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761B1 -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 Google Patents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761B1
KR101485761B1 KR20130094208A KR20130094208A KR101485761B1 KR 101485761 B1 KR101485761 B1 KR 101485761B1 KR 20130094208 A KR20130094208 A KR 20130094208A KR 20130094208 A KR20130094208 A KR 20130094208A KR 101485761 B1 KR101485761 B1 KR 101485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addle
shaft
steering shaf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서우
홍서현
홍기영
Original Assignee
홍서우
홍서현
홍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서우, 홍서현, 홍기영 filed Critical 홍서우
Priority to KR20130094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축이 핸들 이외의 부위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후륜휠을 회전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전륜휠과 함께 좌우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는 핸들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회전력을 조향축에 전달하여 안정의 회전에 의하여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CYCLE HAVING STEERING LINKED WITH SADDL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향축이 핸들 이외의 부위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탑승자가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추진하는 단거리 이동 수단을 의미하는데, 넓은 범위에서는 외륜, 삼륜 또는 사륜 등의 형태나 노면은 물론 수상 또는 빙상에서 주행하는 다양한 용도의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자전거는 페달에 제공된 동력이 후륜에 전달되고 전륜은 피동적으로 구름동작하면서 핸들과 연결되어 진행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기술의 자전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휠(3)이 회전 지지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측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4)과, 상기 핸들에 연결되어 전륜휠(2)로 조향력을 전달하여 구름을 지지하는 전륜프레임(6)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시트(5)가 구비되어 이용자가 엉덩이 부위를 안착할 수 있고, 상기 핸들(4)은 파지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사항에서는 동력원으로서 페달(50)을 밟는 힘을 사용하게 되며, 페달(50)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스프로켓이 회전되고 후륜휠(3)과 함께 회전되는 스프로켓이 체인과 같은 구동력 전달부재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최종적으로 후륜휠(3)이 회전하면서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이용자는 엉덩이 부위를 시트에 안착하고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을 함으로써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데, 후륜휠에 전달되는 토크는 자이로 효과에 의하여 직립 및 직진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핸들의 좌우방향의 조작에 따라 전륜휠은 주행의 방향성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후륜휠이 변화되는 방향을 추종하면서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통의 주행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에서 직진 안정성이 제공되므로, 이용자는 직진 상태에서 핸들에 지지하는 힘을 빼거나 핸들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고 주행하는 경우가 많다.
노면에서 직진상태인 경우 핸들의 파지를 해제하고 주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상체를 직립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으므로 시야 확보가 더 용이하고 주행상 큰 문제가 없으나 이러한 상태에서는 방향전환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위급상황에의 대처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자전거를 신체단련이나 레포츠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신체의 움직임이 골반 아래쪽의 하체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그 이외의 부위는 운동의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들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주행중 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다양한 부위의 운동이나 스트레칭이 가능하여 레포츠로서의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후륜휠을 회전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전륜휠과 함께 좌우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는 핸들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회전력을 조향축에 전달하여 안정의 회전에 의하여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장의 회전각도와 조향축의 회전각도는 상호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는, 상기 조향구동부가 상기 안장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안장기어부, 조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향기어부, 안장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기어, 조향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기어 및 제1기어와 제2기어를 연결하는 샤프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프레임의 중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향구동부는 상기 안장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안장측풀리, 조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향측풀리, 상기 안장측풀리와 조향측풀리에 궤도를 이루며 마찰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구동부에 의한 회전의 전달을 단속하는 조향단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단속부는 상기 안장축과 조향축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의 전달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단속부는 상기 안장축의 높이 또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장축과 조향축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로의 회전의 전달을 단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는, 안장의 회전에 따라 조향축이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핸들뿐만 아니라 안장에 의하여도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허리나 상체의 단련 또는 이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레포츠로 활용되는 자전거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확한 조향구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작동 신뢰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연동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의 조향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의 조향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에서 조향단속부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기본적으로, 후륜휠(120)을 회전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과, 전륜휠(110)과 함께 좌우 회동되도록 메인프레임(100)에 지지되는 조향축(310)과, 상기 조향축(310)에 연결되는 핸들부(30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조향축이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조향구동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안장(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자전거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자전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본 발명의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변형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자전거 또는 사람이 탑승하여 이동될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2륜, 3륜 내지는 4륜 이상의 안장을 구비하는 이송수단은 물론, 전륜에서 조향이 이루어지거나 후륜에서 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균등한 사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자전거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기본적으로 후륜휠(120)을 전후방향 회전지지하고 전방측에 조향이 이루어지는 조향축(310)을 좌우방향 회전지지하게 된다.
상기 조향축(310)은 상측에 핸들부(300)가 결합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프레임(미도시)과 연결되어 하측에 전륜휠(11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지지한다. 여기서, 조향축(310) 및 조향축(310)과 연결되는 전방측 프레임은 전륜휠(110)을 지지한 상태에서 함께 좌우회동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조향축(310)은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동되는 부재들을 포함한다.
핸들부(300)는 조향축(3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되 양측으로 파지가 가능한 소정의 그립부위(참조번호 미표시)가 결합된다.
안장(200)은 메인프레임(100)에 대하여 지지되는데, 대략 핸들부(300)에 대향되는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안장(200)은 상측에 이용자의 엉덩이 부위가 안착되어 주행 중에 신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안장(200)은 종래기술의 경우 메인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소한 좌우방향의 회전을 전제로 결합되는 예는 존재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안장(200)이 탈착 가능하거나 높이조절 기능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이용자가 메인프레임(100)과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조정을 한 이후에 다시 체결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주행 중의 좌우 회동의 개념과는 전혀 별개로 이해되어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상기 안장(200)이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안장(200)의 좌우 회동에 대해 조향축(310)의 좌우 회동이 연동되어 작동된다. 상기 안장(200)과 조향축(310)의 회동의 연동은 소정의 조향구동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자전거는 구동부(1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인 형태로서 상기 구동부는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페달과, 상기 페달에 제공되는 답력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동작되는 구동스프로켓과, 후륜휠(120)과 함께 회전되는 피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피동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소정의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30)의 동작은 종래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동부의 구성은 반드시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연기관이나 전기모터에 의한 구동 등의 다양한 방식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구동부가 제외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된 안장(200)과 조향축(310)의 연동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안장의 회전에 의하여 조향이 이루어지는 전륜휠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핸들부(300)의 파지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파지가 이루어지더라도 힘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동부(130)에 의한 후륜휠(120)의 토크가 발생되는 경우 직립 및 직진의 안정성이 제공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2는 직진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조향축(310)의 회전(a)과 안장(200)의 회전(b)은 연동되어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안장(200)에 안착된 엉덩이 및/또는 허벅지의 움직임에 의하여 안장(200)의 메인프레임(100)에 대한 좌우방향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후술될 바와 같은 소정의 조향구동부에 의하여 연결되는 조향축(310)이 연동되어 회전되어 전륜휠(110)이 직진방향에 대한 소정의 틸팅각도(θ)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륜휠(110)의 진행에 의하여 후륜휠(120)이 틸팅된 방향으로 추종하면서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용자는 핸들부(300)에 힘을 제공하지 않아도 안장(200)의 조작만으로 조향을 하거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시사항에서, 조향축(310)과 핸들부(300)는 함께 피동되어 움직이는 예가 도시되었는데, 경우에 따라 안장(200)의 움직임에 의하여 핸들부(300)를 제외하고 조향축(310)만이 회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조향축(310)과 안장(200) 및/또는 핸들부(300)의 회전은 상호 간에 연결이 단속될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안장(200)의 회전(b)의 각도와 조향축(310)의 회전(a)의 각도는 상호간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회전비를 가지고 조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엉덩이의 움직임에 의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허리를 비트는 동작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 각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 안장(200)의 회전에 대해 조향축(310)의 회전이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서는 안장(200)의 좌우방향의 회전에 따라 조향축(310)이 좌우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조향이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는데, 경우에 따라 안장(200)의 좌우방향의 틸팅에 의하여 조향축(310)이 좌우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조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향구동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향구동부는 안장(200)의 회동과 조향축(310)의 회동을 연동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조향구동부의 작동은 다양한 방식의 회전동력 전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장(200)과 조향축(310) 사이에 샤프트가 배치되어 베벨기어에 의하여 동력이 3개의 부재 사이에 전달되는 구성이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서의 조향구동부는 안장(200)의 회전축을 이루는 안장축(210)에 결합되는 안장기어부(211)와, 조향축(310)에 결합되는 조향기어부(311)와, 상기 안장기어부(211)에 치합되는 제1기어(411) 및 조향기어부(311)에 치합되는 제2기어(412)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샤프트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향축(310)과 안장축(210)은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안장기어부(211)와 조향기어부(311)도 좌우방향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샤프트부(410)는 상기 조향축(310)과 안장축(210)에 교차축 형식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공간적인 이점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된 3개의 직교축 간의 회전력의 전달을 위하여 안장기어부(211), 조향기어부(311), 제1기어(411) 및 제2기어(412)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관계에서 각 기어들은 랙과 피니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이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안장(200)이 회동되면, 안장축(210)과 결합된 안장기어부(211)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치합되는 제1기어(411)가 회전됨으로써 샤프트부(410) 및 제2기어(412)의 회전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제2기어(412)에 치합된 조향기어부(311)의 회전에 따라 조향축(310)이 회동되어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부(41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프레임(100)의 부위, 더욱 정확하게는 안장(200)과 핸들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프레임(100)의 중공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작동의 확실성과 내구성 및 공간적인 이점을 보장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샤프트부(410)의 회전지지를 위한 가이드프레임(101)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장(200)의 회전토크를 왜곡 없이 조향축(31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된 일실시예의 경우 동력 전달의 확실성이 있으나 부재의 무게와 개수가 증가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우려를 극복하기 위하여 벨트구동의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즉, 안장축(210)에 결합되는 안장측풀리(212)와, 조향축(310)에 결합되는 조향측풀리(312)와, 상기 안장측풀리(212) 및 조향측풀리(312) 사이에 궤도를 이루면서 마찰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배치되는 벨트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안장(200)에 의한 회전이 안장측풀리(212)에 전달되면, 벨트부(420)와의 마찰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조향측풀리(312)와 벨트부(420)와의 마찰면에서 회전동력이 조향축(310)에 전달되는 방식으로 조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후륜휠(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30)의 경우와 달리 조향구동부의 경우는 회전수나 회전토크가 비교적 작으므로 상기와 같이 마찰력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다만, 동력 전달의 확실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상기 안장측풀리(212)는 소정의 치가 구비되는 안장측스프로켓을 이루고, 조향측풀리(312)도 마찬가지로 조향측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며, 벨트부(420)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벨트부에 의한 동력전달은 체인을 통한 동력 전달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향구동부에 의하여 안장(200)과 조향축(310)의 회전이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그런데, 이용자가 하체의 운동에 집중하고자 하거나, 고속주행이 필요하거나, 기타의 안장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 불필요한 안장(200)과 조향축(310)의 연동 상태를 해제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연동 상태의 단속을 위한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상기된 일실시예의 조향구동부에 적용될 수 있는 조향단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예시로서, 안장축(210)에 안장기어부(211)가 결합되고 조향축(310)에 조향기어부(311)가 결합되며 그 사이의 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샤프트부(410)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부(410)의 전후방향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연동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410)는 두 개 이상의 막대가 연결된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이동되어 전후방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된다. 따라서, 샤프트부(410)는 제2기어(412)를 결합하는 제1샤프트(413)와 제1기어(411)를 결합하는 제2샤프트(4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410)는 두 개의 부재가 상호간에 슬라이딩 이동,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중공의 내주측에 다른 하나의 샤프트가 인입출되는 방식으로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길이의 조절을 위하여 스위치부(415)가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스위치부(415)는 레버(참조번호 미표시)를 포함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샤프트부(41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조향동력의 전달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내측에 샤프트부(410)가 배치되는 경우 스위치부(415)의 일단측은 샤프트부(410)에 연결되고 타단측은 메인프레임(100)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레버를 포함하게 된다.
도 7은 조향단속부의 제2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의 예에서는 조향구동부의 일실시예에서 샤프트부(410)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연동을 제어하는 경우가 설명되었는데, 다른 실시예의 조향단속부는 안장(200) 및 안장기어부(211) 사이에 개재되는 안장축(210)의 길이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개념이 제시된다.
이러한 안장축(210)의 길이 또는 높이의 조절을 위하여 스위치부(416)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스위치부(416)의 작동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스위치부(415)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안장축(210)이 두 개의 부재가 상호간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식으로 길이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구조적인 단순성의 제공을 위하여 스위치부(416)의 작동에 의하여 안장축(210)의 높이만이 조절됨으로써 안장기어부(211)와 제1기어(411)의 치합상태가 단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의 예에서는 안장기어부(211)와 조향기어부(311)가 하측의 단면이 넓은 원추형상으로 배치되어 도 4의 배치상태와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조향구동부의 경우 상기 안장기어부(211)와 조향기어부(311)의 배치상태는 상기와 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장기어부(211)와 조향기어부(311)가 각각 반대되는 배치상태를 이룰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장축(210)의 높이 또는 길이의 조절에 의한 연동의 단속은 조향축(310)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동력의 전달은 벨트구동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조향구동부에 적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조향단속부의 작동은 상기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향축(310) 또는 안장축(2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어 기어 사이의 치합상태를 연결 또는 해제함으로써 연동의 단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안장축(210)이 모터와 연결되고, 조향축(310)이 다른 모터에 연결되어 전기적인 연결에 의하여 회전의 연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따른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는, 안장의 회전에 따라 조향축이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핸들뿐만 아니라 안장에 의하여도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허리나 상체의 단련 또는 이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레포츠로 활용되는 자전거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확한 조향구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작동 신뢰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연동을 단속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메인프레임 101...가이드프레임
110...전륜휠 120...후륜휠
130...구동부 200...안장
210...안장축 211...안장기어부
212...안장측풀리 300...핸들부
310...조향축 311...조향기어부
312...조향측풀리 410...샤프트부
411...제1기어 412...제2기어
415, 416...스위치부 420...벨트부

Claims (8)

  1. 후륜휠을 회전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전륜휠과 함께 좌우 회동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지지되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고 파지가 가능한 그립부위를 구비하는 핸들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회전력을 조향축에 전달하여 안장의 회전에 의하여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향구동부;를 포함하며,
    핸들 및 안장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의 회전각도와 조향축의 회전각도는 상호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구동부는,
    상기 안장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안장기어부, 조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향기어부, 안장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기어, 조향기어부에 치합되는 제2기어 및 제1기어와 제2기어를 연결하는 샤프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프레임의 중공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구동부는,
    상기 안장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안장측풀리, 조향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조향측풀리, 상기 안장측풀리와 조향측풀리에 궤도를 이루며 마찰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구동부에 의한 회전의 전달을 단속하는 조향단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단속부는,
    안장축과 조향축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의 전달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단속부는,
    안장축의 높이 또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안장축과 조향축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로의 회전의 전달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KR20130094208A 2013-08-08 2013-08-08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KR10148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208A KR101485761B1 (ko) 2013-08-08 2013-08-08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208A KR101485761B1 (ko) 2013-08-08 2013-08-08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761B1 true KR101485761B1 (ko) 2015-01-28

Family

ID=5259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208A KR101485761B1 (ko) 2013-08-08 2013-08-08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36A1 (ko) * 2018-10-29 2020-05-07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1165A (ja) * 2003-06-11 2007-01-25 クハ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移動補助車両
KR20080004928U (ko) * 2007-04-21 2008-10-24 김시철 핸들이 없는 세발자전거
KR20130055858A (ko) * 2011-11-21 2013-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 및 차량 조향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1165A (ja) * 2003-06-11 2007-01-25 クハ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移動補助車両
KR20080004928U (ko) * 2007-04-21 2008-10-24 김시철 핸들이 없는 세발자전거
KR20130055858A (ko) * 2011-11-21 2013-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조향 장치 및 차량 조향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91236A1 (ko) * 2018-10-29 2020-05-07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KR20200047973A (ko) * 2018-10-29 2020-05-08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KR102174690B1 (ko) 2018-10-29 2020-11-05 변규진 3개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조향과 동시에 자연각에 의한 틸팅기능을 구사하는 역삼륜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5536029A (en) Rowing powered cycle
KR101039014B1 (ko) 페달 구동형 킥보드
GB2481230A (en) Arm powered cycle
CN103204217B (zh) 手驱动脚控制三轮代步器
US6193253B1 (en) Manual operating assembly for a vehicle
JP2016516624A (ja) 低い操舵干渉効果を示す自転車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4521024A (ja) 可動部品を制御するシステム、軽量車両用操舵システム及び前記システムを装備した三輪車
CN105492313A (zh) 配备前轮驱动手段的自行车
KR101485761B1 (ko) 안장과 연동되는 조향축을 구비하는 자전거
KR100941319B1 (ko) 조향과 동시에 틸팅되는 역삼륜 노젓기식 자전거
KR100942912B1 (ko) 손잡이부의 전후이동에 의해 조향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노젓기식 삼륜 자전거
US10882585B2 (en) Bicycle dual power turning track, rack, pinion, and one-way bearing propulsion system
KR101428876B1 (ko) 팔의 휘두름(Swing) 운동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구동 자전거
KR101099483B1 (ko) 2인용 삼륜 자전거
KR101059394B1 (ko) 수동 킥보드
JP3169458U (ja) 手漕ぎ式自転車
JP4995999B1 (ja) 三輪型車椅子
CN103950501B (zh) 手驱动前轮脚控制前轮代步器
KR200418333Y1 (ko) 전륜구동장치가 구비되는 자전거
KR101693815B1 (ko) 핸드 바이크 겸용 리컴번트 바이크
JP3144223U (ja) 後輪駆動式ペダル立ち漕ぎ自転車
KR20100134950A (ko) 손조작이 필요없는 자전거
KR20120025098A (ko) 후륜 조향식 자전거
KR20120092516A (ko) 전륜 구동이 가능한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