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5213Y1 -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5213Y1
KR200225213Y1 KR2020000036353U KR20000036353U KR200225213Y1 KR 200225213 Y1 KR200225213 Y1 KR 200225213Y1 KR 2020000036353 U KR2020000036353 U KR 2020000036353U KR 20000036353 U KR20000036353 U KR 20000036353U KR 200225213 Y1 KR200225213 Y1 KR 200225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oller
sled
crossbar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수
Original Assignee
황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승수 filed Critical 황승수
Priority to KR2020000036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5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5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5213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썰매의 발판 상부에 설치된 가로대를 발의 앞부분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로울러 썰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발판 상에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중심대, 이 중심대의 앞 부분 상에 중심대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브레이크 레바 역할을 하는 가로대, 후륜 근처에 설치되어 가로대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후륜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마찰패드, 한 말단이 가로대에 고정되고 다른 말단은 마찰패드에 연결된 브레이크 연결선, 들어올려진 가로대를 복원시켜서 마찰패드를 복원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중심대와 가로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썰매를 타는 동작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브레이크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사용자가 발로 썰매를 붙잡을 수 있으므로 방향전환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점프하여 피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Roller Sled With Brake Means}
본 고안은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썰매의 발판 상부에 설치된 가로대를 발의 앞부분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브레이크가 작동하는 로울러 썰매에 관한 것이다.
썰매는 겨울철 얼음 위에서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로서, 시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중,장년층의 사람이라면 누구나 기억하고 있는 추억의 놀이기구이다. 이러한 썰매는 단순히 놀이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의 운동기구로서 역할을 하였으며, 어린이들은 썰매타기에 의하여 평형감각과 회전감각 등을 자연스럽게 익힘으로써 신체를 단련하여 왔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썰매를 탈 만한 공간이 없으며, 또한 요즈음에는 시골에서도 썰매를 탈 만한 공간이 점점 없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도시의 평지면이나 도로 상에서 탈 수 있는 로울러 썰매가 다수 제품으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로울러 썰매들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33120호, 실용신안공보 제1994-718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37593호, 실용신안공보 제1987-9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33120호에 개시된 로울러 썰매는 썰매의 앞부분에 발로 밟는 브레이크 페달이 설치되어 이 브레이크 페달을 발로 밟음으로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썰매를 타고 있는 동안에 발을 움직여 썰매의 앞부분에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은 몸의 중심을 잃고 쓰러지게 하는 위험요소를 내재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공보 제1994-7188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37593호, 실용신안공보 제1987-924호에는 로울러 썰매의 뒷부분에 브레이크 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브레이크 수단은 썰매를 타는 사람이 썰매의 앞부분을 들어올림으로써 지면과 마찰하여 브레이크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브레이크 수단은 얼음 위에서 타는 썰매에서의 브레이크 작동을 그대로 모방한 것으로 얼음이 아닌 아스팔트 등에서는 그 작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실제로 얼음 위에서의 브레이크 동작을 위하여 과도하게 썰매의 앞부분을 들어올림에 따라 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얼음 위에서는 쓰러지더라도 크게 다치는 경우는 없으나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쓰러지게 되면 가볍게는 찰과상을 입을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팔 또는 다리가 부러질 수도 있다. 또한 내리막길에서는 썰매의 앞부분을 들어올리는 동작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사계절 언제나 탈 수 있는 로울러 썰매에는 여전히 안전하면서 완벽한 브레이크 수단이 요구된다.
한편, 실용신안공보 제1990-4262호에는 손으로 브레이크 동작을 수행하는 로울러 썰매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안전하면서 완벽한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로 붙잡을 수 있는 로울러 썰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발로 붙잡을 수 있기 때문에 로울러 썰매를 탄 상태에서 방향전환이 보다 원활하고, 보도블록과 같은 낮은 장애물을 용이하게 넘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측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에서 중심대와 가로대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와 함께 사용되는 스키 폴대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러 썰매 10 : 발판
20 : 전륜 30 : 후륜
40 : 지지대 50 : 중심대
60 : 가로대 70 : 탄성부재
80 : 브레이크 연결선 90 : 브레이크 패드
100 : 보조 브레이크
본 고안의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방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전륜, 상기 발판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발판의 하부에 설치된 보강대에 의하여 연결되는 후륜, 방향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 상에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앞 부분 상에 상기 중심대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브레이크 레바 역할을 하는 가로대, 상기 후륜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대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후륜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마찰패드, 한 말단이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고 다른 말단은 상기 후륜 근처에 설치된 상기 마찰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대에 고정된 한 말단으로부터 상기 중심대에 설치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발판의 하부를 따라 상기 마찰패드에 연결된 다른 말단으로 연결되는 브레이크 연결선, 들어올려진 상기 가로대를 복원시켜서 상기 후륜에 마찰된 상기 마찰패드를 복원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심대와 상기 가로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상기 발판의 뒷부분 말단에 하측으로 마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보조 브레이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에서 상기 전륜은 상기 발판 중심축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륜은 상기 발판 중심축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중심축에 의하여 서로 인접되게 연결된 한 쌍의 바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의 배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1)는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10), 전륜(20) 및 후륜(3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에서, 발과의 밀착을 위하여 발이 놓여지는 발판(10)의 부위에는 부직포와 같은 마찰계수가 큰 천이 부착되거나 발판(10) 표면이 거칠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1)는 발판(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4개의 바퀴가 설치된 것이거나, 발판의 전방 중앙 하부에 하나의 전륜과 발판의 후방 양측방에 두 개의 후륜을 가지는 것이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의 전방 중앙 하부에 하나의 전륜과 발판의 후방 중앙 하부에 하나의 후륜 또는 인접한 한쌍의 후륜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소위 외날 썰매를 개량한 외날 로울러 썰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개념은 발판의 중심축을 따라 그 하부에 설치된 전륜과 후륜으로 이루어지는 외날 로울러 썰매에 가장 적합하지만 3개의 바퀴 또는 4개의 바퀴로 이루어지는 로울러 썰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륜(20)은 회전가능한 통상의 로울러이다. 로울러를 발판에 연결하기 위하여 발판에 받침판을 부착하고 로울러가 결합된 연결 브래킷을 볼베어링을 개재하여 받침판과 연결한다. 로울러는 연결 브래킷과 축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 때 전륜 로울러는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걸림턱을 설치할 수도 있고,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 로울러 부재를 특별하게 설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륜(20)은 전방을 향하여 구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좌우로 회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방향전환을 할 수 있게 한다.
후륜(30)은 발판의 중심축의 후방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후륜(30)을 설치하기 위하여 발판의 후방 하부에 후륜이 설치될 공간 만큼의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지지대(40)를 설치한다. 후륜은 이 두 개의 지지대와 축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후륜(40)은 좌우로 회전하지 않으며 단지 전방을 향하여 구르는 역할만을 할 뿐이다. 이 때, 전륜과 후륜이 발판의 중심축을 따라 설치되는 외날 로울러 썰매에 있어서는, 전륜과 후륜에 의하여 지지되는 썰매의 안정감을 위하여 후륜으로서 두 개의 바퀴가 인접한 쌍륜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썰매의 안정감을 위하여 후륜(30)은 전륜(20)에 비하여 큰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발판(10)의 소정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후륜(30)의 일부가 발판(10) 상으로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1)는 또한 발판(10)의 중심축 상부에 그 중심축을 따라 길게 놓여진 중심대(50)를 가진다. 이 중심대의 뒷부분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출된 후륜(30)을 덮을 수 있도록 후륜(30)의 모양과 대응되도록 만곡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사용자가 바로 후륜(30)을 건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노출된 후륜(30)을 시야로부터 감춤으로써 썰매의 외관에 미적감각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중심대(50)에 의하여 발판(10)은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발판(10)의 각 영역에는 각각 왼발과 오른발이 놓여지게 된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1)에서 중심대(50)는 썰매를 타는 사람의 발에 대하여 지지대 역할을 함으로써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심대(50)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로대(60)와 결합하여 방향전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발로 썰매를 붙잡을 수 있도록 하여 전방에 나타난 낮은 장애물에 대해서는 썰매를 탄 채로 그 장애물을 뛰어넘을 수 있게 해준다. 중심대(50)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발판(10)과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외의 결합방법, 예를 들어, 강력 접착제에 의한 결합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중심대(50) 상에는 중심대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가로대(60)가 놓여진다. 가로대(50)는 발의 앞꿈치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진다. 즉, 발의 앞꿈치는 가로대(60)의 하부에 놓여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썰매(1)는 사용자의 발에 의하여 붙잡혀진다.
도 5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에서 중심대와 가로대의 연결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가로대가 들려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대(50)와 가로대(6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70)에 의하여 연결된다. 탄성부재(70)의 양 끝은 고리모양으로 되어 있어 중심대(50) 및 가로대(60)와 결합된다. 탄성부재(70)는 사용자가 가로대(60)를 발로 들어올림에 따라 늘어나고 가로대(60)를 놓으면 탄성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제자리로 돌아간다. 탄성부재(70)의 복원력은 이후에 설명하게 될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가로대(60)에는 브레이크 연결선(80)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연결선(80)은 중심대(60)에 뚫려진 구멍을 통과하여 발판(10)의 하부를 따라 후륜(30) 근처에 설치된 브레이크 패드(90)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패드(90)는 후륜(30)의 림 부근에 매우 가깝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를 타는 도중에 발로 가로대(60)를 들어올리면 느슨한 브레이크 연결선(80)이 팽팽하게 되어 브레이크 패드(90)가 후륜(30)의 림에 밀착함으로써 후륜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이로써 썰매는 감속되고 브레이크 작동이 계속되면 썰매는 멈추게 된다. 한편으로, 사용자가 들어올린 발을 다시 내려놓으면, 가로대(60)는 탄성부재(7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자리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면 후륜(30)의 림 부근에 밀착되었던 브레이크 패드(90)는 다시 후륜(3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1)는 사용자가 발을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브레이크 작동이 되므로 썰매를 타는 동작에 거의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썰매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10)의 중심축 상에 놓여지는 중심대(50)와 가로대(60)에 의하여 사용자는 발로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1)를 붙잡을 수 있으므로 방향전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에 나타난 작은 장애물을 살짝 점프하여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썰매의 후부에 설치된 브레이크를 보조브레이크(10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보조브레이크(100)는 썰매 자체의 앞부분을 들어올림으로써 썰매의 뒷부분이 낮아져 지면과 마찰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에는 썰매의 전방부에 팔랑개비를 설치할 수 있다. 팔랑개비는 썰매의 기능적인 것 보다는 미적 감각을 살리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와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한 것이다. 팔랑개비는 전방부에 한 쌍을 설치할 수 있으며, 발판(10)의 전방 단면에 그대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에 의하여 팔랑개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만곡진 보조판을 설치하고 보조판의 만곡진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도 6는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와 함께 사용되는 스키 폴대를 나타낸다. 종래에 얼음에서 타는 썰매를 추진하기 위하여 긴 나무막대 끝에 못이나 철사가 결합된 송곳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으로 로울러 썰매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끝 부분에 고무 부재가 설치된 스키 폴대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스키 폴대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면과의 밀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키 폴대 끝에 부착된 고무 부재의 끝 부분은 위로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홈이 복수개 형성된 반구 모양의 고무부재가 결합된 스키 폴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키 폴대는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홈이 복수개 형성됨으로 인하여 지면과 밀착된 후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로울러 썰매를 타는 보도 또는 도로가 완전히 평면인 지면은 아니어서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고무 부재가 결합된 스키 폴대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서는 그러한 스키 폴대가 지면과 밀착된 후 탈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위험한 사고에 직면하게 되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으므로 만에 하나 있을 수도 있는 안전사고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조의 스키 폴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스키 폴대는 취급의 편의성을 위하여 두 개 혹은 세 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좋다. 두 개로 분리되는 스키 폴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편하게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취급의 편의성을 가지면서 보다 튼튼한 결합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나사결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썰매의 발판 상부에 설치된 가로대를 발의 앞부분으로 들어올림으로써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서, 썰매를 타는 동작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확실하게 브레이크 작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로울러 썰매는 사용자가 발로 썰매를 붙잡을 수 있으므로 방향전환이 보다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애물을 점프하여 피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3)

  1.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방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된 전륜;
    상기 발판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발판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에 의하여 연결되는 후륜;
    방향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발판 상에 중심축을 따라 설치된 중심대;
    상기 중심대의 앞 부분 상에 상기 중심대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브레이크 레바 역할을 하는 가로대;
    상기 후륜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대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후륜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마찰패드;
    한 말단이 상기 가로대에 고정되고 다른 말단은 상기 후륜 근처에 설치된 상기 마찰패드에 연결되며, 상기 가로대에 고정된 한 말단으로부터 상기 중심대에 설치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발판의 하부를 따라 상기 마찰패드에 연결된 다른 말단으로 연결되는 브레이크 연결선;
    들어올려진 상기 가로대를 복원시켜서 상기 후륜에 마찰된 상기 마찰패드를 복원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심대와 상기 가로대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뒷부분에 하측으로 말단에 마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보조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은 하나의 바퀴로서 상기 발판 중심축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륜은 상기 발판 중심축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중심축에 의하여 서로 인접되게 연결된 한 쌍의 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KR2020000036353U 2000-12-26 2000-12-26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KR200225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353U KR200225213Y1 (ko) 2000-12-26 2000-12-26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353U KR200225213Y1 (ko) 2000-12-26 2000-12-26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5213Y1 true KR200225213Y1 (ko) 2001-05-15

Family

ID=7309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353U KR200225213Y1 (ko) 2000-12-26 2000-12-26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5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288B1 (ko) 2015-07-21 2015-10-06 최상락 보드 썰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288B1 (ko) 2015-07-21 2015-10-06 최상락 보드 썰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6842C (en) A skateboard
US4805936A (en) Wheeled ski
US5551717A (en) Sports conveyance
US5160155A (en) Skateboard having two wheels in tandem
US5439238A (en) Braking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s
CA2519333A1 (en) Winter recreational vehicle
EP0104127B1 (fr) Véhicule à conduite intérieure de faibles dimensions extérieures
FR2564411A1 (fr) Vehicule sans moteur pour les deplacements individuels de personnes sur des courtes distances
US20050236783A1 (en) Personal conveyance for recreational use
KR200225213Y1 (ko) 브레이크 수단이 장착된 로울러 썰매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KR200291336Y1 (ko) 조향바퀴를 구비한 롤러 썰매
JP2005261871A (ja) 二輪操舵のスケートボード
US6702303B1 (en) Roller skate vehicle with seat
KR100452140B1 (ko)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보드
KR200330270Y1 (ko) 브레이크장치 겸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EP1310275B1 (fr) Ski à selle
KR200288640Y1 (ko) 롤러 스키
KR200330218Y1 (ko) 보행을 위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회전바퀴 고정.스탠딩장치
KR200384624Y1 (ko) 바퀴달린 롤러썰매
JPS64951Y2 (ko)
KR840002169Y1 (ko) 그라운드 썰매
KR200199376Y1 (ko) 근거리 이동용 기구
AU674675B2 (en) Sports conveyance
KR200205787Y1 (ko) 킥 브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