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966Y1 -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 Google Patents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966Y1
KR200273966Y1 KR2020010025544U KR20010025544U KR200273966Y1 KR 200273966 Y1 KR200273966 Y1 KR 200273966Y1 KR 2020010025544 U KR2020010025544 U KR 2020010025544U KR 20010025544 U KR20010025544 U KR 20010025544U KR 200273966 Y1 KR200273966 Y1 KR 200273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handle
foot
shaft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용
Original Assignee
조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흥용 filed Critical 조흥용
Priority to KR2020010025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966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발구동용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핸들축과 발판작동대을 서로 연결하여 손에 의한 핸들의 전후운동과 발에 의한 페달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계되어 자전거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작된 손발구동용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의 핸들축과 발판작동대을 서로 연결하여 손에 의한 핸들의 전후운동과 발에 의한 페달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계되어 자전거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놀때 한층더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자전거 정지시에도 페달 뿐만 아니라 핸들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조작을 보다 쉽게하므로서 반사신경이 미숙한 어린이들도 안전하게 자전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손발구동용 삼륜자전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Three wheeled bicycle}
본 고안은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핸들축과 발판작동대을 서로 연결하여 손에 의한 핸들의 전후운동과 발에 의한 페달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계되어 자전거가 구동될 수 있도록 제작된 손발구동용 삼륜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타고다니는 놀이용 자전거는 앞바퀴의 바퀴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된 크랭크페달을 교대로 밟아주어 앞바퀴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일반적이고도 단조로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되어 자전거를 사서 얼마가지 않아 창고에 방치하던가 폐기처분하는 일이 다분하였고 또한 자전거 놀이를 할때 비탈진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정지할 때는 페달을 밟은발에 힘을주어 페달의 회전을 멈추고 발을 재빠르게 땅에 착지하여 자전거를 정지하므로 자칫 반사신경이 미숙한 어린이들이 페달을 밟은 발을 떼었을때 자전거의 약간의 후진으로 당황하여 넘어져 상처를 입는 일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전거의 핸들축과 발판작동대을 서로 연결하여 손에 의한 핸들의 전후운동과 발에 의한 페달의 회전운동이 상호 연계되어 자전거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놀때 한층 더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자전거 정지시에도 페달 뿐만 아니라 핸들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조작을 보다 쉽게하므로서 반사신경이 미숙한 어린이들도 안전하게 자전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손발구동용 삼륜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핸들축의 일부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프레임 2 : 조향축 3 : 연결봉
4 : 고정브라켓트 5 : 전륜 6 : 축받이
7 : 바퀴축 8,8' : 후륜 9 : 안장
10 : 발판 11,11' : 발판작동대 12 : 핀
13,13' : 지지관 14,18 : 베어링 15,15' : 핸들
16,16' : 핸들축 17 : 고정볼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손발구동용 삼륜자전거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로서, 수평프레임(1)의 선단에 부착한 조향축( 2)과 연결봉(3)의 고정브라켓트(4)에 전륜(5)을 회전되게 설치하고 후단의 축받이(6)에 삽입한 바퀴축(7)의 양단에 후륜(8)(8')을 회전되게 설치하며, 축받이(6)의 상면에 안장(9)을 고정볼트(17)로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후륜(8)(8')의 외측면에 전후륜 간 거리에 대응하는 발판(10)이 부착된 한쌍의 발판작동대(11)(11')를 후단이 각각 상하로 180°차이가 있도록 핀(12)으로 설치하고, 선단에는 지지관(13)(13')을 베어링(14)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하여, 이에 핸들(15)(15')이 외향 절곡된 ㄱ자 형상의 핸들축(16)(16')을 고정볼트(17)로서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각 핸들축(16)(16')의 사이에는 조향축(2)과 교차설치된 연결봉(3)을 일체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축(16)(16')에는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개 이상의 베어링(1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을 실시함에서는 먼저 어린이가 안장(9)에 편안히 앉아 양발을 발판(10)에 얹어 핸들(15)(15')를 가볍게 잡은 상태에서, 발판작동대(11)(11')의 후단이 상부에 위치한 발판(10)을 발로 힘을 가하면서 전방 아래로 밀어 줌과 동시에, 이에 연결된 핸들축(16)의 핸들(15)를 가볍게 당기면서 타측의 핸들(15')를 밀어주면, 발판작동대(11)의 선단이 전방으로 전진되면서 후륜(8)을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다른쪽의 발판작동대(11')의 선단은 핸들의 미는 힘에 의해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후륜(8')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좌우발판(10)의 1회 승강작동으로 좌우 후륜(8)(8')이 180°다른 위치에서 반 바퀴 회전하여 자전거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연속적인 승강작동을 반복하게 되면 자전거를 계속 전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바퀴가 일정한 회전력을 갖게되어 자전거가 탄력을 받게되면 발은 가만히 두고 핸들(15)(15')를 전후로 가볍게 움직여서 자전거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속도가 떨어지면 손과 발을 모두 사용하여 핸들(15)(15')과 발판(10)을 동시에 구동하게 되면 추진력이 증가되어 가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향을 전환할 시에는 핸들(15)(15')를 전환코저 하는 방향으로 틀어주면 핸들축(16)(16')이 베어링(14)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며, 핸들축(16)(16')의 사이에 연결된 연결봉(3)도 함께 회전하여 조향축(2)을 회전시킴으로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한 경사각을 갖는 비탈진 오르막길을 자전거를 타고 올라갈때는 핸들(15)(15')구동과 발판(10)구동을 동시에 하게 되면 종래의 발로만 구동하는 자전거에 비해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게 됨으로 회전력이 증가되어 쉽게 올라 갈 수 있다.
그리고 정지시에는 손과 발에 서서히 힘을 주어 핸들(15)(15')의 전후운동과 발판(10)의 회전운동을 단속하여 자전거를 정지 시키게 되면 빠르고 안전하게 자전거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되고, 경사진 곳에서 자전거를 정지 상태로 유지코저 할때는 발을 땅에 착지할 필요없이 핸들(15)(15')를 가볍게 힘을 주어 잡고만 있으면 자전거가 밀림없이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밀림에 의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핸들(15)(15')에 전륜(5)과 후륜(8)(8')을 잡아주는 별도의 브레이크 손잡이를 장착하면 보다 더 안전하게 자전거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핸들축(16)(16')과 안장(9)은 고정볼트(17)로서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체격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뿐 만 아니라 어른들도 자전거를 타고 놀이를 즐길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자전거의 핸들축과 발판작동대을 서로 연결하여 손에 의한 핸들의 전후운동과 발에 의한 페달의 회전운동이 상호연계되어 자전거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어린이들이 자전거를 타고 놀때 한층더 재미를 느낄 수 있고, 자전거 정지시에도 페달 뿐만 아니라 핸들을 이용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반사신경이 미숙한 어린이들도 손으로 쉽게 자전거를 정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평프레임(1)의 선단에 부착한 조향축(2)과 연결봉(3)의 고정브라켓트(4)에 전륜(5)을 회전되게 설치하고 후단의 축받이(6)에 삽입한 바퀴축(7)의 양단에 후륜(8)(8')을 회전되게 설치하며, 축받이(6)의 상면에 안장(9)을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있어서, 후륜(8)의 외측면에 전후륜(5)(8)간 거리에 대응하는 발판(10)이 부착된 한쌍의 발판작동대(11)(11')를 후단이 각각 상하로 180°차이가 있도록 핀(12)으로 설치하고, 선단에는 지지관(13)을 베어링(14)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직 설치하여, 이에 핸들(15)(15')이 외향절곡된 핸들축(16)(16')을 고정볼트(17)로서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각 핸들축(16)(16')의 사이에는 조향축(2)과 교차설치된 연결봉(3)을 일체로 고정하여서 되는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KR2020010025544U 2001-08-23 2001-08-23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KR200273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44U KR200273966Y1 (ko) 2001-08-23 2001-08-23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544U KR200273966Y1 (ko) 2001-08-23 2001-08-23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966Y1 true KR200273966Y1 (ko) 2002-05-01

Family

ID=7310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544U KR200273966Y1 (ko) 2001-08-23 2001-08-23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9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458A (ko) * 2019-10-15 2021-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균형감각 자극 롤러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458A (ko) * 2019-10-15 2021-04-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균형감각 자극 롤러 기구
KR102280980B1 (ko) 2019-10-15 2021-07-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균형감각 자극 롤러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US6659486B2 (en) Exercise scooter
US6764088B2 (en) Pedalling machines including scooters and driving mechanisms therefor
KR100628646B1 (ko) 손발 구동 주행장치
US3913929A (en) Low center of gravity cycle
US7951049B2 (en) Training aid for bicycles and bicycle toy
US20020163159A1 (en) Foot pump scooter
JP6615610B2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US6557879B2 (en) Land rower
US20030098566A1 (en) Lever operated foot pump scooter
JP3090481U (ja) 足踏式走行方向制御可能なミニカー
KR200273966Y1 (ko) 손발 구동용 삼륜자전거
US20030052471A1 (en) Three-wheeled scooter apparatus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CN2504177Y (zh) 可用脚控制方向的微型自行车
GB2343870A (en) Cycle, scooter or exercise machine
KR100710485B1 (ko) 운동 자전거
KR101156136B1 (ko) 스탭식 킥보드
JP2003312562A (ja) 走行練習用自転車
US20070096423A1 (en) Hand-driven cycle
KR200461426Y1 (ko) 서서 타는 자전거
KR200259006Y1 (ko) 자전거
KR910000070Y1 (ko) 운동용 삼륜 자전거
KR200324633Y1 (ko) 유희용 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