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835Y1 -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835Y1
KR200236835Y1 KR2020010008694U KR20010008694U KR200236835Y1 KR 200236835 Y1 KR200236835 Y1 KR 200236835Y1 KR 2020010008694 U KR2020010008694 U KR 2020010008694U KR 20010008694 U KR20010008694 U KR 20010008694U KR 200236835 Y1 KR200236835 Y1 KR 200236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block
kickboard
rear wheel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관
Original Assignee
김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관 filed Critical 김용관
Priority to KR2020010008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835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킥보드의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제동능력과 급제동이 가능하고 제동시 안정성을 유지토록 한 것으로, 이는 상기 보오드 프레임(10)의 저면에 형성되고 힌지축(21)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면서 일측면에는 뒷바퀴(11)에 밀착되는 요홈형의 제동면(22)과 상단에 와이어(71)가 연결되는 연결공(23), 그리고 타측면에 핀공(24)을 가지는 브레이크 블록(20)과; 상기 브레이크 블록(20)의 핀공(24)에 일측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코일스프링(40)과 연결되고 일측이 링크(50)와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진퇴작동되는 콘넥터 링크(30)와; 상기 보오드 프레임(10)의 저면에 보울트(63)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사각함체형으로 형성되는 호울더(60)와; 상기 호울더(60)내에 형성되면서 일측단은 콘넥터 링크(30)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호울더(60)의 걸림고리(61)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블록(20)을 당겨 뒷바퀴(11)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작용하는 코일스프링(40)과; 상기 킥보드(100)의 일측 손잡이(17)에 형성되고 케이블(7)에 감싸인채로 브레이크 블록(20)과 연결되는 와이어(71)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레버(8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Brake of Quick Board}
본 고안은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킥보드의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그 구성을 간단히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제동능력과 급제동이 가능하고 제동시 안정성을 최대한 유지토록 하며, 또한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발명을 개량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이동에 따른 기동성과 함께 신체단련에 따른 운동성과 흥미유발에 따른 유희성을 동시에 가지는 어린이들의 운동기구인 것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이 어린이들의 운동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청소년 및 젊은 직장인들의 레포츠 기구와 더불어 실내,외의 짧은 거리에서의 이동수단으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킥보드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최소의 부피로 접을 수 있어 운반성 및 보관성이 용이하고, 별도의 동력없이 사용자의 발만으로도 구름력을 제공할 수 있어 뛰어난 속도감 및 기동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동수단으로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이러한 킥보드의 대체적인 종래의 구성은 한발 또는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체형의 보오드 프레임과, 이 보오드 프레임의 전면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는 핸들스템과, 상기 보오드 프레임 및 핸들스템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구름력을 제공하는 전.후바퀴와, 핸들스템에 수직으로 체결되어 전면바퀴를 조향토록 하는 핸들봉과, 상기 핸들봉의 상단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봉의 손잡이를 잡고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전면 외바퀴를 핸들로 조작하여 방향조절이 가능하고, 보오드 프레임에 한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한발로 지면을 구동하여 주행력을 얻음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킥보드는 뛰어난 기동성 및 운동성, 그리고 유희성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제동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어린이들의 안전사고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안된 킥보드에도 브레이크장치가 갖추어져 있지만, 이는 뒷바퀴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를 뒷바퀴의 중심을 향해 발로 눌러서 제동하는 일명 풋 브레이크 시스템(Foot Brake system)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제동력을 충분히 얻지 못하고 있다.
즉, 덮개의 누르는 힘에 의해 뒷바퀴에 마찰력을 가하여 제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많은 힘이 요구되어 제동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뒷바퀴를 위에서 누르는 힘만으로는 구조적인 특성상 효과적인 제동력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내리막길이나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제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발을 몸의 뒷쪽으로 이동하여 덮개를 눌러주어야 함으로써 제동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제동시 한발을 뒤로 이동시켜 힘을 가하여야 함으로써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누르는 힘에 비례하여 제동력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어린이의 경우 강하게 누르기가 쉽지 않아 결국 제동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손을 이용하여 제동할 수 있는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안하여 발명 및 고안으로써 선출원한 바 있다.
즉, 상기한 선출원 발명 및 고안은 킥보드에 손으로서 제동력을 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주행중 제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핸들에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를 간편하게 당기는 것만으로 뛰어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출원에 있어서는 작동의 편리성과 더불어 제동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등 선출원에서 목적하는 바는 충분히 달성할 수 가 있었으나,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하여 제조에 어려움이 있어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선출원의 구조에 있어서는 브레이크가 슬라이드식으로 작동되어 바퀴측에 제동력을 가하는 구성임에 따라 제동에 따른 많은 힘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에 대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킥보드에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을 형성하되 그 구조를 간단히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뛰어난 제동력을 갖도록 하는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의 킥보드에 새로운 형태의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을 장착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고안 핸드 브레이크 장치는 보오드 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진퇴작동되는 콘넥터 링크와, 이 콘넥터 링크의 진퇴작동에 의해 힌지축을 지점으로 회동작동되어 뒷바퀴측에 제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브레이크 블록과, 상기 브레이크 블록과 와이어로 연결되면서 핸들의 손잡이에 형성되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브레이크 레버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킥보드의 측면구성도
도 2는 도1의 평면구성도
도 3은 도2의 요부를 단면하여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2의 측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도6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9은 도8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 : 보오드 프레임
11 : 뒷바퀴 12 : 풋 브레이크
13 : 힌지축 14 : 조절레버
15 : 핸들스템 16 : 핸들봉
17 : 손잡이 18 : 전면바퀴
20 : 브레이크 블록 21 : 힌지축
22 : 제동면 23 : 연결공
24 : 핀공 30 : 콘넥터 링크
40 : 코일스프링 50 : 링크
60 : 호울더 61 : 걸림고리
62 : 나사공 63 : 보울트
64 : 체결공 70 : 케이블
71 : 와이어 80 : 브레이크 레버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킥보드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킥보드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킥보드(100)는 사용자의 한발 또는 두발을 선택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판체형의 보오드 프레임(10)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길게 갖추어 형성되고, 보오드 프레임(10)의 후면상에는 공회전이 가능한 뒷바퀴(11)가 장착되며, 이 뒷바퀴(11)의 상부에는 덮개형의 풋 브레이크(12)가 형성된다.
풋 브레이크(12)는 힌지축(12a)에 의해 보오드 프레임(10)과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고, 힌지축(12a)에는 코일형의 복귀스프링(12b)이 장착되어 복귀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행중에 제동을 하기 위하여 한발로 풋 브레이크(12)를 상부에서 누르게 되면, 풋 브레이크(12)는 힌지축(12a)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면서 뒷바퀴(11)에 마찰력을 가하게 되어 제동을 이루게 되는 것이고, 누르는 힘이 해제되면 복귀스프링(12b)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 보오드 프레임(10)의 전면에는 힌지축(13)으로 연결되어 조절레버(14)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13)을 지지점으로 절첩이 가능한 핸들스템(15)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핸들스템(15)에는 핸들봉(1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핸들봉(16)은 그 길이를 안테나식으로 절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핸들스템(15)에 지지된채로 회전가능하고, 상부에는 손잡이(17)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전면바퀴(18)가 공회전 가능토록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17)를 잡고 핸들봉(16)의 조작에 따라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17) 및 핸들봉(16)을 접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들스템(15)의 절첩에 따라 킥보드(100) 전체를 최소의 부피로 접어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킥보드(100)에 손으로 작동하여 제동력을 갖도록 하는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을 형성한 것이다.
이는 보오드 프레임(10)의 저면에 뒷바퀴(11)를 향해 회동작동되어 제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브레이크 블록(20)이 형성된다.
브레이크 블록(20)은 힌지축(21)에 의해 보오드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고, 후방에는 뒷바퀴(11)의 외표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면(22)을 갖추어 구성됨과 동시에 상단측에는 후술할 브레이크 레버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연결공(23)을 가진다.
상기 제동면(22)은 뒷바퀴(11)의 외표면에 밀착 될시 안정되고도 우수한 마찰력을 갖도록 요홈으로 형성되고, 이의 후면상에는 핀공(24)이 형성되어 콘넥터 링크(30)의 일측단과 축핀으로서 축결합된다.
상기 콘넥터 링크(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금속편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블록(20)의 후면에 형성된 핀공(24)과 축핀으로 축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타측단은 코일스프링(40)과 연결된다.
또 콘넥터 링크(30)의 일측에는 링크(50)가 축결합되어 이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되고, 링크(50)는 후술할 호울더에 축결합되어 콘넥터 링크(30)의 진퇴작동을 안정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넥터 링크(30)는 풋 브레이크(12)의 작동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0)은 호울더(60)내에 형성되어 콘넥터 링크(30)를 항상 당겨주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코일스프링(40)은 사각형 호울더(60)내에 형성되면서 일측단은 콘넥터 링크(30)에 타측단은 사각형 호울더(60)내의 걸림고리(61)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콘넥터 링크(30)를 항상 인장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는 콘넥터 링크(30)가 브레이크 블록(20)을 뒷바퀴(11)로 부터 이탈시켜 킥보드(100)의 주행중에는 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호울더(60)는 철판을 사각함체형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각가 나사공(62)이 형성되어 보오드 프레임(10)과 보울트(63)로 고정되며, 일측단에는 전술한 링크(50)가 축결합됨과 동시에 타측단에는 체결공(64)이 형성되어 케이블이 장착된다.
이러한 호울더(60)의 기존의 킥보드에 별다른 구조의 변경없이도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호울더(60)의 체결공(64)를 통하여 케이블(70)이 장착되고, 이 케이블(70)의 와이어(71)는 그 끝단이 전술한 브레이크 블록(20)의 연결공(23)에 별도의 캡으로서 연결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71)의 인장력에 의해 브레이크 블록(20)은 힌지축(21)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시킴으로써 반대측의 제동면(22)이 뒷바퀴(11)에 밀착되어져 제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70)의 와이어(71)는 손잡이(17)에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80)와 연결되어 이의 작동에 의해 작용된다.
브레이크 레버(80)는 일측 손잡이(17)에 체결밴드로서 고정설치되어 사용자가 킥보드(100)를 주행중에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브레이크 레버(80)는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손쉽게 제동력을 가할 수가 있다.
또한, 와이어(71)는 통상에서와 같이 후렉시블한 철선으로 형성되고 외부에는 케이블(70)이 피복되어 유동자재한 상태에서도 인장이 가능하며, 케이블(70)은 일측단이 브레이크 레버(80)의 전단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브레이크 블록(20)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와이어(71)는 핸들봉(16)과 핸들스템(17)의 내부와 보오드 프레임(10)의 저면을 거쳐 브레이크 블록(20)과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는 전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킥보드(100)의 주행에는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은 통상의 킥보드에 큰 구조적인 변화없이도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나 간편하고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킥보드(100)는 손잡이(17)를 잡고 한발을 보오드 프레임(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한발로 지면을 구름함으로써 주행을 할수 있고, 주행이 이루어지면 나머지 한발을 들거나 또는 양발 모두를 보오드 프레임(10)에 올려놓음으로써 승용감 및 속도감을 만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행중에 킥보드를 정지하고자 할 경우나 또는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여 킥보드(100)를 제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17)에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80)를 간단히 당겨서 제동할 수가 있다.
브레이크 레버(80)를 당겨주게 되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71)가 케이블(70)에 지지된채로 보오드 프레임(10) 저면에 브레이크 블록(20)을 회동시키게 됨으로써 이 브레이크 블록(20)이 뒷바퀴(12)에 제동력을 가하게 된다.
즉, 도6과 같은 상태에서 도7과 같은 상태로 브레이크 블록(20)이 와이어(71)에 의해 당겨져 힌지축(21)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됨으로써 반대측의 제동면(22)이 뒤바퀴(12)의 외표면에 강하게 밀착되어져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동면(22)은 내측으로 오목한 요홈을 가지게 됨으로써 뒷바퀴(11)의 외표면에 안정되고도 용이하게 밀착되어 뛰어난 제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요홈은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삼각형 요홈을 형성하여 점접촉에 의한 제동력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나, 바퀴의 외표면에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반원형의 요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블록(20)은 회동작동되면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넥터 링크(30)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콘넥터 링크(30)는 링크(50)에 지지된채로 이동작동되면서 코일스프링(30)을 수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동면(22)내에 제동력을 배가할 수 있는 라이닝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의 반대로 브레이크 레버(80)를 놓게 되면, 수축되었던 코일스프링(30)의 복귀력에 의해 브레이크 블록(20)이 뒷바퀴(11)로 부터 이탈되어 제동력을 해제하게 된다.
즉, 코일스프링(30)의 복귀력으로 콘넥터 링크(40)를 후퇴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콘넥터 링크(40)는 브레이크 블록(20)을 뒷바퀴(11)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 10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전술한 구조에서 풋 브레이크(12)의 설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풋 브레이크(12)의 제동력을 배가토록 형성한 것이다.
즉, 보오드 프레임(10)을 뒷바퀴(11)의 후방으로 연장한 후, 힌지축(12a)으로 풋 브레이크(12)를 장착하여 복귀스프링(12b)에 의해 탄력지지토록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풋 브레이크(12)의 설치위치가 뒷바퀴(11)의 후방으로 위치함에 따라 풋 브레이크(12)는 뒷바퀴(11)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압됨으로써 제동력이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8 및 도 9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있다.
이는 최종적으로 뒷바퀴(11)에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블록(20)의 위치를 뒷바퀴(11)의 중심선으로부터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뒷바퀴(11)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중심선의 상부에서 걸리게 됨으로써 제동력이 배가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관련부품을 전술한 실시예의 반대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상기와 같이 관련부품들의 설치위치를 달리함에 따라 설치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풋 브레이크(12)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보오드 프레임(10)을 후방으로 연장한 후 뒷바퀴(11)의 후방에서 힌지축(12a)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풋 브레이크(12)가 뒷바퀴(11)를 가압함에 있어 뒷바퀴(11)의 회전방향을 따라 가압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구조보다는 제동력이 더욱 배가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도 11에서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는 전술한 본 고안의 구조를 더욱 간편하게 구성한 것으로, 브레이크 블록(20)의 후방인 보오드 프레임(10)상에 고정브라켓트(41)를 형성하고, 이 고정브라켓트(41)와 브레이크 블록(20)을 직접 코일형 복귀스프링(40a)으로 연결하며, 또한 브레이크 케이블(70)의 끝단은 보오드 프레임(10)상에 고정되는 또다른 브라켓트(42)에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복귀스프링(40a)의 인장력에 의해 브레이크 블록(20)이 뒷바퀴(11)로 부터 이탈됨으로써 브레이크가 해제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브레이크 레버(80)를 당겨주면 브레이크 블록(20)이 힌지축(21)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면서 제동면(22)이 뒷바퀴(11)에 밀착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킥보드에 큰 구조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고도 핸드 브레이크 장치를 적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함으로써 제조가 손쉽고 작동도 단순하여 우수한 작동성과 더불어 매우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정된 작동성으로 주행에 따른 균형을 최대한 유지한 상태에서도 큰 힘을 가하지 않고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이고도 우수한 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킥보드를 주행중 긴급한 상황이 발생시 제동에 요하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급제동이 가능한 등 안전성의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판체형 보오드 프레임의 저면에 전.후 외발 바퀴를 가지면서 핸들스템으로 연결되는 핸들봉의 손잡이로 방향조절이 가능한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보오드 프레임(10)의 저면에 형성되고 힌지축(21)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면서 일측면에는 뒷바퀴(11)에 밀착되는 요홈형의 제동면(22)과 상단에 와이어(71)가 연결되는 연결공(23), 그리고 타측면에 핀공(24)을 가지는 브레이크 블록(20)과;
    상기 브레이크 블록(20)의 핀공(24)에 일측단이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코일스프링(40)과 연결되고 일측이 링크(50)와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진퇴작동되는 콘넥터 링크(30)와;
    상기 보오드 프레임(10)의 저면에 보울트(63)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사각함체형으로 형성되는 호울더(60)와;
    상기 호울더(60)내에 형성되면서 일측단은 콘넥터 링크(30)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호울더(60)의 걸림고리(61)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블록(20)을 당겨 뒷바퀴(11)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작용하는 코일스프링(40)과;
    상기 킥보드(100)의 일측 손잡이(17)에 형성되고 케이블(7)에 감싸인채로 브레이크 블록(20)과 연결되는 와이어(71)를 작동시켜 제동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레버(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의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블록(20)을 뒷바퀴(11)의 중심선보다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킥보드의 브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블록(20)은 그 후방에서 보오드 프레임(10)에 형성된 고정브라켓트(41)와 코일형 복귀스프링(40a)으로 직접 연결하여 이의 인장력으로 복귀력을 갖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킥보드 브레이크장치.
KR2020010008694U 2001-03-29 2001-03-29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KR200236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694U KR200236835Y1 (ko) 2001-03-29 2001-03-29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694U KR200236835Y1 (ko) 2001-03-29 2001-03-29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835Y1 true KR200236835Y1 (ko) 2001-10-10

Family

ID=7306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694U KR200236835Y1 (ko) 2001-03-29 2001-03-29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8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79A (ko) * 2021-11-01 2023-05-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용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079A (ko) * 2021-11-01 2023-05-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용 제동장치
KR102616923B1 (ko) 2021-11-01 2023-12-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전류 브레이크를 이용한 전동킥보드용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3510A (en) Brake system for bicycles
US6517096B2 (en) Shock absorbing device used in a bicycle to reduce shock transmitted to a handlebar
US4102439A (en) Torque reaction operated bicycle braking system and mounting structure
US6311805B1 (en) Balanced braking system for a bicycle
US20050230930A1 (en) Scooter
JP2009517281A (ja) 二輪車用のローラー付きスタンド
US4515362A (en) Exercise tricycle
KR200236835Y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JPS632388Y2 (ko)
KR200263265Y1 (ko) 킥보드의 핸드 브레이크장치
US20020084612A1 (en) Scooter brake system
JP3223072U (ja) スクータ
KR200225632Y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KR100378617B1 (ko) 킥보드의 브레이크장치
US20020017768A1 (en) Rollerboard
JPH0322355B2 (ko)
KR20090065487A (ko) 자전거용 보조 구동장치
JP3100104B2 (ja) 滑降用乗物
KR200202890Y1 (ko) 휴대용 2륜스쿠터
JPS6341273Y2 (ko)
KR200339041Y1 (ko) 바퀴달린 썰매
KR200240087Y1 (ko) 킥보드
KR100452140B1 (ko) 스케이트보드용 트럭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이트보드
JPH03126761U (ko)
JP2002089595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