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775Y1 - 스쿠터 - Google Patents

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775Y1
KR200261775Y1 KR2020010031705U KR20010031705U KR200261775Y1 KR 200261775 Y1 KR200261775 Y1 KR 200261775Y1 KR 2020010031705 U KR2020010031705 U KR 2020010031705U KR 20010031705 U KR20010031705 U KR 20010031705U KR 200261775 Y1 KR200261775 Y1 KR 200261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cooter
pedal
frame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식
Original Assignee
임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춘식 filed Critical 임춘식
Priority to KR2020010031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775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로 패달을 밟아 고속으로 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손쉽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방으로 긴 프레임(2,4)의 전후방에, 핸들(6)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8) 및 후륜(10)을 장착하여 구성된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후륜(1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구동휠(22)과, 이 구동휠(22)에 장착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크랭크암(24)과, 후단이 상기 크랭크암(24) 각각에 연결되며 전단은 상기 프레임(2,4)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8)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페달(26)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페달(26)에 올라선 상태에서, 페달(26)을 교차적으로 밟으므로써, 후륜(1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쿠터{scooter}
본 고안은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로 패달을 밟아 고속으로 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손쉽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통상 킥보드라 불리우는 일종의 스쿠터가 개발되어 널리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전후방으로 긴 판형상으로 구성된 메인프레임의 전후단에, 각각 전륜과 후륜을 장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전륜은 그 상단에 결합되는 막대형상의 핸들 을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선 상태에서, 손으로 핸들을 잡고, 한쪽발로 지면을 밀면서 전진할 수 있으며, 핸들을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하면서, 평지에서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므로, 근거리 이동용이나 레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스쿠터에 소형 엔진을 장착하여, 비교적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된 제품도 개발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그런데, 이러한 킥보드는 한쪽발을 놀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밀면서 전진시키므로, 주행감이 떨어질 뿐 아니라, 평지에서 빠른 속도를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한쪽발이 발판에 올라간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밀게 되므로, 한쪽발에만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소형엔진이 장착된 제품의 경우, 엔진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매우 커서, 주위에 피해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이 매우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킥보드는 상기 핸들부분을 접어 보관이나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발판부분의 사이즈가 커서, 사이즈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엔진이 장착된 모델의 경우, 휴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로 패달을 밟아 고속으로 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손쉽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쿠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쿠터의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쿠터의 손잡이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상기 손잡이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상기 스쿠터의 각 부분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스쿠터의 각 부분을 접은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프레임 6. 핸들
8. 전륜 10. 후륜
22. 구동휠 24. 크랭크암
26. 페달 28. 가이드레일
70. 스윙암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방으로 긴 프레임(2,4)의 전후방에, 핸들(6)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8) 및 후륜(10)을 장착하여 구성된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후륜(1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구동휠(22)과, 이 구동휠(22)에 장착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크랭크암(24)과, 후단이 상기 크랭크암(24) 각각에 연결되며 전단은 상기 프레임(2,4)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8)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페달(26)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페달(26)에 올라선 상태에서, 페달(26)을 교차적으로 밟으므로써, 후륜(1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2,4)은 전방에 상기 전륜(8) 및 핸들(6)이 장착된 전방프레임(2)과, 이 전방프레임(2)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10)과 구동휠(22) 및 페달(26)이 장착된 후방프레임(4)으로 구성되어, 이 후방프레임(4)을 전방으로 밀어, 프레임(2,4)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륜(10)은 프레임(2,4)의 후단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된 스윙암(70)의 후단에 장착되어, 후륜(10)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려,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쿠터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으로 긴 프레임(2,4)의 전후방에, 핸들(6)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8) 및 후륜(10)을 장착하여 구성된 것은 종래의 스쿠터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핸들(6)은 프레임(2,4)의 전방에 구비된 수직방향의 보스(12)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수직바(16,18)의 상단에 수평방향의 조향바(2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하단에는 상기 전륜(8)이 장착되는 포크(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의 상면에는 상기 후륜(10)에 구동적으로 연결되는 구동휠(22)과, 이 구동휠(22)에 장착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크랭크암(24)과, 이 크랭크암(24)에 연결되어 크랭크암(24)을 통해 상기 구동휠(22) 및 후륜(1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페달(26)과, 이 페달(26)의 전단부가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레일(28)이 더 구비된다.
상기 구동휠(22)은 스프로켓기어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2,4)의 후측 상면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패널(30)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수직설치되는 것으로, 체인(32)으로 상기 후륜(10)의 일측에 장착된 스프로켓에 연결된다. 또한, 이 구동휠(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패널(30)을 관통하는 구동축(34)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 구동축(34)의 양단에 상기 크랭크암(24)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페달(26)은 긴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그 후단은 상기 크랭크암(2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28)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그 위치에 올라선 상태에서 발로 밟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8)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채널형상의 슬라이드부(36)가 구비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2,4)의 상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페달(26)의 전방 내측에 결합된 로울러(38)가 상기 슬라이드부(36)에 삽입되어, 전후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페달(26)에 올라선 상태에서, 페달(26)을 교차적으로 밟으면, 이 페달(26)의 후단이 원운동을 하면서 크랭크암(24)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그 전단은 상기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되므로, 상기 크랭크휠을통해 구동휠(22) 및 이 구동휠(22)에 연결된 후륜(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6)의 수직바(16,18)와 조향바(20)의 각 부분과, 핸들(6) 및 프레임(2,4)의 중간부, 그리고, 후륜(10)은 필요에 따라 접어 그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핸들(6)의 조향바(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빈 파이프로 구성되며, 수직바(16,18)의 상단에 구비된 브라켓(40)에 힌지결합되어, 하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 조향바(20)에는 조향바(20)를 고정하는 돌출핀(42)이 구비된다. 이 돌출핀(4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바(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향바(20)에 형성된 관통공(44)을 통해 탄성적으로 출몰되는 것으로, 이 돌출핀(42)의 일측에는 상기 조향바(20)의 외측으로 연장된 버튼(43)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돌출핀(42)은 브라켓(40)에 형성된 결합공(48)에 결합되어 조향바(20)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바(20)를 상승시키면, 상기 돌출핀(42)이 브라켓(40)의 결합공(48)에 결합되어 조향바(20)를 고정하게 되며, 조향바(20)를 접을 때는 상기 버튼(43)을 누른 후, 조향바(20)를 아래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6,18)는 상기 프레임(2,4)의 보스(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하부파이프(16)와, 이 하부파이프(16)의 외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단에 상기 조항바가 설치되는 상부파이프(18)로 구성되며, 이 상부파이프(18)와 하부파이프(16)의 사이에는 상,하부파이프(16)를 상호 고정하는 클램프(50)가 구비되어, 상,하부파이프(16)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램프를 풀고, 상부파이프(18)를 하강시켜, 수직파이프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16,18)가 결합되는 보스(12)의 후방에는, 프레임(2,4)의 선단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판(5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바(54)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판(52)의 일측에는 연결바(54)를 고정하는 클램프(50)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수직바(16,18)를 프레임(2,4)쪽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4)은 전방에 전륜(8) 및 핸들(6)이 장착되는 전방프레임(2)과, 이 전방프레임(2)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10)과 구동휠(22) 및 페달(26)이 장착된 후방프레임(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방프레임(2)의 후측에는 상기 후방프레임(4)이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바(56)가 연장되고, 상기 후방프레임(4)에는 상기 가이드바(56)가 삽입되는 삽입파이프(58)가 구비되어, 이 가이드바(56)와 삽입파이프(58)를 상호 결합하여, 후방프레임(4)을 앞쪽으로 밀어 프레임(2,4)의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파이프(58)와 가이드바(56)의 사이에는, 삽입파이프(58)와 가이드바(56)를 고정하는 클램프(50)가 구비된다.
도 5는 조향핸들(6)의 수직바(16,18)와 프레임(2,4)의 각 부분을 고정하는 클램프(5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수직자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클램프(50)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 클램프(50)는 상기 수직바(16,18)의 하부파이프(16) 내부에 고정되며 스프링(60)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파이프(16)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핀부재(62)와, 이 고정핀부재(62)에 결합된 푸쉬버튼(64)으로 구성되며, 이 푸쉬버튼(64)은 하부파이프(1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66)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외부파이프의 둘레부에는 상기 고정핀부재(62)가 결합되는 결합공(6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쉬버튼(64)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상부파이프(18)를 상측으로 잡아당기거나 하측으로 눌러 수직바(16,1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푸쉬버튼(64)을 놓으면, 고정핀부재(62)가 상부파이프(18)에 형성된 결합공(68)에 결합되어, 수직바(16,18)를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50)의 구성은 상기 조향핸들(6)과 프레임(2,4)의 연결부위 및 전방프레임(2)과 후방프레임(4)의 연결부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1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4)의 후단에 회동승강가능하게 장착된 스윙암(70)의 후단에 장착된다. 이 스윙암(70)은 전단측 중간부가 상기 프레임의 후단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72)에 힌지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승강되는 것으로, 그 전단에는 스윙암(70)을 고정하는 클램프가 구비된다. 이 클램프는 상기 스윙암(7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그 단부가 스윙암(70)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그 단부가 상기 브라켓(72)의 상하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되어, 스윙암(7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윙암(70)을 하향회동시켜 후륜(10)이 프레임(2,4)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쿠터를 탈 수 있으며, 스쿠터를 접을 때는 상기 스윙암(70)을 상향회동시켜, 후륜(10)이 프레임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접을 수 있다. 이와같이, 상기 후륜(10)을 들어올리면, 사용자가 스쿠터를 접은후 등에 맬 때, 후륜(10)이 등에 닿지 않게 되므로, 후륜(10)에 의해 등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스쿠터는 상기 페달(26)을 밟아 후륜(10)을 구동시키므로써, 전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발로 지면을 차면서 전진하는 종래의 스쿠터에 비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페달(26)은 그 전단이 상기 가이드레일(28)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8)을 따라 전후진되므로, 사용자가 페달을 잘못 밟을 경우 페달에서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는 자전거의 페달과 달리, 페달(26)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페달(26)을 잘못 밟아도 미끄러지는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페달(26)의 전후단이 상기 크랭크암(24)과 가이드레일(28)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자전거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별도의 안장이 없이도, 사용자가 페달(26)에 올라서서, 페달(26)을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발을 상기 페달(26)에 올려놓고 이 페달(26)을 교차로 밟아 전진하게 되므로, 한쪽발만 사용하는 종래의 스쿠터와 달리, 양발을 모두 사용하여, 한쪽발에만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6)과 프레임(2,4)의 각부를 접을 수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어 사이즈를 최소화시키므로써, 손쉽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윙암(70)에 후륜(10)만을 장착하여, 스쿠터를 접을 때, 후륜(10)을 들어올려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후륜(10)과 상기 구동휠(22)의 간격이 줄어들어, 후륜(10)과 구동휠(22)을 연결하는 체인(32)이 벗겨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휠(22)이 장착되는 지지패널(30)을 스윙암(70)에 일체로 장착하여, 후륜(10)을 들어올릴 때 지지패널(30) 및 구동휠(22)도 회동되면서, 후륜(10)과 구동휠(22)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2,4)에 후륜(10)을 구동할 수 있는 페달(26)을 장착하고, 핸들(6)과 프레임(2,4)의 각 부분, 특히, 프레임(2,4)의 중간부분을 접어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페달(26)을 발로 밟아 고속으로 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사이즈를 최소화하여 손쉽게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전후방으로 긴 프레임(2,4)의 전후방에, 핸들(6)에 의해 조향되는 전륜(8) 및 후륜(10)을 장착하여 구성된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후륜(10)에 구동적으로 연결된 구동휠(22)과, 이 구동휠(22)에 장착되어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크랭크암(24)과, 후단이 상기 크랭크암(24) 각각에 연결되며 전단은 상기 프레임(2,4)의 상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8)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페달(26)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페달(26)에 올라선 상태에서, 페달(26)을 교차적으로 밟으므로써, 후륜(10)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4)은 전방에 상기 전륜(8) 및 핸들(6)이 장착된 전방프레임(2)과, 이 전방프레임(2)에 전후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10)과 구동휠(22) 및 페달(26)이 장착된 후방프레임(4)으로 구성되어, 이 후방프레임(4)을 전방으로 밀어, 프레임(2,4)의 전체 길이를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10)은 프레임(2,4)의 후단에 회동승강가능하게장착된 스윙암(70)의 후단에 장착되어, 후륜(10)을 선택적으로 들어올려,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KR2020010031705U 2001-10-17 2001-10-17 스쿠터 KR200261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705U KR200261775Y1 (ko) 2001-10-17 2001-10-17 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705U KR200261775Y1 (ko) 2001-10-17 2001-10-17 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775Y1 true KR200261775Y1 (ko) 2002-01-24

Family

ID=7311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705U KR200261775Y1 (ko) 2001-10-17 2001-10-17 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7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178A2 (ko) * 2009-02-11 2010-08-19 Choi Eui Jeong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3178A2 (ko) * 2009-02-11 2010-08-19 Choi Eui Jeong 자전거
WO2010093178A3 (ko) * 2009-02-11 2010-11-11 Choi Eui Jeong 자전거
KR101035838B1 (ko) 2009-02-11 2011-05-20 최의정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087U (ja) 揺動推進式スクータ
KR101850878B1 (ko) 자전거
US5888175A (en) Structure of step exercising machine
KR101781716B1 (ko) 일반적으로 자전거에 적용 가능한 타원형 구동 기구 및 스티어링 기구에 도입된 개량품
KR100853023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80043207A (ko) 유모차로 전환 가능한 자전거
JP2002325878A (ja) 三輪スケータ
US6276694B1 (en) Children&#39;s cycle
JP3101174U (ja) 自転車
KR20080039165A (ko) 휴대용 접이식 미니 자전거
CN107444545B (zh) 电动自行车
US6609724B1 (en) Human-powered cycle which is ridden while lying down
US20040178597A1 (en) Tricyclic scooter
KR200261775Y1 (ko) 스쿠터
KR100936837B1 (ko) 복합조향 핸드 런 자전거
CN2471690Y (zh) 手摇滑板车
US20060214387A1 (en) Hand powered bicycle
KR200196568Y1 (ko) 스쿠터의 손잡이 절첩구조
US6676571B2 (en) Bicycle trainer
KR100522110B1 (ko) 절첩식 자전거
KR100796348B1 (ko)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US20070175685A1 (en) Chain driven scooter
CN213664060U (zh) 新型电动行李箱
KR101761017B1 (ko) 스텝스쿠터
KR200337092Y1 (ko)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