된 나사축(641)과, 상기 나사축(641)에 결합되며 첨부를 갖는 고정구(642)와, 상기 나사축(641)에 결합된 핸들(643)로 구성된 고정부재(64);
상기 고정구(642)의 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접이브라켓(62)에 형성된 고정홈(6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접이브라켓(61)은 제2접이브라켓(6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형성되며, 제1접이브라켓(61)의 측단에 고정부재(64)의 나사축(641)이 결합되며, 상기 나사축(641)에는 고정구(642)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642)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편체로써 그 양단부에는 첨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64)의 고정구(642)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2접이브라켓(62)에는 고정홈(622)이 형성된다.
상기 첨부가 ">" 형상임을 고려하여, 이에 부합되도록 상기 고정홈(622)은 ">"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접이브라켓(61)과 제2접이브라켓(62)을 중첩되게 접은 상태에서 핸들(643)을 회전시켜 조이면 상기 고정구(642)의 첨부가 상기 고정홈(622)에 삽입되어 밀착 고정된다.
전륜부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전륜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6은 정면에서 본 모습이고, 도 7은 후면에서 본 모습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부(FW)는,
상기 조향축(W)의 하단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하부힌지브라켓(FW-21)과, 상기 하부힌지브라켓(FW-21)의 양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하부링크축(FW-22)과, 상기 하부링크축(FW-22)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하부너클(FW-23)로 구성된 하부연결부재(FW-2);
상기 조향축(W)의 상부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상부힌지브라켓(FW-31)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FW-31)의 양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부링크축(FW-32)과, 상기 상부링크축(FW-32)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상부너클(FW-33)로 구성된 상부연결부재(FW-3);
상기 하부 및 상부연결부재(FW-2,FW-3)의 상,하부너클(FW-33,FW-23)을 연결하여 조향축(W)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너클연결축(FW-4);
상기 각 너클연결축(FW-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전륜(FW-1);
상기 조향축(W)의 하단과 일측의 전륜(FW-1)에 연결된 너클연결축(FW-4)을 연결하는 조향전달바(FW-7);
상기 각 너클연결축(FW-4)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FW-5)끼리 연결 고정시키는 가로지지바(FW-6);
상기 상부링크축(FW-32)과 조향축(W)을 연결하며,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기울어짐 운동을 하도록 하는 텐션부재(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너클(FW-33,FW-23)은 상,하부연결부재(FW-3,FW-2)와 너클연결축(FW-4)을 연결하기 위한 링크부재로써, 일측에는 상,하부링크축(FW-32,FW-22)과 수평되게 축핀으로 힌지결합되며, 타측에는 너클연결축(FW-4)과 수직되게 축핀으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너클연결축(FW-4)은 하부 및 상부연결부재(FW-2,FW-3)의 상,하부너클(FW-33,FW-23)을 연결하는 수직의 부재로써, 각 전륜(W)마다 설치되므로 조향축(W)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너클연결축(FW-4)에는 회전가능하도록 한쌍의 전륜(FW-1)이 결합된다.
상기 조향전달바(FW-7)는 일단이 조향축(W)의 하단에 돌출된 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그 타단은 일측의 전륜(FW-1)에 연결된 너클연결축(FW-4)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FW-5)의 상부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조향축(W)의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의 비틀림 회동에 연동되어 너클연결축(FW-4)에 연결된 일측의 전륜(FW-1)이 좌,우로 방향전환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로지지바(FW-6)는 상기 각 너클연결축(FW-4)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FW-5)의 하부에 연결되어 횡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한쌍의 전 륜(FW-1)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FW-5)의 단부에 수직으로 볼트를 삽입하고, 이 볼트에 가로지지바(FW-6)를 연결시킴으로써 상호 이격된 한쌍의 전륜(FW-1)을 서로 연결시켜 일체로 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조향축(W)의 회동에 연동하여 조향전달바(FW-7)가 좌,우측으로 당겨
지거나 밀림에 의해 일측의 전륜(FW-1)이 방향전환하게 되면, 결국 상기 가로지지바(FW-6)의 연동작용에 의해 타측의 전륜(FW-1)도 동시에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잠금수단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잠금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상부연결부재(FW-3)와 상부링크축(FW-32)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FW-2)와 하부링크축(FW-22)의 힌지결합부에는 잠금수단(h)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수단(h)은,
상기 상,하부연결부재(FW-3,FW-2)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재브라켓(h1);
상기 상,하부링크축(FW-32,FW-22)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링크축브라켓(h2);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의 단부에 나사결합된 나사축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 및 링크축브라켓(h2)의 측면에 밀착되는 걸림구(h4)를 갖는 핸들(h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과 링크축브라켓(h2)에는 상기 핸들(h3)의 걸림구(h4)가 삽입되도록 걸림홈(h5)이 각기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은 링크축브라켓(h2)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크기가 형성되며, 연결부재브라켓(h1)과 링크축브라켓(h2)을 접은 상태에서 각각의 걸림홈(h5)이 일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h4)는 육각머리형상이며,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절첩된 연결부재브라켓(h1)과 링크축브라켓(h2)에는 걸림홈(h5)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브라켓(h1)과 링크축브라켓(h2)을 접은 후 상기 핸들(h3)을 조이면 걸림구(h4)가 걸림홈(h5)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되어 고정될 수 있다.
텐션부재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텐션부재"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부재(T)는, 자전거를 타고 커브를 돌 경우 사용자가 몸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이면, 그 하중에 의해 센터프레임(F1) 및 안장포스트(4)가 기울어질 수 있어 원심력에 의해 보다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고, 안정된 커브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텐션부재(T)는,
상기 조향축(W)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T1);
상기 상부연결부재(FW-3)와 좌,우상부링크축(FW-32)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브라켓(T2);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T1,T2)에 그 양단부가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슬리브축(T5);
상기 슬리브축(T5)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T1,T2)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T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텐션부재(T)는 조향축(W)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됨으로써 좌,우로 기울어짐 및 원상회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축(T5)은 복수의 관체가 슬리브타입으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스프링(T3)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해 그 길이가 축소되거나 신장될 수 있어 스프링(T3)이 굴곡되지 않도록 가이드해주게 된다.
조향축접이부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조향축접이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10은 잠금상태이고, 도 11은 해제상태이다.
조향축접이부(E)는 조향축(W)을 반으로 접어 조향핸들(W2)이 센터프레임(F1)의 상부로 접어질 수 있도록 하며, 역으로 조향축(W)을 세워서 고정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장치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축접이부(E)는,
상,하로 이분된 조향축(W)에서 상부조향축(W1)의 하단에 형성되며 일측에 조 임구홈(E11)이 형성되고, 타측에 핀홈(E12)이 형성된 상부접이브라켓(E1);
하부조향축(W)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접이브라켓(E1)의 일단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된 하부접이브라켓(E2);
상기 하부접이브라켓(E2)의 타단에 끼워지며 일측이 돌출되어 상기 핀홈(E12)에 끼워지는 멈춤핀(E3);
상기 멈춤핀(E3)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조임구홈(E11)에 삽입되는 나사축(E42)과, 상기 나사축(E42)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레버(E43)로 구성된 접이부고정수단(EQ);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접이브라켓(E1)은 장방형의 판상이며 양측 장변과 일측 단변은 하부로 절곡되어 측벽이 형성되고, 타측 단변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E13)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E13)에 조임구홈(E11)이 형성된다.
상부접이브라켓(E1)의 일측 장변에는 하부가 개구된 핀홈(E12)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구홈(E11)은 일단이 외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됨으로써 접이부고정수단(EQ)의 나사축(64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접이브라켓(E2)은 상부접이브라켓(E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장방형 판상으로써 일측에 상기 핀홈(E12)에 삽입되는 멈춤핀(E3)이 설치된다.
상기 멈춤핀(E3)은 내부에 스프링(T3)이 삽입되어 있어 누르면 압입되고,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T3)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도록 한 것으로, 멈춤핀(E3)에 형성된 환턱(E32)이 상기 핀홈(E12)에 삽입되어 상,하부접이브라켓(E2)이 고정된 상 태가 된다.
접이부고정수단(EQ)은 레버(E43)를 회전시켜 나사축(641)이 인입되도록 한 후 일측으로 제끼면 레버(E43)의 볼록부가 상부접이브라켓(E1)을 가압하여 밀착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통상의 자전거에 적용되는 조임부재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작동관계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과 작동예시를 도 12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안장포스트"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고정부재(64)의 핸들(643)을 풀어서 고정구(642)가 고정홈(6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후 상부안장포스트(42)를 센터프레임(F1)의 상부를 향해 회전시켜 접는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후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고정수단(Q)의 핸들(643)을 풀면 나사봉(Q1)이 끼움홈(Q32)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완충기(SU)와 이음프레임(F2)이 분리된다.
이후, 후륜프레임(RW-2)을 하방으로 회전시키면 센터프레임(F1)의 하부로 접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조향축 접이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접이부고정수단(EQ)의 레버(E43)를 젖혀 돌출부(E13)와 이격시킨 후 나사축(641)을 조임구홈(E11)에서 빼내어 분리한 다음 멈춤핀(E3)을 누르면 환턱(E32)이 인입됨으로써 핀홈(E12)과 분리된다.
따라서, 상부접이브라켓(E1)과 하부접이브라켓(E2)은 축핀을 회전점으로 하여 분리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된 상부조향축(W)을 센터프레임(F1)에 대해 접는다. 이때 조향핸들(W2)은 옆으로 90°정도 방향전환시켜서 가로폭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전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가로지지바(FW-6)를 너클연결축(FW-4)의 고정브라켓(FW-5)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잠금수단(h)을 풀어서 양측의 전륜(FW-1)이 상호 접힐 수 있도록 한다.
즉, 핸들(h3)을 풀면 걸림구(h4)가 걸림홈(h5)에서 이탈됨으로써 연결부재브라켓(h1)과 링크축브라켓(h2)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하부링크축(FW-32,FW-22)을 센터프레임(F1)을 향하여 접으면, 상,하부너클(FW-33,FW-23)의 힌지된 결합구조에 의해 전륜(FW-1)은 센터프레임(F1)에 근접되도록 접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의 "전륜부"에는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향중에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자세유지수단(B)이 더 구비된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자세유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16은 조향핸들이 직진일때의 "자세유지수단" 상태일 때의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유지수단은 조향축(W)의 외주에 대칭 형성된 좌,우측 지지편(BL,BR)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 지지편(BL,BR)은 텐션부재(TL,TR)의 슬리브축(T5)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한 것으로, 조향핸들(W2)을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전환시 조향축(W)이 회전되고, 이에 동반하여 좌,우측 지지편(BL,BR)도 회전된다.
상기 좌,우측 지지편(BL,BR)은 마치 비행기의 날개와 같이 후미익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17은 조향핸들이 좌측을 향할때의 평면도이며, 도 18은 상기 도 17의 정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으로 방향전환시 조향축(W)의 우측 지지편(BR)이 우측 텐션부재(TL,TR)의 슬리브축(T5)의 상단에 위치된다.
만약 운전미숙으로 인해 좌측 방향전환 도중에 몸을 우측으로 기울이면 우측 텐션부재(TR)의 슬리브축(T5)이 압착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그 상단이 우측 지지편(BR)에 접촉됨으로써 더이상 우측 텐션부재(TR)의 압착은 방지되므로 이에 의해 자전거가 더이상 기울어지지 않게 되어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조향핸들이 우측을 향할때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상기 도 19의 정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으로 방향전환시 운전미숙으로 몸을 좌측으로 기울였을때 넘어지지 않도록 좌측 텐션부재(TL)의 슬리브축(T5)의 상단이 좌측 지지편(BL)에 접촉되어 더이상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좌측 방향전환과정과 동일하므로 생략토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고정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2는 결합된 상태이고, 도 3은 분리된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안장포스트의 접이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안장포스트의 접이부"를 분리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전륜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6은 정면에서 본 모습이고, 도 7은 후면에서 본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잠금수단"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텐션부재"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조향축접이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10은 잠금상태이고, 도 11은 해제상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안장포스트"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후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조향축접이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전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르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에서 조향핸들이 직진일때의 "자세유지수단" 상태일 때의 평면도.
도 17은 조향핸들이 좌측을 향할때의 평면도,
도 18은 상기 도 17의 정면도
도 19는 조향핸들이 우측을 향할때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상기 도 19의 정면도.
도 21은 일본공개특허 2002-337779호에 대한 도면.
도 22은 미국특허공보 제5544906호에 대한 도면.
도 23은 미국특허공보 제6953203호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미국특허공보 제5762351호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37761호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인 특허출원 2008-0089976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각 구성에서 주요 구성 부호에 대한 설명>
3 … 구동부 F1 … 센터프레임
F2 … 이음프레임 RW-2 … 후륜프레임
Q … 고정수단 4 … 안장포스트
SU … 완충기 64 … 고정부재
Q … 고정수단 FW-1 … 전륜
FW-2 … 하부연결부재 FW-3 … 상부연결부재
31 … 기동스프로켓 RW-4 … 종동스프로켓
RW-2 … 후륜프레임 RW-1 … 후륜
32 … 크랭크축 33 … 페달
C … 체인 FW-6 … 가로지지바
FW-5 … 고정브라켓 h … 잠금수단
h1 … 연결부재브라켓

Claims (8)

  1. 수평으로 배치된 센터프레임(F1);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에 축설된 기동스프로켓(31)과 이에 연결된 크랭크축(32) 및 페달(33)로 구성된 구동부(3); 상기 센터프레임(F1)의 전단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향축(W); 상기 조향축(W)의 하부에 결합되며 한쌍의 전륜(FW-1)이 설치된 전륜부(FW);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 상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며 상부에 안장(42)이 구비된 안장포스트(4); 상기 센터프레임(F1)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후륜프레임(RW-2)과, 상기 후륜프레임(RW-2)의 일단에 축설된 허브축(RW-3)과 상기 허브축(RW-3)에 결합된 후륜(RW-1) 및 상기 기동스프로켓(31)과 체인(C)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허브축(RW-3)에 축설된 종동스프로켓(RW-4)이 구비된 후륜부(RW)를 포함하고,
    상기 후륜프레임(RW-2)에는 후륜(RW-1)의 허브축(RW-3)과 경사지게 연결되는 이음프레임(F2);
    상기 이음프레임(F2)과 안장포스트(4)를 연결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SU);
    상기 이음프레임(F2)과 완충기(SU)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수단(Q);
    상기 조향축에 설치되며 조향중에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자세유지수단(B)을 포함하는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Q)은,
    상기 완충기(SU)와 이음프레임(F2)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수직되게 설치된 지지대(F4)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나사봉(Q1)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된 핸들(Q2);
    상기 완충기(SU)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봉(Q1)이 끼워지는 끼움홈(Q32)이 형성된 결합판(Q3)으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Q2)의 나사봉(Q1)을 상기 결합판(Q3)의 끼움홈(Q32)에 끼우고 핸들(Q2)을 조임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조향축(W)을 접어 센터프레임(F1)의 상부로 접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향축접이부(E)가 더 구비된 것이며,
    상기 조향축접이부(E)는,
    상,하로 이분된 조향축(W)에서 상부조향축(W1)의 하단에 형성되며 일측에 조임구홈(E11)이 형성되고, 타측에 핀홈(E12)이 형성된 상부접이브라켓(E1);
    하부조향축(W)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접이브라켓(E1)의 일단에 축핀으로 힌지 결합된 하부접이브라켓(E2);
    상기 하부접이브라켓(E2)의 타단에 끼워지며 일측이 돌출되어 상기 핀홈(E12)에 끼워지는 멈춤핀(E3);
    상기 멈춤핀(E3)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조임구홈(E11)에 삽입되는 나사축(E42)과, 상기 나사축(E42)의 상단에 힌지결합된 레버(E43)로 구성된 접이부고정수단(EQ)으로 포함하고,
    상기 자세유지수단은, 상기 조향축(W)의 외주에 대칭되게 형성된 좌,우측 지지편(BL,BR)이며, 상기 좌,우측 지지편(BL,BR)은 상기 텐션부재(TL,TR)의 슬리브축(T5)의 상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포스트(4)의 중간부위에는 안장(42)을 센터프레임(F1)의 상부측으로 접을 수 있는 접이부(6)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접이부(6)는,
    상,하부로 이분된 안장포스트(4) 중에서 상부안장포스트(42)의 하단에 형성된 제1접이브라켓(61);
    하부안장포스트(4)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접이브라켓(61)과 힌지핀(60)으로 결합된 제2접이브라켓(62);
    상기 제1접이브라켓(61)에 나사결합된 나사축(641)과, 상기 나사축(641)에 결합되며 첨부를 갖는 고정구(642)와, 상기 나사축(641)에 결합된 핸들(643)로 구성된 고정부재(64);
    상기 고정구(642)의 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접이브라켓(62)에 형성된 고정홈(6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부(FW)는,
    상기 조향축(W)의 하단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하부힌지브라켓(FW-21)과, 상기 하부힌지브라켓(FW-21)의 양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하부링크축(FW-22)과, 상기 하부링크축(FW-22)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하부너클(FW-23)로 구성된 하부연결부재(FW-2);
    상기 조향축(W)의 상부에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상부힌지브라켓(FW-31)과, 상기 상부힌지브라켓(FW-31)의 양측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상부링크축(FW-32)과, 상기 상부링크축(FW-32)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상부너클(FW-33)로 구성된 상부연결부재(FW-3);
    상기 하부 및 상부연결부재(FW-2,FW-3)의 상,하부너클(FW-33,FW-23)을 연결하여 조향축(W)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너클연결축(FW-4);
    상기 각 너클연결축(FW-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전륜(FW-1);
    상기 조향축(W)의 하단과 일측의 전륜(FW-1)에 연결된 너클연결축(FW-4)을 연결하는 조향전달바(FW-7);
    상기 각 너클연결축(FW-4)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브라켓(FW-5)끼리 연결 고정시키는 가로지지바(FW-6);
    상기 상부링크축(FW-32)과 조향축(W)을 연결하며,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기울어짐 운동을 하도록 하는 텐션부재(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T)는,
    상기 조향축(W)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T1);
    상기 상부연결부재(FW-3)와 좌,우상부링크축(FW-32)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제2브라켓(T2);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T1,T2)에 그 양단부가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슬리브축(T5);
    상기 슬리브축(T5)의 외주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T1,T2)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T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FW-3)와 상부링크축(FW-32)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FW-2)와 하부링크축(FW-22)의 힌지결합부에는 잠금수단(h)이 구비되며,
    상기 잠금수단(h)은
    상기 상,하부연결부재(FW-3,FW-2)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부재브라켓(h1);
    상기 상,하부링크축(FW-32,FW-22)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축핀으로 힌지결합된 링크축브라켓(h2);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의 단부에 나사결합된 나사축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브라켓(h1) 및 링크축브라켓(h2)의 측면에 밀착되는 걸림구(h4)를 갖는 핸들(h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7. 삭제
  8. 삭제
KR1020090008409A 2009-02-03 2009-02-03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KR100908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409A KR100908789B1 (ko) 2009-02-03 2009-02-03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409A KR100908789B1 (ko) 2009-02-03 2009-02-03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789B1 true KR100908789B1 (ko) 2009-07-22

Family

ID=4133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409A KR100908789B1 (ko) 2009-02-03 2009-02-03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78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24B1 (ko) * 2009-08-20 2009-12-16 (주)디아나바이크 삼륜 자전거
KR100941319B1 (ko) * 2009-09-11 2010-02-05 김용겸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노젓기식 자전거
KR101346836B1 (ko) 2012-03-16 2014-01-09 허홍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CN104309749A (zh) * 2014-10-28 2015-01-28 江苏大学 一种装在自行车上的折叠床
CN105314040A (zh) * 2015-09-03 2016-02-10 上海电机学院 折叠三轮电动车
KR101666321B1 (ko) 2015-10-06 2016-10-13 아크오토모티브주식회사 안티 롤링 유닛을 구비한 자전거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롤링 저감 방법
KR101730549B1 (ko) * 2015-08-12 2017-04-26 김지명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
KR101801159B1 (ko) 2016-09-19 2017-12-20 김정오 한 쌍의 전륜 폭 조절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
KR20210050900A (ko) * 2019-10-29 2021-05-10 백일기 4륜 스쿠터의 접이식 프레임 구조
KR20220149958A (ko) * 2021-05-03 2022-11-10 김용욱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744U (ja) * 2001-06-18 2001-12-26 存 義 ▲頼▼ 折り畳み式自転車フレームの構造
JP2004034845A (ja) * 2002-07-04 2004-02-05 Kusuki Seisakusho:Kk 自転車用折畳み式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744U (ja) * 2001-06-18 2001-12-26 存 義 ▲頼▼ 折り畳み式自転車フレームの構造
JP2004034845A (ja) * 2002-07-04 2004-02-05 Kusuki Seisakusho:Kk 自転車用折畳み式ハンドル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99/61304 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524B1 (ko) * 2009-08-20 2009-12-16 (주)디아나바이크 삼륜 자전거
KR100941319B1 (ko) * 2009-09-11 2010-02-05 김용겸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노젓기식 자전거
KR101346836B1 (ko) 2012-03-16 2014-01-09 허홍 접이식 역삼륜 전동 자전거
CN104309749A (zh) * 2014-10-28 2015-01-28 江苏大学 一种装在自行车上的折叠床
KR101730549B1 (ko) * 2015-08-12 2017-04-26 김지명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
CN105314040A (zh) * 2015-09-03 2016-02-10 上海电机学院 折叠三轮电动车
KR101666321B1 (ko) 2015-10-06 2016-10-13 아크오토모티브주식회사 안티 롤링 유닛을 구비한 자전거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롤링 저감 방법
KR101801159B1 (ko) 2016-09-19 2017-12-20 김정오 한 쌍의 전륜 폭 조절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
KR20210050900A (ko) * 2019-10-29 2021-05-10 백일기 4륜 스쿠터의 접이식 프레임 구조
KR102295344B1 (ko) 2019-10-29 2021-09-03 백일기 4륜 스쿠터의 접이식 프레임 구조
KR20220149958A (ko) * 2021-05-03 2022-11-10 김용욱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
KR102483730B1 (ko) 2021-05-03 2022-12-30 김용욱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789B1 (ko) 한쌍의 전륜이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
US3990717A (en) Collapsible vehicle
US468643A (en) clement
JP4686765B2 (ja) 三輪車
EP0497510B1 (en) Mountain-bike
US7290780B2 (en) Folding bicycle
US20090289434A1 (en) Folding bicycle
CA2277149A1 (en) Folding trailer gooseneck
JP2008168893A (ja) 2つのステアリング用前輪及び少なくとも1つの駆動後輪を備えたローリング車両
EA008789B1 (ru) Складной велосипед
WO2001008965A1 (en) Folding bicycle frame
KR101749716B1 (ko) 차량 프레임 보강 및 잠금 장치
US11260927B2 (en) Tricycle with height-tilting wheel suspension linked to the driving handlebar
EP2301833A1 (en) Twin-frame bicycle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US20100314852A1 (en) Dual riding and driving tricycle in juxtaposing link
JP3956175B2 (ja) 揺動機構を備えた車輪のついた杖
US20060125205A1 (en) Front wheel drive mechanism for bicycle
CA2549435A1 (en) Attachment for a bicycle
JP2003175876A (ja) 折畳み三輪車
CN100478246C (zh) 折叠式脚踏车
CN204056145U (zh) 一种折叠自行车
EP1212235B1 (en) Folding bicycle frame
EP2119622A1 (en) Foldable electric bicycle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