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550B1 - 회전 다림판 - Google Patents

회전 다림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550B1
KR100670550B1 KR1020060018560A KR20060018560A KR100670550B1 KR 100670550 B1 KR100670550 B1 KR 100670550B1 KR 1020060018560 A KR1020060018560 A KR 1020060018560A KR 20060018560 A KR20060018560 A KR 20060018560A KR 100670550 B1 KR100670550 B1 KR 10067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rotation
iron table
axi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102006001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2Luminous pa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다림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다림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다림판에 있어서 다림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다림판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다림판의 일방향 쏠림이나 틀어짐을 방지하고 다림판의 높낮이 조절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사용 안정성이 큰 회전 다림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다림판은, 다림판 본체(40)와, 상기 다림판 본체(40)의 정회전이 가능하도록 다림판 본체를 양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단(41)(42)과, 상기 다림판 본체(40)를 지지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다림판 본체(40)와 지지단(41)(42)을 따라 결합되는 회전조인트(43)(44)와, 상기 회전조인트(43)(44)를 통해 다림판 본체(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조인트에 형성된 홈(45)과, 상기 회전조인트(43)(4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전조인트의 홈과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일방향 탄성력을 받는 록킹스토퍼(46) 및 그 조작레버(47)와, 상기 지지단(41)(4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48)와, 상기 연결대(48)에 결합되어 그 연결대(48)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49)와, 상기 연결대(48)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1축(50)을 이루고, 상기 이동체(49)에 연결되어 제2축(51)을 이루며,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서로 교차 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교차하는 지점이 힌지(52)로 구성되어 그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다리(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림판,레버,힌지,스토퍼,조인트

Description

회전 다림판{A Rotate Type Smoothing iron table}
도 1은 일반적인 다림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림판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다림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다림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의 상세 구성과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회전조인트 및 조작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것으로, (a)는 록킹스토퍼의 록킹 해제 상태로 다림판의 회전 가능 상태이고, (b)는 록킹스토퍼에 의한 록킹 상태로서 다림판의 회전 불가능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부 상세도로서, (a)는 작동레버에 의한 잠김 상태이고, (b)는 작동레버의 풀림 상태로서 이동체의 이동 가능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다림판 본체 41.42:지지단
43.44:회전조인트 45:홈
46:록킹스토퍼 47:조작레버
48:연결대 49:이동체
50:제1축 51:제2축
52:힌지 53:다리
54:작동레버
본 발명은 회전 다림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방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다림판을 회전 가능하도록 한 회전식 다림판에 있어서 다림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다림판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다림판의 일방향 쏠림이나 틀어짐을 방지하고 다림판의 높낮이 조절을 자유롭게 하면서도 사용 안정성이 큰 회전 다림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다림판은 탁자나 바닥의 평면 위에 올려놓고 옷을 펼쳐 놓고 다림 질을 할 수 있게 된 평면형 구조이다. 평면형 다림판은 보통 한쪽면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이면은 다리를 접고 펼칠 수 있게 부착한 구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평면형 다림판의 구조로서, 옷을 펼쳐놓을 수 있는 다림판 본체(1) 및 옷이 접촉되는 다림판 표면(2)과, 상기 다림판 본체(1)를 지지하기 위해 다림판 본체(1)의 이면에 접고 펼칠 수 있게 장착된 다리(3)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림판 표면(2)은 고열에 대한 열변형이 없는 면이나 천류를 씌워서 구성하고 다림판 본체(1)는 가볍고 열에 대한 변형이 적은 목재를 주로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평면 다림판은 다림판 표면(2)을 통해 옷을 펼쳐 놓고 다림질을 하게 되어 있어 옷의 접촉 빈도가 한쪽 면의 다림판 표면(2)에 집중되어 오염과 반복 사용에 따른 마모와 훼손도 빠르게 진행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그 이면이 되는 부분은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림판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구조는 등록특허 제0500162호로서, 등록특허공보에 게재되어 있으며, 이 구조는 다림판의 평면과 이면 양면을 모두 사용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반적인 평면 다림판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상기 기술은, 도 2와 같이, 의류를 다림질하기 위한 다림판에 있어서, 상면과 배면의 사용이 가능한 양면 다림판(10)과, 상기 다림판(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받침부(20)와, 상기 받침부(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림판(10)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다림판(10)이 상하 회동 및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부 (30)가 구비되는 양면 다림판으로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다림판(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0)의 구성이 한쪽 방향으로 있어 다림판(10)의 회전 동작에 안정성이 없고, 다림판(10)을 한쪽 방향에서 지지함으로서, 지지축을 형성하지 않고 들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는 다림판의 타측은 사용중 들뜸이나 유동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둘째, 도 3과 같이, 다림판(10)을 지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방향을 바꿔 사용할 경우 먼저 다림판(10)을 들어올리고 이렇게 다림판이 들려진 상태에서 다림판(10)을 다시 회전 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림판(10)의 사용 면 선택시 이중 조작을 필요로 하여 조작이 불편하다.
셋째, 다림판(10)의 조작에 있어서, 반드시 지지부(30)가 없는 쪽에서 다림판(10)을 잡고 상하 동작을 거친 후 좌우회전 조작을 하도록 지지부(30)를 구성하고 있어 다림판(10)을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통해 구조적으로 다림판(10)을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넷째, 다림판(10)을 지지하는 지지부(30)는 다림판(10)의 상하동작과 회전동작을 한 개의 축 또는 그 이상의 축을 통해 구성하고 있으나, 한 개 축형의 경우 다림판(10)이 지지부(30)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될 가능성이 크고, 두 개 축형인 경우 다림판(10)의 상하 및 회전축이 분리되어 다림판(10)의 작동 궤적이 분리되며, 시각적으로도 작동점이 통일되지 못하고 확장되어 사용상 불편이 있다.
다섯째, 다림판(10)의 지지부(30) 반대쪽이 되는 부분은 다림판(10)을 회전시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틈새에 끼여 외상을 초래할 문제점이 있어 사용 안정성이 취약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다림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다림판의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회전 다림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다림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다림판의 지지축을 양축 지지형으로 구성함으로서 다림판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지지하여 동작 안정성이 큰 회전 다림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 다림판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다림판의 사용면 선택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회전 다림판을 제공하기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다림판은,
다림판 본체와,
상기 다림판 본체의 정회전이 가능하도록 다림판 본체를 양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다림판 본체를 지지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다림판 본체와 지지단을 따라 결합되는 회전조인트와,
상기 회전조인트를 통해 다림판 본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조인트에 형성된 홈과,
상기 회전조인트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전조인트의 홈과 결합 분리 될 수 있도록 일방향 탄성력을 받는 록킹스토퍼 및 그 조작레버와,
상기 지지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에 결합되어 그 연결대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연결대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1축을 이루고,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제2축을 이루며,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서로 교차 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교차하는 지점이 힌지로 구성되어 그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연결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대에 장착되고 이동체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작동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다림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다림판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의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조인트의 상세 구성과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회전조인트 및 조작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것으로, (a)는 록킹스토퍼의 록킹 해제 상태로 다림판의 회 전 가능 상태이고, (b)는 스토퍼에 의한 록킹 상태로서 다림판의 회전 불가능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부 상세도로서, (a)는 작동레버에 의한 잠김 상태이고, (b)는 작동레버의 풀림 상태로서 이동체의 이동 가능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다림판은 도 3 내지 도 9와 같이, 다림판 본체(40)와, 상기 다림판 본체(40)의 정회전이 가능하도록 다림판 본체(40)를 양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단(41)(42)과, 상기 다림판 본체(40)를 지지단(41)(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다림판 본체(40)와 지지단(41)(42)을 따라 결합되는 회전조인트(43)(44)와, 상기 회전조인트(43)(44)를 통해 다림판 본체(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조인트(43)에 형성된 홈(45)과, 상기 회전조인트(4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전조인트(43)의 홈(45)과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일방향 탄성력을 받는 록킹스토퍼(46) 및 그 조작레버(47)와, 상기 지지단(41)(4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48)와, 상기 연결대(48)에 결합되어 그 연결대(48)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49)와, 상기 연결대(48)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1축(50)을 이루고, 상기 이동체(49)에 연결되어 제2축(51)을 이루며, 상기 제1축(50)과 제2축(51)이 서로 교차 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축(50)과 제2축(51)이 교차하는 지점을 힌지(52)로 구성하여 그 힌지(52)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다리(53)로 이루어진다.
이동체(49)는 연결대(48)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대(48)에 장착되고 이동체(49)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작동레버(54)를 구비한다. 여기서, 연결대(48)를 따라 장착된 이동체(49)의 이동을 규제하는 작동레버(54)의 구성 및 조작방식은 통상의 카메라 다리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적용된 레버조작방식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이다. 예를 들면, 도 9의 (a)에서 이동체(49)에 결합된 작동레버(54)는 이동체(4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도 9의 (b)와 같이 작동레버(54)를 당겨서 젖히면 작동레버(54)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작동레버(54)의 젖힘 유무에 따라 이동체(49)가 연결대(48)의 표면과 밀착되거나 떨어짐으로서 이동체(49)의 위치를 작동레버(54)의 조작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흔히 카메라 다리의 높이 조절을 위해 적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다림판의 구체적인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회전 다림판의 전체 구조는 도 3과 같다. 다림판 본체(40)는 다림판 본체(40)의 정회전이 가능하도록 다림판 본체(40)를 양방향에서 지지단(41)(42)을 통해 지지한다.
다림판 본체(40)는 도 4와 같이, 양쪽 지지단(41)(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조인트(43)(44)로 연결되어 있는데, 한쪽 지지단(43)에 록킹스토퍼(46)와 조작레버(47)가 설치되어 다림판 본체(40)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양쪽 지지단(41)(42)에 동시에 록킹스토퍼(46) 및 조작레버(47)를 설치하여 다림판 본체(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양방향으로 회전조인트()()를 분리하지 않고, 단일 일체형으로 한 개의 회전조인트로도 구성 할 수 있다.
회전조인트(43)와 지지단(41)에는 홈(45)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면에 예시된 대로 사각형 홈(45)이 적당하고, 사각형 홈(45)외에 원형을 제외한 삼각,오각,육각 등의 다각형 홈의 적용도 가능하다. 록킹스토퍼(46)는 뚫려진 홈(45)을 따라 이동 가능한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홈(45)을 따라 이동된다.
도 5는 회전조인트(43)와 지지단(41)에 형성된 홈(45)에 록킹스토퍼(46)가 장착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회전조인트(43)에 형성된 홈(45), 그리고 그 홈(45)에 삽입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록킹스토퍼(46) 및 록킹스토퍼(46)에 복원 탄성을 주기 위하여 스프링(55)을 내장형으로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회전 다림판의 작동은 도 7과 같이, 지지단(41)과 회전조인트(43)를 따라 삽입되어져 있는 록킹스토퍼(46)를 조작레버(47)를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스프링(55)이 인장 되면서 록킹스토퍼(46)가 회전조인트(43)의 홈(45)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조인트(43)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림판 본체(40)를 돌려 사용하고자 하는 원하는 면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이 완료되면, 평형상태를 확인하여 당기고 있던 조작레버(47)를 놓으면 스프링(55) 복원력으로 다시 록킹스토퍼(46)는 회전조인트(43)의 홈(45)을 따라 들어가 회전이 억제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조작레버(47)는 다양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은 수평 이동형 조작레버(47)의 예이지만, 도 8은 터치 및 젖힘 복합형 조작레버(47)로서 록킹스토퍼(46)를 조작레버(47)를 록킹스토퍼(46)와 회전가능하게 힌지(56)로 연결하고, 조작레버(47)는 지지축(57)으로 연결하여, 그 지지축(57)을 중심으로 작동되도록 한 예이다.
도 9는 다림판 본체(4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이동체(49)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 다림판 본체(40)를 양쪽 방향에서 지지하고 있는 지지단(41)(4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48)에 이동체(49)를 결합하여 그 이동체(49)가 연결대(48)를 따라 이동되도독 함으로서, 다림판 본체(40)를 받치고 있는 제1축(50)과 제2축(51)이 힌지(52)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져 전체 다림판 본체(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9의 (a)와 같이 이동체()는 연결대(48)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대(48)에 장착되고 이동체(49)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된 작동레버(54)를 잠그면 이동체(49)의 이동이 차단되어 현 위치에서 제1축(50)과 제2축(51)으로 이루어지는 다리(53)의 전체 높이가 결정되고, 도 9의 (b)와 같이, 작동레버(54)를 젖혀서 풀면, 이동체(49)가 연결대(48)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힌지(52)을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제1축(50)과 제2축(51)을 움직여 다림판 본체(40)의 전체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 다림판은, 다림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41)(42)을 양쪽 방향으로 구성하여 다림판 본체(40)의 회전과 동작 안정성이 향상된다. 즉 다림판 본체(40)를 한쪽 방향에서 지지하지 않고 양쪽 방향에서 동일한 지지축으로 구성함으로 다림판 본체(40)가 들어 올려지거나 사용중 들뜸이나 유동이 차단된다.
또한 다림판 본체(40)를 양쪽 지지단(41)(4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방향을 바꿔 사용할 경우 먼저 다림판 본체()를 현 위치에서 그대로 회전 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림판 본체(40)의 사용 면 선택이 용이하다.
또한 다림판 본체(40)의 회전이 회전조인트(43)(44)를 중심으로 정회전 되도록 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다림판 본체(40)의 견고한 지지력이 유지된다.
또한 다림판 본체(40)를 양쪽 지지단(41)(42)을 통해 평형 밸런스를 유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다림판 본체(40)의 분리 가능성이 차단되고, 다림판 본체(40)의 사용면을 정위치 상태에서 바꿔줄 수 있으므로 사용상 불편이 없고, 작동레버(54)의 조작만으로 다림판 본체(40)의 높이 조절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다림판 본체(40)의 회전 조작을 조작레버(47)의 간단한 조작으로 마칠 수 있으므로 다림판 본체(40)의 조작과정에서 손이 다림판 본체(40) 사이 틈새에 끼여 외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다림판은, 다림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단을 양쪽 방향으로 구성하여 다림판 본체의 회전과 동작 안정성이 향상되고, 양쪽 방향에서 동일한 지지축으로 구성함으로 다림판 본체가 들어 올려지거나 사용중 들뜸이나 유동이 차단되며, 다림판 본체의 회전 조작시 현 위치에서 그대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림판 본체의 사용 면 선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림판 본체를 견고한 상태로 지지하여 과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다림판 본체를 양쪽 지지단을 통해 평형 밸런스를 유지하여 사용상 불편이 없고, 다림판 본체의 높이 조절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다림판 본체의 회전 조작을 간단한 조작으로 마칠 수 있으므로 다림판 본체의 조작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신체 외상 등과 같은 사용 위험성이 없어 사용 안정성이 큰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림판 본체(40)와,
    상기 다림판 본체(40)의 정회전이 가능하도록 다림판 본체를 양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단(41)(42)과,
    상기 다림판 본체(40)를 지지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기 위해 다림판 본체(40)와 지지단(41)(42)을 따라 결합되는 회전조인트(43)(44)와,
    상기 회전조인트(43)(44)를 통해 다림판 본체(4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조인트에 형성된 홈(45)과,
    상기 회전조인트(43)(4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회전조인트의 홈과 결합 분리될 수 있도록 일방향 탄성력을 받는 록킹스토퍼(46) 및 그 조작레버(47)와,
    상기 지지단(41)(4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48)와,
    상기 연결대(48)에 결합되어 그 연결대(48)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49)와,
    상기 연결대(48)에 일단이 연결되어 제1축(50)을 이루고, 상기 이동체(49)에 연결되어 제2축(51)을 이루며,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서로 교차 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1축과 제2축이 교차하는 지점이 힌지(52)로 구성되어 그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다리(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다림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49)는 상기 연결대(48)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대(49)에 장착되고 그 이동체(49)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작동레버(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다림판.
KR1020060018560A 2006-02-27 2006-02-27 회전 다림판 KR10067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560A KR100670550B1 (ko) 2006-02-27 2006-02-27 회전 다림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560A KR100670550B1 (ko) 2006-02-27 2006-02-27 회전 다림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323U Division KR200416109Y1 (ko) 2006-02-27 2006-02-27 회전 다림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550B1 true KR100670550B1 (ko) 2007-02-09

Family

ID=38104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560A KR100670550B1 (ko) 2006-02-27 2006-02-27 회전 다림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41B1 (ko) 2007-02-08 2008-11-06 주식회사 뉴맥스채널 다림질대
CN101864664A (zh) * 2009-04-17 2010-10-20 Psm株式会社 熨衣架
CN113649181A (zh) * 2021-09-01 2021-11-16 贵州盘江煤电集团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井下使用的长距离液态压喷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41B1 (ko) 2007-02-08 2008-11-06 주식회사 뉴맥스채널 다림질대
CN101864664A (zh) * 2009-04-17 2010-10-20 Psm株式会社 熨衣架
CN101864664B (zh) 2009-04-17 2012-02-22 Psm株式会社 熨衣架
CN113649181A (zh) * 2021-09-01 2021-11-16 贵州盘江煤电集团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井下使用的长距离液态压喷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7839B1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KR100670550B1 (ko) 회전 다림판
KR200416109Y1 (ko) 회전 다림판
US9080284B2 (en) Ironing board assembly with configurable ironing surface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JP4093936B2 (ja) 肘掛け装置
KR101053559B1 (ko) 회전식 입체 다리미판
KR102423185B1 (ko) 개량 힌지 어셈블리
KR102216572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KR200446894Y1 (ko) 상판 각도 조절식 테이블
CN211368148U (zh) 一种熨衣板组件
JP5958200B2 (ja) 物干し装置
JP6120396B2 (ja) 回転柵のロック構造及びベッド
CN207082280U (zh) 一种屏体角度可调的显示装置
KR20150072267A (ko) 접철식 킥보드
US6646630B1 (en) Hand-held electrically controlled desktop structure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CN106868840B (zh) 支撑折叠装置及具有其的挂烫机
CN201221308Y (zh) 梯具自动锁扣机构
KR101179188B1 (ko) 다리미판
KR102216562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CN101999023A (zh) 帐篷架顶部支撑结构
KR102216568B1 (ko) 레버 연동형 접이식 테이블
JP4518899B2 (ja) 補助天板付きテーブル
JP4568570B2 (ja) 天板の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