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879Y1 - 킥스쿠터 - Google Patents

킥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879Y1
KR200219879Y1 KR2020000026235U KR20000026235U KR200219879Y1 KR 200219879 Y1 KR200219879 Y1 KR 200219879Y1 KR 2020000026235 U KR2020000026235 U KR 2020000026235U KR 20000026235 U KR20000026235 U KR 20000026235U KR 200219879 Y1 KR200219879 Y1 KR 200219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ootrest
locking
handle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현
Original Assignee
박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현 filed Critical 박철현
Priority to KR2020000026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879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견고하고 작동이 편리한 발판과 핸들의 접철구조를 구비한 킥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킥스쿠터(1)는, 후단에 후륜(RR)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10), 상기 발판(10)의 전단에 핀이음된 조향칼럼(20), 상기 조향칼럼(20)에 조향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하단에 전륜(FR)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30), 및 상기 발판(10)과 상기 조향칼럼(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판(10)에 대해 상기 핸들(30)이 접철되게 하는 접철구조(40)를 포함한다. 상기 접철구조(40)는 일단이 상기 발판(10)에 핀이음된 제1링크(50), 일단이 상기 제1링크(50)의 타단에 핀이음되고 타단이 상기 조형칼럼(20)에 핀(61) 이음되는 제2링크(60), 상기 조형칼럼(20)과 상기 제2링크(60)의 이음부에 삽입되어 상기 발판(10)에 대한 상기 조향칼럼(20)의 상한과 하한을 탄성 제한하는 탄성편(70), 및 상기 제1링크(50)와 상기 제2링크(60)의 접철을 접힌 상태와 펼친 상태의 두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기구(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킥스쿠터{KICK SCOOTER}
(기술분야)
본 고안은 핸들을 잡고 한쪽 발로 탑승하여 다른쪽 발로 노면을 차면서 주행하는 킥스쿠터(kick scooter)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견고하고 작동이 편리한 발판과 핸들의 접철구조를 구비한 킥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전통적인 롤러스케이트, 롤러블레이드, 스케이트보드 등과 더불어 최근 롤러를 이용하여 노면을 질주하는 놀이, 운동 및 이동기구로서 킥스쿠터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킥스쿠터에는 모터를 장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식이 보급되어 있기도 하지만 핸들을 잡고 한쪽 발로 탑승하여 다른쪽 발로 노면을 차면서 주행하는 방식의 비전동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도6은 종래의 예시적인 킥스쿠터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킥스쿠터(100)는 사용자가 탑승하는 발판(110), 상기 발판(110)의 전방에 조향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120), 상기 발판(11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후륜(130), 및 상기 핸들(1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전륜(1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킥스쿠터(100)에는 발판(110)과 핸들(120)을 필요에 따라 접고 펼 수 있는 접철구조(150)를 설치하여서 킥스쿠터(100)를 타지 않고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발판(110)과 핸들(120)을 접어 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종래의 킥스쿠터(100)에 적용된 접철구조(150)는, 핸들(120)을 구성하는 지지파이프(121)로부터 돌출된 연결구(151), 상기 발판(110)의 전단에 장착되고 상기 연결구(1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양단에 걸림구멍(154)이 형성된 원호상의 가이드홈(153)이 구비된 접철기구(152), 상기 가이드홈(153)에 끼워져 홈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구(151)의 양측면에 고정된 전동요소(155), 및 상기 걸림구멍(154)에 전동요소(155)를 탈착하는 감금기구(156)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는 조절레버를 작동하여 전동요소(155)가 상기 두 걸림구멍(154)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함으로써 발판(110)과 핸들(120)을 접고 펼치게 된다(상세한 내용은 2000년 5월 5일 등록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89417호 참조).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접철구조(150)를 가지는 종래의 킥스쿠터(100)는 핸들(120)과 발판(110)이 핀부재인 전동요소(155)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접철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하중에 매우 취약하여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킥스쿠터에 발판과 핸들의 접철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구조적인 취약성을 보강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내구성 있게 지탱할 수 있는 킥스쿠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킥스쿠터에 적용된 예시된 발판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철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를 펼쳤을 때의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를 접었을 때의 개략도,
도6은 종래의 예시적인 킥스쿠터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킥스쿠터 10: 발판
20: 조향칼럼 30: 핸들
40: 접철구조 50: 제1링크
51: 핀 60: 제2링크
61: 핀 62: 핀
70: 탄성편 80: 록킹기구
81: 가이드홈 82: 걸림구멍
83: 핀홀 84: 록킹핀
85: 스프링 86: 작동레버
본 고안에 따라, 후단에 후륜이 장착된 발판, 상기 발판의 전단에 핀이음된 조향칼럼, 상기 조향칼럼에 조향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에 전륜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및 상기 발판에 대해 상기 핸들이 접철되도록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칼럼 사이에 장착되는 접철구조를 포함하는 킥스쿠터가 제공된다.
상기 접철구조는, 일단이 상기 발판에 핀이음된 제1링크,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핀이음되고 타단이 상기 조형칼럼에 핀이음되는 제2링크, 상기 조형칼럼과 상기 제2링크의 이음부에 삽입되어 상기 발판에 대한 상기 조향칼럼 접철의 상한과 하한을 탄성 제한하는 탄성편, 및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접철을 접힌 상태와 펼친 상태의 두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판은 길게 신장된 가로부와 상기 가로부로부터 유연하게 뻗은 상대적으로 짧은 세로부를 구비한 측면 L자형상의 평면 유선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조향칼럼은 상기 세로부에 핀이음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록킹기구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를 연결하는 핀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상기 제2링크에 형성되고 양단에 걸림구멍이 구비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링크에 형성된 핀홀, 상기 핀홀과 상기 가이드홈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걸림구멍에 걸리는 헤드와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네크와 상기 걸림구멍에 끼워맞춤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록킹핀,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구멍 끼워맞춤되는 쪽으로 상기 록킹핀을 가압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반하여 상기 록킹핀을 당겨 상기 걸림편이 상기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킥스쿠터에 적용된 예시된 발판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접철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를 펼쳤을 때의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를 접었을 때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킥스쿠터(1)는 발판(10), 조향칼럼(20), 핸들(30), 및 접철구조(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합성 플라스틱 수지로 된 전륜(FR), 후륜(RR) 및 탄성편(70) 등 일부 부품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고강도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된다.
발판(10)은 사용자의 한쪽 발 또는 두발이 올려지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길게 신장된 가로부(11)와 가로부(11)로부터 유연하게 뻗은 상대적으로 짧은 세로부(12)를 구비한 측면 L자형상이고 유선형의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로부(11)의 후단에는 후륜(RR)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슬릿(13)과 축공(14)이 형성되어 있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후륜(RR)의 상측에는 발로 눌러서 스쿠터(1)를 제동하는 제동판(BP)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발판(10)의 가로부(11) 전단에는 후술하는 접철구조(40)의 제1링크(50)의 일단을 핀이음하기 위한 슬릿(15)과 축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부(12)의 상단에는 조향칼럼(20)에 핀이음하기 위한 슬릿(17)과 축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발판(10)의 저면 중심을 따라 형성된 돌기(19)는 발판(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보강돌기이다.
발판(10)의 세로부(12)에 형성된 슬릿(17)과 축공(18)에는 조향칼럼(20)이 회동 가능하게 핀이음된다. 조향칼럼(20)은 후술하는 핸들(30)이 조향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핸들(30)이 장착되는 본체(21)와 발판(10) 및 접철구조(40)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브래킷(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22)에는 발판(10)과 접철구조(40: 구체적으로는 제2링크)를 핀이음하기 위한 축공(23, 24)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발판(10)은 하측 축공(23)에 부시(25)를 매개하여 핀(26) 이음된다.
조향칼럼(20)에 장착되는 핸들(30)은, 전륜(FR)을 회전 및 조향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탑승시 사용자가 잡고서 지지하면서 방향전환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하로 길게 신장된 조향축(31), 조향축(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전륜(FR)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포크(32), 및 조향축(31)의 상단에 T자 형성으로 부착된 손잡이(33)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축(31)을 2개의 알루미늄 파이프를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여 형성하는 한편 손잡이(33)를 탈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핸들(30)의 높이를 조절하고 킥스쿠터(1)를 접어 수납할 때 그 점유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34는 완충스프링이고, 35와 36은 조향축(31)의 상하 길이를 일정길이에서 고정시켜주고 탈착식 손잡이(33)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핀과 홀이고, 37은 조향축(31)을 길이 조절 가능한 상태와 고정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레버이며, 38은 촉감이 좋은 소재로 형성된 핸들커버이다.
접철구조(40)는 발판(10)과 핸들(30)을 서로 겹쳐지도록 접고 L자 형상으로 펼침으로써 킥스쿠터(1)를 체적이 작은 상태로 접고 탑승 가능한 상태로 펼치기 위한 구조로서,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1)의 접철구조(40)는, 제1링크(50), 제2링크(60), 탄성편(70), 및 록킹기구(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링크(50)는 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일단(하단)은 발판(10)의 축공(16)에 부시와 핀(51, 5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핀이음되고 타단(상단)에는 제2링크(60)가 회동 가능하게 핀이음된다.
제2링크(60)도 대략 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일단(하단)은 제1링크(50)의 타단(상단)에 핀(6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핀이음되고 타단(상단)은 상기 조형칼럼(20)의 브래킷(22)에 형성된 상측 축공(24)에 핀(6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핀이음된다.
브래킷(22)과 제2링크(60)의 연결부위에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된 탄성편(70)이 핀(62)에 끼워져 조립되며, 탄성편(70)은 발판(10)과 핸들(30)을 접고 펼칠 때 그 상한과 하한을 탄성적으로 제한하여 접촉에 의한 소음발생과 파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탄성편(70)은 핀(62)을 중심으로 제1접부(71)와 제2접부(72)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접부(71)는 발판(10)과 핸들(30)을 접었을 때 핸들(30)과 제2링크(60) 사이에 끼어 핸들(30)과 제2링크(60)가 약간 이격된 상태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소음과 파손을 방지하는 부분이고(도5 참조), 제2접부(72)는 발판(10)과 핸들(30)을 펼쳤을 때 제1접부(71)와 협력하여 제1링크(50)와 제2링크(60)가 소정각도 이상 지나치게 펼쳐지는 것을 탄성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다수의 관절을 가지는 접철구조(40)의 손상을 방지하는 부분이다(도4 참조). 발판(10)과 핸들(30)을 펼쳤을 때 돌기(74)는 제2링크(60)에 걸리고 제2접부(72)는 조형칼럼(20)에 밀착되어 더 이상의 펼침이 탄성적으로 제한된다.
탄성편(70)의 요홈(73)은 접었을 때 핸들(30)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부분이고, 돌기(74)는 펼쳤을 때 제2링크(60)에 걸리는 부분이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75는 핀(62)이 끼워지는 핀홀이고, 도면부호 76은 제2링크(60)에 형성된 구멍(63)에 끼워지는 돌기로서, 탄성편(70)을 제2링크(60)에 고정시켜 탄성편(70)이 제2링크(60)와 함께 회동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접철구조(40)에는 접힌 상태와 펼친 상태의 두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기구(80)가 구비된다. 도면에 예시된 록킹기구(80)는 제1링크(50)와 제2링크(60) 사이에 설치되며, 이를 위해 제1링크(50)가 연결되는 제2링크(60)의 하단은 일측이 넓게 비후되어 있다. 예시된 록킹기구(80)는 원호상 가이드홈(81), 핀홀(83), 록킹핀(84), 스프링(85), 및 작동레버(86)를 포함한다.
원호상 가이드홈(81)은 핀(61)을 회전 중심점으로 하여 제2링크(60)의 비후된 부분에 원호상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81)의 양단에는 가이드홈(81)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확개된 걸림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핀홀(83)은 가이드홈(81)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링크(50)에 형성되어 있으며, 핀홀(83)과 가이드홈(81)에는 록킹핀(84)이 관통되게 삽입되어 있다.
록킹핀(84)은 걸림구멍(8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어 걸림구멍(82)에 걸리는 헤드(84H), 가이드홈(81) 내에 끼워져서 록킹핀(84)이 가이드홈(8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네크(84N), 및 걸림구멍(82)에 꼭 맞게 끼워맞춤되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걸림편(84P)을 구비하며, 헤드(84H)가 가이드홈(81) 쪽으로 향하도록 걸림구멍(82)과 핀홀(83)을 통해 관통삽입된다.
록킹핀(84)에는 스프링(85)이 제1링크(50)의 안쪽에 위치된 상태로 끼워지며, 스프링(85)은 록킹핀(84)의 걸림편(84P)이 상기 걸림구멍(82)에 삽입되게 하는 쪽으로 록킹핀(84)을 가압하는 작용을 한다(스프링은 제1링크의 중공부 내에 삽입됨으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지만 편의상 도3에서는 제1링크 내에 표시하였다).
록킹핀(84)의 헤드(84H) 반대쪽 단부에는 작동레버(86)가 연결된다. 작동레버(86)는 두 개의 연결점(86L1, 86L2)을 가지며, 하측 연결점(86L1)은 록킹핀(84)에 연결되고 상측 연결점(86L2)은 핀(61)에 연결되어 지지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작동레버(86)의 손잡이(86H)를 당기면 지지점인 상측 연결점(86L2)에 대하여 하측 연결점(86L1)이 당겨짐으로 스프링(85)의 탄성에 반하여 록킹핀(84)을 작동레버(86) 쪽으로 당길 수 있다. 도면부호 84A는 록킹핀(84)을 작동레버(86)에 연결하기 위한 핀홀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1)의 접철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펼쳐진 상태의 킥스쿠터(1)는 스프링(85)의 탄성에 의해 하부걸림구멍(82L)에 록킹핀(84)의 걸림편(84P)이 걸려 있어서 힘을 가하여도 핸들(30)이 접혀지지 않는 상태에 있다. 킥스쿠터(1)를 접기 위해 작동레버(86)를 손으로 당기면 걸림편(84P)이 하부걸림구멍(82L)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네크(84N)가 가이드홈(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 됨으로 이런 상태에서 핸들(30)을 누르면 핸들(30)이 발판(10)에 대하여 접히게 된다. 이때 록킹핀(84)의 헤드(84H)는 걸림구멍(8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 록킹핀(84)이 핀홀(83)로부터 이탈되어 버리지 않는다.
핸들(30)을 발판(10)에 대하여 계속 접음에 따라 록킹핀(84)은 가이드홈(81)을 따라 상부걸림구멍(82U) 쪽으로 이동하고 상부걸림구멍(82U)에 이르면 스프링(85)의 탄성에 의해 상부걸림구멍(82U)에 록킹핀(84)의 걸림편(84P)이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핸들(30)의 접힘이나 펼침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편(70)의 제1접부(71)는 핸들(30)과 제2링크(60) 사이에 끼어 핸들(30)과 제2링크(60)가 약간 이격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접하도록 함으로써 접촉에 의한 소음과 파손을 방지된다.
접힌 상태의 킥스쿠터(1)를 펼치기 위해 작동레버(86)를 손으로 당기면 걸림편(84P)이 상부걸림구멍(82U)으로부터 빠지게 되고 네크(84N)가 가이드홈(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 됨으로 이런 상태에서 핸들(30)을 밀어 올리면 핸들(30)이 발판(10)에 대하여 펼쳐지게 된다. 핸들(30)을 발판(10)에 대하여 계속 펼침에 따라 록킹핀(84)은 가이드홈(81)을 따라 하부걸림구멍(82L) 쪽으로 이동하고 하부걸림구멍(82L)에 이르면 스프링(85)의 탄성에 의해 하부걸림구멍(82L)에 록킹핀(84)의 걸림편(84P)이 걸리게 되어 더 이상의 핸들(30)의 펼침이나 접힘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탄성편(70)의 제2접부(72)는 조형칼럼(20)에 탄성적으로 밀착되고 제1접부(71)의 돌기(74)는 제2링크(60)에 탄성적으로 걸려서 과도한 펼침을 탄성적으로 제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킥스쿠터(1)는, 발판(10)이 핸들(30)에 조향칼럼(20)을 매개하여 2개의 포인트에서 지지됨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내구성 있게 지탱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인 안전성이 있다.
또한, 다수의 관절을 가지는 접철구조(40)가 탄성편(70)에 의해 보호됨으로 잦은 접철에 따른 부품 파손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발판(10)이 측면 L자형상 및 평면 유선형의 보강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날렵하여 킥스쿠터(1)가 가지는 제품 특성에 부합된다.

Claims (3)

  1. 후단에 후륜(RR)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판(10), 상기 발판(10)의 전단에 핀이음된 조향칼럼(20), 상기 조향칼럼(20)에 조향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하단에 전륜(FR)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30), 및 상기 발판(10)과 상기 조향칼럼(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발판(10)에 대해 상기 핸들(30)이 접철되게 하는 접철구조(40)를 포함하고; 상기 접철구조(40)는 일단이 상기 발판(10)에 핀이음된 제1링크(50), 일단이 상기 제1링크(50)의 타단에 핀이음되고 타단이 상기 조형칼럼(20)에 핀(61) 이음되는 제2링크(60), 상기 조형칼럼(20)과 상기 제2링크(60)의 이음부에 삽입되어 상기 발판(10)에 대한 상기 조향칼럼(20)의 상한과 하한을 탄성 제한하는 탄성편(70), 및 상기 제1링크(50)와 상기 제2링크(60)의 접철을 접힌 상태와 펼친 상태의 두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록킹하는 록킹기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스쿠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은 길게 신장된 가로부(11)와 상기 가로부(11)의 전단으로부터 유연하게 뻗은 상대적으로 짧은 세로부(12)를 구비한 측면 L자형상의 평면 유선형이고, 상기 조향칼럼(20)은 상기 세로부(12)에 핀이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스쿠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기구(80)는 상기 핀(61)을 중심으로 제2링크(60)에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호상 양단에 확개된 걸림구멍(82)이 구비된 가이드홈(81), 상기 가이드홈(81)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1링크(50)에 형성된 핀홀(83), 상기 핀홀(83)과 상기 가이드홈(81)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걸림구멍(82)에 걸리는 헤드(84H)와 상기 가이드홈(81)에 끼워지는 네크(84N)와 상기 걸림구멍(82)에 끼워맞춤되는 걸림편(84P)을 구비하는 록킹핀(84), 상기 걸림편(84P)이 상기 걸림구멍(82)에 삽입되는 쪽으로 상기 록킹핀(84)을 가압하는 스프링(85), 및 상기 스프링(85)의 탄성에 반하여 상기 록킹핀(84)을 당기는 작동레버(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킥스쿠터.
KR2020000026235U 2000-09-19 2000-09-19 킥스쿠터 KR200219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35U KR200219879Y1 (ko) 2000-09-19 2000-09-19 킥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35U KR200219879Y1 (ko) 2000-09-19 2000-09-19 킥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879Y1 true KR200219879Y1 (ko) 2001-04-16

Family

ID=7306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35U KR200219879Y1 (ko) 2000-09-19 2000-09-19 킥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8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2376A (zh) * 2019-09-07 2019-12-13 吕林宝 一种滑板车的折叠结构
KR102409882B1 (ko) 2022-04-28 2022-06-15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2376A (zh) * 2019-09-07 2019-12-13 吕林宝 一种滑板车的折叠结构
KR102409882B1 (ko) 2022-04-28 2022-06-15 손락준 이동수단용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4479B2 (ja) 移動可能な器具
US11148746B2 (en) Foldable personal vehicle
KR101250018B1 (ko) 전륜부조향자전거
JP3647383B2 (ja) 三輪スケータ
CA2471692A1 (en) Foldable mobility support device
KR102003386B1 (ko) 접이식 전동퀵보드
KR20040032042A (ko) 접이식 자전거
KR100853023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0219879Y1 (ko) 킥스쿠터
US20050082778A1 (en) Cambering vehicle having resilient coupling
KR200204403Y1 (ko) 절첩 가능한 킥보드
JP2001334011A (ja) スケートボード
KR101321957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200290706Y1 (ko) 절첩형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200219901Y1 (ko) 휴대용 2륜스쿠터
KR200189417Y1 (ko) 킥 스쿠터
KR200261775Y1 (ko) 스쿠터
JP3078139U (ja) 自転車ハンドルの折畳構造
KR200282316Y1 (ko) 킥보드의 조향장치
KR200199492Y1 (ko) 이륜승용완구
KR200196568Y1 (ko) 스쿠터의 손잡이 절첩구조
KR200192214Y1 (ko) 근거리 이동용 기구
JP3076026U (ja) 折畳み式キックボード
KR200236835Y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GB2353772A (en) Foot operated collapsible sco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