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40Y1 - 롤러 스키 - Google Patents

롤러 스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40Y1
KR200288640Y1 KR2020020017424U KR20020017424U KR200288640Y1 KR 200288640 Y1 KR200288640 Y1 KR 200288640Y1 KR 2020020017424 U KR2020020017424 U KR 2020020017424U KR 20020017424 U KR20020017424 U KR 20020017424U KR 200288640 Y1 KR200288640 Y1 KR 200288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wheel shaft
rotatably
brake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Original Assignee
김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식 filed Critical 김상식
Priority to KR2020020017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40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물고기형상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형성되므로 특유한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도록,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등뼈부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하부에 앞뒤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축과, 앞바퀴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앞바퀴와, 뒷바퀴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뒷바퀴와, 몸체에 설치되고 뒷바퀴축을 회전가능하고 앞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레이크장치와, 뒷바퀴의 앞쪽에 마주하도록 몸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는 롤러 스키를 제공한다.
브레이크장치는 뒷바퀴축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작동홈이 형성되고 베어링을 통하여 뒷바퀴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본체와, 본체의 작동홈에 설치되고 뒷바퀴축에 앞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스키 {Roller Ski}
본 고안은 롤러 스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앞바퀴쪽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가 작동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물고기의 형상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형성하므로 공기저항을 줄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 롤러 스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는 겨울철 스포츠로서 눈덮인 산에서만 즐길 수 있으며, 썰매는 얼음이 언 넓은 면적의 빙판이 필요하다. 스키나 썰매는 겨울철이 아닌 경우에는 즐길 수가 없음은 물론, 특수하게 만든 스키장이나 빙판, 눈썰매장을 가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스키나 썰매는 빙판이나 눈이 다져진 곳에서도 접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끝이 뽀족하게 형성된 스틱(stick)을 이용하므로, 평지나 약간의 오르막길에서도 전진할 수 있고, 정지하는 경우에 몸의 균형을 잡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도시에서는 스키나 썰매를 타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두 특수하게 만든 스키장이나 눈썰매장을 찾아가야 하고 겨울철에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집 주변에서 사계절 즐길 수 있는 놀이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스틱을 이용하여 평지에서도 즐길 수 있는 썰매의 경우에는 특수한 설비를 이용하여 만든 스케이트장과 같은 곳에서만 즐길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적다. 즉 평지에서 사용하는 썰매의 경우에는 스틱으로 힘을 가하면서 발을 굴러 전진하므로 팔의 힘과 다리의 힘을 길러 줄 수 있으며, 운동량이 부족한 도시의 어린이들에게 충분한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는 놀이이지만, 집 주변에 넓은 빙판이 형성된 스케이트장 등이 없으므로 활용도가 적은 편이다.
그리고 스키장이나 눈썰매장, 스케이트장을 만드는 데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유지비용 또한 많이 소요되어 이용객들에게 비싼 요금을 부과하고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데에는 비용부담이 매우 크다.
따라서 최근에는 발판의 바닥면에 2∼4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도로나 운동장 등에서도 마치 썰매나 스키를 타는 듯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롤러 스키나 롤러썰매 등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롤러 스키에 있어서는 브레이크장치가 페달을 밟거나 레버를 잡아당기도록 구성되어 롤러 스키를 타는 도중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 즉 발판에 양쪽 발을 딛고 달리는 도중에 한쪽 발을 옮겨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동작이 쉽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과정에서 중심을 잃고 넘어지게 되며, 부상을 입을 우려가 높다.
또 종래의 롤러 스키에 있어서는 그 형상이 단조롭고 평범하여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부족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의 작동이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물고기형상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형성되므로 특유한 심미감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롤러 스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브레이크장치를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롤러 스키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등뼈부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하부에 앞뒤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축과, 상기한 앞바퀴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앞바퀴와, 상기한 뒷바퀴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뒷바퀴와, 상기한 몸체의 하부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뒷바퀴축을 회전가능하고 앞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한 뒷바퀴의 앞쪽에 마주하도록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브레이크장치는 상기한 뒷바퀴축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작동홈이 형성되고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한 뒷바퀴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작동홈에 설치되고 상기한 뒷바퀴축에 앞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등뼈부(14)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몸체(10)와, 상기한 몸체(10)의 하부에 앞뒤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축(27) 및 뒷바퀴축(23)과, 상기한 앞바퀴축(27)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앞바퀴(32)와, 상기한 뒷바퀴축(23)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뒷바퀴(30)와, 상기한 몸체(10)의 하부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뒷바퀴축(23)을 회전가능하고 앞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레이크장치(40)와, 상기한 뒷바퀴(30)의 앞쪽에 마주하도록 상기한 몸체(1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뒷바퀴축(23)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작동홈(41)이 형성되고 베어링(43)을 통하여 상기한 뒷바퀴축(2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한 몸체(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42)와, 상기한 본체(42)의 작동홈(41)에 설치되고 상기한 뒷바퀴축(23)에 앞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한 탄성부재(44)는 압축코일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작동홈(41)에 삽입되는 뒷바퀴축(23)을 지지하는 베어링(43)과 탄성부재(44) 사이에는 탄성부재(44)가 베어링(43)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부재(4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45)가 더 설치된다.
상기한 몸체(10)는 사용자가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발판(12)과, 상기한 발판(12)의 윗면 중앙부분에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등뼈부(14)와, 상기한 발판(12)의 밑면 앞쪽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앞바퀴축(27)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한 앞바퀴(32)가 설치되는 앞지지판(26)과, 상기한 발판(12)의 밑면 뒤쪽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뒷바퀴축(2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한 뒷바퀴(30)가 설치되는 뒤지지판(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뒤지지판(22)에는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가 설치되어 상기한 뒷바퀴축(2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한 앞지지판(26) 및 뒤지지판(2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양쪽에서 상기한 앞바퀴축(27) 및 뒷바퀴축(2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앞바퀴축(27)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한 앞지지판(2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한 몸체(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물고기의 형상을 닮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외관상 미려하고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몸체(10)의 등뼈부(14)는 물고기의 등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등뼈부(14)의 앞쪽 양 옆면에는 물고기의 눈과 같은 형상으로 경광부(15)를 설치한다.
상기한 경광부(15)는 형광물질이나 색유리, 소정 색상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빛을 반사시키거나 야간(어두운 곳)에 빛을 내도록 구성하는 것이 사용시에 다른 사람(예를 들면 차량 운전자 등)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판(12)의 윗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3)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미끄럼방지돌기(13)는 일정한 크기로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다른 다양한 크기로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10)의 앞쪽에는 상기한 등뼈부(14) 및 발판(12)과 연결되며 마치 물고기의 머리부분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부(16)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머리부(16)는 상기한 등뼈부(14) 및 발판(12)과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한 머리부(16), 등뼈부(14), 발판(12)을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하고 일체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등뼈부(14)의 뒷부분은 물고기의 꼬리지느러미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는 도 2와 같은 상태(정지 또는 진행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의 탄성부재(44) 탄성력에 의하여 뒷바퀴축(23) 및 뒷바퀴(30)는 상기한 몸체(10)에 형성되는 휠가드부의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로 진행하던 도중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앞바퀴(32)쪽을 들어올리는 도 4와 같은 상태(제동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몸체(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의 탄성부재(44) 탄성력을 이기고 탄성부재(44)가 압축되면서 상기한 몸체(10)가 뒤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뒷바퀴(30)는 지면에 접지된 상태이므로 제자리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한 뒷바퀴(30)의 앞부분이 상기한 몸체(10)의 휠가드부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한 브레이크패드(38)와 접촉하면서 제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앞바퀴(32)를 내려 상기한 몸체(10)를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하면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하여 뒷바퀴축(23)이 뒤쪽으로 밀리면서 뒷바퀴(30)가 브레이크패드(38)와 접촉한 상태로부터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앞바퀴(32)를 들어올리고 내림에 따라 브레이크의 작동과 해제가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브레이크장치(40)를 몸체(10)의 뒤지지판(22)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를 뒷바퀴(30)의 휠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를 뒷바퀴(30)와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한 뒷바퀴축(23)은 상기한 뒤지지판(22)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브레이크장치(40)는 뒷바퀴축(23)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브레이크장치(40)는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이 뒷바퀴(30)를 뒤쪽(브레이크패드(38)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장치(40)를 뒷바퀴(30)의 휠부분에 설치하면, 평상시의 진행상태에서는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하여 뒷바퀴(30)와 브레이크패드(38)가 이격된 상태에서 뒷바퀴(30)가 회전하고, 앞바퀴(32)를 들어올리는 제동상태에서는 뒷바퀴축(23)을 중심으로 뒷바퀴(30)가 앞쪽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패드(38)와 접촉하여 브레이크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에 의하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앞바퀴 및 뒷바퀴가 지면에 접하므로 아스팔트나 도로 등에서도 썰매놀이를 즐기는 것이 가능하며, 사계절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또 특수하게 빙판이 형성된 썰매장이나 스케이트장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썰매놀이를 즐길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집 주위에서 별도의 경제적 부담(썰매장이나 스케이트장 이용료 등)없이 손쉽게 놀이를 즐기면서 운동을 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에 의하면, 단순하게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브레이크가 작동하므로 제동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운행중에 손이나 발로 페달을 밟거나 레버를 잡아당기는 등의 별다른 조작이 필요없이 제동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감소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스키에 의하면, 전체적인 형상이 물고기형상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독특한 심미감이 부여되며,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많은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진행중에 공기의 저항이 크게 감소하여 속도감을 느낄 수 있다.

Claims (3)

  1.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등뼈부가 돌출하여 형성되는 판형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하부에 앞뒤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앞바퀴축 및 뒷바퀴축과,
    상기한 앞바퀴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앞바퀴와,
    상기한 뒷바퀴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뒷바퀴와,
    상기한 몸체의 하부 뒤쪽에 설치되고 상기한 뒷바퀴축을 회전가능하고 앞뒤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레이크장치와,
    상기한 뒷바퀴의 앞쪽에 마주하도록 상기한 몸체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를 포함하는 롤러 스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브레이크장치는 상기한 뒷바퀴축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작동홈이 형성되고 베어링을 통하여 상기한 뒷바퀴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한 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작동홈에 설치되고 상기한 뒷바퀴축에 앞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작동홈에 삽입되는 뒷바퀴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탄성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롤러 스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는 전체적인 형상이 물고기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상기함 몸체는 사용자가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발판과, 상기한 발판의 윗면 중앙부분에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등뼈부와, 상기한 발판의 밑면 앞쪽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앞바퀴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한 앞바퀴가 설치되는 앞지지판과, 상기한 발판의 밑면 뒤쪽에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한 뒷바퀴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한 뒷바퀴가 설치되는 뒤지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등뼈부의 앞쪽 양 옆면에는 물고기의 눈 형상으로 경광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발판의 윗면에는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를 돌출하여 형성하는 롤러 스키.
KR2020020017424U 2002-06-07 2002-06-07 롤러 스키 KR200288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24U KR200288640Y1 (ko) 2002-06-07 2002-06-07 롤러 스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24U KR200288640Y1 (ko) 2002-06-07 2002-06-07 롤러 스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40Y1 true KR200288640Y1 (ko) 2002-09-11

Family

ID=7312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424U KR200288640Y1 (ko) 2002-06-07 2002-06-07 롤러 스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5936A (en) Wheeled ski
US5312120A (en) Roller-ski
US5772220A (en) In-line skate conversion apparatus
US5236222A (en) Roller skate pole device
US5547204A (en) Multipurpose mobile device with open sided foot engagement
CN101745213B (zh) 滑板
CA2055565C (en) Roller ski
US4349209A (en) Snow shuttle
KR200288640Y1 (ko) 롤러 스키
USD530765S1 (en) Wheeled ski
KR200219048Y1 (ko) 스틱
KR20030093551A (ko) 유희용 놀이구
US20050285363A1 (en) Roller sled and roller ski using the same
KR200419755Y1 (ko) 롤러식 썰매
CN2464383Y (zh) 防脱滑雪板
KR200283067Y1 (ko) 스키가 부착된 롤러 썰매
KR200435676Y1 (ko) 3륜 스케이트 보드
CN212941351U (zh) 一种带轮滑的滑雪板
KR20020021200A (ko) 롤러썰매
KR200339041Y1 (ko) 바퀴달린 썰매
CN2203169Y (zh) 旱滑雪板
KR200382463Y1 (ko) 롤러브레이드 썰매
KR100452140B1 (ko)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보드
KR100407141B1 (ko) 롤러 보드
KR200372428Y1 (ko) 스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