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020B1 - 트라이서클 킥보드 - Google Patents

트라이서클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020B1
KR101374020B1 KR1020120113864A KR20120113864A KR101374020B1 KR 101374020 B1 KR101374020 B1 KR 101374020B1 KR 1020120113864 A KR1020120113864 A KR 1020120113864A KR 20120113864 A KR20120113864 A KR 20120113864A KR 101374020 B1 KR101374020 B1 KR 10137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s
slide
rear wheel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12011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62M1/3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for directly driving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2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 B62L1/04Brakes; Arrangements thereof in which cycle wheels are engaged by brake elements the tyre surfaces being eng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라이서클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과 연결된 손잡이봉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프레임과 연결된 S형프레임, 그리고 S형프레임에 연결된 두개의 링크프레임에 각각 후륜과 연결된 발판을 장착하여, 링크프레임에 천공된 슬라이드공을 따라 발판을 수평 또는 앞 발굼치에 체중을 실어 앞으로 눌러 번갈아 가면서 왕복하여 안정되게 전진할 수 있게 다수개의 후륜을 장착하고, 또 고정커버를 고정축에 다수개의 고정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분리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발판의 뒷 발굼치에 체중을 실어 뒤로 눌러주면 브레이크롤러가 후륜을 압착하여 회전을 정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라이서클 킥보드{A tricycle kick board}
본 발명은 트라이서클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과 연결된 손잡이봉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프레임과 연결된 S형프레임, 그리고 S형프레임에 연결된 두개의 링크프레임에 각각 후륜과 연결된 발판을 장착하여, 링크프레임에 천공된 슬라이드공을 따라 발판을 수평 또는 앞 발굼치에 체중을 실어 앞으로 눌러 번갈아 가면서 왕복하여 안정되게 전진할 수 있게 다수개의 후륜을 장착하고, 또 고정커버를 고정축에 다수개의 고정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분리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발판의 뒷 발굼치에 체중을 실어 뒤로 눌러주면 브레이크롤러가 후륜을 압착하여 회전을 정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전륜과 후륜이 달린 발판에 한 발을 얹고 땅을 구르며 핸들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레포츠 기구이다.
종래 2륜 킥보드의 단조로움과 위험성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앞바퀴와 두발을 디딜 수 있는 두 개의 덱(Deck)을 링크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앞바퀴는 자전거 핸들처럼 동일 유사한 구조로 핸들부재가 장착되며, 덱에는 바퀴가 1개 이상으로 장착되고, 핸들부재의 손잡이에는 브레이크를 구비하여 브레이크를 조작함에 따라 덱에 장착된 바퀴가 제동되도록 하는 운동기구가 개발되었고, 이는 트라이크(Trikke) 또는 트라이서클 킥보드로 새로운 이름이 붙여져 시판되고 있다.
그리고 특허 등록번호 613014호 트라이서클 킥보드와 실용신안등록 405734호 '트라이서클 킥보드' 그리고 2008년 특허출원 제 84236호 '트라이서클 킥보드'가 알려져 있고 이미 제품화 되고 있다.
상기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주행하는 요령은 탑승자가 신체중심의 리듬에 맞추어 체중을 전후좌우로 적절한 시점에 이동하고 양발을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함과 동시에 핸들을 지그재그로 돌려주는 타이밍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것이다.
특히 체중을 좌우 덱에 이동시키면서 바깥쪽 발(덱)을 바깥쪽 방향으로 밀쳐내는 과정에서 더욱 고속의 속도를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트라이서클 킥보드는 덱의 회전반경이 한정되어 있고, 회전점이 1개소이므로 덱을 밀쳐내는 각도가 한정되므로 추진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출원번호 10-2012-0111036 은 발판에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띠가 없어서, 전후진 및 좌우 경사각을 이루는 과정에서 발의 이탈현상이잦아 위험하며, 발판을 전후좌우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고정축 상단이 링크프레임 하단과의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한 개의 후륜이므로 본의 아니게 뒤꿈치에 체중을 싣게 될 때, 중심이 흐트러져 브레이크를 자주 작동시키는 결점과, 잦은 상하좌우회전으로 인하여 한 개의 고정볼트로 결합시킨 고정커버와 고정축이 풀어져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전륜과 연결된 손잡이를 잡고 손잡이봉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두개의 S형프레임과, 그리고 상기 S형프레임에 각각 연결된 링크프레임의 내부를 천공한 슬라이드공에 장착된 다수의 후륜을 갖추어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무게중심을 이루는 발판을 밟고서서 슬라이드공을 따라 스케이트를 타는 폼으로 번갈아 가며 전진 시켜서 후륜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봉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프레임과 연결된 S형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홈과 돌출턱을 링크프레임의 지지홈과 회전슬라이드홈에 삽입하여 고정대를 고정볼트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링크프레임의 슬라이드공에 장착된 발판을 이용하여 링크프레임을 좌, 우로 벌리거나 상,하로 기울거나 수평회전 해 가면서 무게중심을 잃지않고 자유롭고 안정되게 후륜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판의 전방에 발을 고정하는 고정띠를 형성함으로써, 주행중에 발이 발판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고정커버와 고정축을 다수개의 고정볼트로 너트에 수평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고정축과 고정커버에 무리가 가해져도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발목을 삐는 등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링크프레임의 슬라이드공에 장착된 발판의 뒤에 체중을 실어 눌러 주게 되면 브레이크롤러가 지면에 닿으면서 장공을 따라 경사지게 전방으로 이동하여 후륜과 밀착되면서 후륜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10)를 형성한 손잡이봉(11)을 지지프레임(20)의 전방 상부로 돌출한 지지관(22)을 통해 전륜(30)을 지지하는 전륜축(31)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한 고정관(23, 23')과,
상기 고정관(23, 23')에 삽입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전방에 축관(41, 41')을 형성한 2개의 S형프레임(40, 40')과,
상기 S형프레임(40, 40')의 후방과 결합할 수 있게 링크프레임(60, 60')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대(50, 50')와,
상기 링크프레임(60, 60')의 중앙에 천공된 슬라이드공(66, 66')의 상하 양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롤러(71, 71a)(71', 71a')와 전륜보조롤러(72, 72') 및 후륜보조롤러(73, 73')를 형성하고, 전방에 발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띠(75, 75')를 형성한 발판(70, 70')과,
상기 발판(70, 7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축(74, 74')을 슬라이드공(66, 66')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축(74, 74')의 볼트체결공(81a, 81a')과 고정커버(80, 80')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고정공(80a', 80a')을 통해 다수개의 고정볼트(81, 81')와 너트(81b, 81b')로 결합된 고정커버(80, 80')와,
상기 고정커버(80, 80')의 전방 축공(84, 84')으로 삽입된 후륜축(91, 91', 91a, 91a')에 장착된 후륜(90, 90', 90a, 90a')과 후방의 장공(82, 82')에 장착된 브레이크롤러(100, 1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프레임(60, 60')의 슬라이드공(66, 66')에 장착된 발판(70, 70')은 발판(70, 70')과 고정축(74, 74')을 연결하고 있는 축핀(71b, 71b')을 축으로 상,하 기울기가 조절되고, 발판(70, 70')의 회전에 의해 발판이 슬라이드공(66, 66')내에서 회전됨은 물론 발판(70, 70')의 좌, 우 움직임에 의해 발판(70, 70')을 장착한 링크프레임(60, 60')이 축관(41, 41')을 중심으로 좌, 우 벌어짐이 형성될 때, 고정커버(80, 80')에 연결된 후륜(90, 90')(90a, 90a')이 전진과 후진 및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커버의 장공(82, 82')에 장착된 브레이크롤러(100, 100')가 지면에 닿아 후륜(90a, 90a')과 접촉될 때, 후륜(90a, 90a')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핸들을 잡는 양손은 전륜을 지지하며 방향을 정하고, 링크프레임에 장착된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발판의 각도를 기울이거나 좌, 우로 벌리거나 오므리며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지면을 박차거나 하여 후륜의 추진력을 향상시키고, 또 링크프레임을 상,하로 회전시켜서 곡선구간에서도 후륜의 추진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두개의 링크프레임에 각각 장착된 양 발판을 번갈아 적절한 타이밍에 후륜을 박차서 추진하는 동작, 즉 빙판에서 스케이트를 타듯 자유로이 발판의 방향을 상하기울기와 좌우벌어짐 및 수평회전을 제어하여 추진력은 물론 커브길을 진행할 수 있고, 정지를 원하면, 발판의 후방에 체중을 실어주어 브레이크롤러가 땅에 밀착하여 경사진 장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후륜과 밀착하여 후륜의 회전을 정지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판을 이용하여 링크프레임을 좌우로 벌어지거나 상하로 기울여 가면서 후륜을 전진시키고, 또 경사지에서도 전진할 수 있도록 발판을 자유롭게 구사함은 물론 오르막길에서도 옆걸음으로 걸어가듯이 양발을 번갈아 가면서 발판을 이동하여 전진하고, 또 발판의 뒤축에 체중을 실어 브레이크롤러로 후륜이 후진하지 못하게 정지시키는 동작을 번갈아 반복하여 후륜의 추진력을 향상시켜 언덕길도 간단하게 올라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커버에 형성된 후륜을 다수개 설치함으로써 신체의 중심을 안정되게 잡아주도록 수평을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고, 또 발판의 전방에 발을 고정시키는 고정띠로 발을 고정함으로써, 발판에서 발이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고정커버와 고정축을 다수개의 고정볼트와 너트로 수평되게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고정축과 고정커버가 서로 분리되지 않아 발이 이탈되어 부상을 입지 않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지지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발판, 고정축, 후륜 및 브레이크롤러를 분리하여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발판과 고정축과 후륜 및 브레이크롤러를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의 발판각도를 조종하여 회전되는 것을 설명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가 경사로를 오르는 설명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서클 킥보드는 손잡이봉(11)과 연결된 손잡이(10)가 구성되고, 또 손잡이봉(11)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20)의 지지관(22)에 삽입하여 전륜(30)을 지지하는 전륜축(31)에 결합한다. 이때 지지프레임(20)에 형성된 2개의 고정관(23, 23')에 S형프레임(40, 40')의 전방에 형성된 축관(41, 41')을 삽입하여 지지프레임커버(21)로 고정하면, S형프레임(40, 40')이 고정관(23, 23')을 중심으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 S형프레임(40, 40')은 벌어졌다 오므라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지지프레임커버(21)를 덮고 고정볼트(24, 24')로 고정관(23, 23')에 형성된 너트에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지지프레임(20)에 손잡이봉(11)과 2개의 S형프레임(40, 40)이 고정되며 상기 S형프레임(40, 40)은 좌우로 벌어졌다 오므려지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전륜축(31) 사이에 완충스프링(140)을 장착하여 주행중 손잡이(10)의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S형프레임(40, 40')의 후단에는 발판(70, 70')이 장착된 링크프레임(60, 60')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링크프레임(60, 60')에 장착된 발판(70, 70')은 좌우로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고, 또 상하로 기울이거나 360도로도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그 이유는, S형프레임(40, 40')의 후단에는 고정홈(42, 42')에 의해 돌출턱(43, 43')을 형성하고, 또 링크프레임(60, 60')의 전방 및 분리된 고정대(50, 50')에는 각각 지지홈(63, 63')에 의해 회전슬라이드홈(64, 64')이 형성되므로, 상기 돌출턱(43, 43')을 회전슬라이드홈(64, 64')에 삽입하게 되면, 돌출턱(43, 43')은 폭이 좁은 지지홈(63, 63')에 걸려 분리되지 않고 돌출턱(43, 43')과 결합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하기 위해서는 회전슬라이드홈(64, 64')에 돌출턱(43, 43')을 삽입한 후 고정대(50, 50')를 고정볼트(53, 53')로 고정너트(65, 65')에 체결하면 된다. 따라서 돌출턱(43, 43')을 기준으로 회전슬라이드홈(64, 64')이 이탈되지 않으므로 링크프레임(60, 60')이 좌우로 벌어짐은 물론 상하로 기울일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크프레임(60, 60')에는 각각 내부에 슬라이드공(66. 66')을 천공하고, 상기 슬라이드공(66, 66') 양측의 상하부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발판(70, 70')과 연결된 고정축(74, 74')을 슬라이드공(66, 66')에 삽입하여, 발판(70, 7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롤러(71, 71')와 고정축(74, 74')에 장착된 보조슬라이드롤러(71a,71a)를 형성하고, 슬라이드롤러(71, 71')와 보조슬라이드롤러(71a, 71a')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전륜보조롤러(72, 72') 및 후륜보조롤러(73, 73')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축(74, 74')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체결공(81a, 81a')과 고정커버(80, 80')의 커버고정공(80a, 80')을 통해 다수개의 고정볼트(81, 81')를 수평으로 너트(81b, 81b')와 결합하여 서로 일체가 되게 구성한다.
상기 고정커버(80, 80')의 하부 전방에 형성된 두개의 축공(84, 84')(84a, 84a')에 후륜(90, 90')(90a, 90a')이 장착된 후륜축(91, 91')(91a, 91a')을 각각 삽입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고정커버(80, 80')에 다수개의 후륜(90, 90', 90a, 90a')이 장착되므로 안정된 무게중심에 의해 평행을 유지하며 지면과 밀착하여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륜(90, 90'),(90a, 90a;)의 후방에 장착된 브레이크롤러(100, 100')는 브레이크축(110, 110')이 장공(82, 82')에 장착되어 브레이크롤러(100, 100')가 지면에 접촉하게 되면 장공(82, 82')을 따라 경사지게 상부로 이동하여 후륜(90, 90')과 압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축(110, 110')을 지지할 수 있게 브레이크스프링(120, 120')과 연결된 브레이크라이닝(130, 130')은 브레이크축(110, 110')과 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라이닝(130, 130')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131, 131')를 장공(82, 82')의 양측에 형성된 장홈(83, 83')에 삽입하게 되면, 브레이크라이닝(130, 130')이 장홈(83, 83')을 따라 이탈되지 않고 이동하면서 브레이크스프링(120, 120')을 지지하게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브레이크스프링(120, 120')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130, 130')이 브레이크축(110, 110')을 압착하여 주게 되므로 브레이크롤러(100, 100')는 회전하지 못하면서 후륜(90, 90', 90a, 90a')을 압착하기 때문에 후륜(90, 90', 90a, 90a')의 회전도 정지하게 되어 전방으로 추진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공(66, 66')의 후방에는 발판(70, 70')이 링크프레임(60, 60')의 표면에서 전진과 후진을 반복할 때 후진하는 발판(70, 70')에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링크프레임(60, 60')에 천공된 슬라이드공(66, 66')의 후방에 완충스프링(61, 61')을 장착한다. 이때 완충스프링(61, 61')을 지지하기 위하여 완충스프링(61, 61')의 전방에 완충지지대(67, 67')를 형성하고, 상기 완충지지대(67, 67')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68, 68')를 슬라이드공(66, 66')의 양측에 형성된 장홈(62, 62')에 삽입하여 완충지지대(67, 67')가 장홈(62, 62')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완충스프링(61, 61')을 완충시키며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5의 (A)는 트라이서클 킥보드를 즐기다 멈추고 싶을 때의 정지한 상태도로써, 발판(70, 70')의 후방을 눌러주게 되면 고정축(74, 74')과 결합된 고정커버(80, 80')의 후방에 장착된 브레이크롤러(100, 100')가 지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브레이크스프링(120, 120')에 지지된 브레이크라이닝(130, 130')이 브레이크롤러(100, 10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 브레이크롤러(100, 100')는 장공(83, 83')을 따라 상승하여 전방에 형성된 후륜(90a, 90a')을 압착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B)는 킥보드를 우회전하는 상태도로써, 우회전하고 싶을 때, 발판(70, 70')을 우측으로 기울여서 우측커브길도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고, 또 (C)는 킥보드를 좌회전하는 상태도로써, 좌회전하고 싶을 때, 발판(70, 70')을 좌측으로 기울여서 좌측커브길도 안정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발판(70, 70')을 좌, 우측으로 경사지게 기울이면 링크프레임(60, 60')도 좌, 우측으로 기울여지면서 후륜(90, 90', 90a, 90a')이 지면에서 기울어지기 때문에 좌, 우측커브길도 속력을 내어 전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6은 트라이서클 킥보드를 형성하고 있는 링크프레임(60, 60')의 슬라이드공(66, 66')에 장착되어 후륜(90, 90') (90a, 90a')과 연결된 발판(70, 70')을 슬라이드공(66, 66')을 따라 수평으로 번갈아가면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발판(70, 70')을 슬라이드공(66, 66') 내에서 좌측 및 우측으로 수평회전하여 전진할 때, 링크프레임(60, 60')이 벌어졌다 오므라지면서 추진력을 향상시켜 전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후륜(90, 90')(90a, 90a')이 다수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는 무게중심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신체리듬에 맞춰 기분 좋게 전후진 및 회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발판(70, 70')을 양측으로 벌리면 후륜(90, 90', 90a, 90a')이 벌어지면서 링크프레임(60, 60')이 벌어지게 되고, 또 발판(70, 70')을 내측으로 오므리면 후륜(90, 90')의 폭이 좁아지면서 링크프레임(60, 60')도 내측으로 오므라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10)를 잡고 손잡이봉(1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과 S형프레임(40, 4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링크프레임(60, 60')에 각각 장착된 발판(70, 70')에 발을 올려놓고 발판(70, 70')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눌러주면서 일측의 발 앞꿈치 측으로 체중을 실어 균형감각적인 리듬을 타고 발판(70, 70')을 스키를 타는 폼으로 번갈아 가며 발판의 각도를 상하로 기울여 주면서 지면을 박차주게 되면 더욱더 가속력이 붙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판(70, 70')을 링크프레임(60, 60') 내의 슬라이드공(66, 66')에서 연속하여 수평회전하게 되면, 한자리에서도 빙글빙글 돌면서 킥보드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 7은 오르막길이나 경사로에서도 안정되게 전진할 수 있는 상태도로써, 경사진 언덕에서는 오른발의 발판(70) 뒤꿈치에 체중을 실어주어 브레이크롤러(100)로 후륜(90a)을 정지시키고, 왼발의 발판(70')으로 후륜(90a')을 전진시킨 다음 즉시 왼발의 뒤꿈치에 체중을 실어 브레이크롤러(100')로 후륜(90a')을 정지시킨 다음, 오른발의 발판(70)을 전진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해서 언덕길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발판(70, 70')을 번갈아 진행하게 되면 후륜(90, 90', 90a, 90a')에 추진력이 발생하여 언덕길도 걸어서 오르듯 간편하게 올라갈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손잡이 11. 손잡이봉
20. 지지프레임 21. 지지프레임커버
22. 지지관 23, 23'. 고정관
30. 전륜 31. 전륜축
40, 40'. S형프레임 41, 41'. 축관
42, 42'. 고정홈 43, 43'. 돌출턱
50, 50. 고정대 60, 60'. 링크프레임
61, 61'. 완충스프링 62, 62'. 장홈
63, 63'. 지지홈 64, 64'. 회전슬라이드홈
65, 65. 고정너트 66, 66'. 슬라이드공
67, 67'.완충지지대 68, 68'. 돌기
70, 70'. 발판 71, 71'. 슬라이드롤러
71a, 71a'. 보조슬라이드롤러 71b, 71b'. 축핀
81b, 81b'. 너트
72, 72'. 전륜보조롤러 73, 73'. 후륜보조롤러
74, 74'. 고정축 75, 75'. 고정띠
80, 80. 고정커버 80a, 90a'. 커버고정공
81, 81'. 고정볼트 140. 완충스프링
81a, 81a'. 볼트체결공 82, 82'. 장공
83, 83'. 장홈 84, 84', 84a, 84a'. 축공
90, 90', 90a, 90a'. 후륜 91, 91',91a, 91a'. 후륜축
100, 100'. 브레이크롤러 110, 110'. 브레이크롤러축
120, 120'. 브레이크스프링 130, 130'. 브레이크라이닝

Claims (3)

  1. 손잡이(10)를 형성한 손잡이봉(11)을 지지프레임(20)의 전방 상부로 돌출한 지지관(22)을 통해 전륜(30)을 지지하는 전륜축(31)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한 고정관(23, 23')과,
    상기 고정관(23, 23')에 삽입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전방에 축관(41, 41')을 형성한 2개의 S형프레임(40, 40')과,
    상기 S형프레임(40, 40')의 후방과 결합할 수 있게 링크프레임(60, 60')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대(50, 50')와,
    상기 링크프레임(60, 60')의 중앙에 천공된 슬라이드공(66,66')의 상하 양측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롤러(71, 71a)(71', 71a')와 전륜보조롤러(72, 72') 및 후륜보조롤러(73, 73')를 형성하고, 전방에 발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띠(75, 75')를 형성한 발판(70, 70')과,
    상기 발판(70, 70')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축(74, 74')을 슬라이드공(66, 66')에 삽입하여 상기 고정축(74, 74')의 볼트체결공(81a, 81a')과 고정커버(80, 80')의 중앙부에 형성된 커버고정공(80a', 80a')을 통해 다수개의 고정볼트(81, 81')와 너트(81b, 81b')로 결합된 고정커버(80, 80')와,
    상기 고정커버(80, 80')의 전방 축공(84, 84')으로 삽입된 후륜축(91, 91', 91a, 91a')에 장착된 후륜(90, 90', 90a, 90a')과 후방의 장공(82, 82')에 장착된 브레이크롤러(100, 1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서클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프레임(60, 60')의 슬라이드공(66, 66')에 장착된 발판(70, 70')은 발판(70, 70')과 고정축(74, 74')을 연결하고 있는 축핀(71b, 71'b)을 축으로 상,하 기울기가 조절되고, 발판(70, 70')의 회전에 의해 발판이 슬라이드공(66, 66')내에서 회전됨은 물론 발판(70, 70')의 좌, 우 움직임에 의해 발판(70, 70')을 장착한 링크프레임(60, 60')이 축관(41, 41')을 중심으로 좌, 우 벌어짐이 형성될 때, 고정커버(80, 80')에 연결된 후륜(90, 90')(90a, 90a')이 전진과 후진 및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서클 킥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의 장공(82, 82')에 장착된 브레이크롤러(100, 100')가 지면에 닿아 후륜(90a, 90a')과 접촉될 때, 후륜(90a, 90a')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20120113864A 2012-10-13 2012-10-13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37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64A KR101374020B1 (ko) 2012-10-13 2012-10-13 트라이서클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864A KR101374020B1 (ko) 2012-10-13 2012-10-13 트라이서클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020B1 true KR101374020B1 (ko) 2014-03-12

Family

ID=5064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864A KR101374020B1 (ko) 2012-10-13 2012-10-13 트라이서클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0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568A (ko) 2014-04-29 2015-11-06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150145825A (ko) 2014-06-19 2015-12-31 정진우 트라이크
WO2023277262A1 (ko) * 2021-06-29 2023-01-05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36A (ko) * 2001-08-23 2003-03-04 알파색채주식회사 스키식 구동 킥보드
KR200360599Y1 (ko) 2004-05-25 2004-08-31 남성훈 인라인 스케이트용 브레이크 구조
KR20090063712A (ko) * 2007-12-14 2009-06-18 이창수 킥트라이시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836A (ko) * 2001-08-23 2003-03-04 알파색채주식회사 스키식 구동 킥보드
KR200360599Y1 (ko) 2004-05-25 2004-08-31 남성훈 인라인 스케이트용 브레이크 구조
KR20090063712A (ko) * 2007-12-14 2009-06-18 이창수 킥트라이시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568A (ko) 2014-04-29 2015-11-06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611960B1 (ko) * 2014-04-29 2016-04-29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150145825A (ko) 2014-06-19 2015-12-31 정진우 트라이크
WO2023277262A1 (ko) * 2021-06-29 2023-01-05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KR20230001987A (ko) * 2021-06-29 2023-01-05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KR102496246B1 (ko) 2021-06-29 2023-02-07 (재)예수병원유지재단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356Y1 (ko) 로커 추진식 스쿠터
RU2348562C2 (ru) Кол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лечений или занятий спортом, приводимое в движение ногой
KR10137402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US20030127822A1 (en) Transportation device
US20150197311A1 (en) Foot-sliding quad vehicle with tilt-grip steering
KR100613014B1 (ko) 트리서클 킥보드
KR200405741Y1 (ko) 추진식 트라이보드
KR100668623B1 (ko) 보행 운동 기구
RU146897U1 (ru) Велоснегоход
KR101373172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228803B1 (ko) 자전거의 구동장치
CA2531877A1 (fr) Appareil roulant pour utilisateurs de patins a roulettes
KR101321957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1234449B1 (ko) 체력증진 및 취미생활용 무 페달 자전거
KR200373318Y1 (ko) 킥보드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KR200283368Y1 (ko) 다용도 자전거
KR101621707B1 (ko) 접이식 자전거형 퀵 보드
KR20160040331A (ko) 트라이크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KR200358887Y1 (ko) 킥보드
KR200259006Y1 (ko) 자전거
KR200395106Y1 (ko) 트리서클 킥보드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