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185B1 - 개량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개량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185B1
KR102423185B1 KR1020210188398A KR20210188398A KR102423185B1 KR 102423185 B1 KR102423185 B1 KR 102423185B1 KR 1020210188398 A KR1020210188398 A KR 1020210188398A KR 20210188398 A KR20210188398 A KR 20210188398A KR 102423185 B1 KR102423185 B1 KR 10242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ocking
support
rotation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두영
양혜정
Original Assignee
(주)큐어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어라이프 filed Critical (주)큐어라이프
Priority to KR102021018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185B1/ko
Priority to JP2023511990A priority patent/JP2024504893A/ja
Priority to CN202280005603.3A priority patent/CN117015666A/zh
Priority to PCT/KR2022/011934 priority patent/WO20231281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서로에 대해 힌지연결되고 힌지회전체에 록킹구가 구비되되 록킹구가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힌지회전될 때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면서 힌지회전된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를 록킹시켜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고, 힌지지지체를 힌지회전체로부터 당겨줄 때 록킹이 해제되면서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회전대상물에 힌지회전체를 연결하고 지지대상물에 힌지지지체를 연결하여 회전대상물이 지지대상물측으로 힌지회전되어 고정되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록킹구의 무게중심 이동에 의한 좌우측 시소작용에 의해 록킹되거나 록킹이 해제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생산단가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개량 힌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개량 힌지 어셈블리{Hinge assembly}
본 발명은 개량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로 이루어져,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서로에 대해 힌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힌지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힌지 회전 된 후,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 중 어느 하나를 더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원래 위치로 다시 복귀됨이 용이하도록 한 개량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힌지장치는, 고정체 즉 고정된 고정체에 대해 회전체가 고정체를 축으로 힌지 회전하여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도록 하고 접어져 지지대상물을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는, 예를 들어 식탁, 의자, 탁자, 책상, 야외용 테이블, 접이식 작업대, 이동용 작업대 등과 더불어 접이식 다리 장착형 다리미판, 접이식 옷걸이, 벽체 부착형 접이식 식탁, 벽체 부착형 접이식 침대, 이동 가판대용 테이블의 다리, 이동용 테이블, 조립식 운동기구, 접철식 상품진열대, 싱크대 또는 장식장의 도어나 자전거나 킥보드의 지지수단 또는 빗자루의 밀대에 대한 길이를 펼치거나 접어주기 위한 접철수단 또는 자동차의 시트의 접철수단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 20-0322624호인 접철 기구물의 접철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고정체에 하나이상의 접철작동대가 부착되어 직각으로 접철 작동되는 접철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직각으로 회전 작동 기능한 하나이상의 접철작동대가 고정체에 장착될 때 일측으로 걸림턱이 돌출된 지지편에 결속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접철작동대의 일측면에는 상기 지지편의 걸림턱과 직각으로 걸림 및 걸림해제 작동을 하는 걸림조절대에 의해 접철기구물이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 때 접어질 때 스프링이 압축되었다가 펼쳐질 때 압축된 탄성복원체가 복귀되면서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358061호인 보조조향장치가 설치된 접철식 자전거에 의하면, 접철식 자전거의 후방에 설치되며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회동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와 연결판으로 연결되며 상기 작동바의 회동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제1작동링크와, 상기 제1작동링크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작동링크의 작동에 따라 전, 후 이동하며 조향축을 회동시켜 전륜의 방향을 조작하는 제2작동링크로 구성된 보조조향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조조향장치를 접철 가능하게 구성하여 보관의 편리함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보조조향장치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하여 보관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조립시간이 늘어남에 따른 조립성 저하 및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구성요소들이 많아 생상단가의 증대를 가져오게 되어 구입비용 또는 설치비용에 부담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비용부담을 줄이고 지지대상물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며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해 용이하게 접어지고 펼쳐지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22624호(2003.07.3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58061호(2004.07.27. 등록)
본 발명은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로 이루어진 개량 힌지 어셈블리에 의해 힌지 회전됨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회전된 상태에서 록킹동작에 의해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고정되고,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 중 어느 하나를 더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의 록킹이 해제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개량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개량 힌지 어셈블리는, 힌지회전체와, 상기 힌지회전체와 힌지연결되는 힌지지지체와, 상기 힌지회전체에 구비되는 록킹구로 이루어진 힌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측으로 힌지회전될 때 상기 록킹구의 일측이 눌러지면서 타측이 들어올려져 힌지회전된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록킹이 이루어져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힌지지지체를 힌지회전체로부터 당겨주면 록킹구의 록킹이 해제되고, 록킹이 해제되었을 때 힌지회전체를 힌지지지체로부터 펼쳐주어 힌지회전체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서로에 대해 힌지연결되고 힌지회전체에 록킹구가 구비되되 록킹구가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가 힌지회전될 때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면서 힌지회전된 힌지회전체와 힌지지지체를 록킹시켜 회전된 상태를 고정하고, 힌지지지체를 힌지회전체로부터 당겨줄 때 록킹이 해제되면서 힌지회전체가 힌지지지체로부터 펼쳐짐에 따라, 회전대상물에 힌지회전체를 연결하고 지지대상물에 힌지지지체를 연결하여 회전대상물이 지지대상물측으로 힌지회전되어 고정되거나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 될 수 있으며, 록킹구의 무게중심 이동에 의한 좌우측 시소작용에 의해 록킹되거나 록킹이 해제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생산단가의 절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량 힌지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개량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개량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일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개량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타측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인 개량 힌지 어셈블리의 힌지작용 및 록킹과 록킹 해제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용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 힌지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힌지회전체(110)와, 상기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연결되는 힌지지지체(120)와, 상기 힌지회전체(110)에 구비되는 록킹구(118)로 이루어진 힌지 어셈블리(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힌지 어셈블리(100)는,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될 때 상기 록킹구(118)의 일측이 눌러지면서 타측이 들어올려져 힌지회전된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록킹이 이루어져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힌지지지체(120)를 힌지회전체(110)로부터 당겨주면 록킹구(118)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록킹이 해제되었을 때,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주어 힌지회전체(11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졌을 때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180도 각도로 서로에 대해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었을 때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90도 각도로 접어져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의 수직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의 수직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구(118)에 의해 수평상으로 위치된 힌지지지체(110)가 고정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힌지회전체(1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방향의 힌지지지체(120)를 힌지회전체(110)로부터 더 젖혀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구(118)의 록킹이 해제되고 이 때,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접어지는 반대방향으로 펼쳐주면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펼쳐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힌지회전체(110)는, 볼트연결부(111)가 하단에 구비된 연결부(112)와, 상기 연결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측 중앙에 힌지축공(113)이 구비된 회전체힌지부(114)와, 상기 회전체힌지부(114)의 일면에 구비되고 양단에 지지홈(115)을 갖는 록킹구수용부(116)와, 상기 록킹구수용부(116)에는 상기 록킹구(118)가 수용되되 상기 지지홈(115)에 안착되는 록킹구축(117)이 상기 록킹구(118)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축(117)에 의해 상기 록킹구(118)가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록킹구(118)의 하면에는,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록킹구(118)의 양단에 구비된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록킹구(118)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시소가이드면(119)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힌지지지체(120)는,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볼팅 결합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의 양측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로 구비된다.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일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일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회전지지공(121a)을 갖는 제1회전지지부(121)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후크(122)와,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끝단에 구비되어 지지대상물에 나선결합되는 제1반나선부(123)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내측에 구비되고 장홈으로 이루어진 록킹볼수용가이드(124)와, 상기 록킹볼수용가이드(124)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일측을 눌러주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밀어주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접어질 때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을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볼(125)과, 상기 록킹볼(125)에 의해 일측이 눌러지면서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졌을 때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걸어지는 걸림턱(126)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타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회전지지공(127a)을 갖는 제2회전지지부(127)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127)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후크(122)와 밀착되는 제2후크(128)와,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의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반나선부(123)와 밀착되고 지지대상물에 나선결합되는 제2반나선부(129)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축공(113)과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공(121a) 및 제2힌지지지구(120b)의 제2회전지지공(127a)을 연결하는 힌지축공(113)과,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140)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지지체(120)의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는, 서로에 대해 대칭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부(121)가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의 일면에 밀착되고 제2힌지지지구(120b)의 제2회전지지부(127)가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40)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가 체결된다.
상기 록킹구(118)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구수용부(116)의 내부에서 상기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방향 즉, 좌측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시소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록킹구(118)의 우측이 눌러질 때 록킹구(118)의 좌측이 들어올려지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구(118)의 우측이 눌러질 때 록킹구(118)의 좌측이 들어올려진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가능한 이유는, 록킹구(118)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록킹구축(117)이 상기 록킹구수용부(116) 양단에 각각 구비된 지지홈(115)에 끼워져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록킹구(118)가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옴에 따라 가능한 것으로, 이 때 록킹볼(125)이 상기 힌지회전체(100)를 이루고 있는 힌지지지체(120)와 힌지회전체(110)가 서로에 대해 힌지회전됨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소가이드면(119)이 록킹구(118)의 하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록킹구수용부(116)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시소가이드면(119)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위치됨에 따라, 상기 록킹구(118)의 하면 중앙이 록킹구수용부(116)의 바닥면에 닿은 상태로 상기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시소가이드면(119)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하강되거나 승강되면서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구(118)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됨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이동가이드면(119a)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가이드면(119a)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기 때문에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록킹구(118)의 일측 끝단에 록킹볼(125)이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록킹구(118)의 우측방향으로 록킹볼(125)이 이동하여 록킹구(118)의 우측을 눌러줌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수직상태로 위치되었을 때, 상기 록킹볼(125)은 록킹구(118)로부터 벗어나 위치된다.
이와 같이 록킹볼(125)이 록킹구(118)를 벗어난 상태에서 힌지회전체(1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공(113)을 축으로 힌지 회전되어 힌지지지체(120)측으로 접어지면,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부(121)가 회전되는 힌지회전체(110)의 반대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고, 제1회전지지부(121)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우측 상단에 록킹볼(125)이 위치하게 되고 록킹구(118)의 우측방향에 위치된 록킹봉(125)의 하중에 의해 록킹구(118)의 우측이 눌러진다.
또한, 록킹볼(125)의 이동에 의해 록킹볼(125)의 하중이 전달됨에 따라 록킹구(118)의 우측이 눌러지면 록킹구(118)의 좌측이 상기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들어올려지고,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좌측이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걸림턱(126)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구(118)의 좌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구(118)의 좌측이 걸림턱(126)에 걸릴 때 록킹이 이루어지게 되어 힌지지지체(120)의 수직방향에 대해 수평상으로 위치된 힌지회전체(110)가 록킹 고정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지지체(120)를 힌지회전체(110)에 대해 뒤쪽방향으로 젖혀주면, 상기 록킹구(118)의 우측에 위치되었던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좌측을 눌러주게 되는 바, 이 때, 록킹구(118)의 좌측이 눌러지고 록킹구(118)의 우측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걸림턱(126)으로부터 록킹구(118)의 좌측 걸림이 해제된다.
또한, 걸림턱(126)으로부터 록킹구(118)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수평상으로 위치된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겨주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서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수직 위치된다.
이 때, 상기 록킹볼(125)이 수용되는 록킹볼수용가이드(12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록킹볼(125)이 록킹볼수용가이드(124) 내부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록킹볼(125)의 하중에 의해 눌러지면서 걸림턱(126)과의 걸림이 해제됨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힌지지지체(120)의 제2힌지지지구(120b) 내측에는, 복귀체수용부(151)와, 상기 복귀체수용부(15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복귀체끼움홈(152) 및 복귀체끼움홈(152)의 일측에 복귀체지지돌기(153)가 구비되고, 상기 복귀체수용부(151)에 수용되어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되고 일단(150a)이 상기 복귀체끼움홈(152)에 끼워져 걸어진 후, 상기 복귀체지지돌기(153)에 의해 일단(150a)이 지지되는 탄성복귀체(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는 상기 탄성복귀체(150)의 타단(150b)이 걸어지는 복귀체걸림홈(154)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복귀체(150)는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상기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회전되어 접어진 후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자체 탄성력에 의해 힌지회전체(110)의 펼쳐지는 동작을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스프링 또는 비틀림스프링 등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복귀체(15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힌지지지체(120)에 대해 힌지회전체(110)가 회전되어 접어졌을 때 탄성복귀체(150)가 압축되었다가,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질 때 상기 압축된 탄성복귀체(15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펼쳐지는 힌지회전체(110)의 펼쳐짐 동작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록킹구(118)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타측을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된 록킹볼(125)이 빠르게 록킹구(118)의 일측방향 즉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로부터 빠르게 펼쳐질 수 있어 록킹이 빠르게 해제됨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힌지 어셈블리
110 : 힌지회전체 111 : 볼트연결부
112 : 연결부 113 : 힌지축공
114 : 회전체힌지부 115 : 지지홈
116 : 록킹구수용부 117 : 록킹구축
118 : 록킹구 119 : 시소가이드면
119a : 이동가이드면
120 : 힌지지지체 120a : 제1힌지지지구
120b : 제2힌지지지구 121 : 제1회전지지부
121a : 제1회전지지공 122 : 제1후크
123 : 제1반나선부 124 : 록킹볼수용가이드
125 : 록킹볼 126 : 걸림턱
127 : 제2회전지지부 127a : 제2회전지지공
128 : 제2후크 129 : 제2반나선부
130, 140 : 체결볼트
150 : 탄성복귀체 151 : 복귀체수용부
152 : 복귀체끼움홈 153 : 복귀체지지돌기
154 : 복귀체결림홈

Claims (5)

  1. 힌지회전체(110)와, 상기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연결되는 힌지지지체(120)와, 상기 힌지회전체(110)에 구비되는 록킹구(118)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될 때 상기 록킹구(118)의 일측이 눌러지면서 타측이 들어올려져 힌지회전된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가 록킹이 이루어져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힌지회전체(110)와 힌지지지체(120)의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힌지지지체(120)를 힌지회전체(110)로부터 당겨주면 록킹구(118)의 록킹이 해제되고, 록킹이 해제되었을 때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로부터 펼쳐주어 힌지회전체(11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힌지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전체(110)는,
    볼트연결부(111)가 하단에 구비된 연결부(112)와;
    상기 연결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내측 중앙에 힌지축공(113)이 구비된 회전체힌지부(114)와;
    상기 회전체힌지부(114)의 일면에 구비되고 양단에 지지홈(115)을 갖는 록킹구수용부(116)와;
    상기 록킹구수용부(116)에는 상기 록킹구(118)가 수용되되 상기 지지홈(115)에 안착되는 록킹구축(117)이 상기 록킹구(118)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축(117)에 의해 상기 록킹구(118)가 좌우측방향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힌지지지체(120)는, 서로에 대해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볼팅 결합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의 양측에 각각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힌지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지지체(120)의 제1힌지지지구(120a)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일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일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회전지지공(121a)을 갖는 제1회전지지부(121)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후크(122)와;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끝단에 구비되어 지지대상물에 연결되는 제1반나선부(123)와;
    상기 제1회전지지부(121)의 내측에 구비되고 장홈으로 이루어진 록킹볼수용가이드(124)와;
    상기 록킹볼수용가이드(124)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접어질 때, 상기 록킹구축(117)이 양단에 각각 구비된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되어 록킹구(118)의 일측을 눌러주어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힌지회전체(110)를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밀어주어 힌지회전체(110)가 힌지지지체(120)측으로 더 접어질 때 록킹구(118)의 타측으로 이동되어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을 눌러주어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볼(125)과;
    상기 록킹볼(125)에 의해 일측이 눌러지면서 록킹구(118)의 타측이 들어올려졌을 때 들어올려진 록킹구(118)의 타측이 걸어지는 걸림턱(126)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는,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되고 힌지축공(113)의 타측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2회전지지공(127a)을 갖는 제2회전지지부(127)와;
    상기 제2회전지지부(127)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후크(122)와 밀착되는 제2후크(128)와;
    상기 제2힌지지지구(120b)의 끝단에 구비되되 상기 제1반나선부(123)와 밀착되고 지지대상물에 연결되는 제2반나선부(129)로 구비되며,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힌지축공(113)과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의 제1회전지지공(121a) 및 제2힌지지지구(120b)의 제2회전지지공(127a)을 연결하는 힌지축공(113)과;
    상기 제1힌지지지구(120a)와 제2힌지지지구(120b)를 체결 고정하는 체결볼트(14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힌지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구(118)의 하면에는,
    상기 록킹구(118)의 시소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록킹구(118)의 양단에 구비된 록킹구축(117)을 중심으로 양측방향으로 록킹구(118)의 상면측으로 상향 경사진 시소가이드면(119)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구(118)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록킹볼(125)이 록킹구(118)측으로 이동됨이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진 이동가이드면(119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힌지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지지체(120)의 제2힌지지지구(120b) 내측에는, 복귀체수용부(151)와, 상기 복귀체수용부(15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복귀체끼움홈(152) 및 복귀체끼움홈(152)의 일측에 복귀체지지돌기(153)가 구비되고,
    상기 복귀체수용부(151)에 수용되어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 밀착되고 일단(150a)이 상기 복귀체끼움홈(152)에 끼워져 걸어진 후, 상기 복귀체지지돌기(153)에 의해 일단(150a)이 지지되는 탄성복귀체(150)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회전체(110)의 회전체힌지부(114) 타면에는 상기 탄성복귀체(150)의 타단(150b)이 걸어지는 복귀체걸림홈(15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힌지 어셈블리.
KR1020210188398A 2021-12-27 2021-12-27 개량 힌지 어셈블리 KR10242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98A KR102423185B1 (ko) 2021-12-27 2021-12-27 개량 힌지 어셈블리
JP2023511990A JP2024504893A (ja) 2021-12-27 2022-08-10 改良ヒンジアセンブリー
CN202280005603.3A CN117015666A (zh) 2021-12-27 2022-08-10 改进的铰链组件
PCT/KR2022/011934 WO2023128114A1 (ko) 2021-12-27 2022-08-10 개량 힌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98A KR102423185B1 (ko) 2021-12-27 2021-12-27 개량 힌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185B1 true KR102423185B1 (ko) 2022-07-21

Family

ID=8261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398A KR102423185B1 (ko) 2021-12-27 2021-12-27 개량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04893A (ko)
KR (1) KR102423185B1 (ko)
CN (1) CN117015666A (ko)
WO (1) WO20231281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14A1 (ko) * 2021-12-27 2023-07-06 큐어라이프주식회사 개량 힌지 어셈블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24Y1 (ko) 2003-04-21 2003-08-14 김대구 접철 기구물의 접철장치
KR200358061Y1 (ko) 2004-02-06 2004-08-05 주식회사송림 보조조향장치가 설치된 접철식 자전거
KR20110003409U (ko) * 2009-09-29 2011-04-06 채희목 쓰레기통 겸용 쓰레받기
JP2011224033A (ja) * 2010-04-15 2011-11-10 Hokuto Seigyo Kk 可動式汎用塵取り
KR101221090B1 (ko) * 2011-04-14 2013-02-05 삼정크린마스터(주)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KR101255988B1 (ko) * 2011-11-08 2013-04-19 신재율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JP2013081632A (ja) * 2011-10-11 2013-05-09 Atom Livin Tech Co Ltd 飛び出し防止装置
KR20140035188A (ko) *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606A (en) * 1991-01-17 1991-07-16 Randolph Austin Company Brace and hinge apparatus and method
JP2007139178A (ja) * 2005-11-22 2007-06-07 Hexagon:Kk 双方向ラチエットヒンジ
US7547070B2 (en) * 2006-06-21 2009-06-16 Lear Corporation Seat fold actuator
WO2013051948A1 (en) * 2011-10-03 2013-04-11 Phil And Teds Design Limited Latching hinge for a folding buggy
JP3180259U (ja) * 2012-09-05 2012-12-13 江文宏 転回機能を備えたエクステンションバー構造
KR101551031B1 (ko) * 2013-12-27 2015-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석 승객용 테이블장치
CN209404831U (zh) * 2018-07-08 2019-09-20 杭州汇大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铰孔器的铰柄
KR102220815B1 (ko) * 2020-01-10 2021-02-26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의 워크 인 및 폴딩 장치
CN211969652U (zh) * 2020-01-14 2020-11-20 苏州科拜车业有限公司 折叠车把
CN215154962U (zh) * 2021-04-06 2021-12-14 雷德祥 一种手推车的换向机构
KR102423185B1 (ko) * 2021-12-27 2022-07-21 (주)큐어라이프 개량 힌지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24Y1 (ko) 2003-04-21 2003-08-14 김대구 접철 기구물의 접철장치
KR200358061Y1 (ko) 2004-02-06 2004-08-05 주식회사송림 보조조향장치가 설치된 접철식 자전거
KR20110003409U (ko) * 2009-09-29 2011-04-06 채희목 쓰레기통 겸용 쓰레받기
JP2011224033A (ja) * 2010-04-15 2011-11-10 Hokuto Seigyo Kk 可動式汎用塵取り
KR101221090B1 (ko) * 2011-04-14 2013-02-05 삼정크린마스터(주) 손잡이 절첩형 쓰레받기
JP2013081632A (ja) * 2011-10-11 2013-05-09 Atom Livin Tech Co Ltd 飛び出し防止装置
KR101255988B1 (ko) * 2011-11-08 2013-04-19 신재율 쓰레기 배출기능이 부설된 자동 개폐형 쓰레받이
KR20140035188A (ko) *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콕스글로리 원터치 절첩되는 쓰레받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114A1 (ko) * 2021-12-27 2023-07-06 큐어라이프주식회사 개량 힌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114A1 (ko) 2023-07-06
JP2024504893A (ja) 2024-02-02
CN117015666A (zh)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006B2 (en) Folding table assembly
KR101851556B1 (ko) 절첩식 책상
KR101277998B1 (ko) 접이식 테이블
US6484645B2 (en) Pivotal support and foldaway wings
KR102423185B1 (ko) 개량 힌지 어셈블리
GB2526430A (en) Joint mechanism and child high chair thereof
TW201629383A (zh) 可收折腳架
US6883438B2 (en) Mounting assembly
CN217658632U (zh) 一种翻板装置
KR101317146B1 (ko) 테이블 상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0494455Y1 (ko) 가구용 접이식 다리의 회동억제 장치
KR101815457B1 (ko) 캐스터 고정장치
KR101176288B1 (ko)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을 갖는 선반형 빨래 건조대
KR200461598Y1 (ko) 절첩식 테이블
KR102076646B1 (ko) 작동 보완수단이 구비된 조립식 절첩 테이블
US7032524B1 (en) Adjustable latching mechanism
EP0865528B1 (en) Pivotal support and foldaway wings
RU16179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столешницы
KR100317721B1 (ko)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20060090952A (ko) 강의용 책상
CN212972130U (zh) 带翻转桌板的电动升降桌
KR200313938Y1 (ko) 주방용 사다리
CN218348323U (zh) 一种折叠脚架结构及其收纳箱
CN220487471U (zh) 可折叠的翻板梯
CA2892112C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hanging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