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87A -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87A
KR20230001987A KR1020210085168A KR20210085168A KR20230001987A KR 20230001987 A KR20230001987 A KR 20230001987A KR 1020210085168 A KR1020210085168 A KR 1020210085168A KR 20210085168 A KR20210085168 A KR 20210085168A KR 20230001987 A KR20230001987 A KR 20230001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der
motion
footrest
control member
therap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6246B1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예수병원유지재단 filed Critical (재)예수병원유지재단
Priority to KR1020210085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246B1/ko
Priority to PCT/KR2021/015972 priority patent/WO202327726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62J25/04Floor-type foot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18Joints between frame members
    • B62K19/24Screw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라이더와 인라인을 융합한 형태의 운동치료 장치에 있어서: 컬럼(11)과 전방휠(16) 사이에 한 쌍의 힌지축(13)을 갖춘 본체(10); 상기 힌지축(13)에 각각의 연결되는 로드에 발판(24)을 탑재하고, 발판(24)의 회동운동과 활주운동을 허용하는 모션부재(20); 상기 발판(24)의 회동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조절부재(30); 및 상기 발판(24)의 활주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활주조절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고관절의 내외전근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하지근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혼자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운동의 흥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운동치료의 안전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Apparatus for therapeutic exercise integrating trider and inline skate}
본 발명은 운동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고관절 내외전근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하지근력을 향상하기 위한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 근력은 보행과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노약자나 재활치료를 요하는 환자는 물론 정상인도 적절한 운동이 요구된다. 하지 기능 소실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장애를 나타내는 경우 활동성과 기동성이 약화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다양한 도구나 장치를 활용하여 하지 근력의 약화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야외에서 놀이를 겸하면서 훈련하는 것이 흥미를 지속시키는데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5741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236342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프론트컬럼에 힌지 연결되고, 하단에 리어휠이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트레일링바와, 트레일링바에 각각 고정되는 발판과, 프론트컬럼의 상단에 결합되는 T자바와, T자바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브레이크레버가 설치되는 핸들바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하체운동, 특히 괄약근 강화운동을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발판의 상부 중심측에서 양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중심축과, 중심축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측이 외측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좌측교정기와 우측교정기를 포함한다. 이에, 다리를 교정하면서 근력에 따라 회동각도를 선택하여 교정효과 향상을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고관절 굴곡 및 신전근육을 강화하는 효과가 어느 정도 기대되지만 골반 및 하체 균형 유지에 필수적인 고관절 내외전근의 강화를 기대하기 미흡하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5741호 "추진식 트라이보드" (공개일자 : 2006.01.1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236342호 "킥보드를 활용한 휜다리 교정기구" (공개일자 : 2020.07.31.)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관절의 내외전근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하지근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혼자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운동의 흥미를 유지할 수 있는 트레드밀 기반의 운동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라이더와 인라인을 융합한 형태의 운동치료 장치에 있어서: 컬럼과 전방휠 사이에 한 쌍의 힌지축을 갖춘 본체; 상기 힌지축에 각각의 연결되는 로드에 발판을 탑재하고, 발판의 회동운동과 활주운동을 허용하는 모션부재; 상기 발판의 회동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조절부재; 및 상기 발판의 활주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활주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모션부재의 로드는 고정로드와 가동로드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가동로드의 상ㆍ하로 각각 발판과 후방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판과 상기 후방휠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볼조인트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조절부재는 너트블록을 갖춘 하우징, 너트블록에 나선축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절노브, 나선축에 연결되어 이동을 유발하는 마찰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활주조절부재는 너트블록을 갖춘 하우징, 너트블록에 나선축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절노브, 나선축에 연결되어 이동을 유발하는 마찰패드, 고정로드와 가동로드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체, 탄성체의 탄성력을 변동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관절의 내외전근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하지근력을 향상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혼자 사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운동의 흥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운동치료의 안전성과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무릎의 변형을 방지하고, 근 활동을 개선하고, 통증을 경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회동조절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활주조절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트라이더와 인라인을 융합한 형태의 운동치료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실외에서 사용자의 고관절 내외전근을 강화하는 형태의 장치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운동치료는 후술하는 것처럼 트라이더 모드와 인라인 모드를 병행하면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가 컬럼(11)과 전방휠(16) 사이에 한 쌍의 힌지축(13)을 갖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를 구성하는 컬럼(11), 힌지축(13), 핸들(15) 등이 나타난다. 본체(10)는 대략 ㄷ자 단면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수직으로 연결되는 컬럼(11)과 전방휠(16)을 구비한다. 컬럼(11)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운동중에 파지하기 위한 핸들(15)이 설치된다. 전방휠(16)은 핸들(15)에 설치되는 레버로 제동하기 위한 제동기(도시 생략)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힌지축(13)에 각각의 연결되는 로드에 발판(24)을 탑재하는 모션부재(20)가 발판(24)의 회동운동과 활주운동을 허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션부재(20)를 구성하는 로드와 발판(24)이 나타난다. 각각의 발판(24)을 탑재한 한 쌍의 로드가 컬럼(11)의 힌지축(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트라이더와 유사하다. 발판(24)이 각각의 로드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구성은 인라인 스케이트와 유사하다. 이에 트라이더 모드와 인라인 모드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모션부재(20)의 로드는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가동로드(22)의 상ㆍ하로 각각 발판(24)과 후방휠(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모션부재(20)의 로드가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로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고정로드(21)는 선단에서 힌지축(13)에 슬리브(23)를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는 텔레스코픽 구조처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딩 운동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테프론 코팅, 가이드롤러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발판(24)은 가동로드(22)의 상면에 고정되고 후방휠(26)은 가동로드(22)의 저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발판(24)과 상기 후방휠(2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볼조인트(27)를 개재하여 지지된다.
도 2에서, 후방휠(26)이 볼조인트(27)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에는 생략하나 발판(24)도 볼조인트(27)를 개재하여 장착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볼조인트(27)는 사용자의 발목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하거나 발목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물론 볼조인트(27)를 구성하는 소켓과 스터드 간의 마찰저항력을 조절하는 방식이 선호된다.
한편, 발판(24)은 사용자 신발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패드를 구비하지만 이에 더하여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호대(28)를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조절부재(30)가 상기 발판(24)의 회동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의 힌지축(13)에 인접하여 회동조절부재(3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양측 발판(24)을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반복하면 트라이더 운동이 수행된다. 회동조절부재(3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 강도를 유지하도록 저항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동조절부재(30)는 너트블록(34)을 갖춘 하우징(31), 너트블록(34)에 나선축(33)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절노브(32), 나선축(33)에 연결되어 이동을 유발하는 마찰패드(35)를 구비한다.
도 3에서, 회동조절부재(30)를 구성하는 하우징(31), 조절노브(32), 나선축(33), 너트블록(34), 마찰패드(35), 지지대(36) 등이 나타난다. 하우징(31)은 본체(10)의 프레임에 볼트로 고정된다. 하우징(31)의 내부에는 마찰패드(35)와 지지대(3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대략 U자형의 마찰패드(35)는 금속재의 지지대(36)에 일체로 고정된다. 하우징(31)의 외부에는 나선축(33)과 맞물림 가능한 너트블록(34)이 고정된다. 나선축(33)은 외단에서 조절노브(32)에 연결되고, 내단에서 지지대(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노브(32)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마찰패드(35)가 양측의 슬리브(23)에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마찰패드(35)의 밀착력 변동은 트라이더 운동의 강도(저항력) 조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활주조절부재(40)가 상기 발판(24)의 활주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4(a)를 참조하면, 가동로드(22)의 발판(24)에 인접하여 활주조절부재(4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양측 발판(24)을 전후로 슬라이딩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인라인 운동이 수행된다. 활주조절부재(40)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 강도를 유지하도록 저항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활주조절부재(40)는 너트블록(44)을 갖춘 하우징(41), 너트블록(44)에 나선축(43)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절노브(42), 나선축(43)에 연결되어 이동을 유발하는 마찰패드(45),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체(48), 탄성체(48)의 탄성력을 변동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볼트(47)를 구비한다.
도 4(a)에서, 활주조절부재(40)를 구성하는 하우징(41), 조절노브(42), 나선축(43), 너트블록(44), 마찰패드(45), 지지대(46) 등이 나타난다. 하우징(41)은 가동로드(22)의 외면에 볼트로 고정된다. 하우징(41)의 내부에는 마찰패드(45)와 지지대(4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평판형의 마찰패드(45)는 금속재의 지지대(46)에 일체로 고정된다. 하우징(41)의 외부에는 나선축(43)과 맞물림 가능한 너트블록(44)이 고정된다. 나선축(43)은 외단에서 조절노브(42)에 연결되고, 내단에서 지지대(4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노브(42)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마찰패드(45)가 고정로드(21)에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마찰패드(45)의 밀착력 변동은 인라인 운동의 강도(저항력) 조절을 의미한다.
이때, 활주조절부재(40)는 조절볼트(47)와 탄성체(48)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볼트(47)는 가동로드(22)의 후단에 나선으로 맞물린다. 탄성체(48)는 가동로드(22)의 내부에 수용되고 고정로드(21)의 후단과 조절볼트(47) 사이에 연결된다. 탄성체(48)로서 스프링, 고무밴드, 그 복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라인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발판(24)을 밀치면 탄성체(48)가 인장되고 이후 탄성체(48)의 탄성력으로 발판(24)의 원위치 복귀를 조력한다. 조절볼트(47)를 플고 조임에 따라 발판(24)의 복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도 4(b)처럼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로 분할하지 않고 고정로드(21)만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로드(21) 상에 슬라이더(21A)를 개재하여 발판(24)을 장착하면 활주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전술란 탄성체(48)와 조절볼트(47)는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라이더 운동과 인라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처럼 좌측의 가동로드(22)를 벌리면서 발판(24)을 뒤로 밀어 전방으로 추진하고, 도 (b)처럼 우측의 가동로드(22)를 벌리면서 발판(24)을 뒤로 밀어 전방으로 추진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고관절 외전근 운동으로 무릎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통증을 경감하고 일상생활 동작의 독립성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다. 5(c)는 양측 로드를 가지런히 모아 관성력으로 주행하는 상태 또는 운동후에 보관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컬럼
13: 힌지축 15: 핸들
16: 전방휠 20: 모션부재
21: 고정로드 22: 가동로드
23: 슬리브 24: 발판
26: 후방휠 27: 볼조인트
28: 보호대 30: 회동조절부재
31: 하우징 32: 조절노브
33: 나선축 34: 너트블록
35: 마찰패드 36: 지지대
40: 활주조절부재 41: 하우징
42: 조절노브 43: 나선축
44: 너트블록 45: 마찰패드
46: 지지대 47: 조절볼트
48: 탄성체

Claims (5)

  1. 트라이더와 인라인을 융합한 형태의 운동치료 장치에 있어서:
    컬럼(11)과 전방휠(16) 사이에 한 쌍의 힌지축(13)을 갖춘 본체(10);
    상기 힌지축(13)에 각각의 연결되는 로드에 발판(24)을 탑재하고, 발판(24)의 회동운동과 활주운동을 허용하는 모션부재(20);
    상기 발판(24)의 회동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조절부재(30); 및
    상기 발판(24)의 활주운동에 대응하는 저항력을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활주조절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션부재(20)의 로드는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가동로드(22)의 상ㆍ하로 각각 발판(24)과 후방휠(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판(24)과 상기 후방휠(2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볼조인트(27)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조절부재(30)는 너트블록(34)을 갖춘 하우징(31), 너트블록(34)에 나선축(33)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절노브(32), 나선축(33)에 연결되어 이동을 유발하는 마찰패드(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주조절부재(40)는 너트블록(44)을 갖춘 하우징(41), 너트블록(44)에 나선축(43)을 통하여 맞물리는 조절노브(42), 나선축(43)에 연결되어 이동을 유발하는 마찰패드(45), 고정로드(21)와 가동로드(22) 사이에 연결되는 탄성체(48), 탄성체(48)의 탄성력을 변동하도록 설치되는 조절볼트(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KR1020210085168A 2021-06-29 2021-06-29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KR102496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68A KR102496246B1 (ko) 2021-06-29 2021-06-29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PCT/KR2021/015972 WO2023277262A1 (ko) 2021-06-29 2021-11-05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168A KR102496246B1 (ko) 2021-06-29 2021-06-29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87A true KR20230001987A (ko) 2023-01-05
KR102496246B1 KR102496246B1 (ko) 2023-02-07

Family

ID=8469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168A KR102496246B1 (ko) 2021-06-29 2021-06-29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6246B1 (ko)
WO (1) WO202327726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078Y1 (ko) * 2003-04-28 2003-11-05 전헝치예구펀유셴궁쓰 보행식 차량장치
KR100405741B1 (ko) 2001-12-06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40043876A1 (en) * 2002-08-27 2004-03-04 Marin Craciunescu Therapeutic exercise device
KR20070005129A (ko) * 2005-07-05 2007-01-10 심명숙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090011554U (ko) * 2008-05-09 2009-11-12 권형철 운동기구
KR101374020B1 (ko) * 2012-10-13 2014-03-12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2236342B1 (ko) 2019-01-23 2021-04-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킥보드를 활용한 휜다리 교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111B1 (ko) * 2015-11-25 2017-06-07 구성득 발판의 좌우 이송이 가능한 하체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41B1 (ko) 2001-12-06 200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40043876A1 (en) * 2002-08-27 2004-03-04 Marin Craciunescu Therapeutic exercise device
KR200332078Y1 (ko) * 2003-04-28 2003-11-05 전헝치예구펀유셴궁쓰 보행식 차량장치
KR20070005129A (ko) * 2005-07-05 2007-01-10 심명숙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090011554U (ko) * 2008-05-09 2009-11-12 권형철 운동기구
KR101374020B1 (ko) * 2012-10-13 2014-03-12 정진우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2236342B1 (ko) 2019-01-23 2021-04-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킥보드를 활용한 휜다리 교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7262A1 (ko) 2023-01-05
KR102496246B1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435B2 (en) Walker device for gait training
US11167163B2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5167597A (en) Wheeled walker treatment method
US4807874A (en) Combination plantar flexion/dorsiflexion ankle machine
US7118515B2 (en) Exercising device
CA2608259C (en) Hip assist walker
US8608675B2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patients suffering motor dysfunction
US7900940B1 (en) Pedestrian cycle
US10518129B2 (en) Stretching machine
US4114873A (en) Skate exercise device
US5732964A (en) User-propelled steerable apparatus
CA2187588C (en) Sprint training machine
US20040053757A1 (en) Hip exerciser
CA2390479A1 (en) Calf/ankle isolator
US10376437B2 (en) Gait assist apparatus
US9630049B2 (en) Reciprocating rehabilitation device
US5135457A (en) Calf exercise machine
EP0307529A1 (en) Bidirectional exercise machine for the extended exercise of forward and backward muscles of the lower group
KR102496246B1 (ko) 트라이더 인라인 융합형 운동치료 장치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JP2008237785A5 (ko)
CA2429219A1 (en) Orthopedic exerciser
JP6902232B2 (ja) 下肢筋力の強化冶具および下肢筋力の強化装置
GB2449142A (en) Pivoting exercise apparatus
JPH05170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