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267A - 접철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접철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2267A
KR20150072267A KR1020130159713A KR20130159713A KR20150072267A KR 20150072267 A KR20150072267 A KR 20150072267A KR 1020130159713 A KR1020130159713 A KR 1020130159713A KR 20130159713 A KR20130159713 A KR 20130159713A KR 20150072267 A KR20150072267 A KR 2015007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rame
support frame
handle suppo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산
Original Assignee
김영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산 filed Critical 김영산
Priority to KR102013015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2267A/ko
Publication of KR2015007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2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지지프레임;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지면과 수평이 되게 상기 고정유닛의 후방 하측에 마련되되, 전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고, 후단부는 상기 전단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며 구름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발판;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발판 사이를 연결하되, 일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있는 상기 발판의 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고정유닛 내에서 고정될 때,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연결된 상기 발판이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되면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킥보드 {COLLAPSIBLE KICK-BOARD}
본 발명은 접철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는 동시에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안정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철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킥보드는 사용자가 바퀴가 장착된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박차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서, 스케이트보드와 달리 발판에 수직되게 올라온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킥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와 같이 평상시 출·퇴근의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주말에 강변 등에서 레포츠용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등 오늘날 심심찮게 볼 수 있는 제품이 되었다.
그러나 킥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와 달리 부피가 작지 않으며 자전거와 같이 접철식으로 개발된 것이 많이 없어서, 킥보드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경우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가져왔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9040호로서 공개된 접철식 자전거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종래의 접철식 킥보드는 단순히 핸들이 발판에 인접하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접을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지지도 않으며, 접혀져 있는 킥보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를 들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킥보드에 따르면, 90도 각도로 접혀지도록 마련된 힌지(hinge) 자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식으로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게 되는데, 힌지 자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만으로는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은 힌지의 구조상 안정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는 동시에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안정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접철식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지지프레임;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지면과 수평이 되게 상기 고정유닛의 후방 하측에 마련되되, 전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고, 후단부는 상기 전단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며 구름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발판;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발판 사이를 연결하되, 일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있는 상기 발판의 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고정유닛 내에서 고정될 때,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연결된 상기 발판이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되면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마련되며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향해 마련되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던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가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발판의 전단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가면서,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는 접혀지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이프레임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형태의 2개의 패널과,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접하지 않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2개의 패널을 가로지르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각각에 마련된 고정홈에 걸릴 때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이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2개의 패널 각각은,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빔과, 일단부는 상기 제1 빔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빔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핀과 연결되는 제2 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빔의 일단부가 상기 제1 빔 내부에서 이동은 하지만 이탈은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제2 빔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빔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2 빔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빔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2 빔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이프레임은, 상기 제2 빔의 일단부가 상기 제1 빔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2 빔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빔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빔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빔의 외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빔의 일 지점에 위치하되,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빔의 일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판의 전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갈 때,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더욱 인접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바퀴는,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될 때, 상기 조향바퀴와 상기 구름바퀴가 접하면서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름바퀴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는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더욱 인접하게 된 이후에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의 전단부 또는 상기 발판과 상기 접이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될 때,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아진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조향핸들의 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기 이전에는 T자 형으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한 이후에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에 의하면, 전술한 접이프레임과 고정유닛의 위치 관계에 따라 핸들지지프레임과 발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는 동시에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에 있는 경우 안정적으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과정에 있어서, 접이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연결유닛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재바스켓이 장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참조될 첨부된 도면은 도 1 내지 도 12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지면으로부터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과정에 있어서, 접이프레임의 작동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연결유닛들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적재바스켓이 장착되어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핸들지지프레임(100), 고정유닛(200), 발판(300) 및 접이프레임(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110)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12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상단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부에 조향바퀴 지지브래킷(130)이 마련되어 조향바퀴(120)가 설치된 하단핸들지지프레임과, 하단부가 상기 하단핸들지지프레임의 개방된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상단부에 조향핸들(110)이 구비되는 상단핸들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후술할 고정유닛(200) 및 접이프레임(400)을 통해 발판(3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조향핸들(110) 및 조향바퀴(120)의 좌·우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후술할 고정유닛(200) 및 접이프레임(400)과 연결되는 부분은 하단핸들지지프레임이 될 것임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후술할 접이프레임(400)의 작용으로 인해 발판(300)에 인접하게 되면서 지면으로부터 높아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어서 사용하는 것에 상당한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핸들지지프레임(10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300)에 인접하게 될 때,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조향핸들(110)의 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핸들지지프레임과 하단핸들지지프레임 사이에 길이조절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길이조절부(1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단핸들지지프레임이 하단핸들지지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길이조절부(140)는, 핸들지지프레임(100)이 발판(300)에 인접하게 될 때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조향핸들(110)의 위치를 낮추기 위한 목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키에 맞게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용될 수 있는 목적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과 함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어서 사용할 때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향핸들(110)의 구조도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조향핸들(110)은,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이 인접하기 이전에는 T자형으로 핸들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이 인접하게 될 때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조향핸들(1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내측에 마련된 탄성접힘부재(114)가 일시적으로 인장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펼쳐져 있을 때에는 고정구(116)을 통해 조향핸들(110)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있을 때에는 조향핸들고정구(112)를 통해 탄성접힘부재(114)에 의해 조향핸들(110)이 원상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20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접이프레임(400)이 고정유닛(200)의 어느 지점에 어떻게 위치에 하느냐에 따라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의 인접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정유닛(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접이프레임(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할 때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고정유닛(200)이 마련되는 위치 및 형상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는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조절부(140)의 작용을 고려하여 하단핸들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며, 형상은 접이프레임(400)이 고정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발판(300)은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지면에 수평되게 고정유닛(200) 후방 하측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전단부는 고정유닛(200)을 향하고 후단부는 전단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며 구름바퀴(330)가 장착된다.
이러한 발판(300)은 전술한 작용과 위치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만 만족한다면 그 형상 및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발판(30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발판(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프레임(310)과 발판플레이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프레임(310)은 발판(300)의 외형을 구성하는 것으로, 2개의 평행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발판플레이트(3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판플레이트(320)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부분이므로, 사용자의 발 형상대로 곡선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프레임(310)을 2개의 평행한 프레임으로 구성한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발판(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판(300)의 전단부가 핸들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갈 때, 발판(3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더욱 인접할 수 있도록, 발판(300)의 전단부가 후술할 접이프레임(400)을 구성하는 2개의 패널(410) 사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발판플레이트(320)의 폭, 즉 발판프레임(310)을 구성하는 2개의 평행한 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후술할 접이프레임(400)을 구성하는 2개의 패널(4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보다 좁게 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발판(300)을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발을 올려두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어서는 안 되므로, 발판(300)의 구성을 고려하여 후술할 접이프레임(400)을 구성하는 2개의 패널(410) 사이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접이프레임(400)은 고정유닛(200)과 발판(300)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유닛(200)이 마련된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접이프레임(400)은 기본적으로 일단부가 고정유닛(20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고정유닛(200)을 향해 있는 발판(300)의 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일단부가 고정유닛(200)의 제1 지점(220)이 아닌 제2 지점(230)에 고정되도록 움직일 때 타단부와 연결된 발판(300)이 회전하게 된다.
즉,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가 고정유닛(200) 내에서 고정되는 위치가 변경되면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와 연결된 발판(3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인접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이 과정을 보다 구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앞서 설명을 생략하였던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유닛(200)은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제1 지점(220) 및 제2 지점(23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점(22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를 향해 마련되는 지점이고 제2 지점(23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의 하단부를 향해 마련되는 지점으로서, 두 지점에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유닛(200)을 구성한다면 고정유닛(200)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이프레임(400)이 고정핀(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면, 제1 지점(220) 및 제2 지점(23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장착되는 유닛몸체(210)에 고정홈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유닛(200)을 구성한다면, 제1 지점(220)에서 제2 지점(230)으로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던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가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발판(300)의 전단부는 회전하면서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와 함께 핸들지지프레임(100)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가면서 발판(3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인접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게 된다.
나아가, 구체적으로 전술한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접이프레임(400)에 대하여도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접이프레임(400)을 2개의 패널(410) 및 고정핀(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일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는데, 이때 접이프레임(400)은 이하 설명할 일례에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을 한다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2개의 패널(41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2개의 패널(410) 각각은 제1 빔(412) 및 제2 빔(4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빔(412)은 2개의 패널(410) 각각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제2 빔(414)은 일단부가 제1 빔(412) 내부에 삽입되고 타단부가 제1 빔(412) 외부에 위치하여 후술할 고정핀(43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2 빔(414)의 일단부가 제1 빔(412) 내부에서 이동은 하지만 이탈은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430)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접하지 않고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2개의 패널(410),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2 빔(414)의 타단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핀(430)이 구성되기에, 고정핀(430)이 고정유닛(200)의 제1 지점(220) 및 제2 지점(230)에 각각 마련된 고정홈에 걸림으로써, 접이프레임(400)은 고정유닛(200)에 위치를 변경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패널(410) 및 고정핀(430)을 포함하는 접이프레임(400)의 일례에 의하면, 제1 지점(220)에서 제2 지점(230)으로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제2 빔(414)의 일단부는 제1 빔(412) 내부에서 이동하고 제2 빔(414)의 타단부는 제1 빔(412)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고정핀(430)이 제1 지점(220)의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후, 고정핀(430)은 제2 지점(230)의 고정홈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접혀진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이프레임(400)의 일례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다시 펼쳐지게 되면 역으로 고정핀(430)이 제2 지점(230)의 고정홈에서 이탈하여 이동한 후, 제1 지점(220)의 고정홈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펼쳐진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접이프레임(400)은 제2 빔(414)의 일단부가 제1 빔(412) 내부에서 이동하고 제2 빔(414)의 타단부가 제1 빔(412)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20)는 제2 빔(414)의 일단부와 연결되고, 제1 빔(412)의 외부에 마련되며,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에 해당하는 제1 빔(412)의 일 지점에 위치하되, 손잡이축(422)을 중심으로 틸팅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20)는 발판(300)의 전단부가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빔(412)의 일 지점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핸들지지프레임(100), 고정유닛(200), 발판(300), 접이프레임(400) 이외에도 스탠드(500), 연결유닛(600, 600', 600"), 적재프레임(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탠드(500)는 발판(300)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발판(300)이 지면으로부터 세워질 때 구름바퀴(330)에 의해 발판(200)이 다시 지면과 수평이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탠드(5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접철시켜 지면에 세워둘 때,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넘어지거나 다시 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탠드(50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면 어떠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지면으로부터 세워졌을 때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삼각 구조의 형태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500)는 한 쌍의 발판프레임(310)에 연결된 한 쌍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닿는 구름바퀴(240)의 일 지점과 함께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탠드(500)와 지면이 닿는 부분에는 마찰력이 큰 합성수지 재질의 마찰부재(510)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지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결유닛(600, 600', 600")은, 발판(300)의 전단부가 접이프레임(400)을 구성하는 2개의 패널(410) 사이로 삽입되어 발판(3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더욱 인접하게 된 이후에, 중력 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다른 힘에 의해 발판(3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의 전단부 또는 발판(300)과 접이프레임(400)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결유닛(600, 600', 600") 또한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의 전단부 또는 발판(300)과 접이프레임(400)을 상호 연결할 수만 있다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연결유닛(600, 6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연결유닛(600, 600')은 핸들지지프레임(100) 또는 발판(300)에 장착되어 있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단순한 고리 형태의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별도로 마련된 연결유닛(600, 600')을 핸들지지프레임(100) 또는 발판(300) 인근에 임시적으로 장착하여 두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접었을 때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연결유닛(600")에 대하여 설명하면, 연결유닛(600")은 제1 빔(412)에 마련된 연결홈(610)에 발판프레임(310)에 마련된 연결핀(620)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발판(300)과 접이프레임(400)을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별도로 마련되는 전술한 연결유닛(600, 600')과 달리, 도 10에 도시된 연결유닛(60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 자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연결유닛(600")을 구성하는 연결핀(6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 있을 때에는 연결홈(610)에 삽입되어 있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펼쳐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연결홈(6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핀(620)이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연결핀(620)은 연결핀 작동부(63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핀 작동부(630)는 예를 들어, 발판프레임(310) 내측으로 삽입된 몸체(632)와, 몸체(632)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핀(620)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스프링(636)과, 몸체(632)가 스프링(636)에 의해 발판프레임(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634)와, 스프링(636)이 몸체(632) 내측에 삽입된 상태를 고정시키는 고정핀(63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몸체(632), 돌기(634)의 형태의 변형(예를 들면, 사각 형태) 및 고정핀(638)의 변형(예를 들면, 볼트 형태) 역시 전술한 연결핀 작동부(630)의 구성으로부터 당업자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라 할 것이다.
한편, 적재프레임(70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카트와 같이 물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물품을 적재하도록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때, 적재프레임(7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바스켓(basket)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재프레임(700)은 바구니 형태의 보관부(710)와 핸들지지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후크(7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재프레임(70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로 보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핸들지지프레임(100)에 틸팅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bar)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적재프레임(700)이 핸들지지프레임(100) 또는 조향바퀴(12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함으로써,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과정과 펼쳐지는 과정은 어느 하나의 과정에 대하여 서로 상반되는 것이기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손잡이(420)를 들어올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220)에서 고정되어 있던 고정핀(43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점(22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0)의 전단부가 살짝 들어올려진다.
여기서, 고정핀(430)이 제1 지점(2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접이프레임(400)을 구성하는 제2 빔(414)이 손잡이(420)가 들어올려지면서 제1 빔(412)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조향핸들(110)은 고정구(116)를 해제시켜 탄성접힘부재(114)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길이조절부(140)를 통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는 짧아지도록 조정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고정핀(430)을 제2 지점(230)까지 점차 이동시키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접이프레임(400)의 일단부는 내려가고 접이프레임(400)의 타단부는 올라가게 되면서,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의 전단부가 점차 가까워진다.
또한, 탄성접힘부재(114)가 작동을 하여 조향핸들이 핸들지지프레임(100)과 평행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길이조절부(140)를 통해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는 더욱 짧아지도록 조정된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30)이 제2 지점(230)에 고정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의 전단부는 인접하게 된다.
여기서, 발판(300)의 전단부는 접이프레임(400)을 구성하는 2개의 패널(410) 사이로 삽입되면서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더욱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조향바퀴(120)는 발판(300)의 전단부가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될 때, 조향바퀴(120)와 구름바퀴(330)가 접하게 됨으로 인해 발판(300)의 전단부가 2개의 패널(41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방해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조향바퀴(120)는 구름바퀴(330)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조향핸들(110)은 조향핸들고정구(112)에 고정됨으로 T자형의 조향핸들(110) 조차도 I자형이 되어 더욱 간결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접혀지며, 길이조절부(140)를 통해 짧은 상태로 되어 있는 핸들지지프레임(100)의 길이는 고정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에 의하면, 전술한 접이프레임(400)과 고정유닛(200)의 위치 관계에 따라 핸들지지프레임(100)과 발판(3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접고 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있거나 펼쳐져 있을 때, 접이프레임(400)이 고정유닛(200)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즉 사용자가 손잡이(420)를 이용하여 접이프레임(400)의 제2 빔(414)을 강제로 이동시켜야만 고정된 것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가 완전히 접혀져 있거나 펼쳐져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보다 안정적으로 접혀있을 수 있으므로, 마치 과거에 굴렁쇠 놀이를 하던 것을 변형시킨 놀이 형태로도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인 어린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킥보드의 일 실시예를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조향핸들(110) 또는 손잡이(420)를 잡고 밀면서 노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핸들지지프레임
110 : 조향핸들
112 : 조향핸들고정구
114 : 탄성접힘부재
116 : 고정구
120 : 조향바퀴
130 : 조향바퀴 지지브래킷
140 : 길이조절부
200 : 고정유닛
210 : 유닛몸체
220 : 제1 지점
230 : 제2 지점
300 : 발판
310 : 발판프레임
320 : 발판플레이트
330 : 구름바퀴
400 : 접이프레임
410 : 패널
412 : 제1 빔
414 : 제2 빔
420 : 손잡이
422 : 손잡이축
430 : 고정핀
500 : 스탠드
510 : 마찰부재
600, 600', 600" : 연결유닛
610 : 연결홈
620 : 연결핀
630 : 연결핀 작동부
632 : 몸체
634 : 돌기
636 : 스프링
638 : 고정핀
700 : 적재프레임
710 : 보관부
720 : 후크

Claims (11)

  1. 상단부에 구비된 조향핸들을 이용하여 하단부에 설치된 조향바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핸들지지프레임;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고정유닛;
    지면과 수평이 되게 상기 고정유닛의 후방 하측에 마련되되, 전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을 향하고, 후단부는 상기 전단부와 반대방향을 향하며 구름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발판; 및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발판 사이를 연결하되, 일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유닛을 향해 있는 상기 발판의 전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접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유닛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고정유닛 내에서 고정될 때,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연결된 상기 발판이 회전하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되면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마련되며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향해 마련되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보다 하측에 위치하던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가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발판의 전단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와 함께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가면서,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인접하게 되면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프레임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형태의 2개의 패널과,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접하지 않고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2개의 패널을 가로지르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 각각에 마련된 고정홈에 걸릴 때 상기 고정유닛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패널 각각은,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빔과, 일단부는 상기 제1 빔 내부에 삽입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빔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핀과 연결되는 제2 빔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빔의 일단부가 상기 제1 빔 내부에서 이동은 하지만 이탈은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상기 접이프레임의 일단부의 위치가 변경될 때, 상기 제2 빔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빔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2 빔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빔로부터 멀어지게 되면서 상기 제2 빔의 타단부에 연결된 상기 고정핀이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프레임은,
    상기 제2 빔의 일단부가 상기 제1 빔 내부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2 빔의 타단부가 상기 제1 빔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빔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빔의 외부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빔의 일 지점에 위치하되,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접이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빔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전단부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올라갈 때,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더욱 인접할 수 있도록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바퀴는,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될 때, 상기 조향바퀴와 상기 구름바퀴가 접하면서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름바퀴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전단부가 상기 2개의 패널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에 더욱 인접하게 된 이후에 상기 발판이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지지프레임과 상기 발판의 전단부 또는 상기 발판과 상기 접이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접철식 킥보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게 될 때, 상기 지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아진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조향핸들의 위치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핸들은,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하기 이전에는 T자 형으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이 상기 발판에 인접한 이후에는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킥보드.
KR1020130159713A 2013-12-19 2013-12-19 접철식 킥보드 KR20150072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13A KR20150072267A (ko) 2013-12-19 2013-12-19 접철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13A KR20150072267A (ko) 2013-12-19 2013-12-19 접철식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2267A true KR20150072267A (ko) 2015-06-29

Family

ID=5351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713A KR20150072267A (ko) 2013-12-19 2013-12-19 접철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2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27A1 (ko) * 2014-09-18 2017-03-23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CN109572894A (zh) * 2018-12-20 2019-04-05 童海根 滑板车的转向机构以及滑板车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7927A1 (ko) * 2014-09-18 2017-03-23 고영승 접이식 킥보드
CN108025787A (zh) * 2014-09-18 2018-05-11 高永承 折叠式滑板车
JP2018534091A (ja) * 2014-09-18 2018-11-22 コ,ヨンスン 折り畳み式キックボード
US10583887B2 (en) 2014-09-18 2020-03-10 Young Seung Ko Foldable kick board
CN109572894A (zh) * 2018-12-20 2019-04-05 童海根 滑板车的转向机构以及滑板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756B1 (ko) 접철식 퀵보드
US7568242B2 (en) Play yard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TWI373350B (ko)
US20060003869A1 (en) Folding treadmill
JP2003189968A (ja) 折り畳み可能な椅子
RU2329910C2 (ru) Скл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US20110233902A1 (en) Foldable Baby Carriage
US7610863B1 (en) Mobile massage table
US4294463A (en) Collapsible luggage carrier
KR101232741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50072267A (ko) 접철식 킥보드
KR102370475B1 (ko) 안전수단을 구비한 절첩식 침대
JPH0568618A (ja) 移動式テーブルと脚構造
KR101234800B1 (ko) 접철식 퀵보드
US3995881A (en) Golf cart seat assembly
KR100670550B1 (ko) 회전 다림판
US5056780A (en) Folding billiard table
JP4565440B2 (ja) 折畳み式テーブル
JP7347777B2 (ja) 手押しカート
JPH10192100A (ja) 折畳み式多連結ベッド
JP2002119619A (ja) ボール籠
US20080252027A1 (en) Golf Trolley with Easy-Collapsed Auxiliary Wheel
JP2006094996A (ja) テーブル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KR200240087Y1 (ko)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