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973A -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 Google Patents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973A
KR20200047973A KR1020180129518A KR20180129518A KR20200047973A KR 20200047973 A KR20200047973 A KR 20200047973A KR 1020180129518 A KR1020180129518 A KR 1020180129518A KR 20180129518 A KR20180129518 A KR 20180129518A KR 20200047973 A KR20200047973 A KR 20200047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driving
angle
gear
reverse tr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690B1 (ko
Inventor
변규진
Original Assignee
변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규진 filed Critical 변규진
Priority to KR1020180129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90B1/ko
Priority to PCT/KR2019/012675 priority patent/WO2020091236A1/ko
Publication of KR20200047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전륜과 후방에 후륜이 결합되는 역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기존 자전거 패러다임을 전환함으로써 각각의 크랭크축을 갖는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전륜이 후륜쪽으로 일정각으로 기울어져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whole body drive -reverse trike}
본 발명은 한 쌍의 전륜과 후방에 후륜이 결합되는 역삼륜 자전거에 있어서
기존 자전거의 패러다임을 전환함으로써 각각의 크랭크축을 갖는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전방 한쌍의 전륜이 후륜쪽으로 일정각으로 기울어져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실현하는 역삼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는 전방 수직프레임 위에 핸들바를 두손으로 조작함으로써 방향전환을 시행하고, 구동은 페달을 밟는 하체의 힘으로만 이루어지는 한 개의 구동장치로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적인 역삼륜 자전거는 방향전환 시 전륜 쪽의 한쪽바퀴가 들리는 결정적인 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거운 틸팅장치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이륜 자전거 외 리컴번트 ,몇몇가지의 역삼륜과 손발자전거 등 몇 가지 구조에 자전거가 시도되고 있으나 이륜에 비해 기동성,편의성 등이 갖추지 못하고 또한 별다른 메리트를 만들어 내지 못해 시장성을 제대로 갖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대 자전거의 역할은 단순히 이동수단으로 국한 되어진 게 아니고 운동과 레저의 기능이 더 주요한 덕목으로 자리잡고 있다.하지만 종래의 자전거는 하체의 일부만 사용하는 제한적인 한 개의 구동부로 이루어져 운동의 효과가 제한적 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역삼륜자전거의 안정성을 위한 틸팅장치를 보다 간편하게 구현해 내고 새로운 구동부를 첨가함으로써 구동력을 크게 증진시키고져 한다.
또한 한정된 구동부위를 확대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운동부위를 안출해 내고져 한다.
아울러 자전거에 지지되는 신체부위(전립선,손목)의 압박동력를 구동력으로 전환함에 따라 구동력의 증진과 더불어 압박부작용을 최소화 하려 한다.
따라서 종래의 자전거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프레임 전방에 핸들부와 후방에 몸을 지지하는 안장부의 기능을 없애고 3개의 구동부를 만들어 3.5배 -4배(추정)구동력을 안출해내고 전륜에 기울기를 만들어냄으로써 조향과 틸팅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신 개념의 역삼륜자전거; 바람직하게 전신의 동력을 구동력으로 활용하며 이로써 최대한의 전신운동 효과를 안출할 수 있는 역삼륜 자전거를 제공하고저 한다.
메인프레임 전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과 후단에 구비되는 1개의 후륜을 갖게 되는 역삼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륜은 후륜방향으로 일정한기울기를 갖게 되어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을 구현하게 된다.
종래 자전거 시스템 상 메인프레임 전단에 수직프레임 위에 스탬과 핸들바에
의한 핸들부가 존재했던 공간에 상체수직 승하강 혹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제1구동부가 만들어진다.
상기 제1구동부는 제2구동부와 일직선 상 혹은 사선 상에 존재하며 크랭크 암과 그랭크 로드를 각각크랭크 암 밀착고정판과 로드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일정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도 작용할 수 있다.
protective pad 연결판을 목 아래 상체의 상단부와 밀착접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protective pad or guard와 연결하여 상체의 승하강 혹은 슬라이딩 운동으로 제1구동부 크랭크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어깨와 팔 그리고 등 근육을 이용한 큰 원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구동부가 구성된다.
상기 제2구동부의 크랭크 암은 양팔 회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용 조절천공이 있고,상기 크랭크 암의 손잡이를 벤치프레스형 그립,혹은 평행봉형 그립의 형태로 상기 크랭크암이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에서는 회전작동 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선
브레이크 레버와 조향고정 브레이크 레버의 케이블의 출구가 회전방향으로 나와있는 상태가 바람직함으로, 상기 벤치프레스형 그립의 경우, 각각의 레버 케이블 출구가 손잡이와 직교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제2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하체의 운동으로 한 쌍의 페달을 밟아 구동스프라켓,피동 스프라켓을 거쳐 후륜주행의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종래의 제3구동부가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구동부의 위치나 간격은 자전거의 용도나 추구하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제작 될 수 있다.
또한 제 3구동부의 위치를 후륜의 중앙허브에 변속장치를 구비한 상태로 만들어서 좀 더 다채로운 구동부의 조합을 만들 수 도 있다.
양단이 회동가능한 조향프레임은 상기 기울어진 한 쌍의 전륜 중간에서, 상기 한쌍의 전륜과 등각 혹은 유사각으로 기울어져 후륜 상단 근처 일정지점 까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조향프레임 전단에는 회전가능한 조향고정 디스크 로터와 조향연동바가 자리하게 되고 :상기 조향연동바는 조향연결바로 전륜 연동바와 연결되어 조향과 동시에 기울어진 자연각에 의한 틸팅을 동시에 실현하게 된다.
상기 조향프레임 후미에 래크와 피니언 원리로 회동하는 조향기어시스템이
만들어진다.
일정각으로 기울어진 상기 조향기어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해, 각도가 조절되고지면과 수평하게 제작되어 상기 래크기어 윗면과 접합된 안장형태의 조향컨트롤 시트가 만들어진다.
상기 컨트롤 시트를 HIP 혹은 허리 움직임을 이용한 안쪽 허벅지의 일정한 좌우이동으로 조향과 동시에 틸팅을 발생시키는 조향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콘트롤 시트아래로 시트와 그에 접합된 래크기어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조향콘트롤 가이드와 상기 조향콘트롤 가이드바와 접합할 수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역 T자형 홈을 가진 조향콘트롤 가이드 지지바(바람직하게 홈의 길이는 상기 래크의 가로길이와 가이드의 가로길이가 더해진)가 만들어진다.
상기 조향시스템에 있어서,바람직하게 자전거가 직선주로 주행중 하체의 작은 움직임에 의해 조향시스템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래크기어 중앙부위에 일정부분 빈 공간을 둔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가 좌우 양방으로 90도 회전 할 수 있는 기어잇수를 가진 상기 래크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조향 콘트롤 시트아래로 시트와 그에 접합된 래크기어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조향콘트롤 가이드와 지지바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조향콘트롤 가이드(406)는 지지바(407)의 홈을 통해 역T자 형태로 접합이 되어 조향 콘트롤시트(402)의 이탈을 방지하며 래크와 피니언의 안정적인 좌우이동을 유도한다.
상기 조향콘트롤 가이드(406)은 조향콘트롤 시트와 접합되거나 나사와 볼트형싯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향프레임 전단 혹은 일정지점에 조향진동을 제어하기위해 디스크 로터와 켈리퍼 설치하고, 브레이크 레버위에 설치된 조향고정 디스크레버로 조작하여 조향 안정성을 확보한다.
일반적인 종래의 자전거 패러다임을 과감히 전환시킴으로서 기존 기동력의
3.5-4배(추정치)의 구동력을 안출할 수 있는 3개의 구동부를 갖추게 되고
적절한 기울기를 갖는 한 쌍의 전륜을 안출함으로써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안정적인 역삼륜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현대 자전거가 갖는 중요한 덕목 중에 하나는 단순한 이동수단으로서 활용되기 보다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운동기구로서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으로 압도적인 운동효과를 누릴 수 있는 신 개념의 운동기구로
활용도를 배가 할 수 있다.
제1구동부의 상체의 수직운동 혹은 슬라이딩운동은 효과적인 허리와 복근운동을 시현 할 수 있고 또한 제2구동부의 원 운동은 어깨와 팔 그리고 등운동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안장에 지지되지 않고 들려진 하체는 엎드리진 상체의 각도에 따라 힙을 비롯해 되퇴부 후면과 보다 광범위한 하체근육를 자극함으로써 효과적인 전신운동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3개 구동부의 간격과 각도를 적절히 조절 배치함에 따라 운동부위와
효과를 조절 할 수 있고 각각의 기어비를 조정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조정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온 몸으로 구동하고 자전거에 지지하는 힘을 동력화 함에 따라 전립선이나 손목에 불편한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요약해 보면, 본 발명은 초보자도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삼륜의 안전성에
압도적인 구동력(3.5-4배)과:신체의 코어(HIP,등 ,배)근육과 어깨,팔,광범위한
하체를 자극하는 전신운동의 효과,그리고 전립선의 압박을 벗어날 수 있는
바람직한 바이크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에 구비되는 전륜 조향부 사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의 제1구동부(스프라켓과 체인을 제거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후미조향부 측면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후미 조향부 래크와 피니언 기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제1구동부 연결판과 protective pad와 결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전동 조향식 후륜중앙허브 방식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역T자형 가이드바와 지지바의 단면도
이하,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기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혹은 축소되 있을 수 있고 기존 일반적으로 널리 상용되고 있는 요소들은 (나사선,브레이크 켈리퍼,전동조향등) 생략 되거나 단순화 되어 도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 이다.
또한 실시를 위한 세부적인 사항을 기재함에 있어서 해당분야에 이미 널리 공지되 있어 이미 상용화 된 기술과 작동법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도 3은 본 발명에 따른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에 구비되는 전륜 조향부 사시 확대도,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의 제1구동부(스프라켓과 체인을 제거한) 확대도,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후미조향부 측면확대도,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후미 조향부 래크와 피니언 기어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제1구동부 연결판과 protective pad와 결합 예시도,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가지고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역삼륜 자전거의 전동 조향식 후륜중앙허브 방식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갖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는,한쌍의 전륜 및 한 개의 후륜이 구비되는 역삼륜 자전거에서 한 쌍의 전륜이 후륜쪽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갖게 됨으로써 조향과 동시에 틸팅이 가능한,간편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구동부를 갖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가능한 역삼륜 자전거는,기존 자전거에 절대요소인 핸들부와 안장의 기능을 지웠다.
일정 길이를 갖는 메인프레임(108)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8) 전단부 일정지점에 수직프레임(109)세워지고 상기 수직프레임(109)일정지점에 제2구동부 크랭크(200) 가 구비된다.
상기 제2구동부 위로 직선 혹은 사선으로 체인 혹은 기어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제 1구동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부와 일직선 상 혹은 사선 상에 존재하며 크랭크 암(104)과 그랭크 로드(102)를 각각크랭크 암 밀착고정판(103)과 로드고정볼트(105)를 사용하여 일정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도 작용할 수 있고 연결판(101)를 목 아래 상체의 상단부와 밀착접합되는 다양한 형태의protective pad or guard(110)체결되어 상체의 승하강 혹은 슬라이딩 운동으로 구동된다.
상기 연결판(101)과 protective pad는 각각 여러 가지 형태로 고안되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어깨와 팔 그리고 등 근육을 이용한 큰 원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구동부가 구성된다.
상기 제2구동부는 양팔 회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크랭크 암(202)에 조절천공(208)이 있고, 구동손잡이가 벤치프레스형 그립,혹은 평행봉형 그립으로 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부에서는 회전작동 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선
상기 구동손잡이에 달린 브레이크 레버(206)와 조향고정 디스크로터 레버(207)의 케이블의 출구가 회전방향으로 나와있는 상태가 바람직함으로, 상기 벤치프레스형 그립의 경우, 각각의 레버 케이블 출구가 상기 구동손잡이와 직교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제2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하체의 운동으로 한 쌍의 페달을 밟아 구동스프라켓,피동 스프라켓을 거쳐 후륜주행의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종래의 제3구동부가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구동부의 위치나 간격은 자전거의 용도나 추구하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제작 될 수 있다.
또한 제 3구동부의 위치를 후륜의 중앙허브(703)에 변속장치를 구비한 상태로 만들어서 좀 더 다채로운 구동부의 조합을 만들 수 도 있다.
양단의 회동이 가능한 조향프레임(401)은 상기 기울어진 한 쌍의 전륜 중간에서, 상기 한쌍의 전륜과 등각 혹은 유사각으로 기울어져 후륜 상단 근처 일정지점 까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조향프레임 (401)전단에는 회전가능한 조향고정 디스크 로터(305)와 조향연동바(302)가 자리하게 된다.
상기 조향연동바(302)는 전륜 연동바(303)와 조향연결바(304)로 연결되어 조향과 동시에 기울어진 자연각에 의한 틸팅을 동시에 실현하게 된다.
상기 조향프레임(401) 후미에 형성된 기어를 바탕으로한 래크와 피니언 원리에 기인된 조향기어시스템이 만들어 진다.
일정각으로 기울어진 상기 조향기어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해, 각도가 조절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제작된 안장형태의 컨트롤 시트(402) 래크에 접합된다.
조향 콘트롤시트(402)가 상기 기어시스템 위로 만들어지고 상기 컨트롤시트(402)를 HIP 혹은 허리 움직임을 이용한 안쪽 허벅지의 일정한 좌우이동으로 조향과 동시에 틸팅을 발생시킨다.
상기 조향시스템(402)에 있어서,바람직하게 자전거가 직선주로 주행중 하체의 작은 움직임에 의해 조향시스템이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래크기어 중앙부위에 일정부분 빈 공간을 둔다.
또한 양쪽으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양방으로 90도 회전 할 수 있는 기어잇수를 가진 상기 래크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조향 콘트롤 시트(402) 아래로 시트와 그에 접합된 래크기어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조향콘트롤 가이드(406)와 지지바(407)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조향콘트롤 가이드(406)는 지지바(407)의 홈을 통해 역T자 형태로 접합이 되어 조향 콘트롤시트(402)의 이탈을 방지하며 래크와 피니언의 안정적인 좌우이동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바 홈의 길이는 래크기어 양단의 동선의 최대치에 국한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조향프레임 (401)전단 혹은 일정지점에 조향진동을 제어하기위해 디스크 로터(305)와 켈리퍼(306) 설치하고, 브레이크 레버(206)위에 설치된 조향고정 디스크레버(207)로 조작하여 조향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한다.
이로서 본 발명인 3개의 구동부를 가지면서 자연각에 의한 틸팅을 구가하는
역삼륜 자전거가 원활한 riding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0: 제1구동부 크랭크 101:상체 protective pad 연결판
102: 제1구동부 크랭크 로드 103:크랭크 암 밀착고정판
104: 제1구동부 크랭크 암 105:제 1구동부 크랭크 로드 고정볼트
106: 제1구동부 구동스프라켓 107:제1구동부 피동스프라켓
108: 메인 프레임 109:수직 프레임
200:제 2구동부 크랭크 201:제 2구동부 크랭크 축
202:제 2구동부 크랭크 암 203:제 2구동부 구동손잡이
204:제 2구동부 구동스프라켓 205:제 2구동부 피동스프라켓
206: 브레이크 레버 207:조향고정 디스크로터 레버
208: 제 2구동부 구동잡이 조절천공
301: 전륜 연결바 302:조향 연동바
303: 전륜 연동바 304:조향 연결바
305:조향 디스크 로터 306:조향 디스크 로터 켈리퍼
307:전륜 디스크 로터 308:전륜 디스크 로터 켈리퍼
401:조향 프레임 402:조향 콘트롤 시트
403:조향 래크 기어 405:조향 피니언 기어
406:조향 콘트롤 가이드 407:조향 콘트롤 가이드 지지바
701: 전동조향 콘솔박스 702:전동 조향 레버
703:후륜 중앙 허브 구동부

기타 일반적인 자전거에서 이미 상용화 된 것들은 생략하였음.

Claims (9)

  1. 메인프레임 전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전륜과 후단에 구비되는 1개의 후륜을 갖게 되는 역삼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륜은 후륜방향으로 일정한기울기를 갖게 되어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일정한 틸팅각을 갖게 되고 상기 메인프레임 전단 수직프레임 위에,기존 자전거 시스템에선 스탬과 핸들바에 의한 핸들부가 존재했던 공간에, 상체 수직 승하강 혹은 슬라이딩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어깨와 팔 그리고 등 근육을 이용한 큰 원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제2구동부가 존재하게 되고; 상기 제2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하체의 운동으로 한 쌍의 페달을 밟아 구동스프라켓,피동 스프라켓을 거쳐 후륜주행의 동력을 제공하게 되거나,혹은 후륜 중앙허브에 변속장치를 내장시켜 직접 후륜에 동력을 제공하는, 종래의 제3구동부로 이루어지며;또한 양단이 회동가능한 핸들바 형식의 조향프레임은 상기 기울어진 한 쌍의 전륜 중간에서, 상기 한쌍의 전륜과 등각 혹은 유사각으로 기울어져 후륜 상단 근처 일정지점 까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조향프레임 전단에는 회동가능한 조향고정 디스크 로터와 조향연동바가 자리하게 되고 :상기 조향연동바는 조향연결바에 의해 전륜 연동바와 연결되어 조향과 동시에 기울어진 자연각에 의한 틸팅을 동시에 실현하게 되고; 상기 조향프레임 후미에는 기어를 바탕으로한 래크와 피니언 원리로 회동하는 조향기어시스템이 만들어 지고,일정각으로 기울어진 상기 조향기어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해, 각도가 조절되어 지면과 수평하게 제작된 안장형태의 컨트롤 시트가 상기 기어시스템 위로 만들어지고 상기 컨트롤 시트를 HIP 혹은 허리 움직임을 이용한 안쪽 허벅지의 일정한 좌우이동으로 조향과 동시에 틸팅을 발생시키는 역삼륜자전거 혹은 헬스기구
  2.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틸팅장치를 구비하는데 첨가되는 중량의 부담을 줄인 한 쌍의 전륜 갖게 되는 역삼륜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 상기 제2구동부와 일직선 상 혹은 사선 상에 존재하며 크랭크 암과 그랭크 로드를 각각 크랭크 암 밀착고정판과 로드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일정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로도 작용할 수 있고 ,protective pad연결바를 사용하여 목 아래 상체의 상단부와 밀착접합되는 다양한 형태의protective pad or guard와 연결하여 ,상체의 승하강 혹은 슬라이딩 운동으로 구동되는 제 1구동부를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자전거
  4. 청구 1항에 있어 상기 제2구동부에 있어 양팔 회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크랭크 암에 조절천공이 있고 상기 크랭크 암의 손잡이가 벤치프레스형 그립,혹은 평행봉형 그립으로 제작될 수 있는 제 2구동부를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자전거
  5. 상기 제2구동부의 회전작동 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선 상기브레이크 레버와 조향고정 디스크 레버의 케이블의 출구가 회전방향으로 나와있는 상태가 바람직함으로, 상기 벤치프레스형 그립의 각각의 레버 케이블 출구가 손잡이와 직교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작된 브레이크 레버와 조향고정레버를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자전거
  6. 상기 조향프레임 후미에 래크와 피니언 원리로 회동하는 조향기어시스템; 바람직하게 자전거가 구동중 하체의 직임에 의해 조향시스템이 흔들리지 않도록 래크기어 중앙부위에 일정부분 빈 공간을 두고,회동하는 피니언기어 위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좌우 양방으로 90도 회전 할 수 있는 기어잇수를 가진 래크기어가 장착된 역삼륜 자전거
  7. 일정각으로 기울어진 상기 조향기어시스템을 조작하기 위해, 각도가 조절되고지면과 수평하게 제작되어 상기 래어기어 윗면과 접합된 안장형태의 조향컨트롤 시트; 상기 컨트롤 시트를 HIP 혹은 허리 움직임을 이용한 안쪽 허벅지의 일정한 좌우이동으로 조향과 동시에 틸팅을 발생시키는 조향시스템에 있어서, 조향 콘트롤 시트아래로 시트와 그에 접합된 래크기어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조향콘트롤 가이드와 상기 조향콘트롤 가이드바와 접합할 수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역 T자형 홈을 가진 조향콘트롤 가이드 지지바(바람직하게 홈의 길이는 상기 래크의 가로길이와 가이드의 가로길이가 더해진)가 있는 조향프레임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자전거
  8. 상기 조향프레임 전단 혹은 일정지점에 조향진동을 제어하기위해 디스크 로터와 켈리퍼 설치하고, 브레이크 레버위에 조향고정 디스크레버로 조작하여 필요한 순간 조향을 고정시켜 안정적인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자전거
  9. 제 3구동부를 내장변속기를 탑제한 후륜중앙허브로 옮기고,조향 프렘임과 그에 딸린 조향부를 없애고 전륜 연결판 쪽에 전동조향장치를 마련해서 조향레버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조작하여 조향장치를 구동시키며,제1구동부를 후미쪽으로 제 2구동부와 사선으로 배치하여 슬라이딩 운동으로 제1구동부를 구동하는 역삼륜자전거 혹은 그 지오메트리를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자전거


KR1020180129518A 2018-10-29 2018-10-29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KR10217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18A KR102174690B1 (ko) 2018-10-29 2018-10-29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PCT/KR2019/012675 WO2020091236A1 (ko) 2018-10-29 2019-09-30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18A KR102174690B1 (ko) 2018-10-29 2018-10-29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73A true KR20200047973A (ko) 2020-05-08
KR102174690B1 KR102174690B1 (ko) 2020-11-05

Family

ID=7046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18A KR102174690B1 (ko) 2018-10-29 2018-10-29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4690B1 (ko)
WO (1) WO202009123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85B1 (ko) * 2005-06-15 2007-04-24 장기풍 운동 자전거
KR20090011748A (ko) * 2007-07-27 2009-02-02 강보성 핸들 구동형 운송구
KR100999191B1 (ko) * 2010-06-24 2010-12-07 주영근 개량 자전거
KR101075843B1 (ko) * 2011-04-28 2011-10-25 신한호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WO2013065077A1 (en) * 2011-11-04 2013-05-10 Alberici Goffredo Tricycle with doubly-articulated drawn-rope propulsion actuator
KR20140073368A (ko) * 2012-12-06 2014-06-16 (주)다이나필 틸팅 기능을 갖춘 멀티트랙 차량과 그를 위한 자세 안정화 장치
KR101485761B1 (ko) * 2013-08-08 2015-01-28 홍서우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283A (ko) * 2003-07-18 2005-01-27 허선구 킥보드용 조향장치
KR20070025969A (ko) * 2005-09-01 2007-03-08 최진만 자전거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85B1 (ko) * 2005-06-15 2007-04-24 장기풍 운동 자전거
KR20090011748A (ko) * 2007-07-27 2009-02-02 강보성 핸들 구동형 운송구
KR100999191B1 (ko) * 2010-06-24 2010-12-07 주영근 개량 자전거
KR101075843B1 (ko) * 2011-04-28 2011-10-25 신한호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WO2013065077A1 (en) * 2011-11-04 2013-05-10 Alberici Goffredo Tricycle with doubly-articulated drawn-rope propulsion actuator
KR20140073368A (ko) * 2012-12-06 2014-06-16 (주)다이나필 틸팅 기능을 갖춘 멀티트랙 차량과 그를 위한 자세 안정화 장치
KR101485761B1 (ko) * 2013-08-08 2015-01-28 홍서우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90B1 (ko) 2020-11-05
WO2020091236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5272928A (e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power to a rotating member
US5775708A (en) Exercise vehicle with cable steering system
US4700962A (en) Rowing type vehicle
US6485041B1 (en) Step-cycle for exercise, recreation, and transport
JP5887687B2 (ja) 自転車
KR101564841B1 (ko) 수영 연습 및 수영 동작 자전거
US5908199A (en) Arm propulsion system for bicycles and the like, that may be combined with conventional foot propulsion
US4616840A (en) Machine for utilizing energy
WO2006071851A1 (en) Bicycle propulsion system
US3823959A (en) Two wheel drive bicycle
US11702170B2 (en) Extreme labor-saving bicycle
KR100742999B1 (ko) 승마형 자전거
JP3101174U (ja) 自転車
US8056916B2 (en) Drive system for human powered device
US3848891A (en) Front wheel drive cycle
US6247714B1 (en) Recumbent cycle with improved suspension
US5372374A (en) Lever device for equalizing bicycle workout
KR20200047973A (ko)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KR101881518B1 (ko) 후륜 조향식 리컴번트 자전거
KR101583053B1 (ko) 전륜구동식 리컴번트 자전거
CN207106771U (zh) 一种万向节转向手脚合力可单腿骑行自行车
CN206606315U (zh) 一种平行四边形转向机构双手助力自行车
JPS5914862A (ja) 体操用器械としての及び移動手段としての使用のための器具
KR20100134950A (ko) 손조작이 필요없는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