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038B1 -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038B1
KR102541038B1 KR1020190044656A KR20190044656A KR102541038B1 KR 102541038 B1 KR102541038 B1 KR 102541038B1 KR 1020190044656 A KR1020190044656 A KR 1020190044656A KR 20190044656 A KR20190044656 A KR 20190044656A KR 102541038 B1 KR102541038 B1 KR 10254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locking device
insertion protrusion
personal mobility
mobili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990A (ko
Inventor
박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038B1/ko
Priority to US16/693,256 priority patent/US11186340B2/en
Publication of KR2020012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평면 상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후단부의 상단에 힌지축이 형성된 전방발판부; 전방발판부의 힌지축과 중첩된 힌지축이 전단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지거나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며,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전방발판부가 연장된 평면 상으로 연장된 후방발판부; 전방발판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관통홀; 후방발판부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관통홀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관통홀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삽입돌기과 걸림 결합되어 삽입돌기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의 고정을 해제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FOLDING STRUCTURE OF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PERSONAL MOBILIT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거나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 발판부의 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환경에 오염 문제 및 사용상의 재미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최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라는 1인용 운송장치의 개발이 증대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일례로 킥보드(Kick Board)라는 운송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킥보드의 구성은 크게 바퀴가 구비된 발판부 및 핸들이 구비된 핸들부로 구성된다.
킥보드와 같이 발판부와 핸들부로 구성된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는 운송 등의 목적으로 폴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특히 발판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접는 폴딩 구조를 가졌다.
특히,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는 레버를 이용한 걸림 구조, 결합핀을 이용한 끼움 구조, 링크들의 결합을 이용한 링키지 구조 및 슬라이딩을 이용한 슬리브 구조 등의 구조를 포함한 폴딩 구조를 가진다.
다만,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는 레버 또는 링크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문제 및 펴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 구조의 유격 관리가 어려운 문제 등이 존재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WO 2016/043556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방수성을 확보하면서 내구성 및 조립성을 개선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는 평면 상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후단부의 상단에 힌지축이 형성된 전방발판부; 전방발판부의 힌지축과 중첩된 힌지축이 전단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지거나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며,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전방발판부가 연장된 평면 상으로 연장된 후방발판부; 전방발판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관통홀; 후방발판부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관통홀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관통홀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삽입돌기과 걸림 결합되어 삽입돌기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의 고정을 해제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한다.
관통홀 및 삽입돌기는 힌지축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방발판부의 후단부 또는 후방발판부의 전단부의 하단 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삽입돌기의 단부에는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락킹장치는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서 전방발판부에 상대 회전 결합되며, 상대회전됨에 따라 결합턱에 걸림 결합되거나 결합턱보다 하방으로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삽입돌기 및 결합턱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락킹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결합턱과 걸림 결합되는 일측 단부는 삽입돌기 또는 결합턱이 연장된 측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측방으로 절곡된 락킹장치의 일측 단부는 전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턱은 후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축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락킹장치의 타측 단부는 힌지축의 내부로 연장되며, 일단은 힌지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락킹장치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고, 타단은 힌지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힌지축에 슬라이딩됨에 따라 락킹장치를 회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 및 삽입돌기는 측방으로 이격되어 2개씩 형성되고, 락킹장치는 각각의 삽입돌기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2개 형성되며, 스위치는 힌지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힌지축의 외부로 노출되고, 서로 다른 락킹장치의 타측 단부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락킹장치와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락킹장치가 결합턱에 걸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락킹장치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의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턱은 전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중첩된 힌지축은 측방으로 연장되되, 양측 단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서 이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고, 이격공간에서 다시 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된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의 전방에서 전방발판부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거나, 힌지축의 후방에서 후방발판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내부벽;을 더 포함하고, 케이블은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를 통하여 내부벽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에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전방발판부의 전단부에 결합된 핸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의 상단부에는 핸들이 구비되고, 핸들은 핸들부가 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에서 전방발판부의 후단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핸들부에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에 따르면, 후방발판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후방발판부에 삽입돌기가 위치되어 삽입돌기가 파손되는 가능성이 저하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후방발판부는 전방발판부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 삽입돌기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락킹장치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굽힘력 또는 전단력이 작용하는 종래의 구조보다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락킹장치의 일측 단부는 쐐기와 같이 결합턱의 하방으로부터 결합턱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삽입돌기를 지지함으로써 락킹장치의 걸림 결합시 유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의 걸림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내부에서 연장된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특히, 도 1의 실선은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에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일점쇄선은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상부에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는 평면 상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후단부의 상단에 힌지축(300)이 형성된 전방발판부(100); 전방발판부(100)의 힌지축(300)과 중첩된 힌지축(300)이 전단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힌지축(300)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방발판부(100)의 상부로 접혀지거나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에 펼쳐지며,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전방발판부(100)가 연장된 평면 상으로 연장된 후방발판부(200);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관통홀(110); 후방발판부(200)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관통홀(110)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210); 및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관통홀(110)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삽입돌기(210)과 걸림 결합되어 삽입돌기(210)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210)의 고정을 해제하는 락킹장치(120);를 포함한다.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는 서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나란한 평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탑승자가 상부에 탑승 가능하도록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는 서로 중첩된 힌지축(30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후방발판부(200)와 전방발판부(100)는 펼쳐지거나 서로 접혀질 수 있다. 특히,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는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접혀질 수 있다.
힌지축(300)은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 상단에 형성되고, 후방발판부(200)의 전단부 상단에 형성되고, 후방발판부(200)는 힌지축(30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전방발판부(100)의 상부로 접혀지거나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으로 펼쳐질 수 있다.
전방발판부(100) 및 후방발판부(200)는 각각의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사방이 벽으로 둘러싸인 박스(BOX)일 수 있다.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과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에는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배터리, 제어기 등의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각각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케이블(500)이 포함될 수 있다.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에는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되도록 후단부의 외벽이 관통된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으로 펼쳐지도록 전방발판부(100)에 상대 회전되면, 삽입돌기(210)가 관통홀(110)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락킹장치(120)는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삽입돌기(210)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장치(120)는 삽입돌기(210)와 걸림 결합을 통하여 삽입돌기(210)를 고정할 수 있다. 락킹장치(120)는 삽입돌기(210)와 걸림 결합시 관통홀(110)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락킹장치(120)는 삽입돌기(210)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걸림 결합 해제시 삽입돌기(210)의 이탈을 허용할 수 있다. 락킹장치(120)는 삽입돌기(210)와 걸림 결합 해제시, 관통홀(110)을 차단하지 않도록 관통홀(110)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락킹장치(120)의 걸림 구조를 통하여 후방발판부(200)의 회전을 고정하도록 삽입돌기(210)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후방발판부(200)에 삽입돌기(210)가 위치되어 후방발판부(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삽입돌기(210)가 파손되는 가능성이 저하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의 걸림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4에서 좌측은 락킹장치(120)가 걸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우측은 락킹장치(120)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4를 더 참조하면, 관통홀(110) 및 삽입돌기(210)는 힌지축(300)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 또는 후방발판부(200)의 전단부의 하단 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삽입돌기(210)는 후방발판부(200)의 전단부 하단 측에 위치되고, 관통홀(110)은 이에 대응되도록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 하단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돌기(210)와 락킹장치(120)는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 사이의 회전축인 힌지축(300)과 이격된 위치에서 걸림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삽입돌기(210)의 단부에는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에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턱(211)이 형성되고, 락킹장치(120)는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전방발판부(100)에 상대 회전 결합되며, 상대회전됨에 따라 결합턱(211)에 걸림 결합되거나 결합턱(211)보다 하방으로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결합턱(211)은 후방발판부(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삽입돌기(21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특히, 결합턱(211)은 단차지게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방발판부(200)는 전방발판부(100)에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 삽입돌기(210)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고, 락킹장치(120)에는 압축력이 작용하여 굽힘력 또는 전단력이 작용하는 종래의 구조보다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락킹장치(120)는 전방발판부(10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락킹장치(120)는 전방발판부(100)의 내부에서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 측에 위치되어 후단면과 나란한 평면 상에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락킹장치(120)는 전방발판부(100)에 상대 회전됨에 따라 삽입돌기(210)의 하부에서 결합턱(211)과 걸림 결합되도록 삽입되어 삽입돌기(210)를 고정할 수 있고, 결합턱(211)보다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회전됨에 따라 삽입돌기(210)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삽입돌기(21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삽입돌기(210) 및 결합턱(211)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락킹장치(1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결합턱(211)과 걸림 결합되는 일측 단부는 삽입돌기(210) 또는 결합턱(211)이 연장된 측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삽입돌기(210)는 측방으로 연장되고, 결합턱(211)도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삽입돌기(210)에 형성되며, 락킹장치(120)는 결합턱(211)에 걸림 결합시 결합턱(211)과 측방으로 나란하도록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는 결합턱(211)에 걸림 결합되도록 전방발판부(100)에 상대회전된 상태에서 결합턱(211)과 나란하게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락킹장치(1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타측 단부가 힌지축(300)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락킹장치(120)의 회전축은 힌지축(300)에 인접한 타측 단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힌지축(30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락킹장치(120)의 타측 단부는 힌지축(300)의 내부로 연장되며, 일단은 힌지축(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락킹장치(120)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고, 타단은 힌지축(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힌지축(300)에 슬라이딩됨에 따라 락킹장치(120)를 회전시키는 스위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300)은 전방발판부(100) 및 후방발판부(200)의 회전축이 중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락킹장치(120)는 타측 단부가 힌지축(3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힌지축(300)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에는 스위치(4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전방발판부(100) 및 후방발판부(200)는 스위치(400)를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스위치(400)의 일단은 락킹장치(120)의 타측 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스위치(400)의 타단은 힌지축(3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힌지축(30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위치(400)가 힌지축(300)에 슬라이딩됨에 따라 락킹장치(120)의 타측 단부가 힌지축(3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락킹장치(120)는 전방발판부(100)를 기준으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스위치(400)의 타단을 가압하여 힌지축(300)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락킹장치(120)가 삽입돌기(210)의 결합턱(211)에서 하방으로 이격되어 걸림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축(300) 외부로 노출된 스위치(400)의 타단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락킹장치(1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락킹장치(120)와 삽입돌기(210) 사이의 걸림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특히, 락킹장치(120)의 회전축은 힌지축(30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스위치(400)가 슬라이딩되는 거리가 작더라도 락킹장치(120)가 크게 회전될 수 있다.
측방으로 절곡된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는 전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턱(211)에 걸림 결합되는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는 전면에 결합턱(211)의 후면과 결합되는 결합면이 형성되고, 락킹장치(120)의 결합면은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턱(211)은 후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락킹장치(120)와 결합되는 결합턱(211)은 후면에 결합면이 형성되고, 결합턱(211)의 결합면은 상부로 갈수록 하부로 경사질 수 있다. 특히, 락킹장치(120)와 결합턱(211)의 결합면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는 쐐기와 같이 결합턱(211)의 하방으로부터 결합턱(211) 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삽입돌기(2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삽입돌기(210)를 지지하고, 이에 따라 락킹장치(120)의 걸림 결합시 유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후술하는 탄성체(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락킹장치(120)는 결합턱(211)에 걸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예압이 형성됨으로써 유격이 감소될 수 있다.
관통홀(110) 및 삽입돌기(210)는 측방으로 이격되어 2개씩 형성되고, 락킹장치(120)는 각각의 삽입돌기(210)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21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2개 형성되며, 스위치(400)는 힌지축(3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힌지축(300)의 외부로 노출되고, 서로 다른 락킹장치(120)의 타측 단부와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즉, 스위치(400)는 힌지축(3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도록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위치(400)의 양측 단부를 동시에 가압하여 용이하게 락킹장치(12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스위치(400) 중 어느 하나를 오작동시키더라도 나머지 하나에 의해 락킹장치(120)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음으로써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의 펴진 상태가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관통홀(110) 및 삽입돌기(210)는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지면과 나란하게 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삽입돌기(210)는 각각의 타측 단부가 서로 다른 락킹장치(120)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동시에 이동됨에 따라 삽입돌기(210)가 회전될 수 있다.
락킹장치(120)와 전방발판부(100)의 사이에 위치되고, 락킹장치(120)가 결합턱(211)에 걸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락킹장치(1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30)는 일단이 락킹장치(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방발판부(100)에 고정되도록 락킹장치(120)와 전방발판부(1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탄성체(130)는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가 결합턱(211)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락킹장치(120)와 결합턱(211)이 완전히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400)의 슬라이딩과 동시에 락킹장치(120)가 결합턱(211)에서 걸림이 회전되도록 회전되면 락킹장치(120)가 결합턱(211)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장치(120)는 삽입돌기(210)와 걸림 결합이 고정될 수 있고, 탄성체(130)의 탄성력을 이겨내는 힘이 스위치(400)에 인가되어야 삽입돌기(21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특히, 락킹장치(120)가 경사진 결합면을 통하여 삽입돌기(2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예압이 형성되어 삽입돌기(210)와 락킹장치(120) 사이의 결합에 유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탄성체(130)는 스프링일 수 있고, 스프링은 락킹장치(120)와 일체로 레이저 컷팅 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은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 공수 및 부품의 수가 절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삽입돌기(210)의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턱(211)은 전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0)을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돌기(210)는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상부에서 전방발판부(100)의 후방으로 회전되면서 삽입돌기(210)의 전면이 전방을 향하면서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삽입돌기(210)가 관통홀(110)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탄성체(130)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면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는 관통홀(110)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삽입돌기(210)가 삽입되면서 결합턱(211)의 전면은 락킹장치(120)의 일측 단부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락킹장치(120)는 후방발판부(20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결합턱(211)의 전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회전되어 삽입돌기(210)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400)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삽입돌기(210)가 관통홀(110)을 통해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면 락킹장치(120)가 탄성체(130)를 변형시키면서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됨을 허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내부에서 연장된 케이블(5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의 중첩된 힌지축(300)은 측방으로 연장되되, 양측 단부 사이에는 이격공간(310)이 형성되고,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이격공간(310)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고, 이격공간(310)에서 다시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된 케이블(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축(300)은 양측 단부 사이에 이격공간(310)이 형성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이격공간(310)에는 전방발판부(100) 또는 후방발판부(200)에서 중첩된 구성이 없는 빈 공간일 수 있다.
케이블(500)은 전방발판부(100)와 후방발판부(200) 각각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이격공간(3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500)은 다시 이격공간(310)에서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500)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미관이 개선되고, 전방발판부(100) 및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에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500)의 굽힘에 의한 Strain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힌지축(300)의 전방에서 전방발판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거나, 힌지축(300)의 후방에서 후방발판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내부벽(140,240);을 더 포함하고, 케이블(500)은 케이블(500) 그랜드(Cable Gland)를 통하여 내부벽(140,24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내부벽(140)은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특히,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에서 전방에 형성된 공간과 후방에 락킹장치(120) 등이 형성된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내부벽(240)은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특히,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에서 후방에 형성된 공간과 전방에 형성된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방수성이 특히 요구되는 부품 등은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 중 전방에 형성된 공간과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 중 후방에 형성된 공간에 탑재될 수 있다. 특히, 방수성이 특히 요구되는 케이블(500)의 단부는 내부벽(140,240)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100)의 내부공간 중 전방에 형성된 공간과 후방발판부(200)의 내부공간 중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내부벽(140,240)에는 케이블(500) 그랜드(Cable Gland)가 형성되고, 케이블(500)은 케이블(500) 그랜드를 통하여 내부벽(140,240)을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와 후방발판부(200)가 전방발판부(100)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발판부(200)의 상부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전방발판부(100)의 전단부에 결합된 핸들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핸들부(600)의 상단부에는 핸들(610)이 구비되고, 핸들(610)은 핸들부(600)가 후방발판부(200)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에서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핸들부(600)에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발판부(100)의 상부에 후방발판부(200)가 접혀지고, 후방발판부(200)의 상부에 전방발판부(100)가 접혀진 상태에서 핸들(610)이 서로 모아진 경우, 전방발판부(100)의 후단부 측에 위치되어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돌기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가 핸들(610)을 파지함으로써 날카로운 걸림턱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전방발판부 110 : 관통홀
120 : 락킹장치 130 : 탄성체
200 : 후방발판부 210 : 삽입돌기
300 : 힌지축 310 : 이격공간
400 : 스위치 500 : 케이블

Claims (14)

  1. 평면 상으로 연장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후단부의 상단에 힌지축이 형성된 전방발판부;
    전방발판부의 힌지축과 중첩된 힌지축이 전단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지거나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며,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전방발판부가 연장된 평면 상으로 연장된 후방발판부;
    전방발판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연통된 관통홀;
    후방발판부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지도록 상대 회전시 관통홀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 및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관통홀을 관통하여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삽입돌기과 걸림 결합되어 삽입돌기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의 고정을 해제하는 락킹장치;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홀 및 삽입돌기는 힌지축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전방발판부의 후단부 또는 후방발판부의 전단부의 하단 측에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돌기의 단부에는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후방에 펼쳐진 상태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락킹장치는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서 전방발판부에 상대 회전 결합되며, 상대회전됨에 따라 결합턱에 걸림 결합되거나 결합턱보다 하방으로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삽입돌기 및 결합턱은 측방으로 연장되고,
    락킹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결합턱과 걸림 결합되는 일측 단부는 삽입돌기 또는 결합턱이 연장된 측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측방으로 절곡된 락킹장치의 일측 단부는 전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결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측방으로 연장된 결합턱은 후면이 상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결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힌지축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락킹장치의 타측 단부는 힌지축의 내부로 연장되며,
    일단은 힌지축의 내부에 삽입되어 락킹장치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고, 타단은 힌지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며, 힌지축에 슬라이딩됨에 따라 락킹장치를 회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관통홀 및 삽입돌기는 측방으로 이격되어 2개씩 형성되고, 락킹장치는 각각의 삽입돌기를 고정하거나 삽입돌기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2개 형성되며,
    스위치는 힌지축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힌지축의 외부로 노출되고, 서로 다른 락킹장치의 타측 단부와 각각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9. 청구항 3에 있어서,
    락킹장치와 전방발판부의 사이에 위치되고, 락킹장치가 결합턱에 걸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락킹장치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삽입돌기의 하방으로 돌출된 결합턱은 전면이 하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방발판부와 후방발판부의 중첩된 힌지축은 측방으로 연장되되, 양측 단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에서 이격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고, 이격공간에서 다시 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힌지축의 전방에서 전방발판부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거나, 힌지축의 후방에서 후방발판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후방발판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내부벽;을 더 포함하고,
    케이블은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를 통하여 내부벽을 관통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13. 청구항 1의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로서,
    후방발판부가 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에서 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짐이 가능하게 전방발판부의 전단부에 결합된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핸들부의 상단부에는 핸들이 구비되고, 핸들은 핸들부가 후방발판부의 상부로 접혀진 상태에서 전방발판부의 후단부 측으로 모아지도록 핸들부에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KR1020190044656A 2019-04-17 2019-04-17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KR10254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56A KR102541038B1 (ko) 2019-04-17 2019-04-17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US16/693,256 US11186340B2 (en) 2019-04-17 2019-11-23 Folding structure of personal mobility device and personal mobilit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656A KR102541038B1 (ko) 2019-04-17 2019-04-17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90A KR20200121990A (ko) 2020-10-27
KR102541038B1 true KR102541038B1 (ko) 2023-06-08

Family

ID=7283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656A KR102541038B1 (ko) 2019-04-17 2019-04-17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86340B2 (ko)
KR (1) KR102541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3059A (zh) * 2021-07-30 2021-09-28 重庆安第斯摩托车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19442U (zh) 2017-04-18 2017-12-08 王德生 一种滑板车踏板的折叠机构
CN206719444U (zh) 2017-04-18 2017-12-08 王德生 一种滑板车踏板的折叠机构
CN207208328U (zh) 2017-07-20 2018-04-10 王德生 一种滑板车踏板的折叠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143A1 (en) * 2009-06-02 2010-12-09 Riccardo Nimrod Sapir Folding wheel mechanism for vehicle
KR20160033582A (ko) 2014-09-18 2016-03-28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KR102150090B1 (ko) * 2016-08-17 2020-08-31 주식회사 크림슨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CN106564550B (zh) * 2016-10-27 2020-01-14 芦慧 可折叠个人交通工具
KR101918368B1 (ko) * 2016-12-16 2018-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KR101937010B1 (ko) * 2017-01-04 2019-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CN206954414U (zh) * 2017-04-10 2018-02-02 何武 一种折叠电动滑板车
KR102053432B1 (ko) * 2018-08-30 2019-12-06 현대자동차(주)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19442U (zh) 2017-04-18 2017-12-08 王德生 一种滑板车踏板的折叠机构
CN206719444U (zh) 2017-04-18 2017-12-08 王德生 一种滑板车踏板的折叠机构
CN207208328U (zh) 2017-07-20 2018-04-10 王德生 一种滑板车踏板的折叠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90A (ko) 2020-10-27
US11186340B2 (en) 2021-11-30
US20200331555A1 (en)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1323B1 (en) Stroller having a foldable handle frame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locked in a folded state
US7210699B2 (en) Foldable stroller with a control cable operable to allow for folding of the stroller
CN111672060A (zh) 一种折叠跑步机及折叠方法
US20100078916A1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KR102541038B1 (ko)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의 폴딩 구조 및 이를 포함한 퍼스널 모빌리티 장치
US7229091B2 (en) Automatically unfoldable stroller
US8388006B2 (en) Motorized vehicle with foldable frame and locking mechanism
KR20180001995A (ko) 접이식 퍼스널 모빌리티
US11267526B2 (en) Structure of kick scooter
CN112839862A (zh) 具有可折叠车把的折叠式滑板车和这种车把
TWI542499B (zh) Baby carriage
EP2411102B1 (en) Collapsible ski
JP6090107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4244017A (ja) 前方に傾けることが可能なシート背もたれを含む自動車シート
JP2008513698A (ja) 解放可能な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方法
US6254177B1 (en) Foldable chair frame
EP1251224A1 (en) A hinge assembly for a cover
EP2868558A1 (en) Concealed folding mechanism for a kick scooter
CA1093952A (en) Folding chair
DE202005008369U1 (de) Klappbarer Stroller mit einem Steuerkabel, das zum Klappen des Strollers betätigt werden kann
CN212679956U (zh) 一种折叠跑步机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JP4442379B2 (ja) テーブル
KR200442694Y1 (ko) 관절구조를 갖는 쐐기 및 이를 이용한 줄사다리
CN112443267A (zh) 折叠式逃生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