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880A -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 Google Patents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880A
KR20190003880A KR1020170083182A KR20170083182A KR20190003880A KR 20190003880 A KR20190003880 A KR 20190003880A KR 1020170083182 A KR1020170083182 A KR 1020170083182A KR 20170083182 A KR20170083182 A KR 20170083182A KR 20190003880 A KR20190003880 A KR 20190003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se
sliding
link por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341B1 (ko
Inventor
고훈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3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되고, 슬라이딩부는 상단이 베이스부의 상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을 하는 제1 링크부; 제1 링크부의 외측에서 제1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부; 및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슬라이딩부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슬라이딩부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2 링크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LINK APPARATUS AND FOLDABLE KICK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링크부의 내부에 회전부가 마련되어 회전부가 회전됨에 따라 제2 링크부와 제1 링크부의 슬라이딩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매커니즘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킥보드뿐만 아니라 많은 기구들은 이용할 때에는 길이가 연장될 필요가 있지만 이동 및 수납을 위하여는 접거나 슬라이딩시켜 길이를 수축시키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우산 또는 지팡이 등은 사용시에는 길이를 연장시킬 필요가 있으나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복수의 링크가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복수의 링크가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는 기구들은 사용시와 사용하지 않을 시에 슬라이딩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기구을 갖는다. 이러한 기구은 사용시에 연장된 복수의 링크가 단단하게 고정될 필요성은 물론이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 고정을 해제할 때 간편하게 해제 가능할 필요성을 갖는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195096 B WO 2013/065978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원터치로 링크 기구의 고정을 쉽게 해제하여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가 서로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되고, 슬라이딩부는 상단이 베이스부의 상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을 하는 제1 링크부; 제1 링크부의 외측에서 제1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부; 및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슬라이딩부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슬라이딩부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2 링크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는 제2 링크부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부는 베이스부의 내부 하면에서 이격되어 베이스부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의 내부 하면과 제1 회전부의 일측 하단 사이에 제1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회전부는 베이스부에 고정된 회전중심으로부터 베이스부의 상부 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타측이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에 걸리도록 베이스부의 측방으로 다시 절곡될 수 있다.
제1 회전부는 타측의 끝단이 반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의 측면에는 제1 회전부의 타측이 걸리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측면에는 제1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부의 타측과 간섭되지 않도록 슬롯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상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부의 상단에 덮개부가 마련되고, 덮개부와 베이스부의 상부 사이에 제2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는 베이스부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의 외측에서 제2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3 링크부; 및
제2 링크부의 내부에서 제2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제1 링크부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제2 링크부를 관통하여 제3 링크부에 걸림으로써 제2 링크부와 제3 링크부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제1 링크부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제1 링크부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3 링크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 하단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제1 링크부가 제2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돌출부가 제2 회전부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킥보드는 일단에 보조바퀴가 마련된 발판부; 제1 링크부의 단부에 조향핸들이 마련되고, 제2 링크부의 단부에 조향바퀴가 마련되어 조향 컬럼의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기구; 및 일측은 링크기구를 둘러싸면서 링크기구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발판부의 타단에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링크기구에 따르면, 복수의 링크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링크기구를 원터치에 의한 조작만으로 고정이 해제되어 링크기구의 길이 수축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링크기구를 이용한 접이식 킥보드에 따르면, 조향핸들에 가까운 위치를 가압하는 한번의 조작만으로 고정된 조향 링크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고정을 해제하여 킥보드의 접이를 매우 편리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의 상태 변화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 내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를 이용한 접이식 킥보드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의 상태 변화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 내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는 베이스부(110) 및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20)로 구성되고, 슬라이딩부(120)는 상단이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베이스부(110)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을 하는 제1 링크부(100); 제1 링크부(100)의 외측에서 제1 링크부(100)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부(200); 및 베이스부(110)의 내부에서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2 링크부(200)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1 회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딩부(120)는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고,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나, 이는 링크구조의 연장이나 수축을 위한 것은 아니고 일종의 버튼이나 스위치처럼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의 구속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역할을 갖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부(120)의 상단을 가압하면 슬라이딩부(120)는 베이스부(110)와 서로 슬라이딩 되어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이 베이스부(110) 내부에 있는 제1 회전부(3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이다.
제2 링크부(200)은 제1 링크부(100)의 외측에서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측면에 따로 위치될 수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제2 링크부(200)는 제1 링크부(100)를 감싸는 형태로 제1 링크부(100)가 제2 링크부(200)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부(100)가 제2 링크부(200)보다 높은 위치에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1 링크부(100)의 중력에 의해 너무 빠른 속도로 슬라이딩되어 위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감속기가 설치되거나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등 마찰이나 댐핑을 크게 하여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 사이의 슬라이딩 속도를 조절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은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측에 위치되어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이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이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이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에 맞닿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딩 전에는 접촉하지 않다가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만 접촉하여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이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을 가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은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가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20)가 베이스부(110)와 서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는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이 슬라이딩부(120)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제1 회전부(300)는 회전되어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이 제2 링크부(200)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이다. 즉, 제1 회전부(300)의 회전에 의해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의 슬라이딩이 서로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회전부(300)는 베이스부(110)의 내부 하면에서 이격되어 베이스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내부에서 베이스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회전부(300)는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에 의해 일측이 가압되어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될 수 있는 회전 자유도를 갖기 위해서 베이스부(110)의 내부 하면에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부(110)의 내부 하면 또는 측면 등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는 일 실시예로 내부 하면에 고정되어 결합된 것이다.
제1 회전부(300)이 베이스부의 내부 하면에서 이격되어 결합된 경우, 그 이격된 베이스부의 내부 하면과 제1 회전부의 일측 하단 사이에 제1 탄성체(4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탄성체(400)는 스프링을 비롯한 복원력을 가지는 여러가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회전부(300)는 일측 하단에 위치한 제1 탄성체(400)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이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가 서로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탄성체(400)의 탄성력보다 크게 슬라이딩부(120)가 가압된 경우에만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이 제1 회전부(300)의 일측에 회전력을 가하여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의 구속이 해제되고, 슬라이딩부(120)가 가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가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은 베이스부(110)에 고정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슬라이딩부(120)의 하단 측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은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리도록 제1 링크부(100)에서 제2 링크부(200) 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간단하게는 제1 회전부(300)는 일(一)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되고, 타측이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은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부(30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된 회전중심으로부터 베이스부(110)의 상부 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타측이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리도록 베이스부(110)의 측방으로 다시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은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은 베이스부(110)에 고정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베이스부(110)의 상부 측으로 절곡되고 일정한 높이에서 베이스부(110)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200)에 걸리도록 베이스부(110)의 측방으로 다시 절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고정된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경우 일(一)자 형태보다 동일한 제1 회전부(300)의 일측의 가압에 의해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의 이동 반경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이보다 중요하게는, 제1 회전부의 타측의 이동 반경이 상하 방향으로 줄어들고 좌우 방향으로 커지는 효과가 있어 관통된 베이스부(110)와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제1 회전부(300)는 타측의 끝단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구 형상의 모형에 따라 대응되는 제2 링크부(200)의 측면에 마련된 홈에 쉽게 미끄러지듯이 삽입되어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의 슬라이딩을 구속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반구 형상 뿐만 아니라 둥글게 절곡된 형상이면 이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제2 링크부(200)의 측면에는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이 걸리는 홈(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이 제2 링크부(200)의 측면에 마련된 홈(미도시)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의 구속을 확실히 하고,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이 제2 링크부(200)의 측면에 마련된 홈(미도시)에서 이탈되는 경우에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측면에는 제1 회전부(3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부(300)의 타측과 간섭되지 않도록 슬롯(111)이 마련될 수 있다. 슬롯(111)은 베이스부(110)의 측면에 빈 공간을 마련하는 것으로, 제1 회전부(300)가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부(300)의 타측이 이동하는 반경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동 반경의 길이보다 여유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부(120)의 상단에 덮개부(130)가 마련되고, 덮개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상부 사이에 제2 탄성체(500)가 마련될 수 있다. 덮개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부(120)의 상단을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20)가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사용자가 가압하는 부분으로 슬라이딩부(120)의 상단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130)와 베이스부(110)의 상부 사이에는 제2 탄성체(500)가 마련되어 제2 탄성체(500)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가 복원력 이상의 힘으로 덮개부(13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에는 슬라이딩부(120)의 하단이 제1 회전부(300)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체(500)로는 스프링을 비롯한 복원력을 가지는 여러가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슬라이딩부(120)는 베이스부(11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20)는 슬라이딩시 하단이 제1 회전부(300)의 일측만을 가압하고 베이스부(110) 내부에서 제1 회전부(300)의 다른 부분과는 간섭되지 않도록 반경이 베이스부(110)보다 단면이 작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슬라이딩부(120)가 베이스부(110)의 반경보다 작은 경우 슬라이딩부(120)와 베이스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슬라이딩될 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으로도 이동하는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121)가 마련되어 슬라이딩부(120)는 베이스부(11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21)는 슬라이딩부(120)의 단면이 베이스부(110)의 내부 단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슬라이딩부(120)가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슬라이딩을 제외한 내부에서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이드부(121)의 높이는 베이스부(110)와 슬라이딩부(120) 사이의 마찰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121)은 슬라이딩부(12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가이드부(121)를 따로 형성하지 않으면서 슬라이딩부(120)의 특정 부분에서 단면을 넓게 하여 베이스부(110)의 내부 단면과 거의 일치하게 형성하는 것도 이와 동일한 구조 및 효과를 가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링크기구는 제2 링크부(200)의 외측에서 제2 링크부(200)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3 링크부(600); 및 제2 링크부(200)의 내부에서 제2 링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제1 링크부(100)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제2 링크부(200)를 관통하여 제3 링크부(600)에 걸림으로써 제2 링크부(200)와 제3 링크부(600)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제1 링크부(100)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제1 링크부(100)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3 링크부(600)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2 회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링크기구는 도 1 내지 2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를 응용한 것이다. 도 1 내지 2의 실시예는 2개의 링크부가 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링크기구로 이를 3개, 4개 등의 링크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2 링크부(200)의 외측에 제3 링크부(600)가 마련된다. 제3 링크부(6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200)를 감싸고 제3 링크부(600)의 내부로 제2 링크부(200)가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제2 회전부(700)는 제2 링크부(200)의 내부에서 제2 링크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제1 링크부(100)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제2 링크부(200)를 관통하여 제3 링크부(600)에 걸림으로써 제2 링크부(200)와 제3 링크부(600)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제1 링크부(100)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제1 링크부(100)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3 링크부(600)와의 걸림이 해제한다.
제1 링크부(100) 하단에는 돌출부(140)가 마련되고, 제1 링크부(100)가 제2 링크부(200)와 서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돌출부(140)가 제2 회전부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제1 링크부(100)가 제2 회전부(7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적절한 단면과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 내지 2에 관한 설명과 중복되는 것으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링크부로 구성된 링크기구를 원터치에 의한 가압으로 슬라이딩 고정을 해제하여 접을 수 있는 간편한 링크기구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기구를 이용한 접이식 킥보드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일단에 보조바퀴(810)가 마련된 발판부(800); 제1 링크부(100)의 단부에 조향핸들(150)이 마련되고, 제2 링크부(200)의 단부에 조향바퀴(210)가 마련되어 조향 컬럼의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기구; 및 일측은 링크기구를 둘러싸면서 링크기구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발판부(800)의 타단에 결합된 연결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부(800)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패널로 구성되어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판부(800)의 일단에는 보조바퀴(810)가 마련된다.
도 4의 제1 링크부(100)는 내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서 표현한 링크기구가 접이식 킥보드의 조향 컬럼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제1 링크부(100)의 단부에 조향핸들(150)이 마련된다. 조향핸들(150)도 접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향 핸들(150)은 제1 링크부(100) 중 베이스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 상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부(미도시)의 상단에 덮개부(130)가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가 덮개부(130)를 가압하면 제1 회전부(미도시)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 사이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제2 링크부(200)의 단부에는 조향바퀴(210)가 마련된다.
연결부(900)는 일측은 링크기구를 둘러싸면서 링크기구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발판부(800)의 타단에 결합된다. 특히, 연결부(900)의 타측은 발판부(80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크기구가 발판부(800)를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를 접이식 킥보드의 조향 컬럼으로 사용하면, 덮개부(130)를 가압하는 한번의 동작만으로 제1 링크부(100)와 제2 링크부(200)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고 슬라이딩되어 접이식 킥보드를 간편하게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 링크부 110 : 베이스부
111 : 슬롯 120 : 슬라이딩부
121 : 가이드부 130 : 덮개부
140 : 돌출부 150 : 조향핸들
200 : 제2 링크부 210 : 조향바퀴
300 : 제1 회전부 400 : 제1 탄성체
500 : 제2 탄성체 600 : 제3 링크부
700 : 제2 회전부 800 : 발판부
900 : 연결부

Claims (13)

  1.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되고, 슬라이딩부는 상단이 베이스부의 상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딩을 하는 제1 링크부;
    제1 링크부의 외측에서 제1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 링크부; 및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은 슬라이딩부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에 걸림으로써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슬라이딩부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2 링크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링크부는 제2 링크부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회전부는 베이스부의 내부 하면에서 이격되어 베이스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내부 하면과 제1 회전부의 일측 하단 사이에 제1 탄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회전부는 베이스부에 고정된 회전중심으로부터 베이스부의 상부 측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타측이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제2 링크부에 걸리도록 베이스부의 측방으로 다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회전부는 타측의 끝단이 반구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링크부의 측면에는 제1 회전부의 타측이 걸리는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측면에는 제1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부의 타측과 간섭되지 않도록 슬롯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상부로 노출된 슬라이딩부의 상단에 덮개부가 마련되고, 덮개부와 베이스부의 상부 사이에 제2 탄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라이딩부는 베이스부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링크부의 외측에서 제2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3 링크부; 및
    제2 링크부의 내부에서 제2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은 제1 링크부의 하단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제2 링크부를 관통하여 제3 링크부에 걸림으로써 제2 링크부와 제3 링크부가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제1 링크부의 슬라이딩시 일측이 제1 링크부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어 타측이 제3 링크부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1 링크부 하단에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제1 링크부가 제2 링크부와 서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돌출부가 제2 회전부의 일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기구.
  13. 청구항 1의 링크기구을 포함하는 접이식 킥보드로서,
    일단에 보조바퀴가 마련된 발판부;
    제1 링크부의 단부에 조향핸들이 마련되고, 제2 링크부의 단부에 조향바퀴가 마련되어 조향 컬럼의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기구; 및
    일측은 링크기구를 둘러싸면서 링크기구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발판부의 타단에 결합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킥보드.
KR1020170083182A 2017-06-30 2017-06-30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KR102299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82A KR102299341B1 (ko) 2017-06-30 2017-06-30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182A KR102299341B1 (ko) 2017-06-30 2017-06-30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880A true KR20190003880A (ko) 2019-01-10
KR102299341B1 KR102299341B1 (ko) 2021-09-09

Family

ID=6502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82A KR102299341B1 (ko) 2017-06-30 2017-06-30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3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502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라오닉스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KR20240054688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라오닉스 슬라이딩 홈 접이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726U (ja) * 1991-12-27 1993-07-27 北芝電機株式会社 電動カート
KR200189417Y1 (ko) * 2000-02-02 2000-07-15 에스앤드이, 인코포레이티드 킥 스쿠터
KR200239463Y1 (ko) * 2000-09-05 2001-09-13 은성전자 주식회사 킥보드의 핸들 높낮이조절장치
KR100424778B1 (ko) * 2001-02-06 2004-03-30 주식회사 휴모봇 주행용 보드
JP3753260B2 (ja) * 1996-03-06 2006-03-08 有賀工業株式会社 段階的伸縮機構
WO2011095931A1 (fr) * 2010-02-02 2011-08-11 Richard Ghisolfi Véhicule à deux roues dépliable
KR101195096B1 (ko) 2009-04-20 2012-10-29 노규영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접철식 퀵보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726U (ja) * 1991-12-27 1993-07-27 北芝電機株式会社 電動カート
JP3753260B2 (ja) * 1996-03-06 2006-03-08 有賀工業株式会社 段階的伸縮機構
KR200189417Y1 (ko) * 2000-02-02 2000-07-15 에스앤드이, 인코포레이티드 킥 스쿠터
KR200239463Y1 (ko) * 2000-09-05 2001-09-13 은성전자 주식회사 킥보드의 핸들 높낮이조절장치
KR100424778B1 (ko) * 2001-02-06 2004-03-30 주식회사 휴모봇 주행용 보드
KR101195096B1 (ko) 2009-04-20 2012-10-29 노규영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WO2011095931A1 (fr) * 2010-02-02 2011-08-11 Richard Ghisolfi Véhicule à deux roues dépliable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접철식 퀵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502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라오닉스 접이식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KR20240054688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라오닉스 슬라이딩 홈 접이 구조를 갖는 라스트마일 모빌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341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9189C1 (ru) Скл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иденья самоката
JP5869647B2 (ja) ステッキチェア
KR20190003880A (ko) 링크기구 및 이를 이용하는 접이식 킥보드
JP5793533B2 (ja) 歩行車
KR102308370B1 (ko) 이동식 사다리
TWI594638B (zh) 耳機
JP2008291961A (ja) ヒンジ機構
KR20130006785U (ko)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100935459B1 (ko) 높낮이 조절식 지주골조용 고정부재
KR101150509B1 (ko) 다림질대
KR100840334B1 (ko) 강의용 책상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KR200458938Y1 (ko) 독서대로 변형가능한 가방
KR100950500B1 (ko) 접이식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방
TWM458769U (zh) 移動類電子設備支撐結構
TWI435717B (zh) Foot support
JP2015171409A (ja) 歩行補助及び起立補助用杖
KR102349796B1 (ko) 체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테이블
CN208875832U (zh) 一种可单手操作的新型围床
CN209594940U (zh) 立柱上的定位装置以及立柱组件
TWM539212U (zh) 電子裝置支架之樞紐器
KR102176728B1 (ko) 폴딩형 유모차
JP3187749U (ja) ラケットのガット張り機のクランプの固定構造
KR101523545B1 (ko) 줄넘기 겸용 악력기
KR20210000619U (ko) 의료침대용 접이식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