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058B1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58B1
KR102451058B1 KR1020210036615A KR20210036615A KR102451058B1 KR 102451058 B1 KR102451058 B1 KR 102451058B1 KR 1020210036615 A KR1020210036615 A KR 1020210036615A KR 20210036615 A KR20210036615 A KR 20210036615A KR 102451058 B1 KR102451058 B1 KR 10245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gie
coupling
connec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670A (ko
Inventor
정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화에스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화에스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화에스피엠
Priority to KR102021003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3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rider-propelled cycles with additional electric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8Steering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Abstract

본 발명은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른 조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차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통한 대차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대차유닛의 절첩 구조에서 본체유닛에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킥보드는 하부에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앞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본체유닛과,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유닛과,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연결유닛과, 대차연결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앞바퀴부재에서 이격되어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고,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중심을 이루어 대차유닛을 기준으로 대차연결유닛이 피벗 가능하도록 대차연결유닛과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향조절댐퍼과, 대차연결유닛이 본체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하는 기 대차연결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대차연결유닛과 대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DEVICE}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른 조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차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통한 대차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대차유닛의 절첩 구조에서 본체유닛에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킥보드는 두 발을 올릴 수 있게 형성되는 발판, 발판의 전방과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조향바퀴와 구름바퀴, 조향바퀴를 좌, 우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관체로 결합되는 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킥보드는 한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나머지 한 발로 지면을 찰 때 발생하는 추진력을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킥보드를 살펴보면, 핸들이 지지관체로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조향 회전력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들 부분에서 발판의 탈부착이 어렵고, 접이식 발판의 경우, 핸들 부분과 발판 부분의 탈부착 결합이 용이하지 않고, 접은 상태에서도 발판 부분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3386호 (발명의 명칭 : 접이식 전동킥보드, 2019. 07. 2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른 조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차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통한 대차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대차유닛의 절첩 구조에서 본체유닛에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킥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는 하부에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앞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연결유닛;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부재에서 이격되어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중심을 이루어 상기 대차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피벗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향조절댐퍼;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차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대차유닛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대차유닛과 마주보는 면에는 연결지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유닛은, 사용자가 지지 가능하고, 상기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부재; 및 상기 대차부재로부터 상기 대차연결유닛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연결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연결지지홈부와 연통되는 대차지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대차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조절댐퍼는, 탈착볼부재;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탈착볼부재와 상기 대차브라켓을 통과하는 탈착볼트부재; 상기 탈착볼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탈착너트부재;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대차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탈착볼트부재와 상기 탈착너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탈착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향조절댐퍼는, 상기 탈착탄성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층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탈착볼트부재는, 상기 탈착너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탈착볼트부재의 단부에만 구비되는 볼트나사부; 및 상기 탈착볼트부재의 탈착볼트머리부가 상기 연결브라켓 또는 상기 대차브라켓에 지지될 때, 상기 탈착볼트머리부에서 상기 연결브라켓 또는 상기 대차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는 상기 탈착볼부재와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지지홈부에 구비되는 연결마찰부; 및 상기 탈착볼부재와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대차지지홈부에 구비되는 대차마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조향조절댐퍼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대차유닛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는 본체공간;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연결유닛을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연결유닛을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유닛;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유닛을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시키는 보강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제1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탈착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탈착축부재에서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걸림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제1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제1홀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제1결합브라켓; 상기 제1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 가능한 제1결합핀부재; 및 상기 제1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거나, 상기 제1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결합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탄성부재가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1결합핀부재는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 중 적어도 상기 연결홀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결합탄성부재가 상기 제1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1결합핀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제1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2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제2홀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 상기 제2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 가능한 제2결합핀부재; 및 상기 제2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거나, 상기 제2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결합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탄성부재가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2결합핀부재는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 중 적어도 상기 연결홀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2결합탄성부재가 상기 제2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2결합핀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제2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2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탈착축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탈착축부재에서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걸림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보강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홀부와 연통되는 보강대차홀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보강결합유닛은, 상기 보강홀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보강결합브라켓; 상기 보강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삽입 가능한 보강핀부재; 및 상기 보강핀부재가 상기 보강대차홀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거나, 상기 보강핀부재가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보강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탄성부재가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보강핀부재는 상기 보강홀부와 상기 보강대차홀부 중 적어도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보강탄성부재가 상기 보강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보강핀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강홀부와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는 상기 앞바퀴부재와 상기 뒷바퀴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유닛에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유닛에 구비된 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에 따르면, 조향조절댐퍼를 통해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른 조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차유닛의 탈부착 결합을 통한 대차유닛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결합유닛을 통해 대차유닛의 절첩 구조에서 본체유닛에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조향조절댐퍼의 결합 관계를 통해 대차연결유닛과 대차유닛 사이의 상대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연결브라켓과 대차브라켓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조향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재를 통해 탈착볼트부재와 탈착너트부재의 나사 결합에 대응하여 탈착탄성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탈착탄성부재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볼트나사부의 위치 한정을 통해 탈착볼트부재에서 탈착너트부재의 나사 결합 영역을 제한하고,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탈착볼부재와 상기 대차브라켓을 통과할 때 나사산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밀착 또는 접촉되는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연결브라켓을 기준으로 대차브라켓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회전방지돌부를 통해 마주보는 해당 브라켓에서 탈착볼트부재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탈착볼트부재에 탈착너트부재가 나사 결합될 때, 탈착너트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탈착볼트부재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나사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마찰부를 통해 조향조절댐퍼에서 연결브라켓과 탈착볼부재의 밀착력 및 대차브라켓과 탈착볼부재의 밀착력에 따라 탈착볼부재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본체공간을 통해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서 대차연결유닛과 대차유닛과 조향조절댐퍼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킥보드가 주변 사물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제1결합유닛을 통해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본체유닛에서 대차연결유닛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통과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1결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면적을 확장시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걸림부재의 부가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탈착축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1결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본체유닛에서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가압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1결합유닛을 통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1결합유닛을 통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홀부에서 제1결합핀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제2결합유닛을 통해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본체유닛에서 대차연결유닛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2결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본체유닛에서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가압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2결합유닛을 통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2결합유닛을 통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홀부에서 제2결합핀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통과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2결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면적을 확장시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걸림부재의 부가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탈착축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보강결합유닛을 통해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본체유닛에서 대차연결유닛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한 보강결합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본체유닛에서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가압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보강결합유닛을 통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보강결합유닛을 통한 본체유닛과 대차연결유닛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홀부에서 보강핀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동부를 통해 킥보드를 안정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앞바퀴부재와 뒷바퀴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유닛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킥보드를 전동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에서 조향조절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탈착볼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의 제1예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의 제2예이다.
도 7은 도 2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는 본체유닛(10)과, 핸들유닛(100)과, 대차연결유닛(30)과, 대차유닛(20)을 포함하고, 조향조절댐퍼(40)와, 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유닛(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에서 핸들유닛(100)이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유닛(10)은 킥보드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부재(11)와, 본체부재(11)의 좌우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킥보드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여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날개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본체유닛(10)에는 한 쌍의 날개부재(12) 사이로 본체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대차연결유닛(30)이 본체유닛(10)에서 회전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경우, 본체공간(111)에는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의 전체 또는 일부와, 조향조절댐퍼(40)의 전체 또는 일부와, 대차유닛(20)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본체유닛(10)에서 본체공간(111)의 전면부는 본체부재(11)에 의해 폐쇄되고, 본체공간(111)의 양측면부는 한 쌍의 날개부재(12)에 의해 폐쇄되며, 본체공간(111)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별도의 부재로 폐쇄될 수 있다. 본체공간(111)의 후면부는 개구되고, 대차연결유닛(30)의 회전에 대응하여 대차연결유닛(30)과 조향조절댐퍼(40)와 대차유닛(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날개부재(12)에는 상호 마주보는 홀부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홀부는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다. 홀부는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의 후면부 쪽에 관통 형성되는 제1홀부(121)를 포함하고,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의 전면부 쪽에 관통 형성되는 제2홀부(122)와,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의 상부 후면부 쪽에 관통 형성되는 보강홀부(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홀부(121)의 중심과 제2홀부(122)의 중심은 대차연결유닛(30)의 회전 중심인 연결축부(311)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포함되므로, 후술하는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홀부(312)는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서 제1홀부(121)와 연통되고,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서 제2홀부(122)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유닛(10)의 하부에는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앞바퀴부재(50)가 결합된다. 이때, 본체유닛(10)의 하부에는 앞바퀴지지부(13)가 구비되므로, 앞바퀴부재(50)는 압바퀴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앞바퀴지지부(13)에는 완충댐퍼가 구비되어 접촉면에서 앞바퀴부재(50)를 거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체유닛(10)의 전방으로 본체부재(11)의 상부에는 수평부재(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재(14)는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앞바퀴부재(50)와 함께 접촉면에 지지될 수 있다. 수평부재(14)는 앞바퀴부재(50)와 함께 접촉면에 지지되어 접촉면으로부터 본체유닛(10)을 이격시켜 본체유닛(10)이 접촉면에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부재(14)는 블럭 형태를 나타내기도 하고,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본체유닛(10)에 구비되는 전조등을 감싸 보호할 수 있다.
핸들유닛(100)은 본체유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핸들유닛(100)은 킥보드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다.
핸들유닛(100)은 사용자의 파지를 위해 본체유닛(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파지부재(102)와, 한 쌍의 파지부재(1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동레버(103)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유닛(100)은 한 쌍의 파지부재(102)가 결합되도록 본체유닛(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핸들로드(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지부재(102)에는 후술하는 구동유닛(미도시)에 인가되는 전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속도조절레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속도조절레버(미도시)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핸들로드(101)는 본체유닛(10)에서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여 도 2와 같이 킥보드가 접촉면에 누운 상태에서 핸들유닛(100)이 접촉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핸들로드(101)에서 파지부재(102)가 결합되는 부분은 핸들로드(101)에서 본체유닛(10)에 결합되는 부분에서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여 킥보드가 접촉면에 누운 상태에서 핸들유닛(100)이 접촉면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차연결유닛(30)은 본체유닛(10)의 하부에 결합된다. 대차연결유닛(30)은 앞바퀴부재(50)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본체유닛(1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킥보드를 접이식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대차연결유닛(30)은 본체유닛(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1)와, 연결부재(31)로부터 대차유닛(20)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브라켓(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는 연결축부(311)를 매개로 본체유닛(10)의 하부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31)에는 연결축부(311)에서 이격되어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제1홀부(121)와 연통되고,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제2홀부(122)와 연통되는 연결홀부(312)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32)에서 대차유닛(20)의 대차브라켓(22)과 마주보는 면에는 연결지지홈부(321)가 함몰 형성된다. 연결지지홈부(321)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조향조절댐퍼(40)의 탈착볼부재(41)와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연결마찰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홈부(321)의 바닥 중심 부분은 개구되어 후술하는 탈착볼트부재(42)가 통과되도록 한다.
대차유닛(20)은 대차연결유닛(30)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대차유닛(20)에서 킥보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쪽의 단부에는 앞바퀴부재(50)에서 이격되어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뒷바퀴부재(60)가 결합된다.
대차유닛(20)은 사용자가 지지 가능하고 뒷바퀴부재(60)가 결합되는 대차부재(21)와, 대차부재(21)로부터 대차연결유닛(30)을 향해 연장되는 대차브라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부재(21)에서 킥보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쪽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지지되도록 상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경사받침부(211)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대차부재(21)에서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대차부재(21)에서 킥보드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쪽의 단부에는 뒷바퀴부재(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뒷바퀴지지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뒷바퀴지지부(212)에는 완충댐퍼가 구비되어 접촉면에서 뒷바퀴부재(60)를 거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대차부재(21)에서 측면부에는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보강홀부(123)와 연통되는 보강대차홀부(213)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대차브라켓(22)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브라켓(32)과 마주보는 면에는 연결지지홈부(321)와 연통되는 대차지지홈부(221)가 함몰 형성된다. 대차지지홈(221)부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조향조절댐퍼(40)의 탈착볼부재(41)와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대차마찰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대차지지홈부(221)의 바닥 중심 부분은 개구되어 후술하는 탈착볼트부재(42)가 통과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차유닛(20)은 일반적인 킥보드에 적용 가능한 발판에 뒷바퀴부재(60)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뒷바퀴부재(60)와 같은 바퀴가 구비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대차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앞바퀴부재(50)와 뒷바퀴부재(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핸들유닛(100)에 구비된 제동레버(103)의 조작에 따라 접촉면에서의 구름 이동을 제한하는 제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동부는 앞바퀴부재(50)에 구비되는 앞제동부(104)와 뒷바퀴부재(60)에 구비되는 뒤제동부(105)로 구분할 수 있다.
조향조절댐퍼(40)는 핸들유닛(100)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중심을 이룬다. 조향조절댐퍼(40)는 대차유닛(20)을 기준으로 대차연결유닛(30)이 피벗 가능하도록 대차연결유닛(30)과 대차유닛(20)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조향조절댐퍼(40)는 탈착볼부재(41)와, 연결브라켓(32)과 탈착볼부재(41)와 대차브라켓(22)을 통과하는 탈착볼트부재(42)와, 탈착볼트부재(42)와 나사 결합되는 탈착너트부재(43)와, 연결브라켓(32)과 대차브라켓(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브라켓과 마주보는 탈착볼트부재(42)와 탈착너트부재(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탈착탄성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볼부재(41)는 구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중간을 기준으로 상하로 각각 돌출되는 원뿔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탈착볼부재(41)의 상하 방향 중심 부분은 개구되어 탈착볼트부재(42)가 통과되도록 한다.
탈착볼트부재(42)는 탈착볼트머리부(421)와, 연결브라켓(32)과 탈착볼부재(41)와 대차브라켓(22)을 통과하도록 탈착볼트머리부(421)에서 연장되는 탈착볼트로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볼트로드부(422)의 단부에는 탈착너트부재(4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탈착볼트부재(42)는 연결브라켓(32)과 탈착볼부재(41)와 대차브라켓(22)을 통과하는 탈착볼트로드부(422)를 포함하고, 탈착볼트로드부(422)의 양단부에는 탈착너트부재(4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탈착탄성부재(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32)과 대차브라켓(22)의 중첩 부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탈착너트부재(43)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탈착탄성부재(44)는 연결브라켓(32)과 대차브라켓(22)의 중첩 부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탈착볼트부재(42)의 탈착볼트머리부(421)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탈착탄성부재(44)는 연결브라켓(32)과 대차브라켓(22)의 중첩 부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탈착너트부재(43)와 탈착볼트머리부(421)를 모두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탈착볼트로드부(422)의 양단부에 탈착너트부재(43)가 각각 결합되는 경우, 탈착탄성부재(44)는 연결브라켓(32)과 대차브라켓(22)의 중첩 부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두 탈착너트부재(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할 수 있다.
탈착볼트부재(42)는 탈착너트부재(43)와 나사 결합되도록 탈착볼트부재(42)의 단부에만 구비되는 볼트나사부(423)와, 탈착볼트부재(42)의 탈착볼트머리부(421)가 연결브라켓(32) 또는 대차브라켓(22)에 지지될 때, 탈착볼트머리부(421)에서 연결브라켓(32) 또는 대차브라켓(22)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4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향조절댐퍼(40)는 탈착탄성부재(44)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층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탄성부재(44)의 위치에 대응하여 탄성지지부재(45)는 탈착너트부재(43)와 탈착탄성부재(44) 사이에 개재되거나 탈착볼트부재(42)의 탈착볼트머리부(421)와 탈착탄성부재(4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러면, 탈착볼트부재(42)를 기준으로 탈착너트부재(43)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탈착탄성부재(44)의 탄성력이 조절되므로, 탈착탄성부재(44)의 탄성력은 연결지지홈부(321)와 탈착볼부재(41) 사이의 마찰력 및 대차지지홈부(221)와 탈착볼부재(41)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차유닛(20)을 기준으로 하는 대차연결유닛(30)의 피벗 운동에 대응하여 조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탈착볼트부재(42)를 기준으로 탈착너트부재(43)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탈착탄성부재(44)를 압축시키면,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조향 회전력이 약화되어 핸들유닛(100)을 조작할 때, 조향을 뻑뻑해지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탈착볼트부재(42)를 기준으로 탈착너트부재(43)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탈착탄성부재(44)를 이완시키면,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조향 회전력이 향상되어 핸들유닛(100)을 조작할 때, 조향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결합유닛은 대차연결유닛(30)이 본체유닛(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하는 대차연결유닛(30)의 회전에 대응하여 대차연결유닛(30)과 대차유닛(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본체유닛(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결합유닛은 제1결합유닛(70)을 포함하고, 제2결합유닛(80)과 보강결합유닛(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유닛(70)은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을 본체유닛(10)에 결합시킨다.
일예로, 제1결합유닛(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유닛(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는 탈착축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유닛(70)은 탈착축부재(71)에서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걸림부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축부재(71)는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에 지지되는 축머리부(711)와, 축머리부(711)에서 연장되어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는 축로드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로드부(712)가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에 삽입됨에 따라 본체유닛(10)에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부재(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탈착축부재(71)에서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인 축로드부(712)의 단부에는 탈착홀부(713)가 관통 형성되어 탈착걸림부재(72)가 결합되도록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머리부(711)를 생략하는 대신 축로드부(712)의 양단부에 탈착홀부(713)가 형성될 수 있다.
탈착걸림부재(72)는 탈착홀부(713)에 삽입되는 탈착로드(721)와, 탈착축부재(71)를 일부 감싸도록 탈착로드(721)의 일단부에서 연장되는 탄성커버부(722)와, 탄성커버부(722)의 단부에서 탈착로드(721)에서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입구확장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축로드부(712)가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된 탈착홀부(713)에 탈착로드(721)가 삽입됨에 따라 축로드부(712)의 일부는 입구확장부(723)를 거쳐 탄성커버부(722)에 삽입 안착되어 결합을 완료할 수 있고, 탈착축부재(71)가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른 예로, 제1결합유닛(70)은 제1홀부(121)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에 결합되는 제1결합브라켓(73)과, 제1홀부(121)를 통과하여 연결홀부(312)에 삽입 가능한 제1결합핀부재(74)와, 제1결합핀부재(74)가 연결홀부(312)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제1결합핀부재(74)를 탄성 가압하거나, 제1결합핀부재(74)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제1결합브라켓(73)을 기준으로 제1결합핀부재(74)를 탄성 가압하는 제1결합탄성부재(7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결합탄성부재(75)가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제1결합핀부재(74)를 탄성 가압하면, 제1결합핀부재(74)는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 중 적어도 연결홀부(312)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제1결합핀부재(7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머리부(741)와, 결합핀머리부(741)에서 연장되고 제1결합브라켓(73)을 통과하여 제1홀부(121)에 삽입되는 제1결합핀로드부(742)와, 제1결합브라켓(73)과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 사이에서 제1결합핀로드부(742)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지지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탄성부재(75)는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를 기준으로 걸림지지부(743)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1결합핀부재(74)를 가압하면서 정회전시키면, 제1결합탄성부재(75)가 압축되고, 제1결합핀부재(74)의 제1결합핀로드부(742)는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본체유닛(10)에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부재(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결합핀부재(74)를 역회전시키면, 연결홀부(312)에서 제1결합핀로드부(742)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제1결합탄성부재(75)가 제1결합브라켓(73)을 기준으로 제1결합핀부재(74)를 탄성 가압하면, 제1결합핀부재(74)는 탄성력에 의해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결합핀부재(74)는 제1결합브라켓(73)과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 사이에 구비되는 걸림지지부(743)와, 본체유닛(10)의 본체공간(111)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걸림지지부(743)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결합핀로드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탄성부재(75)는 제1결합브라켓(73)을 기준으로 걸림지지부(743)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서는 제1결합탄성부재(75)가 제1결합핀부재(74)를 탄성 가압하여 제1결합핀로드부(742)의 단부는 본체공간(111)으로 돌출 형성되고,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동작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이 제1결합핀로드부(742)를 가압하면, 제1결합탄성부재(75)가 수축하면서 제1결합핀로드부(742)가 본체공간(111)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1홀부(121)와 연결홀부(312)가 연통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결합핀로드부(742)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어 본체유닛(10)에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부재(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동작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이 제1결합핀로드부(742)를 가압하면, 제1결합핀로드부(742)는 연결홀부(312)에서 이탈하였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에 부가하여, 제1결합핀로드부(742)는 걸림지지부(743)로부터 연장되어 제1결합브라켓(73)을 통과하고, 제1결합핀부재(74)는 제1결합브라켓(73)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1결합핀로드부(74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핀머리부(7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핀머리부(741)를 잡아당겨 제1결합핀로드부(742)에서 본체공간(111)에 돌출된 부분을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에 대응하여 대차연결유닛(30)이 제1결합핀로드부(742)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제2결합유닛(80)은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을 본체유닛(10)에 결합시킨다.
일예로, 제2결합유닛(80)은 제2홀부(122)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에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81)과, 제2홀부(122)를 통과하여 연결홀부(312)에 삽입 가능한 제2결합핀부재(82)와, 제2결합핀부재(82)가 연결홀부(312)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제2결합핀부재(82)를 탄성 가압하거나, 제2결합핀부재(82)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제2결합브라켓(81)을 기준으로 제2결합핀부재(82)를 탄성 가압하는 제2결합탄성부재(8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2결합탄성부재(83)가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제2결합핀부재(82)를 탄성 가압하면, 제2결합핀부재(82)는 제2홀부(122)와 연결홀부(312) 중 적어도 연결홀부(312)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제2결합핀부재(82)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핀결합머리부와, 핀결합머리부에서 연장되고 제2결합브라켓(81)을 통과하여 제2홀부(122)에 삽입되는 제2결합핀로드부(821)와, 제2결합브라켓(81)과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 사이에서 제2결합핀로드부(821)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핀제한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탄성부재(83)는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를 기준으로 결합핀제한부(822)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결합핀부재(82)를 가압하면서 정회전시키면, 제2결합탄성부재(83)가 압축되고, 제2결합핀부재(82)의 제2결합핀로드부(821)는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본체유닛(10)에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부재(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2결합핀부재(82)를 역회전시키면, 연결홀부(312)에서 제2결합핀로드부(821)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제2결합탄성부재(83)가 제2결합브라켓(81)을 기준으로 제2결합핀부재(82)를 탄성 가압하면, 제2결합핀부재(82)는 탄성력에 의해 제2홀부(122)와 연결홀부(312)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핀부재(82)는 제2결합브라켓(81)과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핀제한부(822)와, 본체유닛(10)의 본체공간(111)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결합핀제한부(822)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핀로드부(8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탄성부재(83)는 제2결합브라켓(81)을 기준으로 결합핀제한부(822)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서는 제2결합탄성부재(83)가 제2결합핀부재(82)를 탄성 가압하여 제2결합핀로드부(821)의 단부는 본체공간(111)으로 돌출 형성되고,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동작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이 제2결합핀로드부(821)를 가압하면, 제2결합탄성부재(83)가 수축하면서 제2결합핀로드부(821)가 본체공간(111)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제2홀부(122)와 연결홀부(312)가 연통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2결합핀로드부(821)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어 본체유닛(10)에 대차연결유닛(30)의 연결부재(3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동작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이 제2결합핀로드부(821)를 가압하면, 제2결합핀로드부(821)는 연결홀부(312)에서 이탈하였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에 부가하여, 제2결합핀로드부(821)는 결합핀제한부(822)로부터 연장되어 제2결합브라켓(81)을 통과하고, 제2결합핀부재(82)는 제2결합브라켓(81)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제2결합핀로드부(82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핀결합머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결합머리부를 잡아당겨 제2결합핀로드부(821)에서 본체공간(111)에 돌출된 부분을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에 대응하여 대차연결유닛(30)이 제2결합핀로드부(821)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로, 제2결합유닛(8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결합유닛(70)의 일예와 같이 본체유닛(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홀부(122)와 연결홀부(312)에 삽입되는 탈착축부재(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유닛(80)은, 탈착축부재(71)에서 제2홀부(122)와 연결홀부(3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걸림부재(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유닛(80)의 탈착축부재(71) 및 탈착걸림부재(72)는 제2홀부(122)와 연결홀부(312)의 연통 관계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술한 제1결합유닛(70)의 탈착축부재(71) 및 탈착걸림부재(7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강결합유닛(90)은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 따라 대차유닛(20)을 본체유닛(10)에 결합시킨다.
보강결합유닛(90)은 보강홀부(123)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에 결합되는 보강결합브라켓(91)과, 보강홀부(123)를 통과하여 보강대차홀부(213)에 삽입 가능한 보강핀부재(92)와, 보강핀부재(92)가 보강대차홀부(213)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보강핀부재(92)를 탄성 가압하거나, 보강핀부재(92)가 보강대차홀부(213)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보강결합브라켓(91)을 기준으로 보강핀부재(92)를 탄성 가압하는 보강탄성부재(9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보강탄성부재(93)가 본체유닛(10)을 기준으로 보강핀부재(92)를 탄성 가압하면, 보강핀부재(92)는 보강홀부(123)와 보강대차홀부(213) 중 적어도 보강대차홀부(213)에 나사 결합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보강결합핀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핀보강머리부와, 핀보강머리부에서 연장되고 보강결합브라켓(91)을 통과하여 보강홀부(123)에 삽입되는 보강핀로드부(921)와, 보강결합브라켓(91)과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 사이에서 보강핀로드부(921)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핀제한부(9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강탄성부재(93)는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를 기준으로 보강핀제한부(922)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강핀부재(92)를 가압하면서 정회전시키면, 보강탄성부재(93)가 압축되고, 보강핀부재(92)의 보강핀로드부(921)는 보강대차홀부(213)에 삽입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본체유닛(10)에 대차유닛(20)의 대차부재(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보강핀부재(92)를 역회전시키면, 보강대차홀부(213)에서 보강핀로드부(921)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고,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보강탄성부재(93)가 보강결합브라켓(91)을 기준으로 보강핀부재(92)를 탄성 가압하면, 보강핀부재(92)는 탄성력에 의해 보강홀부(123)와 보강대차홀부(213)에 끼움 결합 가능하다. 좀더 자세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핀부재(92)는 보강결합브라켓(91)과 본체유닛(10)의 날개부재(12)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핀제한부(922)와, 본체유닛(10)의 본체공간(111)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보강핀제한부(922)에서 돌출 형성되는 보강핀로드부(9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강탄성부재(93)는 보강결합브라켓(91)을 기준으로 보강핀제한부(922)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에서는 보강탄성부재(93)가 보강핀부재(92)를 탄성 가압하여 보강핀로드부(921)의 단부는 본체공간(111)으로 돌출 형성되고,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동작에 따라 대차부재(21)가 보강핀로드부(921)를 가압하면, 보강탄성부재(93)가 수축하면서 보강핀로드부(921)가 본체공간(111)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보강홀부(123)와 보강대차홀부(213)가 연통되면 탄성력에 의해 보강핀로드부(921)가 보강대차홀부(213)에 삽입되어 본체유닛(10)에 대차유닛(20)의 대차부재(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반대로,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동작에 따라 대차유닛(20)의 대차부재(21)가 보강핀로드부(921)를 가압하면, 보강핀로드부(921)는 보강대차홀부(213)에서 이탈하였다가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에 부가하여, 보강핀로드부(921)는 보강핀제한부(922)로부터 연장되어 보강결합브라켓(91)을 통과하고, 보강핀부재(92)는 보강결합브라켓(91)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보강핀로드부(92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핀보강머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보강머리부를 잡아당겨 보강핀로드부(921)에서 본체공간(111)에 돌출된 부분을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동작 또는 펼침 동작에 대응하여 대차유닛(20)의 대차부재(21)가 보강핀로드부(921)에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는 구동유닛(미도시)과, 배터리(A)와, 컨트롤러(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미도시)은 앞바퀴부재(50)와 뒷바퀴부재(60)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여기서, 구동유닛(미도시)의 결합 관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앞바퀴부재(50)와 뒷바퀴부재(60)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배터리(A)는 본체유닛(10)에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111)에 구비된다. 배터리(A)는 본체공간(111)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배터리(A)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다.
배터리(A)는 구동유닛(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한다.
컨트롤러(C)는 본체유닛(10)에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111)에 구비된다. 컨트롤러(C)는 핸들유닛(100)에 구비된 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구동유닛(미도시)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킥보드의 속도 또는 속력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킥보드에 따르면, 조향조절댐퍼(40)를 통해 핸들유닛(100)의 조작에 따른 조향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차유닛(20)의 탈부착 결합을 통한 대차유닛(20)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결합유닛을 통해 대차유닛(20)의 절첩 구조에서 본체유닛(10)에 대차유닛(20)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향조절댐퍼(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대차연결유닛(30)과 대차유닛(20) 사이의 상대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하고, 연결브라켓(32)과 대차브라켓(22)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여 조향 회전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여기서, 탄성지지부재(45)를 통해 탈착볼트부재(42)와 탈착너트부재(43)의 나사 결합에 대응하여 탈착탄성부재(44)를 안정되게 지지하고, 탈착탄성부재(44)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볼트나사부(423)의 위치 한정을 통해 탈착볼트부재(42)에서 탈착너트부재(43)의 나사 결합 영역을 제한하고, 연결브라켓(32)과 탈착볼부재(41)와 대차브라켓(22)을 통과할 때 나사산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밀착 또는 접촉되는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 연결브라켓(32)을 기준으로 대차브라켓(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방지돌부(424)를 통해 마주보는 해당 브라켓에서 탈착볼트부재(42)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탈착볼트부재(42)에 탈착너트부재(43)가 나사 결합될 때, 탈착너트부재(43)의 회전에 대응하여 탈착볼트부재(42)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나사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부를 통해 조향조절댐퍼(40)에서 연결브라켓(32)과 탈착볼부재(41)의 밀착력 및 대차브라켓(22)과 탈착볼부재(41)의 밀착력에 따라 탈착볼부재(41)와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공간(111)을 통해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에서 대차연결유닛(30)과 대차유닛(20)과 조향조절댐퍼(4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킥보드가 주변 사물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유닛(70)을 통해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통과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1결합유닛(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면적을 확장시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걸림부재의 부가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탈착축부재(7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1결합유닛(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펼침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가압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1결합유닛(70)을 통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1결합유닛(70)을 통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홀부에서 제1결합핀부재(7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유닛(80)을 통해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2결합유닛(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가압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2결합유닛(80)을 통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제2결합유닛(80)을 통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홀부에서 제2결합핀부재(8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통과 결합 방식을 이용한 제2결합유닛(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면적을 확장시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걸림부재(72)의 부가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한 탈착축부재(7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결합유닛(90)을 통해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 끼움 결합 방식을 이용한 보강결합유닛(90)의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본체유닛(10)에서 대차연결유닛(30)의 접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 가압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보강결합유닛(90)을 통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을 통한 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에서는 보강결합유닛(90)을 통한 본체유닛(10)과 대차연결유닛(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해당 홀부에서 보강핀부재(9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동부를 통해 킥보드를 안정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A)의 전원을 이용하여 앞바퀴부재(50)와 뒷바퀴부재(60)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유닛(미도시)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킥보드를 전동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본체유닛 11: 본체부재 111: 본체공간
12: 날개부재 121: 제1홀부 122: 제2홀부
123: 보강홀부 13: 앞바퀴지지부 14: 수평부재
100: 핸들유닛 101: 핸들로드 102: 파지부재
103: 제동레버 104: 앞제동부 105: 뒤제동부
20: 대차유닛 21: 대차부재 211: 경사받침부
212: 뒷바퀴지지부 213: 보강대차홀부 22: 대차브라켓
221: 대차지지홈부 222: 대차마찰부 30: 대차연결유닛
31: 연결부재 311: 연결축부 312: 연결홀부
32: 연결브라켓 321: 연결지지홈부 322: 연결마찰부
40: 조향조절댐퍼 41: 탈착볼부재 42: 탈착볼트부재
421: 탈착볼트머리부 422: 탈착볼트로드부 423: 볼트나사부
424: 회전방지돌부 43: 탈착너트부재 44: 탈착탄성부재
45: 탄성지지부재 50: 앞바퀴부재 60: 뒷바퀴부재
70: 제1결합유닛 71: 탈착축부재 711: 축머리부
712: 축로드부 713: 탈착홀부 72: 탈착걸림부재
721: 탈착로드 722: 탄성커버부 723: 입구확장부
73: 제1결합브라켓 74: 제1결합핀부재 741: 결합핀머리부
742: 제1결합핀로드부 743: 걸림지지부 75: 제1결합탄성부재
80: 제2결합유닛 81: 제2결합브라켓 82: 제2결합핀부재
821: 제2결합핀로드부 822: 결합핀제한부 83: 제2결합탄성부재
90: 보강결합유닛 91: 보강결합브라켓 92: 보강핀부재
921: 보강핀로드부 922: 보강핀제한부 93: 보강탄성부재
A: 배터리 C: 컨트롤러

Claims (15)

  1. 하부에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앞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연결유닛;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부재에서 이격되어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중심을 이루어 상기 대차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피벗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향조절댐퍼;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하부에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앞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연결유닛;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부재에서 이격되어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중심을 이루어 상기 대차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피벗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향조절댐퍼;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대차연결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기 대차유닛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대차유닛과 마주보는 면에는 연결지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유닛은,
    사용자가 지지 가능하고, 상기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부재; 및
    상기 대차부재로부터 상기 대차연결유닛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연결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연결지지홈부와 연통되는 대차지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대차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조절댐퍼는,
    탈착볼부재;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탈착볼부재와 상기 대차브라켓을 통과하는 탈착볼트부재;
    상기 탈착볼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탈착너트부재; 및
    상기 연결브라켓과 상기 대차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지지된 상태에서 해당 브라켓과 마주보는 상기 탈착볼트부재와 상기 탈착너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탈착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조절댐퍼는,
    상기 탈착탄성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층 지지되는 탄성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볼트부재는,
    상기 탈착너트부재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탈착볼트부재의 단부에만 구비되는 볼트나사부; 및
    상기 탈착볼트부재의 탈착볼트머리부가 상기 연결브라켓 또는 상기 대차브라켓에 지지될 때, 상기 탈착볼트머리부에서 상기 연결브라켓 또는 상기 대차브라켓과 마주보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볼부재와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연결지지홈부에 구비되는 연결마찰부; 및
    상기 탈착볼부재와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대차지지홈부에 구비되는 대차마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6. 하부에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앞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대차연결유닛;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앞바퀴부재에서 이격되어 접촉면에서 구름 이동 가능한 뒷바퀴부재가 결합되는 대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유닛의 조작에 따라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중심을 이루어 상기 대차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피벗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향조절댐퍼;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이 상기 본체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대차연결유닛과 상기 대차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본체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조향조절댐퍼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대차유닛의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는 본체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연결유닛을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연결유닛을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시키는 제2결합유닛; 및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따라 상기 대차유닛을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시키는 보강결합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제1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탈착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탈착축부재에서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제1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펼침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1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은,
    상기 제1홀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제1결합브라켓;
    상기 제1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 가능한 제1결합핀부재; 및
    상기 제1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거나, 상기 제1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1결합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탄성부재가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1결합핀부재는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 중 적어도 상기 연결홀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1결합탄성부재가 상기 제1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1결합핀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제2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2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제2홀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
    상기 제2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 가능한 제2결합핀부재; 및
    상기 제2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거나, 상기 제2결합핀부재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제2결합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탄성부재가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2결합핀부재는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 중 적어도 상기 연결홀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제2결합탄성부재가 상기 제2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제2결합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제2결합핀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제2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연결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2홀부와 연통되는 연결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본체유닛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에 삽입되는 탈착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탈착축부재에서 상기 제2홀부와 상기 연결홀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걸림 결합되는 탈착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보강홀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대차유닛에는, 상기 대차연결유닛의 접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홀부와 연통되는 보강대차홀부;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보강결합유닛은,
    상기 보강홀부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에 결합되는 보강결합브라켓;
    상기 보강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삽입 가능한 보강핀부재; 및
    상기 보강핀부재가 상기 보강대차홀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거나, 상기 보강핀부재가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보강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보강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탄성부재가 상기 본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보강핀부재는 상기 보강홀부와 상기 보강대차홀부 중 적어도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보강탄성부재가 상기 보강결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보강핀부재를 탄성 가압하면, 상기 보강핀부재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강홀부와 상기 보강대차홀부에 끼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부재와 상기 뒷바퀴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유닛에 함몰 형성된 본체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유닛에 구비된 조절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KR1020210036615A 2021-03-22 2021-03-22 킥보드 KR10245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15A KR102451058B1 (ko) 2021-03-22 2021-03-22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15A KR102451058B1 (ko) 2021-03-22 2021-03-22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70A KR20220131670A (ko) 2022-09-29
KR102451058B1 true KR102451058B1 (ko) 2022-10-06

Family

ID=8346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15A KR102451058B1 (ko) 2021-03-22 2021-03-22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25025Y (zh) 2001-11-27 2002-12-11 陈定兴 滑板车的手把与车架组合装置
CN203064117U (zh) 2012-12-12 2013-07-17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双杆滑板车
KR101903343B1 (ko) 2017-12-17 2018-10-04 강인태 킥보드 장치
CN111942510A (zh) 2019-07-04 2020-11-17 陈一磊 一种方便拆卸电池包的电动滑板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386A (ko) 2001-06-25 2003-01-06 유종연 자율적인 제품 광고와 무료 종이컵 사용을 연결한 역광고경매서비스
KR102150090B1 (ko) * 2016-08-17 2020-08-31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80074886A (ko) * 2016-12-23 2018-07-04 계양전기 주식회사 확장부를 구비한 전동킥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25025Y (zh) 2001-11-27 2002-12-11 陈定兴 滑板车的手把与车架组合装置
CN203064117U (zh) 2012-12-12 2013-07-17 无锡艾科瑞思产品设计与研究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双杆滑板车
KR101903343B1 (ko) 2017-12-17 2018-10-04 강인태 킥보드 장치
CN111942510A (zh) 2019-07-04 2020-11-17 陈一磊 一种方便拆卸电池包的电动滑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670A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3028A (en) Drive wheel suspension system for human powered vehicle
US6203043B1 (en) Four-wheel, human powered cycle
US8162342B2 (en) Shock-absorbing suspension device for a wheeled vehicle
US5269550A (en) Mountain bike
US9359034B2 (en) Cycle and associated components
US7597334B2 (en) Sideways movement propelled scooter device
US8505935B2 (en) Tricycle kick board
US6908091B2 (en) Cambering vehicle
US9010780B1 (en) Scooter
EP2703270A1 (en) Vehicle
US9988123B2 (en) Suspension and steering assembly
EP3153392B1 (en) Parking brake mechanism
TW202108443A (zh) 自行車用後變速器
US20220204112A1 (en) Kit of scooter and scooter
US20150158534A1 (en) Light weight electric vehicle
KR102451058B1 (ko) 킥보드
US20050230930A1 (en) Scooter
US8677857B2 (en) Handle brake device
CA2978451A1 (en) Pump-action ride-along vehicle
EP3038891A1 (en) Handle assembly and associated components for a cycle
KR101756799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CN109383673B (zh) 载具的转向与倾斜系统
EP3789284A1 (en) Scooter comprising suspension means
CN104085480A (zh) 一种便携式三轮电动车
NL1035799C2 (en) Tiltable tr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