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348B1 -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 Google Patents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348B1
KR100796348B1 KR1020030063545A KR20030063545A KR100796348B1 KR 100796348 B1 KR100796348 B1 KR 100796348B1 KR 1020030063545 A KR1020030063545 A KR 1020030063545A KR 20030063545 A KR20030063545 A KR 20030063545A KR 100796348 B1 KR100796348 B1 KR 10079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stroller
connector
fasten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319A (ko
Inventor
강승규
Original Assignee
강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규 filed Critical 강승규
Priority to KR102003006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3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2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6Hoods; Weather-guards, e.g.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앞단에 인위적 동력전달장치인 자전거를 고정되게 또는 착탈되게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위동력전달수단인 자전거에 유모차를 결합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는 후방으로 연결부재의 일단이 설치되고 유모차의 몸체에는 전방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의 뒷단에 유모차를 고정되게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유아에게 안전하며 상기 자전거가 2륜 자전거인 경우 자전거의 신속함과 유모차 기능을 함께 하여 유아와 함께 원거리를 이동 및 쇼핑을 할 수 있다.
자전거 후방, 유모차, 착탈 가능, 연결부재

Description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Bicycle with baby carri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연결부재 부위만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결합 부위만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모차 102 : 바퀴
104 : 지지각 106 : 수평 프레임
108 : 손잡이 110 : 차양
112 : 시트 114 : 수납부
116 : 보조 지지대 200 : 자전거
202 : 전륜 204 : 핸들
206 : 안장 208 : 메인 프레임
210 : 페달 212 : 핸들축
214 : 후륜 지지대 216 : 뒷좌석
218 : 후륜 220 : 짐받이대
224 : 체인기어 226 : 체인
228 : 안장대 230 : 포크
300 : 연결부재 304 : 제1연결관
306 : 제2연결구 308 : 제1연결구
310 : 스프링 314 : 체결공
316 : 체결부재
본 발명은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모차의 앞단에 인위적 동력전달장치인 자전거를 고정되게 또는 착탈되게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를 태운 상태에서 보호자가 밀고 가게 된 구조이다.
이러한 유모차는 유아를 비교적 가까운 점포의 쇼핑에 데려가는 경우나 가까운 주변의 산책에 데려 가는 경우 등에 있어서 적합하다.
한편, 자전거는 바퀴가 두개이고 사람의 힘을 원동력으로 하여 빨리 달릴 수 있는 간단한 교통수단으로 어린이용 세발 자전거는 유아기의 걸음마 단계를 막 지난 어린이가 놀이와 승용을 겸한 기구로서 안정성이 있게 하나의 앞바퀴와 2개의 뒷바퀴로 구성하여 흥미를 느끼면서 신체발달이나 지능향상에 기여하는 승용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거리가 비교적 먼 산책로나 거리가 먼 점포에서의 쇼핑 등의 때에 자전거를 이용하면 비교적 단 시간에 갈 수 있지만 유아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유모차를 밀고 가는 데 힘이 많이 들어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이 먼 곳에 가는 경우에 유아를 돌봐주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유아를 혼자 방치해 두고 외출하는 것은 극히 위험하다.
상기한 이유로 자전거와 유모차를 결합하여 된 유모차겸용 자전거나 유모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유모차겸용 자전거는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0-29856호에 개시된 것으로, 페달을 유착한 크랭크의 체인기어와 뒷바퀴의 체인기어를 체인으로 연결하고 안장대에는 안장을 고정하고 지지관에는 핸들을 고정한 조향축을 유착하여 방향전환시키게 된 자전거에 있어서, 전기의 자전거의 조향축에다 지지틀과 좌판 및 한쌍의 바퀴를 유착한 유모차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모거는 국내 특허출원 특1998-43545호에 개시된 것으로, 유아의 체대와 인위적 동력전달장치인 자전거를 조향축 열할 겸 결합 역할을 하는 핀을 이용하여 발명한 것으로 엄마가 안장에 앉아서 유아를 체대에 태우고 물건은 짐받이판 위에 싣고 페달을 밟아서 주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 기술들은 유모차가 진행방향을 바꾸는 조향장치 역할을 하고 조향장치 부분의 중량이 무거우며 유모차에 있는 한쌍 이상의 바퀴가 지면에 접 촉되어 있어, 진행방향을 바꾸기가 원활하지 않고 위급한 상황에 진행방향을 바꾼다거나 하는 등의 대처가 늦을 수 밖에 없으며 또 갑자기 진행방향을 바꾸는 경우 아이가 놀라거나 다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전거의 뒷단에 유모차를 결합하여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유아에게 안전하며 상기 자전거가 2륜 자전거인 경우 자전거의 신속함과 유모차 기능을 함께 하여 유아와 함께 원거리를 이동 및 쇼핑을 할 수 있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자전거의 뒷단에 유모차를 연결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자전거와 유모차로 각각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 연결부재로 서로 결합하여 유아와 함께 원거리를 이동 및 쇼핑을 할 수 있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위동력전달수단인 자전거에 유모차를 결합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몸체에는 후방으로 연결부재의 일단이 설치되고 유모차의 몸체에는 전방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연결부재 부위만을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유모차(100)는 앞부분과 뒷부분의 바닥에 각각 2개씩의 바퀴(102)가 형성되되, 앞바퀴는 360°회전이 가능하여 진행방향을 바꿀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바퀴의 지지축에는 지지각(104)이 경사지게 돌설되어 상하의 수평 프레임(106)에 고정된다.
상기 후방 지지각(104)에는 지지 역할을 겸하는 손잡이(108)가 뒤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수평 프레임(106)의 내부에는 쿠션이 깔린 시트(112)가 구비되어 유아를 앉힐 수 있게 된다.
시트(112)의 상부에는 햇빛이나 비 등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차양(110)이 절첩되게 형성되고 시트(112)의 하부에는 유아 용품을 갖고 운반할 수 있도록 수납부(114)가 형성된다.
자전거(200)는 안장(206)이 설치된 메인 프레임(208)의 전방측에 페달(210)이 달린 전륜(20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의 핸들축(212)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축(212)의 상부측에는 핸들(204)이 구비되어 상기 핸들(204)의 조작에 의해 방향전환이 이루어 진다.
메인 프레임(208)의 후방에 양측의 후륜(미도시)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대(214)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륜을 제거하고 수평의 후륜 지지대(214) 에 유모차(100)를 연결부재(300)로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 유모차(100)의 바퀴(102)가 자전거(200)의 후륜 역할을 대신한다.
즉, 상기 자전거(200)의 후륜 지지대(214) 양측과 유모차(100) 전방의 양 지지각(104) 사이에 금속편 형상의 연결부재(300)가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어 자전거(200)의 후방으로 유모차(10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유모차 전방의 지지각(104) 사이에 수평으로 보조 지지대(116)를 횡설하여 보조 지지대(116)와 수평의 후륜 지지대(214)를 바 형상을 한 한 쌍의 연결부재(300)로 연결하여 고정되게 설치하거나, 상기 수평 프레임(106)과 수평의 후륜 지지대(214)를 미도시된 연결부재로 고정되게 설치하여 더욱 견고하게 자전거(200)와 유모차(1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300)는 납땜 등의 방법으로 자전거(200)와 유모차(10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실시예는 자전거(200)의 후방에 유모차(100)가 고정되게 결합되므로, 기존 자전거(200)의 핸들(204)이 진행방향을 바꾸는 조향장치 역할을 하여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고 않고 위급한 상황에서 진행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전거 뒤의 유모차에 있는 아이가 놀라거나 다칠 위험이 자전거 앞의 유모차에 있는 아이보다 덜하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 자전거와 유모차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한 자전거와 유모차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의 구조는 도 1과 같고, 자전거는 도 1에서 후륜 지지대(214) 아래에 후륜(218) 및 그 상부에 뒷좌석(216)이 더 구비되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모차(100)와 자전거(200)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상기 후륜 지지대(214)의 상부에 형성된 뒷좌석(216)의 양측에 제1연결관(304)을 설치하고, 상기 유모차(100) 전방의 지지각(104)에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2연결구(306)를 설치한다.
상기 제1연결관(304)과 제2연결구(306)에 상하로 체결공(314)을 각각 형성하여 제1연결관(304) 내부로 제2연결구(306)를 슬라이드시켜 끼운 상태에서 체결공(314)을 통해 체결부재(316)로 결합하면 유모차(100)와 자전거(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연결관(304)에 제2연결구(306)가 슬라이드 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결합, 클립결합 또는 클램프결합 등의 방식으로 체결공(314)에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구(306)나 제1연결관(304)에 체결공(314)을 다수개 형성하면 체결공(314)을 끼우는 체결부재(316)의 위치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는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된 예로서 세발 자전거에 적용한 경우이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 자전거와 유모차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 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한 자전거와 유모차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의 결합 부위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의 구조는 도 1과 같고, 자전거는 2륜 자전거의 구조를 갖추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유모차(100)와 2륜 자전거(200)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페달(210)을 결합한 크랭크의 체인 기어(224)와 후륜(218)의 체인 기어(224)를 체인(226)으로 연결하고, 안장대(228)에는 안장(206)을 고정하며 전륜(202)의 포크(230)에 핸들(204)을 고정한 핸들축(212)을 결합하여 메인 프레임(208)으로 연결한다.
상기 후륜(218)을 지지하는 후륜 지지대(214)의 상부에는 짐받이대(22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2륜 자전거의 구조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짐받이대(220)에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하로 체결공(314)이 형성된 제1연결구(308)을 형성한다.
상기 제1연결구(308)에 면접촉되는 제2연결구(306)를 유모차(100) 전방의 수평 프레임(106)에 설치한다.
상기 제2연결구(306)에 상하로 체결공(314)을 각각 형성하여 제1연결구(308)에 제2연결구(306)를 면접촉하고 체결공(314)을 맞춘 상태에서, 체결공(314)을 통해 체결부재(316)로 결합하면 유모차(100)와 자전거(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연결구(308)과 제2연결구(306)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나사결합, 클립결합 또는 클램프 결합 등의 방식으로 체결공(314)에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연결구(308)와 제2연결구(306)는 체결부재(316)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는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된 예로서 2륜 자전거에 적용한 경우이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서 자전거와 유모차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한 자전거와 유모차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결합 부위만의 측면도이다.
상기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는 유모차(100)와 자전거(200)가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됨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좀 더 수월한 착탈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유모차(100)의 앞부분에 고정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홈이 형성된 제2연결구(306)에 돌출핀 형상의 체결부재(316)가 각각 걸림가능하게 내설되고, 상기 요홈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요홈의 저부에 스프링(310)이 탄설되어, 자전거(200)의 뒷부분에 고정되는 내부가 중공인 제1연결관(304)에 상기 제2연결구(306)가 슬라이딩식으로 내삽되는 과정에서 제1연결관(304)에 형성된 체결공(314) 외부로 상기 체결부재(316)의 단부측이 돌출되어 선택적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유모차(100)와 자전거(200)의 착탈이 보다 수훨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이후의 실시예는 자전거(200)의 후방에 유모차(1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자전거(200)나 유모차(100)로 이용하다가 상황에 따라 자전거(200)의 후방에 유모차(100)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먼거리로 아이와 함께 쇼핑을 하는 경우, 자전거(200)의 후방에 유모차(100)를 결합하여 뒤의 유모차(100)에 아이를 태우고 자전거(200)를 이용해서 쇼핑을 할 수 있는 점포로 이동한 후, 자전거(200)와 유모차(100)를 분리하여 자전거(200)를 세워두고 유모차(100)를 이용해서 점포 내를 쇼핑한다.
자전거(200)의 후방에 유모차(100)를 체결하여 이용하는 경우, 기존 자전거(200)의 핸들(204)이 진행방향을 바꾸는 조향장치 역할을 하여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고 위급한 상황에서 진행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전거 뒤의 유모차에 있는 아이가 놀라거나 다칠 위험이 자전거 앞의 유모차에 있는 아이보다 덜 위험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의 뒷단에 유모차를 고정되게 결합하여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유아에게 안전하며 상기 자전거가 2륜 자전거인 경우 자전거의 신속함과 유모차 기능을 함께 하여 유아와 함께 원거리를 이동 및 쇼핑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의 뒷단에 유모차를 연결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자전거와 유모차로 각각 이용하다가 필요한 경우 연결부재로 서로 결합하여 유아와 함께 원거리를 이동 및 쇼핑을 할 수 있다.

Claims (8)

  1. 자전거와;
    유모차와;
    상기 자전거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상하로 체결공이 형성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고 유모차의 앞부분에 끝단부가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하로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제1연결관과 제2연결구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후륜이 제거되고 연결부재의 각 끝단부가 자전거 후방의 지지대와 유모차 전방의 지지각에 고정되어, 유모차의 바퀴가 자전거 후륜의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각 사이에 수평으로 보조 지지대가 형성되어 보조 지지대와 자전거 후방의 지지대에 연결부재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은 세발 자전거인 경우 안장 뒤에 있는 뒷좌석의 양측에 설치되고, 제2연결구는 유모차 전방의 지지각에 끝단부가 회동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6. 자전거와;
    유모차와;
    상기 자전거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상하로 체결공이 형성된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와 면접촉되고 유모차의 앞부분에 설치되며 상하로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체결공을 통해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져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체결된 상태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구나 제2연결구의 체결공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7. 자전거와;
    유모차와;
    상기 자전거의 뒷부분에 설치되고 상하로 체결공이 형성된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고 유모차의 앞부분에 끝단부가 회동되게 설치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에 스프링으로 탄지되고 제1연결관에 제2연결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제1연결관과 제2연결구를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8. 제 1항, 제 5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나 연결관에는 체결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KR1020030063545A 2003-09-15 2003-09-15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KR10079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545A KR100796348B1 (ko) 2003-09-15 2003-09-15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545A KR100796348B1 (ko) 2003-09-15 2003-09-15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208U Division KR200344468Y1 (ko) 2003-09-15 2003-09-15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319A KR20050027319A (ko) 2005-03-21
KR100796348B1 true KR100796348B1 (ko) 2008-01-23

Family

ID=3738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545A KR100796348B1 (ko) 2003-09-15 2003-09-15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865A (ko) * 2012-09-07 2014-03-17 김유현 유아용 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 보조 탑승구
JP6504633B1 (ja) * 2018-01-18 2019-04-24 伊▲莱▼国際企業有限公司 自転車の後部荷台と収納体との連結構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1233U (ko) 1973-08-13 1975-04-26
US4316616A (en) 1980-02-25 1982-02-23 Bernard Boivin Self-propelling and steering attachment for a wheel-chair
US4824132A (en) 1985-12-16 1989-04-25 Moore Jonie M T Exercising device for use with a wheelchair
KR19990030344A (ko) * 1998-10-16 1999-04-26 한상영 유모거
US6578861B2 (en) 2001-01-20 2003-06-17 Jun-Shin Park Reciprocating type driv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1233U (ko) 1973-08-13 1975-04-26
US4316616A (en) 1980-02-25 1982-02-23 Bernard Boivin Self-propelling and steering attachment for a wheel-chair
US4824132A (en) 1985-12-16 1989-04-25 Moore Jonie M T Exercising device for use with a wheelchair
KR19990030344A (ko) * 1998-10-16 1999-04-26 한상영 유모거
US6578861B2 (en) 2001-01-20 2003-06-17 Jun-Shin Park Reciprocating type driv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319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0584B2 (ja) ベビーカーに変換可能な自転車
JP4923052B2 (ja) コンバーチブル・サイクリング装置
US9114842B2 (en) Multi-passenger tricycle
CN202783561U (zh) 三轮车及其转向轮
US9266579B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WO2001087686A1 (en) Vehicle with swivel control of casters for enabling rider or external steering
AU2001261603A1 (en) Vehicle with swivel control of casters for enabling rider or external steering
EP2900545B1 (en) Transportation device
JP2008540216A (ja) 乗物、これに使用されるハブ、自転車に乗るための学習方法、三輪車、四輪車、及び自転車を安定させる安定方法
WO2004067352A1 (en) Infant carriage convertible for use as rider operated transport
WO2011001130A1 (en) Parent and child pedal -less cycle
JP5267781B2 (ja) ステッキハンドル自転車
KR101730549B1 (ko) 유모차 겸용 삼륜 자전거
KR20080085560A (ko) 복합적 유모차 자전거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0796348B1 (ko)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KR200462239Y1 (ko) 전륜부 분리와 접철이 가능한 역삼륜 겸용 자전거
KR200344468Y1 (ko) 유모차가 병설된 자전거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CN212172427U (zh) 儿童脚踏车
EP2937272A2 (en) Compact folding bicycle with single frame hinge
CN208979028U (zh) 多功能便携式踏板车
CN201761511U (zh) 一种母婴休闲车
TW200424086A (en) Collapsible bicycle
JP3201654U (ja) 前2輪自転車の構造及び操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