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973Y1 - 자전거 - Google Patents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973Y1
KR200239973Y1 KR2020000029251U KR20000029251U KR200239973Y1 KR 200239973 Y1 KR200239973 Y1 KR 200239973Y1 KR 2020000029251 U KR2020000029251 U KR 2020000029251U KR 20000029251 U KR20000029251 U KR 20000029251U KR 200239973 Y1 KR200239973 Y1 KR 200239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caffold
bicycle
handl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철
Original Assignee
허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철 filed Critical 허승철
Priority to KR2020000029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973Y1/ko

Link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조향용 핸들과, 그 핸들의 하단부에 결합된 앞바퀴와, 상기 핸들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 전단부는 상기 핸들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발판부가 마련된 한 쌍의 발판조립체와, 상기 각 발판부 하부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뒷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을 지면의 연직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이면서 사용자의 발들을 통해 상기 각 발판부에 교번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진행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각 발판조립체는, 상기 핸들에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1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와, 상기 발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2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자전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사용자의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할 수 있는 싱싱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하체뿐만이 아니라 상체도 함께 움직여 전진하므로 운동효과가 뛰어난 자전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사용자가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할 수 있는 소위 싱싱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페달을 운행자의 발로 밟아돌리면서 이동하는 기구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전거는 상체는 별로 움직이지 않고 하체만으로 페달을 돌리므로 운동효과가 제한적이며 또한 바퀴를 돌리는 체인이 자주 이탈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체인을 다시 끼우는 데에 번거러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하여 체인이 필요없는 새로운 개념의 자전거가 개발되었으며 그 일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자전거(상표명:트리케, Trikke)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상기 체인이 없는 자전거(10)를 설명하면 상기 자전거는 조향용 핸들(1)과, 한 쌍의 발판조립체(5,6)와, 받침부(4)와, 슬라이딩부(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조향용 핸들(1)은 그 핸들(1)의 하단부에 앞바퀴(2)가 결합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a)를 잡고 좌우로 회전시켜 자전거(10)의 진행방향을 조정한다.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6)는 각각 제1부재(11)와, 제2부재(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재(11)의 일단은 상기 핸들(1)과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2부재(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12)의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발판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13)의 하측에는 각각 뒷바퀴(15)들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1)에 의하여 상기 핸들(1)에 고정되어 있으며, 평행한 두 개의 봉(43)과 그 두 개의 봉을 가운데서 연결한 연결봉(44)으로 구성되어 전면에서 보아 'H'자를 눕힌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받침부(4)의 평행한 두 개의 봉이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의 각 제1부재(11)의 그 상면과 하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연결봉(44)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핸들(1)과 볼트(41)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3)는 지지축(38)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세 개의 짧은 원형의 중공형 봉인 제1봉(31), 제2봉(32), 제3봉(33)으로 구성되며 각 봉(31,32,33) 들은 서로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 개의 봉(31,32,33) 중에서 가운데 봉인 제2봉(32)은 상기 핸들(1)에 고정되며 나머지 두 개의 봉인 제1봉(31)과 제3봉(33)은 각각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의 각 제1부재(11)들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체인이 없는 자전거(10)는 다음과 같이 전진한다.
먼저, 사용자가 핸들(1)의 손잡이부(1a)를 잡은 상태에서 한 발을 상기 한쌍의 발판조립체(5) 중에서 왼쪽 발판조립체의 발판부(13)에 올려놓고 나머지 한 발로 지면을 수회 밟으며 전진방향으로 나간다. 그러다가 나머지 한 발을 오른쪽 발판조립체(5)의 발판부(13)에 올려놓아 완전하게 상기 자전거(10)에 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핸들(1)을 좌측으로 기울인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4)가 상기 핸들(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부(4)는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 중에서 좌측의 발판조립체(5)의 제1부재(11)에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우측의 발판조립체(5)의 제1부재(11)에는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좌측의 제1부재(11)는 상기 슬라이딩부(3)의 제3봉(33)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3봉(33)은 제2봉(3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봉(33)이 자전거(10)의 전진방향으로 조금 회전(도 1의 A)되면서 상기 받침부(4)가 좌측의 제1부재(11)를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한 힘은 상쇄된다. 그리고 우측의 제1부재(11)는 상기 슬라이딩부(3)의 제1봉(31)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봉(31)은 제2봉(3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봉(31)이 자전거(10)의 후진방향으로 조금 회전(도 1의 A)되면서 상기 받침부(4)가 우측의 제1부재(11)를 지면과 반대방향으로 가한 힘은 상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는 지면에 그대로 접촉한 채로 상기 핸들(1)이 좌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앞바퀴(2)도 지면에 수직한 연직면에 대해서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발판조립체(5)의 각 제1부재(11)들이 상기 핸들(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핸들(1)의 기울어짐이 각 발판조립체(11)에도 전달되고 따라서 한 쌍의 발판조립체(11)에 결합된 양 뒷바퀴(14)도 연직면에 대해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좌측 발판부(13)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렸으므로 좌측 발판조립체(5)에 결합된 뒷바퀴(14)와 지면과의 마찰력이 주(主)가 되고, 또한 처음에 사용자의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자전거(10)가 전진되도록 가속도를 제공하였으므로 이 가속력과 상기 마찰력으로 자전거(10)가 전진방향으로 계속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을 우측으로 기울이면 상기한 과정과 동일하게, 상기 받침부(4)가 상기 핸들(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부(4)는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 중에서 좌측의 발판조립체(5)의 제1부재(11)에는 핸들(1)을 좌측으로 기울였을 때와 반대로 지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우측의 발판조립체(5)의 제1부재(11)에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좌측의 제1부재(11)는 상기 슬라이딩부(3)의 제3봉(33)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3봉(33)은 제2봉(3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봉(33)이 자전거(10)의 후진방향으로 조금 회전(도 1의 A)되면서 상기 받침부(4)가 좌측의 제1부재(11)를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한 힘은 상쇄된다. 그리고 우측의 제1부재(11)는 상기 슬라이딩부(3)의 제1봉(31)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봉(31)은 제2봉(3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봉(31)이 자전거(10)의 전진방향으로 조금 회전(도 1의 A)되면서 상기 받침부(4)가 우측의 제1부재(11)를 지면과 반대방향으로 가한 힘은 상쇄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는 지면에 그대로 접촉한 채로 상기 핸들(1)이 우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앞바퀴(2)도 지면에 수직한 연직면에 대해서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또한 한 쌍의 발판조립체(5)에 결합된 양 뒷바퀴(14)도 연직면에 대해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우측 발판부(13)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렸으므로 우측 발판조립체(5)에 결합된 뒷바퀴(14)와 지면과의 마찰력이 주(主)가 되고, 또한 처음에 사용자의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자전거(10)가 전진되도록 가속도를 제공하였으므로 이 가속력과 상기 마찰력으로 자전거(10)가 전진방향으로 계속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자전거(10)는 사용자가 핸들(1)을 좌,우로 번갈아 가면서 기울이면서 양 발판부(13)에 체중을 번갈아 실으면 그 때마다 양 발판부(13)에 결합된 양 뒷바퀴(14)와 지면의 마찰력과 처음에 제공된 가속력에 의해서 자전거(10)가 계속하여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흡사 스케이트를 타는 모양이나 스키를 평지에서 타는 모양과 비슷하며 상기와 같은 자전거(10)에는 통상의 자전거와는 달리 체인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사용자가 체중을 실으며 앞으로 전진하기 때문에 통상의 자전거와는 달리 상체가 움직이게 되므로 상체가 운동된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상기 체인이 없는 자전거는 한 쌍의 발판조립체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저 있는 상태로 고정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로한 상태에서도 계속하여 상체를 움직여야 전진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한 쌍의 발판조립체가 서로 일정한 각도로 벌어저 있으므로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동효과가 뛰어난 자전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사용자의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할 수 있는 싱싱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수 있는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인없는 자전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의 발판조립체와 핸들의 결합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전거를 타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전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자전거의 발판부재 부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자전거의 발판부재 부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핸들 3. 슬라이딩부
4. 받침부 5,50. 한 쌍의 발판조립체
51. 제1부재 52. 제2부재
53. 발판부재 70. 회동레버
72. 제1돌기 74. 제2돌기
75. 걸림홈 81. 걸림쇠
82. 스프링 84. 결합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는 조향용 핸들과, 그 핸들의 하단부에 결합된 앞바퀴와, 상기 핸들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 전단부는 상기 핸들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발판부가 마련된 한 쌍의 발판조립체와, 상기 각 발판부 하부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뒷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을 지면의 연직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이면서 사용자의 발들을 통해 상기 각 발판부에 교번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진행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각 발판조립체는, 상기 핸들에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1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와, 상기 발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2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판조립체들의 제2부재들을 그에 대응되는 제1부재들에 대해 임의의 제1각도를 이루는 제1위치와 그 제1각도와는 다른 제2각도를 이루는 제2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2부재 위치고정수단과, 상기 발판조립체들의 발판부재들을 그에 대응되는 제2부재들에 대해 임의의 제3각도를 이루는 제3위치와 그 제3각도와는 다른 제4각도를 이루는 제4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한 발판부재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뒷바퀴들이 서로 나란해지는 위치이며, 상기 제4위치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뒷바퀴들이 서로 나란해지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100)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의 평면도를,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전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를,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자전거의 발판부재 부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를,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자전거의 발판부재 부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100)는 손잡이부(1a)를 가지는 핸들(1)과, 한 쌍의 발판조립체(50)와, 받침부(4)와, 슬라이딩부(3)와, 제2부재 위치고정수단과, 발판부재 위치고정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핸들(1)과, 받침부(4)와, 슬라이딩부(3)의 구조와 기능은 종래의 체인이 없는 자전거(1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0)는 각각 제1부재(51)와, 제2부재(52)와, 발판부재(53)로 구성되나, 상기 제2부재(52)가 제1부재(51)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1부재(5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과, 상기 발판부재(53)가 상기 제2부재(52)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2부재(5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이 종래의 체인이 없는 자전거(10)와는 다르다. 즉, 상기 제2부재(52)들은 연직방향의 회동핀(511)을 중심으로 제1부재(51)들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부재(51)들과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53)들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부재(52)들에 대해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볼트(85)로 상기 제2부재(52)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볼트(85)가 제2부재(52)에 형성된 관통공(522)과 발판부재(53)에 형성된 관통공(532)을 모두 관통하며, 또한 상기 제2부재(52)와 발판부재(53)가 결합되면 상기 제2부재(52)에 형성된 관통공(522)과 발판부재(53)에 형성된 관통공(532)은 동심원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89는 상기 볼트(85)와 체결되는 너트이며, 미설명부호 86은 와셔이다.
상기 제2부재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2부재(52)들을 그에 대응되는 제1부재(51)들에 대해 각각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위치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동레버(70)와, 제1돌기(72)와, 제2돌기(74)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위치는 각 제2부재(52)들이 서로 30 내지 40 도의 각도 사이의 어느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있는 위치(도 4 참조)를 말하고, 제2위치는 각 제2부재(52)들이 서로 평행하게 나란한 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도 6 참조)를 말한다.
상기 회동레버(70)는 회동핀(71)으로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0) 중 오른쪽의 발판조립체(50)의 제2부재(52)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핀(71)을 중심으로 상기 제2부재(5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일단에는 걸림홈(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70)는 상기 회동핀(71)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도 탄성적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홈(75)의 외주면도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75)의 입구 폭이 상기 제1돌기(72)나 제2돌기(74)의 직경보다 약간 작으며, 상기 제1돌기(72)나 제2돌기(74)가 끼워질 때 상기 걸림홈(75)의 외주면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돌기(72)나 제2돌기(74)가 상기 걸림홈(75)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1돌기(72)와 제2돌기(74)는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0) 중에서 왼쪽 발판조립체(50)의 제2부재(52)에 형성된 것으로서 제2부재(52)에 대해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레버(7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75)에 상기 제1돌기(72)와 제2돌기(74)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상기 제2부재(52)들을 위치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부재(52)들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70)의 걸림홈(75)에 제1돌기(72)가 걸려 결합되고, 상기 제2부재(52)들이 제2위치에 있을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70)의 일단에 형성된 홈(75)에 제2돌기(74)가 걸려 결합된다.
상기 발판부재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발판부재(53)들을 각각 그와 결합된 제2부재(52)들에 대해 각각 제3위치와 제4위치에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한 쌍의 발판조립체(50)에 각각 마련되며, 제1홈(87)과 제2가로홈(88)과 걸림쇠(81)와 스프링(8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3위치란 상기 제2부재(52)들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 발판부재(53)들의 하측에 결합된 뒷바퀴(14)들이 서로 나란해지는 위치(도 4 참조)를 말하며, 상기 제4위치란 상기 제2부재(52)들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각 발판부재(53)들의 하측에 결합된 뒷바퀴(14)들이 서로 나란해지는 위치(도 6 참조)를 말한다.
상기 제1홈(87)과 제2홈(88)은 상기 각 제2부재(52)들의 끝단에 마련되며,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걸림쇠(81)는 상기 발판부재(53)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부재(52)가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부재(52)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84)를 가진다. 상기 발판부재(53)들이 상기 제3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쇠(81)의 결합돌기(84)는 상기 제1홈(87)에 삽입되고, 상기 발판부재(53)가 상기 제4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쇠(81)의 결합돌기(84)는 상기 제2홈(88)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82)은 상기 걸림쇠(81)를 상기 제2부재(52)가 위치된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킨다. 그리고 상기 걸림쇠(81)와 스프링(82)은 상기 발판부재(53)의 일단에 마련된 수용부(83)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발판조립체(50)의 각 제2부재(52)들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체인이 없는 자전거로 사용한다. 이 때 회동레버(70)의 일단에 형성된 홈(75)에 상기 왼쪽 발판조립체(50)의 제2부재(52)의 제1돌기(72)가 걸려서 상기 제2부재(52)들은 각각 서로에 대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쇠(81)의 결합돌기(84)들은 상기 제1홈(87)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발판부재(53)도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재(52)들이 제1부재(51)들에 대해 일직선이 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제1위치라 하고, 상기 제2부재들이(52)이 제1위치에 있을 때상기 발판부재(53)들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뒷바퀴(14)들이 나란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발판부재(53)들이 제2부재(52)들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꺾여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제3위치라 한다.
이어서,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때라든가 혹은 소위 싱싱카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100)를 활용하고 싶을 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70)를 회전시켜서 상기 회동레버(70)와 제1돌기(72)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 때 상기 걸림홈(75)의 외주면이 약간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1돌기(72)가 상기 걸림홈(75)으로부터 빠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85)를 손으로 잡아서 푼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홈(87)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걸림쇠(81)들을 상기 제2부재(52)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재(53)들을 제2부재(52)들과 일직선이 되게 회동시킨 뒤 상기 걸림쇠(81)의 결합돌기(84)들을 상기 제2홈(88)에 삽입시켜 둔다. 그 뒤 상기 볼트(85)를 조이면 상기 제2볼트(85)의 하측에 위치한 와셔(86)와 상기 제2부재(52)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강하게 밀착되어 그 밀착된 면에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상기 발판부재(53)는 상기 제2부재(52)에 대해서 회동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쇠(81)의 결합돌기(84)가 상기 제2홈(88)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발판부재(53)는 상기 제2부재(52)와 일직선이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부재(52)를 상기 제1부재(51)와 일직선이 되도록 회동시킨 뒤 상기 회동레버(7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홈(75)에 상기 제2돌기(74)가 걸리도록 상기 회동레버(70)를 제2돌기(74)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회동레버(70)의 걸림홈(75) 외주면이 약간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제2돌기(74)가 상기 걸림홈(75)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회동레버(70)는 상하로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회동레버(70)를 상측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72)의 높이를 넘어서 상기 제2돌기(72)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70)가 제2돌기(74)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부재(52)들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50)가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놓여진 상태가 되었으므로 이 상태에서 소위 싱싱카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100)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서 다시 상기 제2부재(52)들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진 상태에서 체인이 없는 자전거로 사용하고 싶으면 상기한 과정들을 반대로 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에 의하면, 운동효과가 뛰어난 자전거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사용자의 한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할 수 있는 싱싱카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한 쌍의 발판조립체를 모아줌으로써 좁은 골목길을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조향용 핸들과, 그 핸들의 하단부에 결합된 앞바퀴와, 상기 핸들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 전단부는 상기 핸들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후단부에는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발판부가 마련된 한 쌍의 발판조립체와, 상기 각 발판부 하부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뒷바퀴를 구비하여, 상기 핸들을 지면의 연직방향에 대해 좌우로 기울이면서 사용자의 발들을 통해 상기 각 발판부에 교번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진행되도록 된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각 발판조립체는, 상기 핸들에 결합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1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와, 상기 발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부재에 지면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그 제2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판조립체들의 제2부재들을 그에 대응되는 제1부재들에 대해 임의의 제1각도를 이루는 제1위치와 그 제1각도와는 다른 제2각도를 이루는 제2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복수개의 돌기와 회동되어 그 돌기들에 걸리는 회동레버를 이용한 제2부재 위치고정수단과,
    상기 발판조립체들의 발판부재들을 그에 대응되는 제2부재들에 대해 임의의 제3각도를 이루는 제3위치와 그 제3각도와는 다른 제4각도를 이루는 제4위치에서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복수개의 홈과 그 홈에 걸리는 걸림쇠와 그 걸림쇠를 밀어주는 스프링을 이용한 발판부재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3위치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뒷바퀴들이 서로 나란해지는 위치이며, 상기 제4위치는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뒷바퀴들이 서로 나란해지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발판조립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판조립체의 제2부재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가 결합된 발판조립체 외에 나머지 발판조립체의 제2부재에 형성된 제1돌기 및 제2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제2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레버의 일단이 상기 제1돌기에 걸려서 위치고정되고, 상기 제2부재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레버의 일단이 상기 제2돌기에 걸려서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2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1홈 및 제2홈과,
    상기 발판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2부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쇠와,
    상기 걸림쇠를 상기 제2부재가 위치된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발판부재가 상기 제3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쇠가 상기 제1홈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되고, 상기 발판부재가 상기 제4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쇠가 상기제2홈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KR2020000029251U 2000-10-20 2000-10-20 자전거 KR200239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51U KR200239973Y1 (ko) 2000-10-20 2000-10-20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251U KR200239973Y1 (ko) 2000-10-20 2000-10-20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973Y1 true KR200239973Y1 (ko) 2001-10-25

Family

ID=7309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251U KR200239973Y1 (ko) 2000-10-20 2000-10-20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9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32B1 (ko) 2009-11-18 2010-05-11 주식회사 타이젠 킥보드
KR101321957B1 (ko) * 2010-12-20 2013-10-25 주식회사 엠스키 트라이서클 킥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32B1 (ko) 2009-11-18 2010-05-11 주식회사 타이젠 킥보드
WO2011062323A1 (ko) * 2009-11-18 2011-05-26 (주)타이젠 킥보드
KR101321957B1 (ko) * 2010-12-20 2013-10-25 주식회사 엠스키 트라이서클 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4153A (en) Device for reducing cable flop
EP0372165B1 (en) Bicycle pedal
US6869096B2 (en) Child carrier
US6334838B1 (en) Exercising cart structure
EP2285593B1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US8047556B2 (en) Board where the voluntary advance is possible
US6485039B1 (en) Swingable skate board device
JP3369132B2 (ja) 自転車用ペダル及び自転車靴クリート
KR200331983Y1 (ko) 삼륜이송보드
US20160347400A1 (en) Recreational vehicle
JP3184172B2 (ja) 自転車ペダル
GB2387824A (en) Scooter with treadmill action
US20110169234A1 (en) Street board
KR200239973Y1 (ko) 자전거
KR100806228B1 (ko) 스케이트 보드
WO1989002301A1 (en) Winged skateboard
GB2367793A (en) Scooter with swingable footplates
US20020017768A1 (en) Rollerboard
KR200231574Y1 (ko) 안전 장치를 구비한 킥보드
CN217374783U (zh) 一种踏板车
JP2001310008A (ja) ハンドル付きスノーボード
CN217705925U (zh) 操作装置以及个人交通设备
CN217753872U (zh) 一种踏板车
KR20120013809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JPH03491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