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92Y1 -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 Google Patents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92Y1
KR200337092Y1 KR20-2003-0030437U KR20030030437U KR200337092Y1 KR 200337092 Y1 KR200337092 Y1 KR 200337092Y1 KR 20030030437 U KR20030030437 U KR 20030030437U KR 200337092 Y1 KR200337092 Y1 KR 200337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andle
chain
shaft
check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세호
손다오
Original Assignee
손세호
손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세호, 손다오 filed Critical 손세호
Priority to KR20-2003-0030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간의 전후진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청소년들이 운동 및 놀이기구로 이용하는 킥보드는 한쪽 발은 발판에 얹고,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차서 킥보드를 전방으로 추진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안전사고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실용신안 제 299071호는 핸들간을 밀고 당기는 노 젓는 식으로 하여 핸들을 밀 때에만 뒷바퀴가 추진되고 당길 때에는 뒷바퀴가 공회전을 하므로 뒷바퀴 자체에 연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없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킥보드 몸체(1)의 핸들간(6)의 상부에는 브레이크(5)가 있는 핸들(4)이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힌지부(6a) 및 지지간(2a)(2a-1)을 개재한 앞바퀴(2)가 설치되고, 그 후측에 설치된 지지판(18)의 후측에는 좌우에 발판(17)이 있는 덮개(16)를 설치하고 덮개(16)의 내부에는 전후로 축(21)(21a)를 설치하되, 후측 축(21a)의 중간부에는 뒷바퀴(3)가 설치되고 그 좌우측에는 체크기어 휠(8)(8a)을 설치하며, 앞측에 설치된 축(21)의 좌우측에는 스플라켓 휠(7)(7a)을 설치하고, 그 중간부에는 핸들간(6)에 힌지 연결된 호형 작동간(13)이 연결간(19)과 핀(20a)에 의해 절첩 및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간(20)이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판(18)의 저면에는 롤러(15)를 설치하여 이에 감김된 와이어(11)와 연결된 체인(9)(10)의 양단부는 체크기어 휠(8)(8a)에 "X"자 및 직선 형상으로 감김된 후 스플라켓 휠(7)(7a)의 주연부 일측에 고정되게 한 것으로, 이를 킥보드로 사용할 때는 핸들(4)을 손에 잡고 핸들간(6)을 앞으로 밀면 구동간(20)이 상향 회동되면서 와이어(11)에 연결된 좌측 체인(9)은 감김되고 와이어(11)에 연결된 우측 체인(10)은 풀림되면서 축(21a)에 설치된 우측 체크기어 휠(8a)은 공회전되고, 좌측 체크기어 휠(8)은 축(21a)과 함께 회전되면서 뒷바퀴(3)는 전진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간(6)을 뒤로 당기면 이때에는 구동간(20)이 하향절곡 회동되면서 스플라켓 휠(7)에는 체인(9)이 풀림되고 스플라켓 휠(7a)에는 체인(10)이 감김되면서 축(21a)에 설치된 좌측 체크기어 휠(8)은 공회전되고, 우측 체크기어 휠(8a)은 축(21a)과 함께 회전되면서 뒷바퀴(3)가 전진되는 추진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핸들간(6)을 앞으로 밀 때나 뒤로 당길 때에도 뒷바퀴(3)의 계속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A kick board operating with a handle}
본 고안은 핸들간의 전후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청소년들이 운동 및 놀이기구로 사용하는 킥보드는 핸들을 양손으로 잡고 한쪽 발은 발판에 얹고 다른 한쪽 발로는 지면을 뒤로 떠밀어냄으로서 킥보드 몸체를 전방으로 추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한 결점이 있어, 이점을 개선할 목적으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실용신안 제 299071호가 공지된바 있으나, 이는 핸들을 밀 때는 뒷바퀴의 추진력이 생기고, 당길 때는 뒷바퀴가 공회전 되게 하였기 때문에 추진력이 매우 저조한 결점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고안 요지는 덮개(16)의 내부에 설치된 앞측 축(21)의 중간부에는 구동간(20)이 형성되고 좌우측에는 스플라켓 휠(7)(7a)이 설치되며, 뒷측 축(21a)의 중간부에는 뒷바퀴(3)가 설치되고 그 좌우측에는 체크기어 휠(8)(8a)이 설치되며, 전기한 덮개(16)의 앞측에 설치된 지지판(18)의 저면에는 롤러(15)를 설치하여 이에 감김된 와이어(11)의일측에 연결된 체인(9)은 체크기어 휠(8)에 "X"자 형상으로 감김 상태에서 스플라켓 휠(7)의 일측에 고정되고, 전기한 와이어(11) 타측에 연결된 체인(10)은 체크기어 휠(8a)에 직선상으로 감김된 상태에서 스플라켓 휠(7a)의 일측에 고정되며, 전기한 구동간(20)에는 핸들간(6)과 지지관(14) 및 힌지부(13a)를 개재시켜 연결된 작동간(13)의 절첩간(19)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이를 킥보드로 사용할 때 핸들간(6)을 뒤로 당기면 구동간(20)과 여결된 절첩간(19)이 하향 절곡 회동되면서 체크기어 휠(8)은 공회전하고 체크기어 휠(8a)은 축(21a)과 함께 회전되면서 뒷바퀴(3)를 앞쪽으로 추진시키게 되고, 반대로 핸들간(6)을 앞으로 밀면 이때에는 절첩간(19)이 전개됨과 동시 구동간(20)이 상향 회동되면서 체크기어 휠(8)은 공회전 하고 체크기어 휠(8a)은 축(21a)와 함께 회전되면서 뒷바퀴(3)를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핸들간(6)을 당길 대나 밀 때에도 뒷바퀴(3)에는 계속적인 추진력이 생길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핸들간을 앞으로 밀 때의 작용 표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핸들간을 뒤로 당길 때의 작용 표시도
도 4a는 핸들을 밀 때의 설명도
도 4b는 핸들을 당길 때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2-앞바퀴 2a, 2a-1. 지지간 3-뒷바퀴
4-핸들 5-브레이크 6-핸들간 6a-힌지부
7, 7a-스플라켓 휠 8, 8a-체크기어 휠 9, 10-체인
11-와이어 12-지지관 13-작동간 14, 14a-받침간
15-롤러 16-덮개 17, 17a-발판 18-지지판
19-절첩간 19a-핀 20-구동간 20a-핀
21, 21a-축
이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간(6)의 상부에는 브레이크(5)를 개재한 핸들(4)이 설치되고, 핸들간(6)의 하단에는 베어링을 개재한 힌지부(6a) 및 지지간(2a)(2a-1)과 작동간(6a-1)을 개재한 앞바퀴(2)가 설치되고, 그 후측에는 지지판(18)이 설치되어 있으되, 이의 앞측에 설치된 받침간(14)의 상단에는 상기한 핸들간(6)에과 힌지부(13a)에 의해 연결된 호형상의 작동간(13)이 슬라이딩 되게 지지해주는 지지관(12)을 받쳐주는 받침간(14)(14a)이 연결되고, 상기한 지지판(18)의 후측에 설치된 좌우측에발판(17)(17a)이 있는 덮개(16)의 내부에는 앞뒤로 축(21)(21a)을 설치하되, 후측 축(21a)의 중간부에는 뒷바퀴(3)가 설치되고, 그 좌우 단부에는 체크기어 휠(8)(8a)을 설치하며 앞측 축(21)의 중간부에는 구동간(20)이 형성되고 그 좌우 단부에는 스플라켓 휠(7)(7a)을 설치하며, 상기한 지지판(18)의 저면에는 롤러(15)를 수평되게 설치하여 이에 감김된 와이어(11)의 양단부에는 체인(9)(10)이 연결되고, 이 체인(9)(10)의 양단은 상기한 앞측 축(21)에 설치된 좌우 스플라켓 휠(7)(7a)의 주연부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되, 좌측 체인(9)은 좌측 체크기어 휠(8)에 "X"자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전기한 좌측 스플라켓 휠(7)의 주연부 일측에 체결되고 타측 체인(10)은 우측 체크기어 휠(8a)에 일직선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우측 스플라켓 휠(7a)의 주연부 일측에 체결하며, 상기한 구동간(20)에는 상기한 핸들간(6)에 힌지 설치된 작동간(13)의 선단부와 절첩간(19)을 개재한 핀(19a)(20a)에 의해 절첩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도 4a 및 4b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핸들간(6)의 전후진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인바, 이를 사용할 시는 핸들(4)을 양손에 잡은 상태에서 한쪽 발을 발판(17)에 얹고 다른 한쪽 발은 지면을 떠밀면서 몸체(1)를 추진시킨 후 일정한 추진력이 생기면 이때에는 양쪽 발을 좌우 발판(17)(17a)에 얹고 핸들간(6)을 도 2의 화살표시와 같이 앞으로 밀면 도 4a 표시와 같이 구동간(20)과 연결된 절첩간(19)이 상향 전개 회동됨과 동시 체인(9)은 스플라켓(7)에 감기고 체인(10)은 스플라켓 휠(7a)에서 풀리면서 우측 체크기어 휠(8a)은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고, 좌측 체크기어 휠(8)은 축(21a)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뒷바퀴(3)는 전진한다. 반대로 핸들간(6)을 도3의 표시와 같이 뒤로 당기면 이때에는 도 4b와 같이 절첩간(19)은 절첩되어 하향 회전되면서 체인(9)은 좌측 스플라켓 휠(7)에서 풀리고 체인(10)은 우측 스플라켓 휠(7a)에 감기면서 체크기어 휠(8)은 시계방향으로 공회전하고, 체크기어 휠(8a)은 축(21a)과 함께 회전함에 따라 뒷바퀴(3)는 전진한다.
따라서 핸들간(6)을 앞으로 밀 때나 뒤로 당길 때 뒷바퀴(3)는 계속적인 추진운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한 선등록 고안에 비하면 배의 속도를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간(6)을 잡고 이를 앞으로 밀 때나 뒤로 당길 때 뒷바퀴(3)는 공회전되지 않고, 계속적인 회전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주행속도의 배증은 물론 청소년들의 운동문화 증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핸들간(6)의 상부에는 브레이크(5)를 개재한 핸들(4)이 설치되고, 핸들간(6)의 하단에는 베어링을 개재한 힌지부(6a)와 지지간(2a)을 개재한 앞바퀴(2)가 설치되고, 앞바퀴 지지간(2a-1) 및 호형 지지관(12)의 받침간(14)(14a)이 연결된 지지판(18)에 있어서 지지판(18)의 후측에 설치된 덮개(16)의 좌우측에는 발판(17)(17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후로 축(21)(21a)을 설치하되, 앞측 축(21)의 중간부에는 구동간(20)이 부착되고, 그 좌우측에는 스플라켓 휠(7)(7a)을 설치하며 후측 축(21a)의 중간부에는 뒷바퀴(3)가 설치되고, 그 좌우측에는 체크기어 휠(8)(8a)을 설치하며, 지지판(18) 저면에는 롤러(15)를 설치하여 이에 감김된 와이어(11)의 양단부에는 체인(9)(10)을 연결하되, 체인(9)의 타측단은 체크기어 휠(8)에 "X"자 형상으로 감김된 후 스플라켓 휠(7)의 주연부 일측에 고정되고, 체인(10)의 타측단은 체크기어 휠(8a)에 직선형상으로 감김된 후 이의 끝단은 스플라켓 휠(7a)의 주연부 일측에 고정되며 전기한 구동간(20)과 핸들간(6)의 힌지부(13a)에 부착된 작동간(13)의 사이에는 절첩간(19)이 핀(19a)(20a)에 의해 절첩 및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KR20-2003-0030437U 2003-09-26 2003-09-26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KR200337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37U KR200337092Y1 (ko) 2003-09-26 2003-09-26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37U KR200337092Y1 (ko) 2003-09-26 2003-09-26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92Y1 true KR200337092Y1 (ko) 2003-12-31

Family

ID=4942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37U KR200337092Y1 (ko) 2003-09-26 2003-09-26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4087U (ja) 揺動推進式スクータ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US6659486B2 (en) Exercise scooter
JP3101174U (ja) 自転車
KR20090043621A (ko) 양측 발판을 일체로 한 레저 자전거
KR200337092Y1 (ko) 핸들의 작동으로 추진되는 킥보드
CA2737633A1 (en) Manually propelled scooter
US8540264B1 (en) Stepper bike
US2062830A (en) Self-propelling scooter
KR100850690B1 (ko) 스탭식 킥보드
KR200446184Y1 (ko) 개량된 수동식 스쿠터
US8857840B2 (en) Drive system with contoured cavity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CN208233254U (zh) 滑板车
KR20040050709A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CN105539683A (zh) 一种折叠式滑板车
KR200484192Y1 (ko) 상, 하체운동이 가능한 자전거
KR100710485B1 (ko) 운동 자전거
FR2794098A1 (fr) Cycle a propulsion humaine
KR101140445B1 (ko) 스테핑 운동용 자전거
KR101156136B1 (ko) 스탭식 킥보드
KR200397801Y1 (ko) 놀이용 자전거
KR200261775Y1 (ko) 스쿠터
KR101069503B1 (ko)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KR200273966Y1 (ko)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