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504B1 -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 Google Patents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504B1
KR100478504B1 KR10-2002-0056397A KR20020056397A KR100478504B1 KR 100478504 B1 KR100478504 B1 KR 100478504B1 KR 20020056397 A KR20020056397 A KR 20020056397A KR 100478504 B1 KR100478504 B1 KR 10047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bolt
shaft
footres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796A (ko
Inventor
김형기
Original Assignee
김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기 filed Critical 김형기
Priority to KR10-2002-005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5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3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the 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에 관한 것으로, 대략 측단면이 " ㅠ " 형상으로 상단에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끈고리가 결합된 발판몸체와 발판몸체 하부 양측에는 소켓볼트가 축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축공을 갖고 내측에 너트가 고정되고 너트를 따라 하측에서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축끼움공이 형성된 축끼움부를 갖으며 후방측에 요부로 형성되어 내측에 인써트너트가 장착되는 패드하우징을 갖는 바퀴하우징으로 형성된 발판과, 소켓볼트와 축너트 및 베어링에 의해 발판 바퀴하우징의 두 개 이상 축공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바퀴와, 관체로 하단은 반원형상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축끼움부의 축끼움공에 전방측으로 기울게 끼워져 조임볼트의 상단이 관통되는 볼트유입구멍을 갖고 상부 전방측으로는 손잡이를 갖으며 상부 후방측으로는 절곡되어 지지대를 형성하고 지지대 상단에는 힌지핀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결합된 반원형의 지지링을 갖는 주축 및 사각형상으로 하단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고 중심 상하방향으로 볼트머리구멍이 형성되어 패드하우징의 인써트너트에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브레이크패드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separable roller skid accelerated by foot step and transported by hand and foot step}
본 발명은 분리형 로울러 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이나 얼음 위가 아닌 평평한 땅이나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손으로 중심을 잡으면서 자유롭게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신축가능하여 한 세트만으로 모든 가족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썰매(sled)는 눈이나 얼음판 위에서 사람이나 물건을 싣고 끌거나 미끄러지게 만든 기구로, 서르매, 산서르매, 설매 등으로도 부른다. 한자어의 표기 '雪馬(설마)', '雪鷹(설응)'에서 보듯이 눈 위를 말이나 매처럼 빠르게 달린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썰매의 어원을 한자의 '雪馬'로 보는 설도 있으나, ' 雪馬'는 썰매를 한자로 표기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썰매에는 짐을 실어나르는 썰매, 발에 신는 썰매, 아이들이 타고 노는 썰매 등이 있다.
물건을 실어 나르는 썰매는 바닥이 둥글게 휘어지도록 깎고 앞뒤 끝 부분은 위로 향하도록 굽혀 미끄러지기 쉽게 만든다. 좌우에 두툼한 판자를 세우는데, 좌우 판자의 사이는 2척 정도로 하고 이것을 6, 7개 정도의 가로대로 연결한다. 제일 앞 가로대에 끈을 매어 이 끈을 사람이 잡아 끈다.
이 썰매는 조선시대의 건축 공사에 널리 사용하였다. 17세기의 창경궁·창덕궁 재건공사를 기록한 《의궤》의 내용에는 물건을 나르는 도구로 썰매가 반드시 등장하며, 16세기 말의 수원성곽 공사에도 썰매 9틀이 이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발에 신는 썰매는 그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100cm 전후의 것을 사용하지만, 어린이용으로는 50cm 정도 되는 것도 있다. 너비는 12cm 정도이며, 두께는 5cm가 보통이다. 썰매의 앞쪽은 스키의 부리처럼 위쪽으로 들려지도록 굽힌다. 중간 네 곳에 구멍을 뚫고 끈을 달아서 발을 죄도록 되어 있다. 창을 스키의 스틱처럼 사용한다. 발은 옆부리만 고정시키고 뒤꿈치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우로 회전하거나 제동을 할 때는 이 뒤꿈치를 쓴다. 이것을 신으면 잡목림 속에서도 움직이기 쉬워 사냥을 할 때 편리하다.
어린이들이 눈길이나 얼음판 위에서 썰매를 타고 즐기는 놀이를 썰매놀이라고 한다. 이 썰매의 모양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은 어린이가 앉을 만한 널판의 바닥에 적당한 높이의 각목을 나란히 붙이고 그 밑에 대나무나 쇠줄을 박아서 눈이나 얼음판 위에서 잘 미끄러지도록 한 것이다. 탈 때는 양손에 길다란 송곳을 쥐고 이것으로 바닥을 찍어 앞으로 나가기도 하고 방향 전환을 하거나 멈춘다.
그러나, 이런 썰매는 눈위나 얼음위와 같이 미끄러운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적인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이나 얼음위가 아닌 평평한 땅이나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손으로 중심을 잡으면서 자유롭게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신축가능하여 한 세트만으로 모든 가족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이 올려지는 판체인 발판과 발판 저면 중심부분에 축설되어 일직선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바퀴를 갖고 양발을 발판에 각각 올려놓고 두 개의 스틱을 양손에 잡은 체 손과 발 동작으로 지면을 지치면서 선 자세나 기마 자세로 타고 놀 수 있도록 제공되는 로울러 썰매에 있어서;
대략 측단면이 " ㅠ " 형상으로 상단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끈고리가 결합된 발판몸체와 발판몸체 하부 양측에는 바퀴축이 축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축공을 갖고 내측에 너트가 고정되고 너트를 따라 하측에서 조임볼트가 체결되는 축끼움공이 형성된 축끼움부를 갖으며 후방측에 요부로 형성되어 내측에 인써트너트가 장착되는 패드하우징을 갖는 바퀴하우징으로 형성된 발판과;
소켓볼트와 축너트 및 베어링에 의해 발판 바퀴하우징의 두 개 이상 축공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바퀴와;
관체로 하단은 반원형상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축끼움부의 축끼움공에 전방측으로 기울게 끼워져 조임볼트의 상단이 관통되는 볼트유입구멍을 갖고 상부 전방측으로는 손잡이를 갖으며 상부 후방측으로는 절곡되어 지지대를 형성하고 지지대 상단에는 힌지핀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결합된 반원형의 지지링을 갖는 주축 및
사각형상으로 하단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고 중심 상하방향으로 볼트머리구멍이 형성되어 패드하우징의 인써트너트에 체결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브레이크패드를 구비하여 발판을 번 갈아서 반복적으로 들어 옮겨가면서 가속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주축은 손잡이가 주축과 직각 또는 경사지게 구성되고 길이는 길이조절단속구에 의해 절첩 고정되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주축 상부의 손잡이와 지지대는 주축과 회동볼트 및 조절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회동볼트 및 조절볼트를 느슨하게 풀었을 때에는 회동볼트 및 조절볼트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발판의 발판몸체는 전후방측을 중심측보다 높은 경사면으로 구성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발판의 발판몸체 상단 전방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장홈과;
발판몸체 전방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공과;
작동공에 위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는 길이조절용노브를 갖는 길이조절용핀과;
후방측은 개방되고 전방측은 폐쇄된 측면이 호형인 함체로 저면에는 슬라이딩장홈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를 갖고 하부 일측면에 길이조절용핀의 내측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용핀구멍을 갖는 신발앞굽커버 및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폐쇄된 측면이 호형인 함체로 발판몸체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신발뒷굽커버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발판몸체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 고정되는 벨크로 파스너를 갖는 발끈고리가 더 구비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바퀴는 2륜으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나, 3륜이나 4륜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요부확대 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2b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d는 도 2b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분리형 로울러 썰매(1)는 발판(10)을 번 갈아서 반복적으로 들어 옮겨가면서 가속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10)과, 발판(10)을 미끄럼 이동시키는 바퀴(60)와, 발판(10)을 손과 팔의 힘으로 반복적으로 밀고 또한 들어올리는 주축(40)과, 바퀴(60)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패드(50)로 구성된다.
발판(10)은 합성수지 재질로, 대략 측단면이 " ㅠ " 형상으로 상단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몸체(11)와, 발판몸체(11) 하부 양측에는 바퀴축인 소켓볼트(61)가 축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축공(21)을 갖고, 내측에 너트(23)가 고정되고 너트(23)를 따라 하측에서 조임볼트(24)가 체결되는 축끼움공(25)이 형성된 축끼움부(22)를 갖으며, 후방측에 요부로 형성되어 내측에 인써트너트(27)가 장착되는 패드하우징(26)을 갖는 바퀴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바퀴(60)는 외측면은 고무재질이고, 내측면에는 베어링(63)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발판(10) 바퀴하우징(20)에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된 축공(21)에 각각 소켓볼트(61)와 축너트(62)에 의해 축결합된다.
바퀴(60)와 소켓볼트(61) 사이에는 베어링(63)이 위치되어 바퀴(60)가 원활히 회동되는 것인바, 바퀴하우징(20)과 베어링(63) 사이에는 간격유지링(64)이 안착되어 바퀴(60)가 바퀴하우징(20)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축(40)은 녹슬지 않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관체로, 하단은 반원형상으로 형성시켜 하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바퀴하우징(20) 축끼움부(22)의 축끼움공(25)에 전방측으로 기울게 끼워져 고정되는 것인 바, 사용자가 발판(10)을 밀어젖히고 또한 들어올리는 것이다.
축끼움공(25)에 삽입되는 주축(40)의 하단부에는 축끼움부(22)의 조임볼트(24) 상단이 관통되는 볼트유입구멍(41)이 형성되고, 상부 전방측으로는 돌출된 손잡이(42)를 갖으며, 상부 후방측으로는 절곡 형성된 지지대(45)를 갖는다. 지지대(45) 상단에는 힌지핀(44)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결합된 반원형의 지지링(64)이 체결되어 사용자의 팔목에 위치된다.
브레이크패드(50)는 사각형상의 고무재질로, 하단은 후방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체결볼트(52)가 안착되는 볼트머리구멍(51)이 단층지게 형성되어 체결볼트(52) 상단이 패드하우징(26)의 인써트너트(27)에 체결고정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조임볼트(24)를 풀거나 조여서 주축(40)을 발판(10)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써, 주축(40)의 손잡이(42)나 지지대(45)는 회전하거나 굴절되지 않는 고정식이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주축(40)은 손잡이(42)가 주축(40)과 직각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주축(40)의 길이는 회동되는 길이조절단속구(48)에 의해 절첩 고정되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인 바, 주축(40)의 길이를 손쉽게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볼트(46)를 느슨하게 풀면 지지대(45)가 주축(40) 상단에서 자유롭게 굴절된다.
도 4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로, 주축(4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가장 편리한 위치로 손잡이(42)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주축(40) 상부의 손잡이(44)와 지지대(45)는 주축(40)과 회동볼트(43) 및 조절볼트(46)에 의해 체결되어 회동볼트(43) 및 조절볼트(46)를 느슨하게 풀었을 때에는 회동볼트(43) 및 조절볼트(46)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손잡이(42)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42) 뒤의 회동볼트(43)를 풀면 손잡이(42)의 회전이 가능하며 다시 잠그면 고정된다.
주축(40)의 하단에는 주축(4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조지지대(49)를 형성시켜 사용자가 발판(10)을 들어올릴 때 힘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주축(40)의 하단부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 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 발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로, 발판(10)의 앞부분과 뒷부분은 중심부분보다 높여서 사용자가 타고 놀 때 사용자의 중심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균형잡기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발판(10)의 발판몸체(11) 상단 전방측에 길이방향 수평으로 형성된 슬라이드장홈(12)과, 발판몸체(11) 전방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공(13)과, 작동공(13)에 위치되어 스프링(32)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는 길이조절용노브(31)를 갖는 길이조절용핀(30)과, 후방측은 개방되고 전방측은 폐쇄된 측면이 호형인 함체로 저면에는 슬라이딩장홈(12)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15)를 갖고 하부 일측면에 길이조절용핀(30)의 내측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용핀구멍((16)을 갖는 신발앞굽커버(14)와,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폐쇄된 측면이 호형인 함체로 발판몸체(11)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신발뒷굽커버(17)를 구비한다.
이는 사용자 발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신발앞굽커버(14)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길이조절용핀(30)은 길이조절용노브(31)에 연결된 스프링(32)으로 탄설되어 도 6b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용노브(31)를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길이조절용핀(30)이 신발앞굽커버(14)의 길이조절용핀구멍(16)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그와 같은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신발앞굽커버(14)를 밀거나 당기면 수평상태인 슬라이드장홈(12)상에서 슬라이딩돌기(15)가 이동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 길이에 맞게 이동된 적정한 위치에서 잡아당기고 있던 길이조절용노브(31)를 놓게되면, 길이조절용핀구멍(16)에서 빠져있던 길이조절용핀(30)이 작동공(13)상에서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면서 조절된 위치의 길이조절용핀구멍(16)으로 들어가게 되어 신발앞굽커버(14)는 발판(10)상에서 완강히 고정된다.
도 7a는 본 발명 발끈고리가 장착된 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 발끈고리가 장착된 발판의 요부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 발끈고리가 장착된 발판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7d와 7e 및 7f는 본 발명의 발끈고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로, 발판(10)의 발판몸체(11) 양측 저면에는 걸고리(72)가 각각 장착 고정되고 걸고리(72)에는 벨크로 파스너(71)(또는 매직테이프)가 결착된 발끈고리(70)가 권취되어 사용자의 발은 그 크기에 알맞게 조절되여 발판(10)에 완강히 안착 고정된다.
도 8a는 본 발명 바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로, 바퀴(60)가 진행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2륜으로 구성된 것이고, 도 8b는 본 발명 바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로, 바퀴(60)가 3점식 3륜으로 구성된 것이며, 도 8c는 본 발명 바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로, 바퀴(60)가 4점식 4륜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두 개가 한 세트인 로울러 썰매(1) 한 세트만으로 사용자에 따라 신발앞굽커버(14)의 위치를 손쉽게 이동시켜 온 가족이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눈이나 얼음위가 아닌 평평한 땅이나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손으로 중심을 잡으면서 자유롭게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의 길이에 따라 신축가능하여 한 세트만으로 모든 가족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요부확대 측면도,
도 2c는 도 2b의 A-A선 단면도,
도 2d는 도 2b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 발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발끈고리가 장착된 발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 발끈고리가 장착된 발판의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 발끈고리가 장착된 발판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7d와 7e 및 7f는 본 발명의 발끈고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 바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8b는 본 발명 바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8c는 본 발명 바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러 썰매 10 : 발판
11 : 발판몸체 12 : 슬라이드장홈
13 : 작동공 14 : 신발앞굽커버
15 : 슬라이딩돌기 16 : 길이조절용핀구멍
17 : 신발뒷굽커버 20 : 바퀴하우징
21 : 축공 22: 축끼움부
23 : 너트 24 : 조임볼트
25 : 축끼움공 26 : 패드하우징
27 : 인써트너트 30 : 길이조절용핀
31 : 길이조절용노브 32 : 스프링
40 : 주축 41 : 볼트유입구멍
42 : 손잡이 43 : 회동볼트
44 : 힌지핀 45 : 지지대
46 : 조절볼트 47 : 지지링
48 : 길이조절단속구 49 : 보조지지대
50 : 브레이크패드 51 : 볼트머리구멍
52 : 체결볼트 60 : 바퀴
61 : 소켓볼트 62 : 축너트
63 : 베어링 64 : 간격유지링
70 : 발끈고리 71 : 벨크로 파스너(매직테이프)
72 : 걸고리

Claims (9)

  1. 발이 올려지는 판체인 발판과 발판 저면 중심부분에 축설되어 일직선을 이루는 두 개 이상의 바퀴를 갖고 양발을 발판에 각각 올려놓고 두 개의 스틱을 양손에 잡은 체 손과 발동작으로 지면을 지치면서 선 자세나 기마 자세로 타고 놀 수 있도록 제공되는 로울러 썰매에 있어서;
    대략 측단면이 " ㅠ " 형상으로 상단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몸체(11)와 발판몸체(11) 하부 양측에는 소켓볼트(61)가 축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축공(21)을 갖고 내측에 너트(23)가 고정되고 너트(23)를 따라 하측에서 조임볼트(24)가 체결되는 축끼움공(25)이 형성된 축끼움부(22)를 갖으며 후방측에 요부로 형성되어 내측에 인써트너트(27)가 장착되는 패드하우징(26)을 갖는 바퀴하우징(20)으로 형성된 발판(10)과;
    소켓볼트(61)와 축너트(62) 및 베어링(63)에 의해 발판(10) 바퀴하우징(20)의 두 개 이상 축공(21)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바퀴(60)와;
    관체로 하단은 반원형상으로 수평으로 절곡되어 축끼움부(22)의 축끼움공(25)에 전방측으로 기울게 끼워져 조임볼트(24)의 상단이 관통되는 볼트유입구멍(41)을 갖고 상부 전방측으로는 손잡이(42)를 갖으며 상부 후방측으로는 절곡되어 지지대(45)를 형성하고 지지대(45) 상단에는 힌지핀(44)에 의해 회동자유롭게 결합된 반원형의 지지링(47)을 갖는 주축(40) 및
    사각형상으로 하단이 후방측으로 갈수록 높게 경사지고 중심 상하방향으로 볼트머리구멍(51)이 형성되어 패드하우징(26)의 인써트너트(27)에 체결볼트(52)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브레이크패드(50)를 구비하여 발판(10)을 번 갈아서 반복적으로 들어 옮겨가면서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40)은 손잡이(42)가 주축(40)과 직각 또는 경사지게 구성되고 길이는 길이조절단속구(48)에 의해 절첩 고정되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10) 상부의 손잡이(42)와 지지대(45)는 주축(40)과 회동볼트(43) 및 조절볼트(46)에 의해 체결되어 회동볼트(43) 및 조절볼트(46)를 느슨하게 풀었을 때에는 회동볼트(43) 및 조절볼트(46)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발판몸체(11)는 전후방측을 중심측보다 높은 경사면으로 구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발판몸체(11) 상단 전방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장홈(12)과;
    발판몸체(11) 전방 일측면에 형성된 작동공(13)과;
    작동공(13)에 위치되어 스프링(32)에 의해 내측으로 탄발되는 길이조절용노브(31)를 갖는 길이조절용핀(30)과;
    후방측은 개방되고 전방측은 폐쇄된 측면이 호형인 함체로 저면에는 슬라이딩장홈(12)에 끼워지는 슬라이딩돌기(15)를 갖고 하부 일측면에 길이조절용핀(30)의 내측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용핀구멍(16)을 갖는 신발앞굽커버(14) 및
    전방측은 개방되고 후방측은 폐쇄된 측면이 호형인 함체로 발판몸체(11)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신발뒷굽커버(1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몸체(10)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 고정되는 벨크로 파스너(71)를 갖는 발끈고리(7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60)는 진행방향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2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60)는 3점식 3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60)는 4점식 4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 분리형 로울러 썰매.
KR10-2002-0056397A 2002-09-17 2002-09-17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KR10047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97A KR100478504B1 (ko) 2002-09-17 2002-09-17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97A KR100478504B1 (ko) 2002-09-17 2002-09-17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796A KR20040025796A (ko) 2004-03-26
KR100478504B1 true KR100478504B1 (ko) 2005-03-28

Family

ID=3732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397A KR100478504B1 (ko) 2002-09-17 2002-09-17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5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5755A (zh) * 2010-11-10 2011-07-20 伟旺有限公司 带有可调节扶手的滑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81139C1 (ru) * 2012-02-27 2013-05-10 Николай Петрович Дядченко Кольцевой роллер
RU2647251C1 (ru) * 2017-04-05 2018-03-14 Николай Петрович Дядченко Кольцевой ролле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080U (ko) * 1989-08-28 1991-04-16
WO1997032635A1 (es) * 1996-03-09 1997-09-12 Estelles Rey, Ignacio Sistema de desplazamiento mediante patines con bastones de control incorporados y libres de sujecion integral a los pies
KR200272311Y1 (ko) * 2002-01-28 2002-04-17 송용법 롤러 블레이드
JP2002186701A (ja) * 2000-12-20 2002-07-02 Eishoku Moriyama 操向装置付きスケートボ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9080U (ko) * 1989-08-28 1991-04-16
WO1997032635A1 (es) * 1996-03-09 1997-09-12 Estelles Rey, Ignacio Sistema de desplazamiento mediante patines con bastones de control incorporados y libres de sujecion integral a los pies
JP2002186701A (ja) * 2000-12-20 2002-07-02 Eishoku Moriyama 操向装置付きスケートボード
KR200272311Y1 (ko) * 2002-01-28 2002-04-17 송용법 롤러 블레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5755A (zh) * 2010-11-10 2011-07-20 伟旺有限公司 带有可调节扶手的滑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796A (ko) 200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96045B (en) An in-line skateboard
US7192038B2 (en) Foot propelled scooter
US5772220A (en) In-line skate conversion apparatus
US7416197B2 (en) Personal recreational vehicle with rotatable seat
KR20070096725A (ko) 다중 이송 부착부를 구비한 사용자의 발 받침용 개인 이송장치
JPS637791B2 (ko)
US20090058023A1 (en) Tri-Axial Control Device
US9889368B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US6446983B1 (en) In-line skate wheel disabling apparatus
KR100478504B1 (ko) 손과 발동작으로 들어서 옮겨가면서 발동작으로 가속하는분리형 로울러 썰매
US4073500A (en) Wheel board undulating coaster
EP3344512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US20030209901A1 (en) Snow arc ski board and sports arc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KR200185905Y1 (ko) 썰매
US20040032098A1 (en) In-line skate conversion apparatus
KR101555288B1 (ko) 보드 썰매
KR200382463Y1 (ko) 롤러브레이드 썰매
KR20020021200A (ko) 롤러썰매
KR200373318Y1 (ko) 킥보드
KR200413650Y1 (ko) 레포츠 썰매
KR200192246Y1 (ko) 유희용 발판
KR200225213Y1 (ko)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KR20050113370A (ko) 스케이트보드
KR200372428Y1 (ko) 스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