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087Y1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087Y1
KR200240087Y1 KR2020000030963U KR20000030963U KR200240087Y1 KR 200240087 Y1 KR200240087 Y1 KR 200240087Y1 KR 2020000030963 U KR2020000030963 U KR 2020000030963U KR 20000030963 U KR20000030963 U KR 20000030963U KR 200240087 Y1 KR200240087 Y1 KR 200240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kickboard
board
handle shaf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국
Original Assignee
안태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국 filed Critical 안태국
Priority to KR2020000030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087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드부와 결합된 핸들부가 절첩되고 핸들부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똑바로 세워놓을 수 있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들부를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는 하부 핸들축과 상단에 핸들이 결합된 상부 핸들축을 힌지로 연결하여 후방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보드부의 전방에는 지주관을 형성하여 핸들부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부 핸들축을 지주관에 결합함과 동시에, 힌지가 지주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 핸들축과 상부 핸들축의 외경에 조정관을 결합하여 핸들부를 절첩시킬 때 힌지의 회전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킥보드{kick board}
본 고안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드부와 결합된 핸들부가 절첩되고 핸들부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똑바로 세워놓을 수 있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란 보드에 2개의 바퀴가 설치되고 핸들이 고정되어 있는 일명 '꼬마 자전거'로서, 주로 어린이들의 스포츠기구로 사용된다. 조작법은 한 발을 보드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땅을 차며 달리면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킥보드는 판재로 된 보드부(10)와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20) 및 보드부(10)와 핸들부(2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30)로 구성된다.
핸들부(20)의 상부에는 손잡이(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앞바퀴(16)가 설치된다.
보드부(10)의 후방에는 뒷바퀴(17)가 설치되고, 보드부(10)의 부채꼴 모양으로 된 한 쌍의 지지편(11)이 설치되며, 이 지지편(11)들에는 힌지공(12)과 원호공(13)이 형성된다.
연결부(30)에 결합된 위치고정레버(31)는 고정핀(32)을 회동시켜 원호공(13)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14,15)으로 고정핀(32)이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킥보드의 사용시에는 앞쪽 걸림홈(14)에 고정핀(32)이 고정되도록 하고 휴대시와 보관시에는 뒤쪽 걸림홈(15)에 고정핀(32)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30)는 힌지축(33)에 의하여 지지편(11)에 연결되어 핸들부(20)가 힌지축(3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킥보드는 절첩구조가 복잡하며 핸들부(20)를 조정하여 주행하는 과정에서 결착된 고정핀(32)이 이탈되어 핸들부(20)가 접혀짐으로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핸들부(20)를 접거나 세울 때 레버식으로 된 위치고정레버(31)를 젖혀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들부(20)를 접으면 앞바퀴(16)가 핸들부(20)와 같이 상부로 젖혀짐에 따라 보드부(10)가 지면에 닿게됨으로 보관시나 휴대시에 보드부(10)의 앞쪽이 손상되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킥보드는 벽이나 기둥 등의 고정된 구조물이 없으면 세워놓을 수 없으므로 사용중이나 보관시에는 눕혀놓아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부의 절첩구조를 간단하게 제작되고 핸들부가 보드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킥보드의 사용중에 핸들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핸들부를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앞바퀴부분을 제외한 핸들부만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핸들부를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보드부의 앞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보드부에 다리를 설치하여 벽이나 기둥 등의 고정된 구조물이 없어도 지면에 세워놓을 수 있는 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킥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도3에 도시한 킥보드의 핸들부를 절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보드부 110; 지주관 120,130; 바퀴 140; 브레이크패드
141; 끼움홈 150; 고정공 200; 핸들부 210; 하부 핸들축
220; 상부 핸들축 230; 손잡이 240; 힌지 250; 조정관
260; 끼움편 300; 다리 310; 고정돌기
본 고안은, 판재로 된 보드부(100), 상기 보드부(100)의 앞쪽에 설치하여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200) 및 상기 핸들부(200)의 하단과 상기 보드부(100)의 뒤쪽에 설치된 두 개의 바퀴(120,130)를 포함하는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0)는 하단에 앞바퀴(120)가 설치되는 하부 핸들축(210)과 상단에 손잡이(230)이 결합된 상부 핸들축(220)을 힌지(240)로 연결하여 후방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보드부(100)의 전방에는 지주관(110)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부(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부 핸들축(210)을 상기 지주관(1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240)가 상기 지주관(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핸들축(210)과 상기 상부 핸들축(220)의 외경에 조정관(250)을 결합하여 상기 핸들부(200)를 절첩시킬 때 상기 힌지(240)의 회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상부 핸들축(220)에 끼움편(260)을 결합하고 상기 보드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140)의 상면에 상기 끼움편(260)이 착탈되는 끼움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핸들축(220)을 상기 보드부(100)의 후방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드부(10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보드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세워지는 다리(300)를 구비하여 킥보드를 똑바로 세워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킥보드의 사용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3에 도시한 킥보드의 핸들부(200)를 절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드부(100)는 알루미늄 판재 등 가볍고 강도특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부(200)는 보드부(100)의 앞쪽에 설치하여 방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하부 핸들축(210)의 하단에는 앞바퀴(120)가 설치되고 상부 핸들축(220)의 상단에는 손잡이(230)이 결합되어 있다. 이 하부 핸들축(210)과 상부 핸들축(220)은 힌지(240)로 연결되어 관절기능을 함으로 후방으로 절첩될 수 있다. 상기한 상부 핸들축(220)은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길이 조정할 수 있도록 2중관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핸들축(210)은 상부 핸들축(220)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보드부(100)의 전방에 형성된 지주관(110)의 내경에 삽입되어 핸들부(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힌지(240)가 지주관(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조정관(250)은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금속관체를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조정관(250)의 중앙이 힌지(240)에 위치하도록 하부 핸들축(210)과 상부 핸들축(220)의 외경에 결합시키고, 핸들부(200)를 절첩시킬 경우에는 조정관(250)을 상부 핸들축(220)으로 끌어 당길 수 있도록 한다.
끼움편(260)은 띠형상의 금속판체를 쐐기형태로 형성하여 상부 핸들축(220)에 결합시킨 것으로 그 돌출부위가 후방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패드(140)의 끼움홈(141)에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패드(140)는 고무재로 된 것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과 마찰계수가 비교적 높은 다른 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 브레이크패드(140)는 뒷바퀴(13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판스프링에 의하여 보드부(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제동이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패드(140)의 상부에는 끼움홈(141)이 형성되어 있어 끼움편(260)이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리(300)는 좌우 대칭으로써 상단부가 보드부(100)의 하부 양측면에 힌지(240)식으로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킥보드를 필요에 따라 킥보드를 세워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한 다리(300)는 보드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으며, 다리(300)를 접었을 때에 다리(300)의 중간에 안쪽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돌기(310)가 보드부(100)의 양쪽면에 형성된 고정공(150)에 탄성적으로 고정되어 다리(30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언하여, 상기한 다리(300)는 킥보드의 무게중심에 맞추어 보드부(100)의 앞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우선, 킥보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같이, 핸들부(200)를 펴고 조정관(250)을 힌지(240)에 위치시키면 상부 핸들축(220)과 하부 핸들축(210)이 직선적으로 고정되므로 핸들부(200)가 사용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다리(300)를 접어서 보드부(100)의 저면에 밀착시키면 고정돌기(310)가 고정공(150)에 고정되어 앞바퀴(120)와 뒷바퀴(130)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됨으로 킥보드를 사용하면 된다.
만약, 킥보드를 세워 놓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잘 나타난 바와같이, 다리(3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지면에 세워놓으면 앞바퀴(120)가 지면으로부터 약간 들린 상태를 유지하고 다리(300)는 킥보드을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킥보드를 사용하다가 잠시 세워 놓거나 보관할 때 용이하고 안전하게 킥보드를 세울 수 있게 된다.
또한, 킥보드를 보관하거나 휴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정관(250)을 잡고 위로 당긴다음, 힌지(240)를 중심으로 상부 핸들축(220)을 후방으로 젖히고 끼움편(260)을 브레이크패드(140)의 끼움홈(141)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조정관(250)을 한손으로 잡고 킥보드를 들고 다닐 수 있다. 이때 조정관(250)은 킥보드의 무게중심에 위치하게 됨으로 킥보드는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부 핸들축(220)의 상단부를 잡고 일정 한도 이상의 힘으로 당기면 끼움홈(141)에서 끼움편(260)이 이탈됨으로 상부 핸들축(220)을 세워서 킥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부 핸들축(220)과 하부 핸들축(210)이 힌지(240)로 연결되어 절첩되고 조정관(250)에 의하여 조정됨으로 절첩구조가 간단하고 핸들부(200)가 보드부(1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킥보드의 사용중에 핸들부(200)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핸들부(200)를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핸들부(200)를 절첩할 때 핸들부(200)가 들리지 않게됨으로 핸들부(200)를 접은상태에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보드부(100)의 앞쪽이 지면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드부(100)에 다리(300)를 설치하여 벽이나 기둥 등의 고정된 구조물이 없는 공터나 광장에서 킥보드를 안전하게 세워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판재로 된 보드부(100), 상기 보드부(100)의 앞쪽에 설치하여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200) 및 상기 핸들부(200)의 하단과 상기 보드부(100)의 뒤쪽에 설치된 두 개의 바퀴(120,130)를 포함하는 통상의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200)는 하단에 바퀴(120)가 설치되는 하부 핸들축(230)과 상단에 손잡이(230)이 결합된 상부 핸들축(220)을 힌지(240)로 연결하여 후방으로 절첩되도록 하고,
    상기 보드부(100)의 전방에는 지주관(110)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부(2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부 핸들축(230)을 상기 지주관(110)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240)가 상기 지주관(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 핸들축(230)과 상기 상부 핸들축(220)의 외경에 조정관(250)을 결합하여 상기 핸들부(200)를 절첩시킬 때 상기 힌지(240)의 회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핸들축(220)에 끼움편(141)을 결합하고 상기 보드부(100)의 후방에 설치된 브레이크패드(140)의 상면에 상기 끼움편(141)이 착탈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 핸들축(220)을 상기 보드부(100)의 후방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100)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보드부(100)의 저면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세워지는 다리(300)를 구비하여 킥보드를 똑바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KR2020000030963U 2000-11-06 2000-11-06 킥보드 KR200240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63U KR200240087Y1 (ko) 2000-11-06 2000-11-06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63U KR200240087Y1 (ko) 2000-11-06 2000-11-06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087Y1 true KR200240087Y1 (ko) 2001-09-26

Family

ID=7306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63U KR200240087Y1 (ko) 2000-11-06 2000-11-06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0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19B1 (ko) * 2011-02-11 2011-07-14 윤택준 수동 운송 수단 겸용 자전거
KR101779063B1 (ko) * 2015-03-02 2017-09-18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용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19B1 (ko) * 2011-02-11 2011-07-14 윤택준 수동 운송 수단 겸용 자전거
KR101779063B1 (ko) * 2015-03-02 2017-09-18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9456B2 (en) Collapsible skateboard
KR101270756B1 (ko) 접철식 퀵보드
KR200331983Y1 (ko) 삼륜이송보드
JP3680174B2 (ja) 伸縮式自転車
JP3647383B2 (ja) 三輪スケータ
US6386562B1 (en) Scooter having changeable steering mechanism
US6217056B1 (en) Walking aid
US20030071428A1 (en) Golf bag wheeling cart
KR200240087Y1 (ko) 킥보드
JP3264914B2 (ja) スケートボード
GB2383565A (en) Child's tricycle with foot rests
US6139047A (en) Golf bag equipped with detachable carrier
JP2001334011A (ja) スケートボード
KR200251020Y1 (ko) 휴대용 승용물의 조향축 절첩장치
KR20150072267A (ko) 접철식 킥보드
KR100396139B1 (ko) 스노우 스쿠터
KR200164478Y1 (ko) 접철식 자전거
KR200258862Y1 (ko) 킥보드 절첩구조
KR100522110B1 (ko) 절첩식 자전거
KR200196489Y1 (ko) 미니 스쿠터
KR200189611Y1 (ko) 주행용 보드
KR200282316Y1 (ko) 킥보드의 조향장치
KR200219879Y1 (ko) 킥스쿠터
KR200239973Y1 (ko) 자전거
KR200234295Y1 (ko) 미니 스쿠터의 스탠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