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503B1 -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 Google Patents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503B1
KR101069503B1 KR1020110006433A KR20110006433A KR101069503B1 KR 101069503 B1 KR101069503 B1 KR 101069503B1 KR 1020110006433 A KR1020110006433 A KR 1020110006433A KR 20110006433 A KR20110006433 A KR 20110006433A KR 101069503 B1 KR101069503 B1 KR 10106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saddle
support
head tube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재
Original Assignee
이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재 filed Critical 이흥재
Priority to KR1020110006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운동과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강한 추진력을 갖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종래와 같이 발로 페달에 힘을 가하여 크랭크를 회전시켜 크랭크의 회전을 후륜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구동 시키는 방식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크랭크셋, 체인등의 전동수단, 스프라켓등을 구비하지 않고 자전거가 구동되게 하여 자전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무게와 부피를 대폭 줄여서 이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양손으로 자전거의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양발로 양측 발판을 교대로 누르는 동작으로 추진하거나, 양발로 양측 발판을 누르는 동작과, 양손으로 자전거의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양발로 발판에 가하는 힘을 줄이면서 둔부로 인체의 하중을 안장에 가하면서 앉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면 자전거가 추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조로 자전거를 경량화, 소형화하여 휴대와 이용이 간편하면서도 동시에 팔운동, 가슴운동, 허리운동과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로 자전거의 조향과 브레이크 조작등도 쉽게 할 수 있게 하여 전신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륜(910)과 하나 이상의 후륜(920)을 구비하고, 인체의 힘으로 구동하면서 핸들바(110)로 상기 전륜(910)을 조향할 수 있도록 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전륜(910)을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 기어로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길게 연장되어 핸들바와 연결되는 스티어 튜브(320)와,
상기 스티어 튜브(320)가 내부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 튜브(310)와, 상기 헤드튜브(310) 상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후륜(920)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 기어로 일방향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륜지지대(410)와, 이용자의 발이 수납되고 발의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과, 일단이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일단이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를 구비하여,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의 작용에 의하거나,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이나 상기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결합되는 안장 지지대를 통해 구비되는 안장과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전륜(910)과 상기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졌다 벌어졌다 하도록 하여 상기 전륜(910)과 상기 후륜(920)의 간격조절에 의해 추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
여기서 스티어 튜브(3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륜(910)이나 후륜지지대(4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륜(920)은 각각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기어를 구비하여 전륜(910)과 후륜(920)이 각각 자전거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헤드 튜브(310)의 한 부분이나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안장 지지대(513)를 결합하고 상기 안장 지지대(513)에 안장(510)을 결합하여 이용자가 안장(510)에 둔부를 걸치고 앉아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A bicycle driven by space adjustment of the front wheel and rear wheel}
본 발명은 팔운동과 다리운동과 허리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강한 추진력을 갖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종래와 같이 발로 페달에 힘을 가하여 크랭크를 회전시켜 크랭크의 회전을 후륜에 전달하여 자전거를 구동 시키는 방식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크랭크, 체인등 전동수단, 스프라켓등을 구비하지 않고 자전거가 구동되게 하여 자전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무게와 부피를 대폭 줄여서 이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양손으로 자전거의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양발로 양측 발판을 교대로 누르는 동작으로 추진하거나, 양발로 양측 발판을 누르는 동작과, 양손으로 자전거의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양발로 발판에 가하는 힘을 줄이면서 둔부로 인체의 하중을 안장에 가하면서 앉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면 자전거가 추진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조로 자전거를 경량화, 소형화하여 휴대와 이용이 간편하면서도 동시에 팔운동, 가슴운동, 허리운동과 다리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핸들로 자전거의 조향과 브레이크 조작등도 쉽게 할 수 있게 하여 전신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용의 재미와 효율성을 높이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의 힘으로 편리하게 이동하는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이용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운동도 하면서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가 많이 이용 되는데 종래의 자전거는 주로 이용자가 발로 페달에 힘을 가하여 크랭크 셋트에 의해 체인에 힘을 가하여 후륜의 스프라켓을 회전시켜 후륜이 회전되도록 하여 구동하는 자전거가 대부분이다. 또한 외발 자전거나 어린이용 삼륜 자전거는 크랭크 셋트나 체인등을 구비하지 않고 페달로 바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것이 있으나 이런 것들은 구조는 간단하나 고도의 숙련된 기술이 있거나 아주 낮은 속도만 가능하므로 일반인이 널리 이용하지는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휴대용 자전거는 페달과 크랭크 셋트와 체인과 스프라켓등을 구비하므로 무게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체인이나 스프라켓등이 빈번하게 고장을 일으키는 등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이용자가 안장에 앉아서 양다리를 양쪽으로 내려서 교대로 페달을 누르면서 양발을 원형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자전거를 추진시키므로 안장이 이용자의 전립선이나 요도에 반복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비뇨기과적인 질환을 유발하는등의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종래에는 페달과 크랭크 셋트와 체인과 스프라켓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자전거가 추진되게 하여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하면서도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강한 추진력과 속도를 낼 수 있는 자전거는 없었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양손으로 핸들을 잡고 자전거의 진행방향도 조향하며 브레이크 조작도 쉽게 하면서도, 페달과 크랭크 셋트와 체인과 스프라켓등을 이용해 자전거를 구동하지 않으면서도, 쉽게 강한 추진력과 속도를 낼 수 있고, 이용자의 전립선이나 요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염려가 없는 자전거가 크게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들손잡이를 잡은 양손으로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향하고, 브레이크 조작도 하면서 동시에 양측의 발판을 교대로 누르거나, 안장과 발판에 압력을 교대로 가하면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멀어졌다 가까워졌다 하여 자전거가 추진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의 통상적인 자전거는 프레임이 앞부분에 헤드튜브가 위치하고 헤드튜브에 탑튜브와 다운튜브의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탑튜브와 다운튜브의 타단에 시트튜브가 위 아래로 결합되며 탑튜브에 시트 스테이가 결합되고 다운튜브에 체인스테이가 결합되며 시트 스테이와 체인스테이의 타단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다운튜브와 시트튜브와 체인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바텀 브래킷이 구비되어 바텀 브래킷에 크랭크 셋이 장착된다. 그리고 시트 스테이와 체인 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후륜과,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라킷이 장착된다. 그러므로 헤드튜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 튜브가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포크와 핸들바 또는 핸들부의 스템을 직접 연결하여 이용자의 조작에 따른 핸들바의 조향을 전륜에 직접 전달하여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고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과 핸들바에 가해지는 힘을 전륜에 전달하고 다른 작용은 하지 않으며, 다운튜브와 시트튜브와 체인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바텀 브래킷에 장착되는 크랭크 셋이나 시트 스테이와 체인 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후륜과,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라킷은 상호 위치가 변경될 수 없는 상태에서 각각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이용자가 페달에 힘을 가하여 크랭크를 회전 시키고 크랭크의 회전을 후륜에 전달하여 후륜을 구동시켜서 자전거를 추진시키므로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고 크랭크 셋이나 체인등의 전동수단, 스프라켓등을 구비하므로 전체 구조가 복잡해 지고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양다리를 아래로 내려서 교대로 양발로 페달을 누르고 양발을 원형으로 돌리듯이 페달을 작동시키므로 이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안장이 둔부의 가운데 부분에 가늘게 접촉하므로 이용자의 전립선이나 요도에 자극을 많이 받아서 종종 비뇨기과적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자전거의 추진을 위한 장치를 간소화하고 이용자의 둔부를 넓게 수용하면서 전립선이나 요도에 자극을 주지않는 안장을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륜(910)과 하나 이상의 후륜(920)을 구비하고, 인체의 힘으로 구동하면서 핸들바(110)로 상기 전륜(910)을 조향할 수 있도록 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전륜(910)을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 기어로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길게 연장되어 핸들바(110)와 연결되는 스티어 튜브(320)와, 상기 스티어 튜브(320)가 내부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 튜브(310)와, 상기 헤드 튜브(310) 상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후륜(920)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 기어로 일방향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륜지지대(410)와, 이용자의 발이 수납되고 발의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과, 일단이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일단이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를 구비하여,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의 작용에 의하거나,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이나 상기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결합되는 안장 지지대(513)를 통해 구비되는 안장(510)과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전륜(910)과 상기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졌다 벌어졌다 하도록 하여 상기 전륜(910)과 상기 후륜(920)의 간격 조절에 의해 추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를 제공한다.
여기서 스티어 튜브(3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전륜(910)이나 후륜지지대(410)의 하단에 구비되는 후륜(920)은, 전륜축(911)과 전륜(910) 사이와 후륜축(921)과 후륜(920) 사이에 각각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기어를 장착하여 구비되므로 전륜(910)과 후륜(920)이 각각 자전거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고 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헤드 튜브(310)의 한 부분이나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안장 지지대(513)를 결합하고 상기 안장 지지대(513)에 안장(510)을 결합하여 이용자가 안장(510)에 둔부를 걸치고 앉아서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는 핸들 손잡이(111)(112)를 잡은 양손으로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향하고, 브레이크(135)(136) 조작도 하면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누르는 동작의 반복이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누르는 동작과 둔부로 안장(510)에 인체의 무게를 가하는 동작의 반복으로 자전거를 추진시키므로 자전거 운동시 우려되는 전립선이나 요도 질환의 염려 없이 자전거를 운행 할 수 있고 팔,다리,허리 운동이 동시에 가능하며, 구조가 아주 간단하므로 자전거를 소형화 경량화 할 수 있어 휴대하기 용이하고 이용의 편리성을 높이며 안장(510)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동작에 따라 이용자의 몸도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동작이 반복되어 재미도 향상 시키는 자전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서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에서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중 안장 지지대와 안장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중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에서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에서 전륜과 후륜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중 안장 지지대와 안장 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중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 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4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의한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는 헤드튜브(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 튜브(320)가 헤드셋(311)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단이 스템(120)으로 핸들바(110)와 연결되고, 스티어 튜브(320)의 하단에는 전륜 포크(330)가 결합되어 전륜 포크(330)에 전륜(910)이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헤드 튜브(310) 상단부 일측에 후륜(920)을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후륜지지대(410)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 된다. 그리고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륜 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시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의 타단과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결합되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전륜(910)과 핸들바(110)를 연결하는 스티어 튜브(320)가 헤드 튜브(3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이용자가 핸들바(110)를 통해 전륜(910)의 진행방향을 조향 할 수 있고, 후륜(920)을 구비하는 후륜 지지대(410)가 헤드 튜브(3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후륜지지대(410)와 헤드튜브(310)의 결합 각도의 변화에 따라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질 수도 있고 벌어질 수도 있으며, 전륜(910)과 후륜(920)이 모두 자전거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고 자전거가 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질 때는 전륜(910)은 뒤로 후진하지 않고 후륜(920)이 앞으로 전진하며,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넓어질 때는 후륜(920)은 뒤로 후진하지 않고 전륜(910)이 앞으로 전진하게 되므로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반복적으로 좁아지고 넓어지면 자전거는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는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반복적으로 좁아졌다 넓어졌다 해야 되므로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하도록 하기 위하여 헤드 튜브(310)와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과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를 구비하거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과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와 안장(510)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로서 통상의 자전거와 같이 전륜(910)과 후륜(920)이 있고 안장(510)이 있다. 그런데 핸들바(110)와 헤드튜브(310)와 전륜(910)이 있는 앞부분은 종래의 통상적인 자전거와 비슷하지만 그외에는 구조가 다르다.
종래의 통상적인 자전거는 프레임이 앞부분에 헤드튜브가 위치하고 헤드튜브에 탑튜브와 다운튜브의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탑튜브와 다운튜브의 타단에 시트튜브가 위 아래로 결합되며 탑튜브에 시트 스테이가 결합되고 다운튜브에 체인스테이가 결합되며 시트 스테이와 체인스테이의 타단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다운튜브와 시트튜브와 체인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바텀 브래킷이 구비되어 바텀 브래킷에 크랭크 셋이 장착된다. 그리고 시트 스테이와 체인 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후륜과,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라킷이 장착된다. 그러므로 헤드튜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 튜브가 바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포크와 핸들바 또는 핸들부의 스템을 직접 연결하여 이용자의 조작에 따른 핸들바의 조향을 전륜에 직접 전달하여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고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과 핸들바에 가해지는 힘을 전륜에 전달하고 다른 작용은 하지 않으며, 다운튜브와 시트튜브와 체인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바텀 브래킷에 장착되는 크랭크 셋이나 시트 스테이와 체인 스테이가 상호 결합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후륜과,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라킷은 상호 위치가 변경될 수 없는 상태에서 각각의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도시된 것처럼 헤드 튜브(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 튜브(320)가 헤드셋(311)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 튜브(310) 상단에서 스템(120)으로 핸들바(110)와 연결되고, 스티어 튜브(320) 하단에 전륜 포크(330)가 구비되고 전륜 포크(330)에 전륜(910)이 구비되고, 헤드 튜브(310) 상단부에 후륜지지대(410)의 상단이 후륜지지대 축(411)으로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 되어 있고 후륜 지지대(410)의 하단에 후륜 포크(340)가 구비되고 후륜 포크(340)에 후륜(92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륜 포크(330)에 의해 구비되는 전륜(910)이나 후륜 포크(340)에 의해 구비되는 후륜(920)은 전륜축(911)과 전륜(910) 사이와 후륜축(921)과 후륜(920) 사이에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래칫기어가 장착되어 전륜(910)이나 후륜(920)이 자전거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할 수 있게 구비된다. 그리고 헤드튜브(310)의 하단부에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가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 축(616)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 축(617)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시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으로 결합되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튜브(310)에 안장 지지대(513)가 고정결합 되어 있고 안장 지지대(513)에 안장(5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도시된 것처럼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헤드튜브(310)와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 축(616)과 후륜 지지대(410)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 축(617)의 위치에 비해 아래쪽에 있으므로 이용자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눌러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헤드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의 결합각도는 좁아지게 되고 동시에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은 가까워지게 된다.
이용자가 다시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면 헤드 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 즉 후륜 지지대 축(411)의 위치가 안장(510)보다 앞쪽에 있고 안장 지지대(513)가 헤드 튜브(310)와 결합되는 부분이 헤드 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 즉 후륜 지지대 축(411)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헤드 튜브(310)와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가 벌어지게 되고 동시에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도 3은 이용자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눌러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여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용자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A방향으로 누르면 후륜(920)은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안장(510)은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질 때는 전륜(910)과 후륜(920) 모두 자전거가 앞으로 나가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자전거가 뒤로 나가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전륜(910)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그대로 있고 후륜(920)은 회전하여 앞으로 진행하며 안장(510)이 위로 상승한다. 다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이용자가 안장(510)을 둔부로 B 방향으로 누르면 전륜(910)은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은 B" 방향으로 상승한다. 즉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멀어질 때는 후륜(920)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그대로 있고 전륜(910)은 회전하여 앞으로 진행한다. 이처럼 이용자가 발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누르거나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후륜(920)과 전륜(910)이 교대로 앞으로 구륜되면서 자전거가 앞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륜 지지대 스토퍼(415)는 헤드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의 결합 각도가 너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용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안장지지대(513)에 고정 결합하거나 다른 위치에 구비해도 무방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31,132는 브레이크 레버이고, 133,134는 브레이크 케이블이고, 135,136은 브레이크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안장 지지대(513)와 안장(510) 부분의 단면도인데 안장(510)은 안장 중심체(515)(516)와 안장 중심체(515)(516)를 둘러싸고 있는 안장 쿠션몸체(511)(512)로 구성된다. 도시된 것처럼 안장 지지대(513)와 안장축(514) 사이에 안장 지지대 베어링(518)(519)이 구비되어 안장축(514)은 자유롭게 회전되고 안장축(514)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안장 중심체(515)(516)도 자유롭게 회전되며 안장 중심체(515)(516)를 둘러싸고 있는 안장 쿠션몸체(511)(512)도 자유롭게 회전된다. 안장(510)이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이용자는 안장(510)의 위치가 변동되어도 불편하지 않게 안장(510)에 앉아서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안장 쿠션몸체(511)(512)는 이용자의 둔부에 탄력있게 적응하여 이용자의 둔부를 편하게 할 수 있는 고탄력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중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 부분의 단면도인데 도시된 것처럼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 사이에 연결대 베어링(618)(619)이 구비되어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는 각각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되고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도 자유롭게 회전되어 이용자가 발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힘을 가하면 원활하게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는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인데 도시된 것처럼 헤드 튜브(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티어 튜브(320)가 헤드셋(311)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 튜브(310) 상단에서 스템(120)으로 핸들바(110)와 연결되고, 스티어 튜브(320) 하단에 전륜 포크(330)가 구비되고 전륜 포크(330)에 전륜(910)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래칫기어로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구비되고, 헤드 튜브(310) 상단부에 후륜지지대(41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후륜 지지대축(411)으로 축결합 되어 있고 후륜 지지대(410)의 하단에 후륜 포크(340)가 구비되고 후륜 포크(340)에 후륜(920)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래칫기어로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데 전륜(910)이나 후륜(920)은 자전거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헤드튜브(310)에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륜 지지대(410)에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시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결합되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결합되어 있는 것은 도1과 도2 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도1과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헤드튜브(310)에 안장 지지대(513)가 고정결합 되어 있고 안장 지지대(513)에 안장(51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도 7과 도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후륜 지지대(410)의 일정 위치에 안장 지지대(513)가 고정결합 되어 있고 안장 지지대(513)에 안장(510)이 안장축(514)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헤드튜브(310)와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 축(616)과 후륜지지대(410)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 축(617)보다 위에 위치하므로 이용자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눌러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헤드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의 결합각도는 벌어지게 되고 동시에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은 멀어지게 된다. 이용자가 다시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면 헤드 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지지대 축(411)의 위치가 안장(510)의 위치에 비해 앞쪽에 있고 안장 지지대(513)가 후륜 지지대(410)와 결합되는 부분이 헤드 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륜 지지대 축(411)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있으므로 헤드 튜브(310)와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가 좁아지게 되고 동시에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도 9는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여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이용자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눌러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멀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여 A방향으로 누르면 후륜(920)은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은 A"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질 때는 전륜(910)과 후륜(920) 모두 자전거가 앞으로 나가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자전거가 뒤로 나가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능하므로 전륜(910)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그대로 있고 후륜(920)은 회전하여 앞으로 진행하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이 위로 상승한다. 다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이용자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B 방향으로 누르면 전륜(910)은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안장은 B" 방향으로 상승한다. 즉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멀어질 때는 후륜(920)은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그대로 있고 전륜(910)은 회전하여 앞으로 진행한다. 이처럼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거나 발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누르는 동작을 반복하면 후륜(920)과 전륜(910)이 교대로 앞으로 구륜되면서 자전거가 앞으로 추진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륜 지지대 스토퍼(413)(414)는 헤드튜브(310)와 후륜지지대(410)의 결합 각도가 너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용이 원활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후륜지지대 연결 브라켓(412)에 고정 결합하거나 다른 위치에 구비해도 무방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31,132는 브레이크 레버이고, 133,134는 브레이크 케이블이고, 135,136은 브레이크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안장 지지대(513)와 안장(510) 부분의 단면도인데 도시된 것처럼 안장 지지대(513)와 안장축(514) 사이에 안장 지지대 베어링(518)이 구비되어 안장축(514)은 자유롭게 회전되고 안장축(514)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안장 중심체(515)(516)도 자유롭게 회전되며 안장 중심체(515)(516)를 둘러싸고 있는 안장 쿠션몸체(511)(512)도 자유롭게 회전된다. 안장(510)이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이용자는 안장(510)의 위치가 변동되어도 불편하지 않게 안장(510)에 앉아서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중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614)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 부분의 단면도인데 도시된 것처럼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와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 사이에 연결대 베어링(618)(619)이 구비되어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는 각각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되고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615)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도 자유롭게 회전되어 이용자가 발로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힘을 가하면 원활하게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하나의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타단이 일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륜 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하나의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이 일측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헤드튜브(310)의 다른 한 부분에 다른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타단이 타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륜 지지대(410)의 다른 한 부분에 다른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이 타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용자가 상기 일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을 발로 누르면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용자가 타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을 발로 누르면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이용자가 발로 양측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교대로 눌러서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을 좁아지게도 하고 간격을 벌어지게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가하는 하중을 조절하지 않고서 양발만으로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을 좁아지게도 하고 간격을 벌어지게 하여 자전거를 추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4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3에 도시한 일실시예에 구비되는 안장(510)을 구비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에 이용자는 양손으로 핸들바(110)를 잡고 양발로 양측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각각 한 발씩 올려놓고 서서 교대로 양발을 눌렀다 떼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면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졌다 벌어졌다 하여 자전거가 추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자전거의 전륜(910)과 후륜(920)이 자전거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기 위하여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이나 래칫기어를 적용하여도 무방한 것이고 공지되어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과 래칫기어의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것처럼 본 발명은 페달이나 크랭크 셋트, 체인등의 전동수단이나 스프라켓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로 자전거를 추진 시키므로써 자전거의 무게와 부피를 크게 줄여서 휴대와 이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바(110)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레버(131)(132)로써 브레이크(135)(136)를 작동시켜서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고, 이용자의 둔부가 위 아래로 올라갔다 내려왔다 하므로 재미와 운동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및 경력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므로 위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0 : 핸들바 111,112 : 핸들 손잡이 120 : 스템 131.132 : 브레이크 레버 133,134 : 브레이크 케이블 135, 136 : 브레이크 310 : 헤드 튜브 311 : 헤드셋 320 : 스티어 튜브 330 : 전륜 포크 340 : 후륜포크 410: 후륜 지지대 411: 후륜 지지대 축 412 : 후륜 지지대 연결 브라켓 413, 414, 415 : 후륜 지지대 스토퍼 510 : 안장 511,512 : 안장 쿠션몸체 513 : 안장지지대 514 : 안장축 515, 516 : 안장 중심체 518,519 : 안장 지지대 베어링 611, 612 :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 613 :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 614 :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 615 :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축 616: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 축 617: 발판 후륜 지지대 연결대 축 618,619 : 연결대 베어링 910 : 전륜 911 : 전륜축 920 : 후륜 921 : 후륜축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전륜(910)과 하나 이상의 후륜(920)을 구비하고, 인체의 힘으로 구동하면서 핸들바(110)로 상기 전륜(910)을 조향할 수 있도록 된 자전거에 있어서,
    하단에 상기 전륜(910)을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기어로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며 길게 연장되어 상기 핸들바(110)와 연결되는 스티어 튜브(320)와,
    상기 스티어 튜브(320)가 내부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헤드튜브(310)와,
    상기 헤드튜브(310) 상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길게 연장되며 타단에 상기 후륜(920)이 통상의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이나 통상의 래칫기어로 일방향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륜지지대(410)와,
    이용자의 발이 수납되고 발의 압력에 의해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과,
    일단이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613')와,
    일단이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614')를 구비하여,
    상기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와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이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에 동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613')와 복수로 구비되는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614')중에서
    하나의 상기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의 타단과 하나의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에는 일측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발판 헤드 튜브 연결대(613')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에는 타측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이나 상기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결합되는 안장 지지대(513)를 통해 구비되는 안장(510)과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의 작용에 의하거나,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전륜(910)과 상기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졌다 벌어졌다 하도록 하여 상기 전륜(910)과 상기 후륜(920)의 간격조절에 의해 추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안장 지지대(513)가 고정결합되고 안장지지대(513)에 안장(510)이 구비되어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면 상기 헤드튜브(310)와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가 벌어지고, 이용자가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누르면 상기 헤드튜브(310)와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가 좁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안장 지지대(513)가 고정결합되고 안장지지대(513)에 안장(510)이 구비되어 이용자가 둔부로 안장(510)에 하중을 가하면 상기 헤드튜브(310)와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가 좁아지고, 이용자가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612)을 발로 누르면 상기 헤드튜브(310)와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결합각도가 벌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에 하나의 상기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상기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타단이 일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하나의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이 일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튜브(310)의 다른 한 부분에 다른 상기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상기 발판 헤드튜브 연결대(613')의 타단이 타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륜 지지대(410)의 다른 한 부분에 다른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상기 발판 후륜지지대 연결대(614')의 타단이 타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용자가 일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1)을 발로 누르면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좁아지고, 이용자가 타측 상기 전후륜 간격조절 발판(612)을 발로 누르면 전륜(910)과 후륜(920)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튜브(310)의 한 부분이나 상기 후륜지지대(410)의 한 부분에 결합되는 안장 지지대(513)와 안장(510)에 있어서, 안장(510)은 안장 중심체(515)(516)와 안장 중심체(515)(516)를 둘러싸고 있는 안장 쿠션몸체(511)(512)로 구성되고, 안장 지지대(513)와 안장축(514) 사이에 안장 지지대 베어링(518)(519)이 구비되어 안장축(514)이 자유롭게 회전되고, 안장축(514)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 안장 중심체(515)(516)도 자유롭게 회전되며, 안장 중심체(515)(516)를 둘러싸고 있는 안장 쿠션몸체(511)(512)는 탄성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KR1020110006433A 2011-01-21 2011-01-21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KR10106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33A KR101069503B1 (ko) 2011-01-21 2011-01-21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433A KR101069503B1 (ko) 2011-01-21 2011-01-21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503B1 true KR101069503B1 (ko) 2011-09-30

Family

ID=4495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433A KR101069503B1 (ko) 2011-01-21 2011-01-21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6071A (zh) * 2018-05-29 2018-10-26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车架及摩托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537A2 (de) 1983-08-04 1985-03-20 Baldur Ossenbrink Laufrad
JP2005239032A (ja) 2004-02-27 2005-09-08 Univ Nihon 折りたたみ式電動二輪車
KR20060079154A (ko) * 2006-04-13 2006-07-05 박경희 편심 풋패드
KR20110000541A (ko) * 2010-12-15 2011-01-03 박경희 전륜구동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4537A2 (de) 1983-08-04 1985-03-20 Baldur Ossenbrink Laufrad
JP2005239032A (ja) 2004-02-27 2005-09-08 Univ Nihon 折りたたみ式電動二輪車
KR20060079154A (ko) * 2006-04-13 2006-07-05 박경희 편심 풋패드
KR20110000541A (ko) * 2010-12-15 2011-01-03 박경희 전륜구동자전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6071A (zh) * 2018-05-29 2018-10-26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车架及摩托车
CN108706071B (zh) * 2018-05-29 2024-02-27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车架及摩托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08B2 (en) Rear-pedaling standing type bicycle structure
US5272928A (e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power to a rotating member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EP1904188B1 (en) Mobile elliptically driven device
US6764088B2 (en) Pedalling machines including scooters and driving mechanisms therefor
KR100928462B1 (ko) 수동 주행기구
US4976451A (en) Human powered vehicle
JP6615610B2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US6105985A (en) Hand and foot powered bicycle
US11702170B2 (en) Extreme labor-saving bicycle
US5653663A (en) Arm and leg powered cycle and method of use thereof
JP3101174U (ja) 自転車
CN109353441B (zh) 一种直立踏步式自行车
KR101069503B1 (ko)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KR101059394B1 (ko) 수동 킥보드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JP3122503U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車椅子
KR20120119811A (ko) 원호형 내치차 프레임으로 후륜을 구동하는 자전거
KR100710485B1 (ko) 운동 자전거
GB2343870A (en) Cycle, scooter or exercise machine
KR101237553B1 (ko) 핸들바를 앞뒤로 왕복시키는 동작으로 전륜을 구동하는 킥보드
ES2304193B1 (es) Vehiculo biciclo o triciclo de accionamiento manual mediante la fuerza de los brazos y/o de las piernas.
CN201538415U (zh) 三轮变速自行车的新型手杆驱动与转向装置
KR100779302B1 (ko)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RU2239578C1 (ru) Велосипед для езды в положении полуле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