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887Y1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887Y1
KR200358887Y1 KR20-2004-0013163U KR20040013163U KR200358887Y1 KR 200358887 Y1 KR200358887 Y1 KR 200358887Y1 KR 20040013163 U KR20040013163 U KR 20040013163U KR 200358887 Y1 KR200358887 Y1 KR 200358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kickboard
scaffold
handle shaf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수
Original Assignee
이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갑수 filed Critical 이갑수
Priority to KR20-2004-0013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8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Abstract

본 고안은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끝단에 바퀴(12)를 구비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핸들(11)을 포함하는 핸들축(10)과; 상기 핸들축(10)을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피봇축(21)을 구비하는 연결판(20)과; 일단이 상기 피봇축(21)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지고, 타단에는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캐스터(40)를 구비하는 발판(30)과; 상기 두 발판(3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릴 때 상기 캐스터(40)는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전환되어 진행도도록 상기 발판(30)의 연장부(31)상에 반원형 장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터(40)의 브라켓트(40a)상에 상기 장공(32)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캐스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이 있으며, 본 고안은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을 수 있고, 별도로 지면을 차고 나갈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추진력으로 전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발판을 좌우로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다리의 근육을 사용하게 되므로 체결단련 효과가 있으며, 레져용으로도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발판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반복적으로 전개시키거나 오므리면 자체적으로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도록 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킥보드는 손잡이를 잡고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쪽 발은 땅을 박차면서 전진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의 킥보드는 전ㆍ후에 각각 바퀴가 설치되어 있고, 바퀴 사이에는 발판이 연결되어 있으며 앞쪽의 바퀴에는 상측으로 핸들축이 길게 형성되어 그 상단에 핸들이 부착되어 조향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 바퀴에는 그 상측에 브레이크용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그 덮개를 을 밟아줌으로서 덮개와 바퀴와의 마찰에 의해 속도를 제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킥보드는 한 발로 서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하는 새로운 흥미를 제공하여 특히 아동들에 의한 유희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킥보드는 한 발로 중심을 잡아야 하므로 상당한 숙련을 요구되며, 브레이크의 기능이 정확하지 않아 균형 잡기도 어렵다. 또한 자체적인 추진력이 없이 한 쪽 발을 이용하여 지면을 박차는 동작을 반복함으로 늘 사용하는 하체의 근육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운동효과도 낮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킥보드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체적인 추진력을 구비하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 발과 다리를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므로, 운동 혹은 체력단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흥미롭게 즐길 수 있는 레져용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을 접은 상태의 일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일점쇄선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판과 캐스터의 동작을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에 따른 발판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한 쌍의 발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킨 상태를 예시한 킥보드의 발판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핸들축 11:핸들
12:바퀴 13:조임 클램프
20:연결판 21:피봇축
22:홈부 23:캡 너트
20a:축받이부 30:발판
30a:연장편 31:연장부
34:걸쇠 34a:걸림돌기
32:반원형 장공 44:가이드 돌기
40a:브라켓트 43:브레이크 가압판
100:킥보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일단에는 핸들과, 타단에는 바퀴를 구비하는 핸들축과; 상기 핸들축을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피봇축을 구비하는 연결판과; 일단이 상기 피봇축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지고, 타단에는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캐스터를 구비하는 발판과; 상기 두 발판을 벌리지거나 오므릴 때 상기 캐스터가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위치되어지도록 상기 발판의 연장부상에 반원형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터의 브라켓트상에 상기 장공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캐스터로 달성되어질 수 있다.
또한 핸들축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핸들의 설치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 핸들축을 접을 수 있도록 한 핸들축 절첩수단을 더포함한다.
본 고안은 한 쌍의 발판위에 올라서서 양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하면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두 발판을 좌ㆍ우로 밀고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면, 킥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캐스터가 진행되도록 함으로서 추진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킥보드에 의하면, 두 발을 모두 올려놓을 수 있고, 별도로 지면을 차고 나갈 필요없이 자체적으로 추진력으로 전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발판을 좌우로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으로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다리의 근육을 사용하면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며, 레져용으로도 남여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정의하는 추진력의 발생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스터의 진행방향을 C, 발판의 진행방향을 R이라 가정하면, 발판을 외측으로 벌릴 경우 R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캐스터가 α각의 범주에 놓여지고 그 범위내에서 캐스터가 C의 방향으로 굴러가므로 발판의 회전방향 R과 캐스터의 진행방향(C)의 차이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고, 또 발판을 내측으로 오므릴 경우 캐스터가 β각의 범주에 놓여지고 그 범위내에서 캐스터가 C1의 방향으로 굴러가므로 발판의 회전방향(R)과 캐스터의 진행방향(C)의 차이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만일 발판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때 캐스터의 진행방향이 α와 β각 이외의 영역을 향하게 되면 뒤쪽으로 킥보드는 뒤로 후진하게 되는 것이고, 발판의 진행방향(R)과 캐스터의 진행방향이 동일하다면 킥보드는 전진도 후퇴도 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 발판을 전개할 때는 α의 영역내에서 캐스터가 굴러가고, 오므릴 때에는 영역에서 캐스터가 굴러가게 되므로 추진력이 발생되게 되는 것입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핸들축을 절첩한 예를 보여주는 일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핸들축이고, 11는 핸들축에 고정된 핸들이며, 20은 핸들축(10)을 지지하는 연결판이고 30은 양 발을 올려 놓는 발판이다.
상기한 핸들축(10)은 내부가 빈 파이프로, 망원경 식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부위에 그 길이가 변형되지 않도록 조임 클램프(13)가 부착되어 있다.
핸들축(10)은 자유단에는 핸들(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핸들의 반대쪽에는 바퀴(12)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은 상기한 바퀴(12)의 상측에 핸들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연결판(20)과 결합되어 있다. 연결판(20)은 그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어핸들축(10)의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해 준다. 연결판(20)에는 한 쌍의 발판(30)의 일측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피봇축(21)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피봇축(21)이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발판 조립후 캡 너트(23)로 체결된다.
상기 핸들축(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20a)가 연결되고, 그 축받이부(20a)와 연결판(20)을 힌지가능하게 결합함으로서 보관시 핸들축(10)을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발판(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발을 올려놓는 곳으로, 각각의 발판(30)의 일측단은 상기한 연결판(20)의 피봇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측에는 각각 캐스터(4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발판(30)의 윗면에는 동작 중에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발판(30)은 피봇축(21)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는데, 발판에 올라선 상태에서 발을 벌리거나 오므리면 그에 따라 두 발판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된다. 그러나 신체적으로 다리를 벌릴 수 있는 범위 이상 발판을 벌리면 다시 오므리는 동작이 어려워짐으로 발판의 전개각도를 일정범위로 제한하는 발판의 전개각 제한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판의 전개각 제한수단의 일 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의 바닥면에 각각 결합된 피봇축(21)에 결합된 발판(30)의 단부를 연장편(30a)을 구성하여 발판(30)이 전개되었을 때 연장편(30a)의 서로 맞닿도록 함으로서 일정각도 이상 전개되지 않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지형에 따라 킥보드(100)의 발판을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지 않아도 가속도를 통해 전진하거나 내리막 길 혹은 통상의 킥보드와 같이 한쪽 발로 굴러가면서 킥보드(100)를 이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두개의 발판(30)을 서로 합치거나 필요시 발판을 분리할 수 있도록 양 발판의 합체 및 분리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판(30)의 합체 및 분리수단의 일 예로서는 발판(30)의 저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측단을 발판(30)의 저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걸쇠(34)를 결합하고, 타측의 발판(30)에는 상기 걸쇠(34)를 걸 수 있는 걸림돌기(34a)가 마련되어 두 발판(30)을 합쳐 고정시키거나 서로 분리되도록 해제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걸쇠를 통하여 본 고안의 의도하는 바를 구현할 수 있으나 이것들은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양 발판을 서로 합치거나 분리시키려는 기술적 사상을 달리 구현한 것이나 이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는 균등물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캐스터(40)는 발판(30)을 벌리거나 오므릴 때 킥보드(100)를 전진시키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작용과 킥보드를 이송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킥보드(10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캐스터(40)가 위치되어지거나 발판(30)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시 킥보드(100)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되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만일 캐스터가 자유자재로 360°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면 발판(30)의 전개 혹은 오르려지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캐스터(40)가 굴러가게 되므로 추진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발판(30)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지않을 경우에는 킥보드(100)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캐스터(40)도 전면을 향해 위치되어지고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릴 때에는 킥보드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캐스터(40)가 위치되도록 해야만 추진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40)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캐스터(40)를 일정각도 범위내만 회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캐스터 회절각 제한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터 회절각 제한수단의 구현수단으로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의 연장부(31) 표면에 반원형 장공(32)을 마련하고, 그 반원형 장공(32)에 캐스터상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44)가 위치되도록 하여 발판(30)의 연장부(31)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캐스터(40)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상기한 캐스터 회전각 제한수단은 두 발판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시 캐스터(40)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돌기(44)가 도 5d의 A지점에 위치되어 추진력이 발생되고, 발판을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즉, 킥보드가 직진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 돌기(44)가 B지점으로 위치되어 바퀴(12)를 따라 굴러가게 되고, 만일 발판(30)을 오므리는 동작시에는 캐스터(40)의 회전축(P)을 중심으로 캐스터(40)가 회전하여 가이드 돌기(44)가 C지점으로 위치되어지게 되면서 역시 발판(30)의 진행각도가 바꾸게 되면서 추진력이 발생되어 킥보드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40a는 캐스터(40)를 지지하는 브라켓트이고 43은 캐스터를 가압하여 그 회전을 억제시키는 패드를 구비한 브레이크 경우에는.
만일, 주행중 서행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발판의 연장부의 후미에 캐스터의브라켓트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압판을 눌러줌으로서 캐스터의 회전을 억제시켜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하체를 이용한 발판의 전개동작을 빨리할 수록 속도는 가속되어진다.
아울러, 본 고안의 킥보드를 보관할 경우에는 보관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축 절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들축 절첩수단의 일 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20)과 축받이부(20a)를 힌지(25) 결합하되 상기 연결판(20)상에 상측으로 연장된 브라켓트의 테두리부에 다수의 홈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축받이부에는 스프링(24c)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력이 내재된 록킹 및 언록킹레버(24)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 및 언록킹레버(24)와 연동하는 체결핀이 상기 홈부(22)에 체결되어지는 체결핀(24a)으로 구성함으로서 달성되어질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4b은 상기 체결핀(24a)이 상하로 이동되어질 때 가이드하는 장공이다.
핸들의 절첩과정을 보면, 연결판(20)과 축받이부(20a)에 록킹레버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록킹 및 언록킹레버(24)는 축받이부(20a)의 측면에 형성된 장공(24b)을 따라 올라가면서 연결판(2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홈부(22)로부터 체결핀(24a)이 분리되어진다. 이후 핸들축(10)을 발판(30)쪽으로 절곡시키면 핸들축(30)은 힌지축(23)을 회전하여 부피가 작게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절곡된 상태에서 록킹 및 언록킹레버(24)를 원위치 시키면 그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24c)에 의해 다시 체결핀(24a)이 다른 홈부(22)에 위치되어 핸들축(10)이 전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축(10)의 하단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한 쌍의 발판(30)이 설치되고, 각 발판(30)의 후단부에서 캐스터(40)가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두 발을 각 발판(30)에 올려놓고 외측과 안쪽으로 반복하여 오므리거나 전개시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적인 전진이동이 가능하고, 세개의 바퀴를 지니고 있어 보다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사용함으로 체력단련을 강화하는데 있어서도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끝단에 바퀴(12)를 구비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핸들(11)을 포함하는 핸들축(10)과;
    상기 핸들축(10)을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피봇축(21)을 구비하는 연결판(20)과;
    일단이 상기 피봇축(21)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되어지고, 타단에는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캐스터(40)를 구비하는 발판(30)과;
    상기 두 발판(30)을 외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릴 때 상기 캐스터(40)는 진행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전환되어 진행되도록 상기 발판(30)의 연장부(31)상에 반원형 장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터(40)의 브라켓트(40a)상에 상기 장공(32)속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캐스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10)이 축받이부(2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받이부(20a)가 연결판(20)상에 절곡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발판(30)의 전개 각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30)의 단부를 연장시켜 연장편(30a)을 형성하여 소정각도로 상기 두 발판이 전개되었을 때 상기 연장편(30a)이 서로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한 쌍의 두 발판(30)을 서로 밀착 혹은 분리 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 발판의 저면에는 걸쇠(24)를 부착하고, 타측의 발판(30)에는 상기 걸쇠(34)가 걸려지는 걸림돌기(34a)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100)의 핸들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부(20a)가 연결되고, 그 축받이부(20a)와 연결판(20)을 힌지가능하게 결합하여 핸들축(10)을 절곡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20)과 축받이부(20a)를 힌지(23) 결합하되 상기 연결판(20)상에 상측으로 연장된 브라켓트의 테두리부에 다수의 홈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축받이부(20a)에는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력이 내재된 록킹 및 언록킹레버(24)가 마련되고 상기 록킹 및 언록킹레버(24)와 연동하는 체결핀(24a)이 상기 홈부(22)에 체결되어지는 체결핀(24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킥보드(100)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캐스터(40)의 상측에 가압판을 부착하여 가압판을 가압함으로서 캐스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KR20-2004-0013163U 2004-05-12 2004-05-12 킥보드 KR200358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63U KR200358887Y1 (ko) 2004-05-12 2004-05-12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63U KR200358887Y1 (ko) 2004-05-12 2004-05-12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887Y1 true KR200358887Y1 (ko) 2004-08-11

Family

ID=4943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163U KR200358887Y1 (ko) 2004-05-12 2004-05-12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8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899A (ko) * 2016-08-17 2016-08-24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899A (ko) * 2016-08-17 2016-08-24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102150090B1 (ko) 2016-08-17 2020-08-31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3794B (zh) 搖擺式推進踏板車
US20040032105A1 (en) Foot propelled scooter
US10407117B2 (en) Scooter
KR20060121746A (ko) 땅 위에서 이동하기 위한 놀이 및 운동 기구
CN114954761A (zh) 可折叠防震滑板车
US5029887A (en) Steerable skateboard
KR200358887Y1 (ko) 킥보드
KR200282589Y1 (ko) 추진력을 갖는 킥보드
GB2556243A (en) Improved three-wheeled scooter
KR10137402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436102Y1 (ko) 킥보드
US5358447A (en) Bowling ramp
WO2006121257A1 (en) Skateboard capable of all-direction running
WO2005000433A1 (fr) Appareil roulant pour utilisateurs de patins a roulettes
KR101321957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158422B1 (ko) 롤러 스케이팅 승용기구
KR100981801B1 (ko) 피쉬 보드
CN208910884U (zh) 助行车
KR200373318Y1 (ko) 킥보드
KR100478504B1 (ko)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KR20150124568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292553Y1 (ko) 안장이 구비된 퀵보드
KR200328318Y1 (ko) 삼륜 이송보드
WO2002055372A1 (en) Kick board with driving force
CN214344162U (zh) 一种可调节扶手位置的漫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