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0485B1 - 운동 자전거 - Google Patents

운동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0485B1
KR100710485B1 KR1020050051292A KR20050051292A KR100710485B1 KR 100710485 B1 KR100710485 B1 KR 100710485B1 KR 1020050051292 A KR1020050051292 A KR 1020050051292A KR 20050051292 A KR20050051292 A KR 20050051292A KR 100710485 B1 KR100710485 B1 KR 10071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frame
drive sprocket
whee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101A (ko
Inventor
장기풍
Original Assignee
장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풍 filed Critical 장기풍
Priority to KR102005005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14Hand-grips for hand-operated cr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추진을 팔 동작으로 실시하고, 발로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게 한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단에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 뒷포크에 각각 구비되는 앞, 뒷바퀴와, 상기 앞, 뒷바퀴 중 뒷바퀴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라켓을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1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그 프레임 선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단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그 구동 스프라켓의 하측인 프레임 일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과 동심축으로 연결 고정되어 연동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뒷바퀴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앞바퀴를 발로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향발판;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양손으로 회전시켜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운동 자전거, 추진핸들, 추진, 조향발판, 운동

Description

운동 자전거{Movement bi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운동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운동 자전거의 뒷바퀴에 보조 바퀴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한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 프레임
102 : 뒷바퀴 104 : 앞바퀴 지지부재
108 : 앞바퀴 110 : 구동 스프라켓(Sprocket)
110a : 추진핸들 112, 114 : 제1, 2 연결 스프라켓
116 : 종동 스프라켓 118 : 체인(Chain)
120 : 안장 122 : 조향발판
124 : 보조 바퀴
20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 프레임
202 : 뒷바퀴 206 : 앞바퀴
208 : 조향핸들 210a, 212a : 제1, 2 구동 스프라켓
210b : 페달 (Pedal) 212b : 추진핸들
214 : 제1, 2 연결 스프라켓 216 : 제3 연결 스프라켓
218 : 종동 스프라켓 220 : 체인
222a, 222b : 안장
본 발명은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추진을 팔 동작으로 실시하고 발로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전신 운동을 할 수 있게 한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탑승자가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추진하는 단거리 이동 수단으로 넓은 뜻으로는 일륜, 삼륜이나 사륜으로 만들어진 것과 수상(水上), 빙상자전거 등 지상 외의 곳을 주행하는 것도 포함되며, 뒷바퀴에는 추진력을 부여하고 앞바퀴는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자전거는 이동 수단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레저 및 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헬스 사이클 등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선, 후단에 각각 앞, 뒷포크가 구비되고 그 앞, 뒷포크에 각각 구비되는 앞, 뒷바퀴와, 상기 앞포크에 고정되는 앞바퀴가 좌우 회동하도록 구비되는 조향핸들과, 상기 뒷바퀴 축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뒷바퀴의 종동 스프라켓에 구동력을 체인에 의해 전달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양측에 페달이 구비되는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탑승자가 앉는 안장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페달을 밟고 양발을 교차되게 회전시키는 동작에서 자전거는 추진되지만 상체 운동은 거의 불가능하며, 운동 목적이 아니라 이동 또는 레저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인 또는 2인이 탑승한 상태에서 상체와 하체 운동을 병행할 수 있으며,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도 운동할 수 있게 한 운동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 뒷포크에 각각 구비되는 앞, 뒷바퀴와, 상기 앞, 뒷바퀴 중 뒷바퀴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라켓을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1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그 프레임 선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단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그 구동 스프라켓의 하측인 프레임 일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과 동심축으로 연결 고정되어 연동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뒷바퀴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앞바퀴를 발로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향발판;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양손으로 회전시켜 추진함으로써, 상기 자전거를 탑승자가 탄 상태에서 상체와 하체를 모두 운동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앞바퀴에는 그 앞바퀴의 앞포크를 고정하는 앞바퀴 지지부재가 더 마련되며, 그 앞바퀴 지지부재가 프레임 선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됨으로써, 탑승자의 키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앞, 뒷바퀴는,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구동 스프라켓은, 안장의 위치보다 상측에 구비되되 그 구동 스프라켓의 축 양단에 상호 대각 방향으로 구비되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추진력을 부여하는 추진핸들이 더 마련됨으로써, 상기 추진핸들을 탑승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그 추진핸들을 돌리는 과정에서 자전거는 추진하며, 그 동작에 따라 상체 운동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조향발판은, 앞바퀴 지지부재의 상단 소정 위치에서 회 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회동을 앞포크에 전달하여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자전거의 진행 방향 결정시 조향발판에 양발을 올린 상태에서 하체의 힘에 의해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조향발판은, 탑승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짐으로써, 진행 방향 결정시 발목에 무리를 주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뒷바퀴에는, 그 뒷바퀴의 중심축 양단에 보조 바퀴가 더 마련됨으로써, 자전거를 탈 때 운전이 미숙한 경우 양측의 보조 바퀴에 의해 중심 잡기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단 전후 위치에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 뒷포크에 각각 구비되는 앞, 뒷바퀴와, 상기 앞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핸들과, 상기 뒷바퀴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라켓을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2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그 프레임 선단에 전방 탑승자가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구동 스프라켓; 상기 프레임의 중간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구동 스프라켓; 상기 제1, 2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그 제1, 2 구동 스프라켓과 수평, 수직 방향 위치인 프레임 일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 2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1, 2 연결 스프라켓과 동심축으로 연결 고정되어 연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3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3 연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뒷바퀴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은 전방 탑승자가 양발로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며,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은 양손으로 회전시켜 추진하되 제1, 2 구동 스프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이 부가됨으로써, 2인용 자전거를 탑승할 때 앞사람은 발에 의해 자전거를 추진시키며, 뒷사람은 손에 의해 자전거를 추진시켜 두 사람이 탑승한 상태에서 두 사람 모두 운동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운동 자전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앞, 뒷바퀴(108, 102)와, 앞바퀴 지지부재(104)와, 구동 스프라켓(110)과, 제1, 2 연결 스프라켓(112, 114)과, 종동 스프라켓(116)과, 체인(118)과, 안장(120)과, 조향발판(12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의 소정 위치에는 뒷바퀴(102)를 제동시키는 제동수단(도면에 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내부가 중공인 수평 방향성을 갖는 파이프로 후단에는 뒷바퀴(10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분할되는 뒷포크(Back fork)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 상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직립부재(100a)가 접합된다.
상기 앞, 뒷바퀴(108, 102)는 하나씩 구비되며, 종래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각각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바퀴(108)가 뒷바퀴(102)보다 더 작다. 한편, 상기 앞바퀴(108)를 고정하는 앞포크(106)는 그 하단이 뒷바퀴(102)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앞포크(106)의 중심과 앞바퀴(108)의 중심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앞바퀴(108)의 좌우 회동이 용이하다.
상기 앞바퀴 지지부재(104)는 상기 프레임(100)의 선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그 후단 외주면이 이 프레임(100)의 선단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이 프레임(100)의 선단에서 앞바퀴(108)가 고정되는 앞포크(Front fork : 106)가 회동 가능하도록 전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앞바퀴 지지부재(104)는 그 앞바퀴 지지부재(104)의 위치를 탑승자의 키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조정하고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선단을 통해 그 앞바퀴 지지부재(10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B)가 마련된다. 즉, 상기 앞바퀴 지지부재(104)가 상기 프레임(100)에서 삽입되는 부분을 달리한 다음 상기 위치고정볼트(B)로 견고하게 체결하여 더이상 길이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110)은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직립부재(100a)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에 의해서 고정되며, 그 양측에는 상호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탑승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그 구동 스프라켓(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추진핸들(110a)이 구비된다.
상기 추진핸들(110a)은 그 추진핸들(110a)을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페달 위 치에 추진핸들(110a)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112)은 상기 구동 스프라켓(110)의 하측인 프레임(100)의 일측 도중에 축으로 고정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110)과 체인(118)에 의해 연결되어 그 구동 스프라켓(110)의 구동력을 제1 연결 스프라켓(112)에 전달한다.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114)은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112)과 동심축으로 프레임(1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112)과 연동된 상태로 회전한다.
상기 종동 스프라켓(116)은 뒷바퀴(102)의 축에 동심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114)과 체인(118)에 의해 연결되어 이 제2 연결 스프라켓(114)의 구동력을 종동 스프라켓(116)에 전달하여 뒷바퀴(102)가 추진되도록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110)과 제1 연결 스프라켓(112), 제2 연결 스프라켓(114)과 종동 스프라켓(116)과의 기어비는 각각 가감될 수 있으며, 이 각각에는 커버(도면에 미도시)가 감싸도록 구비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상기 안장(120)은 그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그 내주면이 구동 스프라켓(110)의 후방인 프레임(10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안장 고정축의 상단 외주면에 삽입되며, 이 구동 스프라켓(11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구동 스프라켓(110)을 회전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이 안장(120)의 연장되는 부분 외주면을 통해 상기 프레임(100)의 안장 고정축 상단 외주면을 가압하여 위치 고정하는 위치고정볼트(B)가 체결된다. 즉, 상기 안장(120)의 저면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프레임(100)의 안장 고정축 외주면에 삽입하여 적정 높이에 위치되면 위치고정볼트(B)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안장(120)이 더이상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조향발판(122)은 앞바퀴 지지부재(104)의 상단 수평 부분에서 회동가능 하도록 중심 부위를 힌지 고정하며, 이 조향발판(122)은 그 양측에서 앞포크(106)의 양측과 연결부재(124)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조향발판(122)은 앞바퀴(108)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앞바퀴(108)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앞포크(106)의 상단 수평 부분과 양측을 각각 연결하여 조향발판(122)의 회전에 따라 앞바퀴(108)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향발판(122)은 탑승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단면 형상이 직삼각형을 이루며, 안착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앞포크(106)의 상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는 물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구니(도면에 미도시) 등이 장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102)의 중심축을 고정하는 프레임(100)의 양측에 보조 바퀴(124)를 더 마련하여 자전거를 탈 때 운전이 미숙한 경우 중심 잡기가 용이하다.(도 3 참조)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추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안장(120)에 앉은 상태에서 양발 중 한발은 조향발판(122)에 올려놓고 다른 한발은 추진하기 전 중심을 잡기 편하도록 지면에 접촉한다.
그 후, 양손으로 구동 스프라켓(110)의 추진 핸들(110a)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향 회전시키면 그 구동 스프라켓(110)의 회전력을 체인(118)에 의해 제1 연결 스 프라켓(112)에 전달하여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112)이 연동되며, 이 제1 연결 스프라켓(112)과 동심축에 의해 연동되는 제2 연결 스프라켓(114)도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112)을 따라 회전하고 이 제2 연결 스프라켓(114)의 회전력을 체인(118)에 의해 뒷바퀴(102)의 축 상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116)에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뒷바퀴(102)를 회전되게 함으로써 자전거는 추진하게 되며, 추진과 동시에 지면에 접한 한발을 조향발판(122)에 모두 올려놓는다.
한편, 상기 운동 자전거의 회전이 필요할 경우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향발판(122)을 회동시키면 앞포크(106)를 연동하도록 연결부재(124)가 고정되므로 상기 앞포크(106)에 위치 고정되는 앞바퀴(108)가 조향발판(122)의 각도와 상응한 각도록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운동 자전거는 그 운동 자전거의 추진시 추진핸들(110a)을 양팔을 이용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체 운동이 되며, 양발을 이용하여 앞바퀴(108)를 조향하므로 하체 운동까지 병행할 수 있다. 그리고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도 손쉽게 운동 자전거를 타면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자전거는 안장(120)이 지면과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양발로 운동 자전거를 밀어 최소한의 추진력을 부가한 후 추진핸들(110a)을 돌려 추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사람이 동시에 탑승할 수 있으며, 그 구성요소로는 프레임(200)과, 앞, 뒷바퀴 (206, 202)와, 제1, 2 구동 스프라켓(210a, 212a)과, 제1, 2 연결 스프라켓(214)과, 제3 연결 스프라켓(216)과, 종동 스프라켓(218)과, 체인(220)과, 안장(222a, 22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0)은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수평 방향성을 갖는 파이프로 후단에는 뒷바퀴(206)를 고정할 수 있도록 분할되는 뒷포크(Back fork)가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에는 앞바퀴(206)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곡선 형성된 최선단에 앞포크(Front fork : 204)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의 적정 위치인 중간 부위 상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직립되는 직립부재(200a)가 접합된다.
상기 앞, 뒷바퀴(206, 202)는 하나씩 구비되며,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각각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앞바퀴(206)가 뒷바퀴(202)보다 더 작다. 한편, 상기 앞바퀴(206)를 고정하는 앞포크(204)는 그 하단이 뒷바퀴(202)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앞포크(204)의 중심과 앞바퀴(206)의 중심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앞바퀴(206)의 좌우 회동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앞포크(204)의 상단에는 앞바퀴(206)를 회전시켜 진행할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핸들(208)이 구비되고 그 조향핸들(208)의 하방으로 뒷바퀴(202)를 제동하는 브레이크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은 상기 프레임(200)의 선단 부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축에 의해서 고정되며, 그 양측에는 상호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탑승 자가 양발로 안착한 상태에서 그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페달(210b)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은 상기 프레임(200)에 구비되는 직립부재(200a)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축에 의해서 고정되며, 그 양측에는 상호 대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탑승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그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추진핸들(212b)이 구비된다.
상기 추진핸들(212b)은 그 추진핸들(212b)을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엠보싱(Embossin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페달(210b)에도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214)은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의 하측인 프레임(200)의 일측 도중에 축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210a)과 체인(220)에 의해 연결되어 그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의 구동력을 제1 연결 스프라켓(214)에 전달한다.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214)은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214)과 동심축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212a)과 체인(220)에 의해 연결되어 그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의 구동력을 제2 연결 스프라켓(214)에 전달한다.
상기 제3 연결 스프라켓(216)은 상기 제1, 2 연결 스프라켓(214)과 동심축으로 프레임(2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2 연결 스프라켓(214)과 연동된 상태로 회전한다.
상기 종동 스프라켓(208)은 뒷바퀴(202)의 축에 동심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3 연결 스프라켓(216)과 체인(220)에 의해 연결되어 이 제1, 2 연결 스프라켓(214)의 구동력을 종동 스프라켓(208)에 전달하여 뒷바퀴(202)가 추진되도록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210a)과 제1 연결 스프라켓(214), 제2 구동 스프라켓(212a)과 제2 연결 스프라켓(214), 제3 연결 스프라켓(216)과 종동 스프라켓(218)과의 기어비는 각각 가감될 수 있으며, 이 각각에는 커버(도면에 미도시)가 감싸도록 구비하여 안전을 도모한다.
상기 안장(222a, 222b)은 제1, 2 구동 스프라켓(210a, 212a)의 후방인 프레임(200)에 각각 구비되며, 이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을 회전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체결하는 위치고정볼트(B)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앞포크(204)의 상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물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바구니(도면에 미도시) 등이 장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뒷바퀴(202)의 중심축을 고정하는 프레임(200)의 양측에는 보조 바퀴(도면에 미도시)를 더 마련하여 자전거를 탈 때 운전이 미숙한 경우 중심 잡기가 용이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의 추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명의 탑승자가 각각의 안장(222a, 222b)에 앉은 상태에서 앞사람은 양발로 페달(210b)을 밞으면서 추진력을 발생하고, 뒷사람은 양팔로 추진핸들(212b)을 회전시 켜 추진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앞사람이 조향핸들(208)을 손으로 잡고 조향 방향을 결정하게 되며, 뒷사람은 추진력을 발생하게 하는 것으로 앞사람에 의해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도 있고 뒷사람에 의해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도 있으며, 동시에 앞, 뒷사람이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 있다.
즉, 앞사람이 조향핸들(208)을 잡고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의 페달(210b)을 발로 돌리면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의 회전력을 체인(220)에 의해 제1 연결 스프라켓(214)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214)과 동심축 상에 고정되는 제3 연결 스프라켓(216)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3 연결 스프라켓(216)은 체인(220)에 의해 뒷바퀴(202)의 축 상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218)에 전달하여 상기 뒷바퀴(202)를 회전되게 함으로써 자전거는 추진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뒷사람이 양손으로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의 추진핸들(212b)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향 회전시키면 그 제2 구동 스프라켓(212a)의 회전력을 체인(220)에 의해 제2 연결 스프라켓(214)에 전달하여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214)이 연동되며, 이 제2 연결 스프라켓(214)과 동심축에 의해 연동되는 제3 연결 스프라켓(216)도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214)을 따라 회전하고 이 제3 연결 스프라켓(216)의 회전력을 체인(220)에 의해 뒷바퀴(202)의 축 상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218)에 전달하여 상기 뒷바퀴(202)를 회전되게 함으로써 자전거는 추진하게 된다.
그리고 앞, 뒷사람이 동시에 상술한 방법으로 페달(210b)와 추진핸들(212b)를 돌려 운동 자전거의 추진력이 배가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 자전거는 그 운동 자전거의 추진시 앞사람은 페달(210b)을 밟아야 하므로 하체 운동이 가능하고, 뒷사람은 추진핸들(212b)을 양팔을 이용하여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체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도 손쉽게 운동 자전거를 타면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 자전거는 안장(222a, 222b)이 지면과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양발로 운동 자전거를 밀어 최소한의 추진력을 부가한 후 페달(210b)과 추진핸들(212b)을 돌려 추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운동 자전거는 그 운동 자전거의 추진력이 추진핸들을 양팔로 돌리면서 발생하되 하체는 조향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발판을 조작함으로써, 1인용 운동 자전거의 추진력 발생은 상체에 의해 하고 조향 방향 결정은 하체에 의해 실시하므로 상, 하체 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자전거는 앞, 뒷사람 두명이 탑승함에 있어 앞사람은 조향핸들을 파지하여 이동 방향을 결정하되 발로 페달을 밟아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뒷사람은 추진핸들을 손으로 파지하고 그 추진핸들을 돌리면서 추진력을 발생시켜 앞, 뒷사람 중 어느 한 사람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동시에 앞, 뒷사람 모두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상단에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 뒷포크에 각각 구비되는 앞, 뒷바퀴와, 상기 앞, 뒷바퀴 중 뒷바퀴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라켓을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1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그 프레임 선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단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 스프라켓;
    상기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며, 그 구동 스프라켓의 하측인 프레임 일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1 연결 스프라켓과 동심축으로 연결 고정되어 연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2 연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뒷바퀴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
    상기 앞바퀴를 발로 진행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향발판;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양손으로 회전시켜 추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에는 그 앞바퀴의 앞포크를 고정하는 앞바퀴 지지부재가 더 마련되며, 그 앞바퀴 지지부재가 프레임 선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앞, 뒷바퀴는,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은,
    안장의 위치보다 상측에 구비되되 그 구동 스프라켓의 축 양단에 상호 대각 방향으로 구비되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추진력을 부여하는 추진핸들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발판은,
    앞바퀴 지지부재의 상단 소정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회동을 앞포크에 전달하여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발판은,
    탑승자의 양 발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에는,
    그 뒷바퀴의 중심축 양단에 보조 바퀴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8. 상단 전후 위치에 안장이 구비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앞, 뒷포크에 각각 구비되는 앞, 뒷바퀴와, 상기 앞바퀴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핸들과, 상기 뒷바퀴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라켓을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는 2인승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고, 그 프레임 선단에 전방 탑승자가 구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구동 스프라켓;
    상기 프레임의 중간 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구동 스프라켓;
    상기 제1, 2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그 제1, 2 구동 스프라켓과 수평, 수직 방향 위치인 프레임 일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1, 2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1, 2 연결 스프라켓과 동심축으로 연결 고정되어 연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3 연결 스프라켓;
    상기 제3 연결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뒷바퀴의 중심축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 스프라켓은 전방 탑승자가 양발로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며,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은 양손으로 회전시켜 추진하되 제1, 2 구동 스프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추진력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앞, 뒷바퀴는,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스프라켓은,
    안장의 위치보다 상측에 구비되되 그 구동 스프라켓의 축 양단에 상호 대각 방향으로 구비되며,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추진력을 부여하는 추진핸들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에는,
    그 뒷바퀴의 중심축 양단에 보조 바퀴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자전거.
KR1020050051292A 2005-06-15 2005-06-15 운동 자전거 KR10071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292A KR100710485B1 (ko) 2005-06-15 2005-06-15 운동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292A KR100710485B1 (ko) 2005-06-15 2005-06-15 운동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01A KR20060131101A (ko) 2006-12-20
KR100710485B1 true KR100710485B1 (ko) 2007-04-24

Family

ID=3781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292A KR100710485B1 (ko) 2005-06-15 2005-06-15 운동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973A (ko) * 2018-10-29 2020-05-08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400B1 (ko) * 2022-08-12 2023-04-12 강신대 운동 유희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613Y1 (ko) * 1993-02-08 1995-05-09 박경덕 자동차 트렁크용 다목적 백
KR20020023684A (ko) * 2001-11-30 2002-03-29 오하경 자전거 구조
KR20030079040A (ko) * 2002-04-01 2003-10-10 임춘남 절첩식 자전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613Y1 (ko) * 1993-02-08 1995-05-09 박경덕 자동차 트렁크용 다목적 백
KR20020023684A (ko) * 2001-11-30 2002-03-29 오하경 자전거 구조
KR20030079040A (ko) * 2002-04-01 2003-10-10 임춘남 절첩식 자전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U) 95-3613호
공개특허공보(A) 특2002-0023684호
공개특허공보(A) 특2003-0079040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973A (ko) * 2018-10-29 2020-05-08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KR102174690B1 (ko) 2018-10-29 2020-11-05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01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4858942A (en) Manually driven bicycle
US7967313B1 (en) Recreational vehicle with elliptical drive
US20030001350A1 (en) Exercise scooter
US20080290628A1 (en) Panther Front And Rear Wheel Drive Bicycle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CN104321245B (zh) 具有独特的驱动组件的自行车
US20060145447A1 (en) Tricycle
US10315723B2 (en) Rack-driven seated handcycle
US20130175781A1 (en) Hand propelled and steered bicycle
US706648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 moving part, steering system for a light vehicle and tricycle fitted with said system
JP3101174U (ja) 自転車
US3485508A (en) Bicycle structure
US7237786B2 (en) Rowing bicycle
KR100710485B1 (ko) 운동 자전거
JPH1053186A (ja) 両手駆動機構を有する自転車
US6409195B1 (en) Handcranked rear-wheel axle-driven sport wheelchair
US9315230B2 (en) Hand propelled and steered bicycle
KR102298225B1 (ko) 핸들부에 동력구동장치가 설치된 자전거
JPH11310186A (ja) 両手駆動機構を有する自転車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GB2343870A (en) Cycle, scooter or exercise machine
KR200484192Y1 (ko) 상, 하체운동이 가능한 자전거
KR20110101953A (ko) 트리서클 킥보드
KR200374726Y1 (ko) 핸들로 중심을 잡는 외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