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088A -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088A
KR20110015088A KR1020090072624A KR20090072624A KR20110015088A KR 20110015088 A KR20110015088 A KR 20110015088A KR 1020090072624 A KR1020090072624 A KR 1020090072624A KR 20090072624 A KR20090072624 A KR 20090072624A KR 20110015088 A KR20110015088 A KR 2011001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edal
bicycle
tube
whit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성태
Original Assignee
손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성태 filed Critical 손성태
Priority to KR102009007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088A/ko
Publication of KR2011001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05Axle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the axle being supported at one end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3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 foldable crank 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025/042Suspensions with sprung hubs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통상적으로 일체화된 자전거 구조를 슬라이드 및 접 철 또는 회전 가능한 구조를 구비함으로 자전거의 부피가 콤팩트한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접 철 탑 튜브를 병풍 접듯이 접어 차체의 길이를 축소하는 수단;
상기 헤드 튜브에 헤드 복수 흰지를 구비하여 접 철 탑 튜브를 접음과 동시에 전륜 및 전륜 프레임 부 전체를 180도 회전하여 후 륜 부에 중첩 일체화시켜 두 개의 바퀴가 상호 대칭되어 하나의 바퀴 크기로 축소하는 수단;
상기 핸들 부에 관절부를 두어 접이 수단;
상기 페달 홀더의 회전 부를 구비하여 페달 홀더의 회전 접이 수단;
상기 스탠드 부에 확장 축소 가능한 2개의 상, 하부 스탠드를 구성하여 자전거 정차 시에 지면의 경사 및 높낮이에 상관없이 정상적인 주차하는 수단;
상기 전, 후 륜의 회전축 부에 두 개의 바퀴를 포개어 결합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접 철 탑 튜브, 헤드 복수 흰지, 헤드 복수 클립, 라운드형 시트튜브, 시트 튜브 관통 허브, 고정 핸들 바, 유동 핸들 바, 슬라이드 수용 핸들, 슬라이드 핸들, 페달 홀더, 페달 홀더 회전 부, 직선 돌기, 곡선 돌기, 걸림 클램프, 걸쇠 클램프, 상부 스탠드 바, 하부 스탠드 바, 발 레버

Description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Multi conver tible folding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주행 후 협소한 일정 장소에 이동 및 거치하기 위한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각 부분별로 접이 형태 또는, 슬라이드 및 회전 형태로 자전거의 부피를 최소한의 부피로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는 전륜 부를 탑 튜브로 후 륜과 일체화되어 부피가 커서 엘리베이터, 승용차 트렁크, 전철, 또는 A P T 내부, 사무실 등 협소한 공간에 거치하기에는 큰 부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전, 후 륜 사이의 프레임 일 측에 흰지 핀을 부착하여 자전거의 길이를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 형태의 자전거는 반으로 접은 자전거는 부피가 반 정도 밖에 축소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출원번호(10-2008-0048596) 휴대용자전거에 있어서 상기한 고안은 전, 후 륜 사이의 슬라이드 가능한 "ㅁ" 형 탑 튜브를 후 륜 측 또는 안장 부 하단에 슬라이드 가능한 관통 공이 형성된 "ㅁ" 형 각 파이프 하우징을 장착하여 "ㅁ" 형 탑 튜브가 관통함으로 전륜을 후진 슬라이드 하여 차체의 길이를 축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전, 후 륜의 두 개의 바퀴 크기가 축소되지 않음으로 차체 전체길이가 약 25%밖에 축소되지 않아 본래 목적인 자전거 축소효과에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출원번호(20-2001-0037636) 접이식 자전거의 고안에 있어서 전, 후 륜 사이의 탑 튜브 양 가장자리에 흰지 부를 두어 전륜과 후 륜을 회전 작동으로 접어 전, 후 륜의 바퀴가 중첩 일체화되도록 고안하였으나, 통상의 자전거 구조상 동력전달 장치에 있어서 주동 수프라켓과 후 륜의 종 동 수프라켓을 연동하는 수단은 금속성격의 체인을 사용한다. 상기한 접이식 자전거의 구성을 보면 주동, 종 동 수프라켓과 체인은 접을 수 없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출원은 상기 부분을 자세하게 기술하지 아니하고 전륜과 후 륜을 강제 끼워 맞추기 위한 도면으로 기계적 메커니즘으로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다수의 형태의 고안이 출원되었으나 본래 목적하는 콤팩트하고 손쉬운 접이식 자전거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및 흰지 부 회전, 튜브 접 철, 핸들 부 슬라이드 또는 접이 등의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 후 을 연결하는 탑 튜브를 2등분 하여 전륜 측 헤드 튜브의 헤드 브래킷에 헤드 복수 흰지를 장착하고 2등분 된 탑 튜브 중앙부에 관절부를 두어 접 철 탑 튜브 흰지와 탑 튜브 단 부에 후 륜 포크 흰지를 구비하여 1차적으로 전, 후 륜이 압축 축소되고, 이때 복수의 헤드 복수 흰지를 작동하여 전륜 부 전체를 회전하여 전, 후 륜 두 개의 바퀴가 상호 마주보게 중첩 일체화되어 최소한의 접이식 자전거를 구비한다.
또한, 핸들 부의 일 측 핸들을 슬라이드 하여 슬라이드 수용 핸들 바 내측으로 밀어 넣어 축소하는 구조와,
또한, 양측 핸들을 흰지 부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축소하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양측 페달 홀더를 회전 접이 하여 부피를 축소하고,
또한, 구동축 허브와 일체화된 라운드 형 시트 튜브와 하부 스테이지가 일체화된 구동부를 후 륜 회전축에 구비된 스테이 회전 베어링을 축으로 회전하여 수프라켓 및 구동부 전체를 회전하여 안장 부 하단으로 이동하여 축소하고,
이때 상, 하 작동 페달의 경우 구동 암을 다시 한 번 회전하여 축소를 더하며,
또한, 전륜 포크의 윗부분에 결합 된 전륜 튜브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 고정 핀을 해체하여 전륜 튜브 높이를 축소하고,
또한, 후 륜 양측 포크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 고정 핀을 해체하여 전륜 튜브 구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높이를 축소하며,
또한, 스탠드에 구비된 상, 하부 스탠드바를 축소하여 전반적인 접이 구조로 인하여 조립 완성된 자전거의 30% 이하의 부피로 접을 수 있는 자전거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 및 승용차의 트렁크, 전철 등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 시와 사무실, A P T, 엘리베이터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 이동 및 거치 시에 자전거의 부피를 축소하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전, 후 륜 사이를 연결하는 헤드 브래킷 일 측과 일체화된 전륜 튜브 부 전체와 접 철 탑 튜브 일 측을 동시에 접고 펼 있는 헤드 복수 흰지 및 접 철 탑 튜브 흰지, 후 륜 포크 흰지의 구성으로 전륜과 후 륜의 간격을 축소 및 전륜 튜브 부 전체를 회전하여 전, 후 륜이 중첩 포개어 접이 하는 수단;
또한, 본 발명의 동일인(10-2009-0034596)에 의하여 선 출원 된 동일한 작동 구조를 활용한 상, 하 작동 페달 암에 있어서 상기 페달 구조는 구동 축 허브를 중심으로 체인 스테이 일 측과 라운드 형 시트튜브 일 측이 일체화된 조립체를 체인 스테이 일 측에 형성된 회전 베어링 내측의 회전축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지점까지 회전하여 후 륜 바퀴 외경 사이즈 내측으로 일체화된 구동축 부를 축 소하는 수단;
이때 주행 시에 구동축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페달의 상한점과 하한점의 벌림 각도 및 위치를 결정하며, 하향 작동한 페달을 다시 상향 회복시키는 공지의 링크 부는 통상 금속재질의 철사를 사용함으로 페달을 접을 시에 전혀 저항 없이 페달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으로 작동하되 통상의 360도 회전하는 공지의 페달 암에 있어서 종래의 페달 암의 위치는 자전거 구조의 특성상 전, 후 륜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페달 부를 축소하기 위해 전술한 상하 작동 페달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취함에 있어서 먼저 후 륜 회전축에 조임 너트로 장착하던 체인 스테이 일 측에 회전 가능한 스테이 회전 베어링을 삽입 결합하여 회전토록 구비하고, 체인 스테이 타 측은 구동축 허브와 일체 되며 또한 구동축 허브와 라운드형 시트 스테이 일 측이 일체 되고 시트 스테이 타 측은 시트튜브 관통 허브 내면에 삽입하여 시트튜브 고정 레버로 고정하여 주행하며 자전거를 축소 시에는 후 륜 회전축을 감싸고 있는 체인 스테이 회전 베어링을 후 륜 회전축을 축으로 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축 허브가 시트튜브 관통 허브에 맞닿을 만큼 회전 이동하여 주동 수프라켓과 체인, 체인 스테이, 페달이 후 륜 바퀴 외경 크기 내에 들어가게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상, 하 작동 구조의 접이식 자전거의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동일인이 출원(10-2009-0034596) 한 페달 암을 활용 구동축의 위치를 이동하여 시트 하단에 위치하여 라운드형 시트튜브와 체인 스테이를 제거하고 후 륜 포크 일 측에 구동축 브래킷을 장착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암의 특성을 활용 페달 암이 후 륜 바퀴의 외경 크기 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축소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좌, 우측으로 돌출된 페달은 작동 암에 형성된 페달 홀더 회전 부와 탄성 지지 스프링, 직선 및 곡선 돌기와 대응하는 직선 또는 곡선 돌기 홈을 가진 페달 홀더를 구비하여 돌출된 페달을 슬라이드 이동 후 회전하여 축소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템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구비된 접이식 핸들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고정 핸들 바의 단 부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일정위치에 흰지 핀을 수용 체결하는 흰지 핀 관통 홀에 흰지 핀을 결합하되 먼저 유동 핸들 내측에 장착된 스프링 허브와 스프링을 대차와 함께 고정 핸들 내면에 밀어 넣어 흰지 핀으로 체결하여 핸들을 접을 시에 일정 간격만큼 잡아당겨 회전하여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륜 튜브에 있어서 종래 전륜 핸들 튜브 내측에는 통상 빗금 형태의 쇄기 환 봉에 조임 볼트를 외부에서 조임으로 핸들 튜브를 체결하여 왔다.
본 발명의 접이식 전륜 튜브는 상기한 빗금 쇄기 환 봉을 제거하여 핸들 튜브 내부에 중공 부를 형성하여 하단의 전륜 튜브를 상향 이동하여 차체의 높이를 축소하는 수단과 통상의 완충장치를 함께 장착하여 주행 시에는 완충효과를 발생하고 축소 시에는 전륜 튜브를 체결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 고정 핀을 이탈시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 륜 포크의 완충 작용 및 축소 수단은 전술한 전륜 튜브 구조 및 작 동이 동일하게 하되 접이식 구조의 특성상 후 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후 륜 포크에 장착하여 주행 중 완충 효과와 축소 시에 스프링 지지 고정 핀을 이탈시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탠드 부에 있어서 상, 하부에 2개의 스탠드바가 결합 된 구조와 하부 스탠드바 내면 일 측에 높이조절 스토퍼 및 상부 스탠드바에 일 측면에 다수개의 스토퍼 관통 홀을 구비하고 당김 스프링과 발 레버 작동으로 인하여 다수개의 스토퍼 관통 홀 중 어느 일 측의 홀에 스토퍼를 관통시켜 직립 상태의 스탠드 길이를 조절하여 주차 지면이 어느 일 측으로 기울어 자전거의 직립 상태가 불안전할 시에 발 레버를 발로 밟고 운전자의 원하는 직립 상태로 자전거 차체를 요동하여 안정된 자전거 직립 상태에서 발 레버를 지지하던 발을 이탈시키면 어떠한 지면에서도 직립할 수 있는 구조와
또한, 페달의 길이를 축소하여 접이 할 시에 발 레버를 이용하여 축소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자전거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여 축소된 자전거가 전, 후 륜의 중첩된 상태에서 좌, 우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전, 후 륜 회전축의 일정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을 가진 걸쇠 클램프를 후 륜의 일정위치에 장착하고 타 측의 걸림 쇠는 전륜의 일정위치에 장착하여 자전거 접기를 시행할 시에 두 개의 바퀴를 상호 마주보게 회전하여 포개면 자동으로 클램프가 상호 결합하고 해체할 시에 걸쇠 상단의 오픈 레버를 누르면 해체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행가능한 자전거 완성 차에 비해 30% 이하의 부피로 접이 된 접이식 자전거로 전철 및 승용차 트렁크, 엘리베이터 등의 운송수단에 싣고 이동하기에 간편하고, 또한 제작사가 완제품을 고객에게 소화물로 송달 할 시에 운송비의 절감을 가져오며, 협소한 공간에 거치할 시 예컨대 A P T, 사무실, 주택 내부에 둠으로 분실의 우려가 해소되며, 자전거 부품의 대부분이 부위별로 축소가능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축소 또는 조립이 가능하여 실행하기가 용이하며, 접이 상황에 따라 일부 기능 또는 전체기능을 접이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하며, 접은 후 이동시에 두 개의 바퀴는 후진이 아닌 전전 형태로 이동한다면 페달의 요동 없이 지면에서 2개의 바퀴가 페달과 상관없이 굴러감으로 바퀴 달린 여행용 가방과 동일하게 이동 가능하여 협소한 도시의 공간에 편리한 사용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 및 승용차 트렁크, 전철 등 교통 이동 시와 사무실, A P T, 엘리베이터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 이동 및 거치 시에 자전거의 부피를 축소하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전, 후 륜(150,151) 사이를 연결하는 접 철 탑 튜브(101)를 병풍 접이 형태로 작동하기 위해 헤드 복수 흰지(107) 및 접 철 탑 튜브 흰 지(108), 후 륜 포크 흰지(109)의 구성으로 전륜(150)과 후 륜(151)의 간격을 축소하는 수단으로 헤드 복수 흰지(107)는 3개의 플레이트(도 1의 - A, B, C)와 2조의 흰지(D, E)로 이루어져 헤드 브래킷(105)의 일 측에 장착되는 흰지는 수직 흰지(D)로 구비되고 접 철 탑 튜브(101)일 측에 결합 되는 흰지는 수평 흰지(E)로 일체 된 헤드 복수 흰지(107)로 구비하며, 먼저 핸들 튜브(117)를 지지하는 헤드 튜브(104) 일 측에 헤드 브래킷(105)의 일 측을 용접으로 일체화시킨 후 헤드 브래킷(105) 일 측에 헤드 복수 흰지(107)의 수직 흰지(D)의 플레이트(A)를 용접 일체화 시킨다.
이때 헤드 복수 흰지(107)의 일 측은 수직 흰지(D)를 축으로 일 방향 좌회전(또는 우회전) 작동하여 전륜 부(핸들 바(401, 402)와 핸들 튜브(117), 헤드 튜브(104), 전륜 튜브(139), 전륜 포크(102), 전륜(150) 등 이하 전륜 부 라 칭함)를 헤드 복수 흰지(107)의 수직 흰지(D)를 축으로 하여 좌회전(또는 우회전)하여 전륜 부 축소와 더불어 전륜(150)을 후 륜(151)과 일치되게 중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때 헤드 복수 흰지(107)는 2개의 작동 구조(수직 흰지, 수평 흰지)로 이루어져 1개의 헤드 복수 클립(107-1)으로 결합 작용 및 해체 작용을 동시에 수직 흰지(D)와 수평 흰지(E)에 대응하는 1개의 클립 구조로 동시에 2개의 클램프 작동하는 구조로 사용자의 클립 및 해체 횟수를 단축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
상기 목적의 수단을 강구하기 위해 복수 흰지는 3개의 플레이트와 2개의 수직, 수평 흰지로 구성하되 3개의 플레이트 중앙부의 플레이트(B)는 좌측의 수직 흰 지 플레이트(A)의 일 측과 수직 흰지(D)를 축으로 수직 연동 되고 또 다른 우측에 수평 흰지 플레이트(C)는 수평 흰지(E)를 축으로 상, 하 회전 연동 되어 헤드 복수 클립(107-1)을 한 번의 해체 동작으로 수직, 수평 흰지 걸쇠가 헤드 브래킷(105) 선상의 상단 걸림 고리(F)와 우측면 걸림 고리(F)에서 동시에 이탈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헤드 복수 클립(107-1)을 체결 시에는 해체의 역순으로 한 번의 체결 동작으로 체결하는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체인 스테이(203) 일 측 단 부에 체인 스테이 회전 베어링(203-1)을 구비하고 타 측에 구동축 허브(202)와 용접으로 일체화시키며, 구동축 허브(202) 상단 일 측에 라운드형 시트 튜브(204)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킨다.
또한, 라운드형 시트 튜브(204) 타 측은 미리 구비된 후 륜 복수 포크(또는 단수 포크)(206)에 용접 일체화된 시트튜브 관통 허브(205) 내측에 삽입하여 주행 시에는 시트 튜브 고정 레버(207)로 체결 고정시켜 주행하며, 페달 부를 축소 시에는 상기한 구동축 결합체(구동축 허브, 체인 스테이, 라운드형 시트튜브 “이하 구동축 결합체라 칭함”)의 체인 스테이 회전 베어링(203-1) 내측의 후 륜 회전축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시트 튜브 관통 허브(205) 내측에 슬라이드 회전하여 일정 위치에서 시트 튜브 고정레버(207)로 잠금 고정하여 구동축 결합체를 후 륜(151) 바퀴 외경 크기 내에 축소하며,
이때 상, 하 작동 페달의 좌, 우측 구동 암(301) 및 작동 암(302)은 주변의 부품으로 인하여 간섭을 받지 않고 시트(158) 좌, 우측으로 회전 이동하여 부피가 축소된다.
이때 주행 시에 구동축(110)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페달(500)의 상한점과 하한점의 벌림 각도 및 위치를 결정하며, 하향 작동된 일 측 페달(500)은 타 측의 상향 이동된 페달(500)을 발로 밟아 하향 이동과 동시에 다시 상향 회복시키는 공지의 링크(114)는 통상 다수의 금속재질의 철사를 사용함으로 부드러운 철사로 페달(500)을 접을 시에 전혀 저항 없이 페달 암(501)을 역회전시켜 접이 할 수 있다.
이때“도 3, 5” 참조하여 종래의 360도 회전하는 페달 구조를 가진 자전거도 전술한 라운드 형 시트 튜브(204)의 접이식 자전거와 동일한 접이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발명의 동일인(10-2009-0034596)에 의해 선 출원 된 동일한 작동 구조를 활용한 상, 하 작동 페달 암에 있어서 구동축(110)을 이동하여 시트(158) 하단부에 장착함으로 페달 암의 길이가 확장되어 주행자는 더 큰 에너지를 발생하며 동일인이 선 출원한 상하 작동 페달구조로 페달은 과도하게 통상의 페달(500) 반경을 벗어나지 않는 효과를 가져 온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페달 암 구조는 구동 암(301)이 정 회전하여 상한점에서 하한점으로 이동하면 작동 암(302)은 접 철 바(303) 및 접 철 바 지지대(304,305)의 구조 및 구동 암(301)과 작동 암(302) 사이의 결합 핀(306)을 축으로 하는 관절부로 인하여 구동 암(301)에 반해 역회전하게 된다.
이때 작동 암(302)의 관절 부(302-2) 측은 구동 암(301) 관절 부(301-1)와 연동 되어 정 회전 형태로 하향 이동하지만 작동 암(302)의 타 측인 페달 부(500) 측은 역회전하여 상향 회전하는 상태를 가져온다.
본 발명을 “도 1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 지지대(305) 일 측은 구동축 허브(202) 일 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타 측은 핀 수용 홀이 형성되어, 핀 수용 홀이 형성된 접 철 바(303) 일 측과 결합 핀으로 결합하여 회전하며,
또한, 작동 암(302) 일 측에 용접 등으로 일 측이 고정된 작동 암 지지대(304)는 타 측이 핀 수용 홀이 형성되어 타 측의 핀 수용 홀이 형성된 접 철 바(303) 일 측과 접 철 바 결합 핀(314)으로 결합 회전하도록 구비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구동 암(301)이 정 회전 시에 구동 암(301)의 일 측에 결합 핀(306)이 형성된 관절부 측이 하향 이동한다. 이때 구동 암(301)의 관절부와 결합 된 작동 암(302)도 하향 이동한다.
이때 후 륜 포크(103) 일 측에 고정되고 접 철 바 결합 핀(314)으로 접 철 바(303) 일 측을 결합하고 있는 본체 지지대(305)는 요동하지 않고 접 철 바(303)의 유동을 구속 제한한다.
이렇게 제한 구속을 받고 있는 접 철 바(303)는 본체 지지 대(305)일 측을 축으로 자체회전이 가능하지만 전체 이동은 불가하며 접 철 바(303)의 타 측은 회동한다.
이때 접 철 바(303) 타 측과 결합 핀(314)으로 결합 된 작동 암((302)의 작동 암 지지대(304) 역시 일 측이 작동 암(302) 일 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 장착되어 있고 작동 암 지지대(304) 타 측은 접 철 바(303) 일 측과 결합 되어 회전 가능함으로 구동 암(301)의 일 측인 관절부 측이 회전 하향 이동하면 작동 암(302)의 일 측인 관절 부도 정 회전 하향 이동한다.
이때 작동 암 지지대(304) 일 측에 결합 된 접 철 바(303) 일 측은 약간의 회전과 동시에 작동 암 지지대(304) 일 측 결합 핀 홀(314) 측을 잡아당김으로 하향 이동하는 작동 암(302)의 페달(500) 부 측이 역회전하여 작동 암(302) 자체는 구동 암(301)을 따라 하향 이동하나 끝단 부인 페달(500) 부 쪽은 상향 이동하여 작동 암(302)의 각도는 제작자가 접 철 바(303)와 지지대(304, 305)의 거리 및 길이를 한번 설정해놓은 상태로 항상 같은 각도를 유지하며 회전 작동하게 된다.
이때“도 7” 참조(4개의 꼭지 점으로 인한 작동 암의 수평 이동 설명도)하여 설명하면 접 철 바(303) 및 접 철 바 지지대(304, 305)와 구, 작동 암 관절(315) 부는 4개의 회전축을 가지며 선분 d와a그리고 c와 b의 길이는 동일하며, 선분 a와b 그리고 d와 c의 길이가 동일하게 하여 작동 암(302)의 상, 하 이동은 항시 지면에서 기준 할 때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고 상, 하 작 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작동 암(302)의 특징을 활용하여 접이식 자전거의 페달 암을 축소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앞서 전술한 동일 출원(10-2009-0034596)자의 상, 하 작동 식 구동축은 체인 스테이(203)와 라운드형 시트튜브(204)를 구비하고 전, 후 륜(150, 151) 사이의 하단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동일한 구성 및 작동을 위치를 변경하여 시트(158) 하단 부 일 측 으로 이동하여 구동축 브래킷(111)을 장착함으로 페달 암의 길이를 확장하여 더 길어진 페달 암을 가질 수 있으며, 페달 암이 더 길어져도 페달의 회전 반경은 구, 작동 암(301, 302)에 형성된 관절 부(315)와 접 철 바(303) 구조로 인하여 확대되지 않고 그대로 이므로 손쉬운 페달 작동과 언덕길 및 장거리에 힘들지 않고 주행할 수 있는 잇 점이 있는 반면 자전거의 부피를 축소 시에도 무리 없이 축소하여 접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한 상, 하 작동 페달 암을 장착하기 위해 먼저 시트(158) 하단부에 구동축 브래킷(111)을 용접하여 일체화시키고 구동축(110)을 장착한다.
이때 전술한 전, 후 륜(150, 151) 사이의 하단부에 장착하여 설명했던 동일 방식의 상, 하 작동 암은 체인 스테이(203) 및 라운드 라운드형 시트튜브(204)가 장착된 구조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체인 스테이(203) 및 라운드형 시트튜브(204)를 제거하고 직접 시트(158) 하단 부에 구동축(110)을 이동하여 장착함으로 부품 수를 줄여 원가절감 및 무게를 줄였고 사용자의 자전거 접이 과정의 부품 축소 과정을 부분을 삭제하는 효과가 발생하며,
이와 같이 장착된 상, 하 작동 페달 구조는 양측의 구동 암(30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후 륜 포크(103) 사이로 구동 암(301)을 역회전하여 좌, 우 각각의 구동 암(301)을 회전한다, 이때 전술한 작동 암(302)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면 좌, 우 양측의 작동 암(302)은 구동 암 (301) 관절 부(301-1)를 축으로 항상 빗금 형태로 페달 부(500) 측이 하향 위치에 설정되어 일 측의 구동 암(301)이 상향 이동하여도 작동 암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며 상, 하 이동함으로 후 륜 포크(103)에 닿지 않고 회전하여 후 륜(151) 외경 사이즈 내측으로 접이 된다.
이렇게 구비된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순서를 ‘도 2, 3, 4, 5“를 참조하여 접이 구조 없는 완성 자전거에 약 30%의 부피로 축소될 수 있으며 접이 순서는 사용자에 따라 다소 바뀔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좌, 우측으로 돌출된 페달(500)에 있어서“도 15, 16, 17”을 참조하여 상, 하 작동페달 암(302)과 360회전 페달 암의 페달(500)을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상, 하 작동 구조의 작동 암(302)에 형성된 페달 홀더 회전 부(504)와 탄성 지지 스프링(503), 직선 돌기(502)를 구비한 작동 암(501)과 직선 돌기(502)에 대응하는 직선 돌기 홈(507)을 가진 페달 홀더(505)를 구비하여 주행 중에 상, 하 작동 페달은 직선 돌기 홈(507)에 직선 돌기(502)가 삽입되어 유동하지 않을뿐더러 작동 암(302)의 회전각도(도 4 참조)는 항상 지면에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서 운전자는 페달을 밟고 주행할 때 힘을 가하는 발의 형태가 상부에서 하부로 밟음과 동시에 엉덩이 부분에서 전방 쪽을 향하여 밟게 되어있는 자전거 구조로서("도 1"과 같이 항상 하향 상태로 된 작동 암은 더욱 좋은 조건임) 페달 홀더(505)는 페달 홀더 회전 부(504)로 유동하기는 쉽지 않으나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는 페달 홀더(505)가 후진이동 가능하며,
또한, 페달 홀더(505)를 축소 시에는 페달 홀더(505)를 후진 슬라이드 하여 회전 축소 한 후 탄성 지지 스프링(503)이 페달 홀더(505)를 지지하지 않으면 페달이 외부의 흔들림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페달 홀더(505)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 스프링(503)을 구비하여 페달 홀더(505)의 유동을 제어하고,
페달 홀더(505)를 축소 시에 탄성 지지 스프링(503)을 페달 홀더(505)가 밀어 탄성 지지 스프링(503)을 축소하고 페달 홀더(505)가 직선 돌기(502)를 이탈하여 페달 홀더 회전 부(504)에 도착하면 페달 홀더(505)를 상, 또는 하 방면으로 회전 접이 하며,
특히 곡선 돌기(502-1)와 그에 대응하는 곡선 돌기 홈(507-1)을 가진 페달 홀더(505)는 탄성 지지 스프링(503) 방향으로 곡선을 따라 회전 이동하여 페달 홀더 회전 부(504)에 도착하여 약간의 회전으로 회전 돌기(502-1)를 벗어나 페달 홀더(505)를 회전 접이 한다.
또한, 360도 회전 페달 암의 페달“도 17 참조하여 접기에 있어서 핀 결합 페달 홀더(505-1)를 회전하여 접이 하는 구성은 전술한 페달 회전 축소 방법과 동일하나 페달 홀더 회전 부(504)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탄성 지지 스프링(503)을 제거하고 자체의 동일 위치에서 회전하여 접이 하며, 이때 주행 시에는 고정 핀(152)을 고정 핀 수용 홈(154)에 삽입하여 페달의 좌, 우 회전을 제어하고 이때“도 6”의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 부의 구조와 동일한 기계적 메커니즘 구조로 이루어지며 접이 시에는 고정 핀 수용 홈(154)에 삽입되고 T 형 돌기 지지 스프링(133)에 제제를 받고 있는 T형 돌기(129)가 형성된 고정 핀(152) 손잡이(130)를 90도 회 전하여 T형 돌기 수용 홈(136)과 T 형 돌기 관통 홀(131)에서 이탈하고 동시에 고정 핀(152)을 외부로 이탈시켜 고정 핀 헤드(153)가 고정 핀 헤드 수용 홈(157)에 도달하여 중간 칸막이(128)에 고정 핀 헤드(153)가 걸려 더 이상 외부 이탈이 방지되어 페달을 접이 하는 특징이 있다.
이때 고정 핀(152)을 결합하기 위한 중간 칸막이(128)가 형성된 핀 하우징(134)을 핀 결합 페달 홀더(505-1) 일 측에 형성된 나사 산이 형성된 결합 공(505-2)에 결합하되 핀 하우징(134) 내측에 먼저 T형 돌기 지지 스프링(133)을 삽입하고 고정 핀 결합 나사(148)가 형성된 연결구(132) 일 측을 삽입하여 고정 핀(152)에 형성된 결합 공(152-1)과 고정 핀 결합 나사(148)를 결합하고,
연결구(132) 타 측에 형성된 손잡이 결합 나사(149)를 손잡이(130)일 측에 나사 산이 형성된 결합 공(130-1)에 결합한 후 외주 면 일 측에 나사 산(134-1)이 형성된 핀 하우징 보디(159)를 핀 결합 페달 홀더(505-1)의 나사 산이 형성된 결합 공(505-2)에 결합하여 하나의 핀 결합 페달 홀더(505-1)를 구성한다.
이렇게 결합 된 고정 핀(152)이 주행 시에는 페달 암에 형성된 고정 핀 수용 홈(154)에 삽입되어 핀 결합 페달 홀더(505-1)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클램프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고정 핀 수용 홈(154)으로 이동한 고정 핀의 T형 돌기(129)는 핀 하우징(134) 내측으로 삽입되어 90도 회전하여 T형 돌기 수용 홈(136)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때 내측의 고정 핀 지지 스프링(133)은 T형 돌기 수용 홈(136)으로 삽입된 T형 돌기(129)를 지지하여 유동할 수 없도록 지지하여 주행자는 요동 없는 페달(500) 작동을 진행하며 접이 페달 홀더를 구성한다.
또한, “도 10과 11, 12”를 참조하여 스템(106)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구비된 접이식 핸들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고정 핸들 바(401) 일 측 단 부에 가이드 홈(412)이 구비되고 일정위치에 흰지 핀(406)을 수용 체결하는 흰지 핀 관통 홀(411)에 흰지 핀(406)을 결합하되, 먼저 유동 핸들 바(402) 내측에 장착된 스프링 허브(404)와 탄성 지지 스프링(405)을 대차(409)와 함께 고정 핸들 바(401) 내면에 밀어 넣어 흰지 핀(406)과 핀 볼트(406-1)로 체결한다.
이때 스프링 허브(404)의 장착 과정이 까다로움으로 제작자는 조립 공구(도 12의, 410)를 사용하여 먼저 스프링 허브(404)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 핀(404-1)에 탄성 지지 스프링(405) 일 측을 결합하고 탄성 지지 스프링(405)의 타 측에 좌, 우 양 측면에 레일 수용 홈(414)이 형성된 대차(409)를 스프링 허브(404) 일 측의 개구부(404-1)를 통해 스프링 허브(404) 내측 레일(41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대차(409) 일 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 핀(409-1)에 미리 결합 된 탄성 지지 스프링(405) 타 측을 결합한다.
이렇게 가 결합 된 탄성 지지 스프링(405) 및 대차(409)는 개구 부(404-1) 측으로 유동함으로 가 결합 된 탄성 지지 스프링(405)과 대차(409)를 임시 고정하는 지그를 제작하여 임시 클램프 한 후 스프링 허브(404)를 유동 핸들 바(402) 내측 일정 위치에 용접 등으로 장착하여 일부 완성하고,
이렇게 완성된 유동 핸들 바(402)의 스프링 허브(404) 단 부를 다시 고정 핸들 바(401) 내측에 삽입하여 흰지 핀(406)과 핀 볼트(406-1)로 결합 시에 먼저 가 결합하여 클램프 한 지그에 조립 공구(410)를 덧씌우고 앞서 씌운 지그를 이탈 후 고정 핸들 바(401) 내면에 삽입 후 흰지 핀(406)과 핀 볼트(406-1)로 결합한 후에 조립 공구(410)를 이탈시켜 결합을 완성한다. 결합한 후 유동 핸들 바(402)를 일정간격 잡아당겨 좌, 우측 또는 하향으로 회전하여 접이식 핸들 바를 갖는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접이 핸들에 대하여 설명하면 스템(106)을 중심으로 하여 일 측(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일 측 이어도 무방함)의 핸들 바는 슬라이드 핸들(416)을 수용할 수 있는 내주 면을 가진 슬라이드 수용 핸들(415)로 고정 핸들로 구비하고 스템(106)을 중심으로 타 측은 외주 면이 슬라이드 수용 핸들(415) 내측에 수용하기 위한 외주 면을 가진 슬라이드 핸들(416)을 구비한다. 이때 슬라이드 하여 삽입된 슬라이드 핸들(416)을 고정하기 위해 핸들 바 일 측에 핸들 고정 레버(416)를 구비하여 고정하여 일 측의 핸들만을 접이 하여도 전, 후 륜 상호 포개어진 자전거 차체의 폭으로 인하여 접이 되지 않은 슬라이드 수용핸들(415)의 외부 돌출은 미약하여 접기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접이식 자전거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륜 튜브(139) 및 전륜 포크(102)에 있어서“도 9” 참조하여 공지의 전륜 튜브(139-1) 내측에는 통상 체결 공(144) 형성된 빗금 쇄기 환 봉(143)에 나사 산이 형성된 조임 볼트(138)를 외부의 육각 헤드(138-1)를 조임으로 공지의 핸들 튜브(139-1)를 체결하여 빗금 쇄기 환 봉(143)이 상향 이동하면 빗금 쇄기 단 부(142)와 핸들 튜브(117)의 빗금 단 부(117-1)가 상호 교차하여 전륜 튜브 내주 면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였다.
전술한 빗금 쇄기 환 봉(143) 구조의 결합 구조는 핸들 튜브(139-1) 내측에 중공 부(116)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접이식 핸들 튜브(117) 구조는 “도 6과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빗금 쇄기 환 봉(143)을 제거하여 핸들 튜브(117) 내부에 중공 부(116)를 형성하여 하단의 전륜 튜브(139)를 상향 이동하여 차체의 높이를 축소하는 수단과 공지의 전륜 서스펜션(145)과 동일한 완충장치를 동시에 수행하여 주행 시에는 종래의 전륜 서스펜션(145)의 완충효과를 발생하고 축소 시에는 핸들 튜브(117) 일 측에 구비되어 체결 고정하는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을 이탈시켜 축소한 후 핸들 튜브(117) 상단의 관통 홀(126)과 동일한 구조의 축소 고정 관통 홀(156)에 삽입시켜 전륜 튜브(139)의 높이를 축소하며,
이때 전륜 튜브(139) 내측의 탄성 지지 스프링(125)의 구조를 설명하면 종래의 전륜 서스펜션(145)의 구조는 전륜 축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전륜 포크에 2개의 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서스펜션(145)의 구조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한번 장착하면 스프링의 완충효과는 발생하나 접이식의 축소 및 확장 구조는 이룰 수 없으며 2개의 완충 장치가 장착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전륜 튜브(139)의 완충 및 축소, 확장 구조는 전륜(150)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전륜 포크(102)에 장착하지 아니하고 전륜 튜브(139)에 위치하므로 1개의 완충장치로 완충의 효과가 발생하며.
전륜 튜브(139)의 확장 및 축소 장치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전륜 튜브(139) 일 측 전, 후 2곳에 대칭되어 형성된 고정 핀 수용 홀(124-1)과 탄성 지지 스프링(125)의 하단부에 고정 핀 수용 홀 부(125-2)에 스프링 지지 고정 핀(122-2)을 순서대로 삽입시켜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결합한다.
또한, 탄성 지지 스프링(125)의 상단 부 유동 핀 수용 홀 부(125-1)에 대하여 설명하면 탄성 지지 스프링(125) 상단에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이 관통할 수 있는 유동 핀 수용 홀 부(125-1)를 형성하고 핸들 튜브(117) 전, 후 2곳에 대칭되어 형성된 관통 홀(126)과 전륜 튜브(139) 전, 후 2곳에 대칭되어 형성된 장 공 홀(126)에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을 순서대로 삽입시켜 핸들 튜브(117)와 전륜 튜브(139)를 고정하여 확장된 전륜 핸들 부를 형성하여 운전자의 주행 시에 스프링 지지 고정 핀(122-2)에 의해 전륜 튜브(139) 내의 탄성 지지 스프링(125)이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 작용이 시행된다.
이때 전륜 튜브(139) 전, 후 양측에 형성된 장 공 형태의 장 공 홀(124)을 상, 하 작동 가이드로 하여 핸들 튜브(117)가 상, 하로 유동하여 완충 역할을 수행하며 접이 시에는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을 이탈시켜 핸들 튜브(117)를 하향 이동하여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이 축소 고정 관통 홀(156) 위치에서 다시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을 내측으로 밀어 넣어 결합하여 축소된 접이 핸들 부를 유지한다.
또한, 후 륜 포크(103)의 완충작용 및 축소 수단은 전륜 튜브의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게 하되 접이식 구조의 특성상 후 륜(151) 회전축(201)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후 륜 포크(103)에 완충 장치와 스프링 지지 핀(122, 122-2) 등을 장착하여 주행 중 완충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축소 시에 고정 핀을 이탈시켜 축소하는 수단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 구조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 된 고정 핀 헤드 수용 홈(157)으로 이동한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에 구비된 T형 돌기(129)는 T형 돌기 관통 홀(131)을 관통하여 핀 하우징(134) 내측으로 삽입되어 90도 회전하여 T형 돌기 수용 홈(136)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때 내측의 T형 돌기 지지 스프링(133)은 T형 돌기 수용 홈(136)으로 삽입된 T형 돌기(129)를 지지하여 유동할 수 없도록 지지하여 핸들 튜브(117)와 전륜 튜브(139)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여 전륜 튜브(139) 내측의 탄성 지지 스프링(125)과 연동 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며,
전륜 튜브(139)를 접이 축소하기 위해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을 이탈 시에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 끝단에 스프링 지지 유동 핀(122)보다 외경 사이즈가 큰 고정 핀 헤드(122-1)가 중간 칸막이(128)에 닿아 더 이상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구비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여 스탠드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상, 하부의 2개의 스탠드를 결합 슬라이드 하는 구조를 구비하여 어떠한 비탈진 지형에도 손쉽게 직립할 수 있는 스탠드(701)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스탠드(701)는 2개의 구조로 나누어 설명하되 먼저 상부 스탠드(702)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부 스탠드(702) 내주 면(705) 일 측에 하부 스탠드(703)를 수용 슬라이드 하여 스탠드(701)의 길이를 확장, 축소하는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가능한 내주 면(705)을 가지며
또한, 스토퍼(711)를 수용하여 멈춤 기능을 갖는 일정 간격의 다수 개의 스토퍼 수용 홀(710)을 구비하고, 내 주면(705) 상단 일 측에 탄성 당김 스프링(708) 일 측 고리(708-1)를 결합하는 상부 걸림 쇠(717)를 구비하여 탄성 당김 스프링(708) 일 측 고리(708-1)를 결합하며, 상단 일 측에 자전거 차체 일 측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수용 홀(704)이 형성된 결합 부(713)를 구비하여 자전거 후 륜 회전축(201) 또는 일정 위치에 결합하고, 이물질 또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단 일 측 단 부에 뚜껑(728)을 씌워 고정하며,
"도 4" 참조하여 스탠드(701)를 전방으로 회전하여 차체를 직립하거나 스탠드(701)를 후방으로 회전하여 스탠드(701) 직립 상태를 해체하여 스탠드(701) 고정 및 해체 시에 당김 역할을 시행하기 위해 공지의 외부 당김 스프링(209) 일 측을 본체 프레임에 결합 고정하고 타 측은 상부 스탠드 바(702) 일 측의 걸림 쇠(730)에 결합 고정하는 상부 스탠드 바(702)를 구비한다.
또한, 하부 스탠드 바(703)에 대하여 설명하면
일 측이 상부 스탠드 바(702) 내주 면(705)에 삽입 슬라이드 가능한 하부 외주 면(706)을 가지며 상부 스탠드 바(702)에 미리 결합 된 탄성 당김 스프링(708)의 타 측 고리를 결합하는 하부 걸림 쇠(709)를 구비하여 탄성 당김 스프링(708) 타 측 고리(708-2)를 결합하며, 내면 일 정 위치에 스토퍼(711)의 좌, 우 슬라이드 하기 위해 스토퍼(711)를 중심으로 상, 하 위치에 스토퍼 가이드(714)를 구비하고, 상, 하 가이드 (714)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 홀(711-1)이 구비된 스토퍼(711)를 구비하고, 스토퍼(711)를 좌, 우회전 유동하기 위해 1개의 고정 핀 흰지 부(709-1)와 1개의 유동 핀 흰지 부(709-2)를 가진 회전 돌기 부(712)를 구비하며,
이때 하부 스탠드(703) 일정위치에 상호 마주보는 고정 흰지 핀 홀(716-1)을 구비하여 고정 핀(716)을 축으로 회전 돌기 부(709)가 회전 작동하여 스토퍼(711)의 좌, 우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하며, 유동 핀 흰지 부(709-2)는 일 측의 링크 흰지(725-1)와 결합 핀(715)으로 연동 되어 유동 회전하고 링크(725) 타 측에 흰지(725-2)와 발 레버 흰지(728)를 결합 핀(727)으로 결합하고 발 레버(722) 일 측 단 부에 고정 흰지(721)와 플레이트 흰지(729)를 결합 핀(719)으로 결합하고 빌 레버(722) 하단 일정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720)을 장착하여 평소에는 탄성 지지 스프링(720)으로 인하여 링크(725)가 상향 이동된 상태를 취함과 동시에 회전 돌기 부(712)가 고정 핀(716)을 축으로 일 측(좌측)으로 이동할 때 회전 돌기 부(712)와 연동한 스토퍼(711)가 동시에 일 측(좌측)으로 이동 상부 스탠드(702) 일 측의 다수 개의 스토퍼 수용 홀(710) 중 스토퍼(711)와 근접한 수용 홀(7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 스탠드(70)의 유동을 제어하여 스탠드(701)의 길이가 확장, 또는 축소되지 아니하고 항상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접이식 구조의 스탠드(701)는 주차 지면이 어느 일 측으로 기울어 자전거의 직립 상태가 불안정할 시에 발 레버(722)를 발로 밟고 자전거 차체를 지면에 닿은 2개의 바퀴를 축으로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최상의 직립 상태에 가깝도록 좌, 우측으로 차체를 유동하여 스탠드(701)의 길이를 확장 또는 축소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직립 위치에서 풋 레버(722)에서 발을 이탈시키면 어떠한 지면에서도 직립할 수 있는 구조와 또한, 접이 시에 발 레버(722)를 이용하여 축소하는 수단으로 한다.
또한, “도 19 참조” 클램프(600)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자전거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여 축소된 자전거가 전, 후 륜(150, 151)의 중첩된 상태에서 좌, 우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일체화된 접이 형태를 유지하고 이동 및 일 정 위치에 접이 된 자전거를 흐트러짐 없이 손으로 들어 옮길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함에 있어서
전, 후 륜(150, 151) 회전축(201, 208)의 일정 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607)을 가진 걸쇠 클램프(604)를 후 륜(또는 전륜)(151)의 일정 위치에 장착하고 타 측의 걸림 쇠(601)는 전륜(또는 후 륜)(150)의 일정위치에 장착하여 자전거 접기를 시행할 시에 두 개의 바퀴를 상호 마주보게 포개면 걸쇠 클램프(604)의 입구가 넓게 형성된 빗금 가이드 벽면(608)을 따라 걸쇠 클램프(604) 내측으로 삽입과 동시에 걸쇠 클램프(604) 상단 일 측에 흰지 부(606)와 탄성 지지 스프링(607)을 가지는 걸쇠(605)가 상향으로 일정 넓이로 벌어지며 걸림 쇠(601)가 걸쇠 클램프(604) 내부로 삽입되어 전, 후 륜(150, 151)의 중첩된 자전거 바퀴는 안정된 상태로 요동할 수 없게 되며,
해체할 시에 걸쇠 상단 일 측에 오픈 레버(612)를 누르면 해체되는 수단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 하 작동 페달 암 구조의 접이식 자전거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 하 작동 페달 암 구조의 우측면 접이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360도 회전 페달 암과 라운드형 시트튜브의 접이식 자전거 우측면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 하 작동 페달 암과 라운드형 시트튜브의 접이식 자전거 우측면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지의 360도 회전 페달 암의 접이식 자전거의 평면 접이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륜 튜브 부의 접이 축소 및 완충 작동구조의 우측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일인이 선 출원(출원번호 2009-0034596)한 상, 하 작동 페달 암의
우측면도 및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륜 튜브 부의 접이 축소 및 완충 작동구조의 우측 단면 순서도.
도 9는 종래 공지의 전륜 튜브 조립 상태의 우측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접이식 핸들 부의 접이 순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접이식 핸들 부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 핸들 바에 유동 핸들 바의 스프링 허브 조립 설명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축소 핸들 바를 축소하는 순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접이식 2중 스탠드바의 우측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상, 하 작동 페달 홀더의 슬라이드 회전 접이식 분리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상, 하 작동 페달 홀더의 슬라이드 회전 접이식 순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360도 회전 페달 홀더의 회전 접이식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전, 후 륜의 중첩된 두 개의 바퀴를 결합 해제하는 클램프의 사시도.

Claims (10)

  1.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 및 승용차의 트렁크, 전철 등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 시와 사무실, A P T, 엘리베이터 등의 협소한 공간에서 이동 및 거치 시에 자전거의 부피를 축소하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전, 후 륜 사이를 연결하는 접 철 탑 튜브를 다수 등분하여, 전륜 부의 헤드 튜브 일 측과 헤드 브래킷 일 측을 용접 등으로 일체화된 헤드 브래킷 일 측을 수직 흰지와 수평 흰지가 구비된 헤드 복수 흰지로 결합하여 동시에 전륜 부 전체를 좌회전(또는 우회전) 및 접 철 탑 튜브 일 측을 하향 회전하여 접고 펼 수 있는 헤드 복수 흰지를 구비하며,
    공지의 접 철 탑 튜브 흰지와 공지의 후 륜 포크 흰지의 구성으로 병풍 접이 형태로 전륜과 후 륜의 간격을 축소 및 전륜 부 전체를 회전하여 전, 후 륜이 중첩 포개어 접이 하는 수단;
    상기 헤드 복수 흰지는 3개의 플레이트와 2조의 흰지로 이루어져 중앙의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좌측은 헤드 브래킷 일 측에 장착되는 흰지는 수직 흰지로 구비되고 우측은 접 철 탑 튜브 일 측에 결합 되는 흰지는 수평 흰지로 일체 된 헤드 복수 흰지로 구비되어 이에 대응하여 전술한 수직 및 수평의 2조의 흰지 부를 결합 및 해체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2조의 수직 및 수평 흰지 부에 대응되어 있는 2개의 걸림 쇠를 원터치로 동시에 클램프 및 해체하는 특징을 가진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2. 본 발명의 동일인(10-2009-0034596)에 의하여 선 출원 된 동일한 작동 구조를 활용한 상, 하 작동 페달 암에 있어서 상기 페달 구조는 구동 축 허브를 중심으로 체인 스테이 일 측과 라운드 형 시트 튜브 일 측이 일체화된 조립체를 체인 스테이 일 측에 형성된 회전 베어링 내측의 회전축을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 지점까지 회전하여 후 륜 바퀴 외경 사이즈 내측으로 접기하여 일체화된 구동축 부를 접이 하는 특징을 가진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으로 작동하되 통상의 360도 회전하는 공지의 페달 암에 있어서 전술한 구동축 부를 동일한 접이 구조를 구비하되 페달 암을 공지의 360도 회전구조를 구비하여 후 륜 바퀴 외경 사이즈 내에 접이 되는 특징을 가진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4. 상, 하 작동 구조의 접이식 자전거의 또 다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동일인이 출원(10-2009-0034596) 한 페달 암을 활용 구동축의 위치를 이동하여 시트 하단에 위치하여 라운드형 시트튜브와 체인 스테이를 제거하고 후 륜 포크 일 측에 구동축 브래킷을 장착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암의 특성을 활용 페달 암이 후 륜 바퀴의 외경 크기 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하여 접이 하는 특징을 가진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5. 좌, 우측으로 돌출된 페달은 작동 암에 형성된 페달 홀더 회전 부와 탄성 지지 스프링, 직선 및 곡선 돌기와 대응하는 직선 또는 곡선 돌기 홈을 가진 페달 홀더를 구비하여 돌출된 페달을 슬라이드 이동 후 회전하여 접이 하는 특징을 가진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6. 제5항에 있어서
    전술한 페달 홀더 접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공지의 360도 회전 페달 암의 페달 접이 에 있어서,
    페달 홀더 회전 부를 페달 홀더 내면에 형성하여 전술한 페달 홀더 회전 부로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고 탄성 지지 스프링을 제거하고 자체의 동일 위치에서 회전하여 접이 하며, 고정 핀을 고정 핀 수용 홈에 삽입하여 페달의 좌, 우 회전을 제어하고 접이 시에는 고정 핀 수용 홈에 삽입되고 T 형 돌기 지지 스프링에 제제를 받고 있는 T형 돌기가 형성된 고정 핀 손잡이를 90도 회전하여 T형 돌기 수용 홈과 T 형 돌기 관통 홀에서 이탈하고 동시에 고정 핀을 외부로 이탈시켜 고정 핀 헤드가 고정 핀 헤드 수용 홈에 도달하여 중간 칸막이에 고정 핀 헤드가 걸려 더 이상 외부 이탈이 방지되어 페달 홀더를 회전하여 접이 하는 특징이 있는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7. 스템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구비된 접이식 핸들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고정 핸들 바의 단 부에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일정위치에 흰지 핀을 수용 체결하는 흰지 핀 관통 홀에 흰지 핀을 결합하되 먼저 유동 핸들 내측에 장착된 스프링 허브와 스프링을 대차와 함께 고정 핸들 내면에 밀어 넣어 흰지 핀으로 체결하여 핸들을 접을 시에 일정 간격만큼 잡아당겨 회전하여 접이 하는 특징이 구비된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8. 전륜 튜브의 축소와 완충 작용을 동시에 겸하여 작동하는 접이식 전륜 튜브에 있어서,
    공지의 빗금 쇄기 환 봉을 제거하여 핸들 튜브 내부에 중공 부를 형성하고 하단의 전륜 튜브를 스프링 지지 유동 핀을 삽입 또는 이탈시켜 차체의 높이를 축소 또는 확장하여 접이 하는 수단과 통상의 완충장치를 함께 장착하여 주행 시에는 완충효과를 구비하는 수단;
    또한, 후 륜 포크의 완충 작용 및 축소 수단은 전술한 전륜 튜브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게 하되 접이식 구조의 특성상 후 륜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의 후 륜 포크에 장착하여 주행 중 완충 효과와 축소 시에 스프링 지지 고정 핀을 이탈시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9. 스탠드 부에 있어서 상, 하부에 2개의 스탠드바가 결합 된 구조와 하부 스탠드바 내면 일 측에 높이조절 스토퍼 및 상부 스탠드 바 일 측면에 다수개의 스토퍼 관통 홀을 구비하고 당김 스프링과 발 레버 작동으로 인하여 다수개의 스토퍼 관통 홀 중 어느 일 측의 홀에 스토퍼를 관통시켜 직립 상태의 스탠드 길이를 조절하고 접이 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10.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자전거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여 축소된 자전거가 전, 후 륜의 중첩된 상태에서 좌, 우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해 전, 후 륜 회전축의 일정위치에 탄성 지지 스프링을 가진 걸쇠 클램프를 후 륜의 일정위치에 장착하고 타 측의 걸림 쇠는 전륜의 일정위치에 장착하여 자전거 접기를 시행할 시에 두 개의 바퀴를 상호 마주보게 회전하여 포개면 자동으로 클램프가 상호 결합하고 해체할 시에 걸쇠 상단의 오픈 레버를 누르면 해체되는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KR1020090072624A 2009-08-07 2009-08-07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KR20110015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24A KR20110015088A (ko) 2009-08-07 2009-08-07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24A KR20110015088A (ko) 2009-08-07 2009-08-07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088A true KR20110015088A (ko) 2011-02-15

Family

ID=4377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624A KR20110015088A (ko) 2009-08-07 2009-08-07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0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4039A (zh) * 2014-08-01 2016-02-10 福特全球技术公司 电动自行车
CN109204652A (zh) * 2018-10-29 2019-01-15 蔡水文 一种折叠式电动车
CN113247161A (zh) * 2021-05-28 2021-08-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14039A (zh) * 2014-08-01 2016-02-10 福特全球技术公司 电动自行车
CN109204652A (zh) * 2018-10-29 2019-01-15 蔡水文 一种折叠式电动车
CN113247161A (zh) * 2021-05-28 2021-08-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CN113247161B (zh) * 2021-05-28 2022-09-13 金华有恒车业有限公司 一种折叠滑板车的后脚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5072B1 (en) Foldable frame for a bicycle
CN102079324B (zh)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JPS62501833A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に関する改良
JP3056759B2 (ja) 折畳み式タンデム自転車
US20190210627A1 (en) Steering system for tricycle
WO2010075715A1 (zh) 双向折叠车
CN105992727A (zh) 可折叠车辆
CN103895672B (zh) 一种沙滩推车
US6695334B2 (en) Bicycle
KR20110015088A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JP2010184523A (ja) 自転車
KR100935324B1 (ko) 접이식 자전거
CN103129674B (zh) 能够折叠至箱体内的电动滑板车
CN1449963A (zh) 伸缩式自行车
KR200400672Y1 (ko) 휴대용 자전거
WO2012034158A1 (en) Folding diamond type frame for a bicycle
KR100911241B1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JP3182853U (ja) 縦折型折畳自転車用フレーム及び縦折型折畳自転車
CN104210598A (zh) 一种折叠自行车
JP3872801B2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JP6546103B2 (ja) 折畳車両
RU2342279C2 (ru) Складное аккумулято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102991548A (zh) 一种折叠购物车
CN201842192U (zh) 箱式折叠车
CN105923091A (zh) 一种折叠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