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785U -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 Google Patents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785U
KR20130006785U KR2020130003783U KR20130003783U KR20130006785U KR 20130006785 U KR20130006785 U KR 20130006785U KR 2020130003783 U KR2020130003783 U KR 2020130003783U KR 20130003783 U KR20130003783 U KR 20130003783U KR 20130006785 U KR20130006785 U KR 20130006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r
fixed
support frame
horizont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270Y1 (ko
Inventor
종-지에 장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원더랜드 너저리구츠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06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Abstract

본 고안은 유모차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유모차 프레임과 함께 절첩할 수 있는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평축(3)에 배치되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6)과, 조인트 수단에 의해 수평축 대해 요동하며 지지 위치와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수단(5)을 구비하고, 각 조인트 수단(6)은, 모두 수평축(3)과 지지 프레임 수단(5)에 각각 고정되며, 또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 유닛(7)과 고정 유닛(8)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유닛(7)에는, 고정 유닛(8)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제한 오목부(72) 및 제 2 제한 오목부(73)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유닛(8)은, 가이드 유닛(7)을 향하여 돌출하며 제 1 제한 오목부 또는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울 수 있는 고정 블록(8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SUPPORT APPARATUS AND BABY CARRIAG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모차에 절첩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짐 등을 유모차의 본체 외부에 여유를 가지고 탑재할 수 있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모차에는, 유아가 타는 의자의 아래에 수납용의 바구니가 장착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수납용의 바구니는, 유모차의 의자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데다가, 유모차 프레임의 절첩에 맞추어, 간단하게 절첩할 수 있는 부드러운 재료, 예를 들면 직물이나 비닐재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그 때문에 수납할 수 있는 중량도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다 큰, 또는 무거운 것을 수납할 수 있는 외부 장착의 수납 수단이 제안되어 있지만, 절첩이 불가능하고 또한 유모차에 장착하는 수고가 드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부족하다.
중국 특허 출원 제 01264492.7 호 중국 특허 출원 제 200720195373.4 호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유모차 수납 수단의 문제점에 대하여, 외부 장착된 수납 수단이기도 하며, 유모차에 한번 장착되면 분리하지 않아도 유모차 프레임과 함께 절첩할 수 있는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유모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수평축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요동으로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와 물건을 지지하지 않는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에 배치되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과,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축에 대해서 요동하며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은, 모두 상기 수평축과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있어서의 1개 및 다른 1개에 각각 고정되며, 또한 서로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 유닛과 고정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고정 유닛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제한 오목부 및 제 2 제한 오목부와,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와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유닛을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 또는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울 수 있도록 가동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고정 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는, 상기 고정 유닛에 면하는 제 1 저벽과, 상기 제 1 저벽의 상기 스페이서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에 면하는 제 2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는, 상기 고정 유닛에 면하는 제 2 저벽과, 상기 제 2 저벽의 상기 스페이서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접촉 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저벽의 상기 스페이서에 인접하는 측까지 경사져서 연신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선단과 상기 안내면이 인접하는 개소에 제 1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의 선단에서, 상기 고정 블록이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에 끼워질 때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주연에, 2개의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과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고정 유닛의 상기 고정 블록이 대응의 상기 가이드 유닛의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에 끼워지면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되어 상기 수납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 벽에 접촉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이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게 되어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상기 지지 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을 상기 가이드 유닛을 향하여 압출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수평축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가이드 유닛은, 모두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와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와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고정 유닛에 면하지 않는 측으로부터 연신하는 고정 슬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축이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내부삽입하도록 상기 수평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이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 벽에 접촉하는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동일한 측으로 수평으로 연신하는 접속 슬리브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고정 유닛의 상기 접속 슬리브에 각각 내부삽입하는 한쌍의 연신 아암과, 양단이 상기 한쌍의 연신 아암이 각각 노출하는 단부와 각각 연속하게 되는 연결 아암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신하는 지지 아암과, 상기 지지 아암에 장착되어 있는 캐스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축을 갖고, 또한 상기 서포터 장치가 상기 수평축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는, 예를 들면 유모차 프레임이 갖는 수평축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요동으로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와 물건을 지지하지 않는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수단과,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을 상기 수평축에 장착하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을 구비하므로, 한번 장착하면 분리하지 않아도 유모차 프레임과 함께 작게 절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를 이용하는 유모차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가 지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가 수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가 지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1개의 조인트 수단(6) 주변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의 가이드 유닛의 주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의 고정 유닛의 주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의 가이드 유닛과 고정 유닛의 관계가 도시되는 설명도,
도 10은 고정 블록이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워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설명도,
도 11은 고정 블록이 제 1 제한 오목부에 끼워지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설명도.
이하에서는 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를 이용하는 유모차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상기 유모차 프레임은 평행하는 한쌍의 지지 기둥(1)과, 상기 한쌍의 지지 기둥(1)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축(3)을 갖고 있으며,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는, 상기 유모차 프레임의 수평축(3)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요동으로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와 물건을 지지하지 않는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는 수평축(3)에 배치되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6)과,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6)에 의해 수평축(3) 대하여 요동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어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로 전환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3에서는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어 물건을 지지하지 않는 수납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 수단(5)은 한쌍의 조인트 수단(6)과 각각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연신 아암(51)과, 양단이 상기 한쌍의 연신 아암(51)이 각각 노출하는 단부와 각각 연속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 아암(52)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지지 위치에 있어서 연결 아암(5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신하는 지지 아암(53)과, 상기 지지 아암(53)에 장착되어 있는 캐스터(531)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지지 위치 이외의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1개의 조인트 수단(6)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평축(3)은 그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연결 슬리브(31)에 의해 한쌍의 지지 기둥(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지지 기둥(1)은 수평축(3)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연결 슬리브(31)에 각각 내부삽입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조인트 수단(6)은, 수평축(3)의 연결 슬리브(31)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유닛(7)과, 지지 프레임 수단(5)이 갖는 연신 아암(5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유닛(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유닛(7)과 고정 유닛(8)은 서로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다.
도 6은 연결 슬리브(31) 및 연결 슬리브(31)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유닛(7)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조인트 수단(6)이 각각 갖는 가이드 유닛(7)에는, 고정 유닛(8)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제한 오목부(72) 및 제 2 제한 오목부(73)와, 제 1 제한 오목부(72)와, 제 2 제한 오목부(73)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74)가 형성되어 있는데다가, 제 1 제한 오목부(72)와 제 2 제한 오목부(73)와 스페이서(74)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71)와, 본체(71)의 고정 유닛(8)에 면하지 않는 측으로부터 연결 슬리브(31)까지 연신하는 고정 슬리브(701)도 구비하고, 수평축(3)이 본체(71) 및 고정 슬리브(701)에 내부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수평축(3)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제한 오목부(72)는, 고정 유닛(8)에 면하는 제 1 저벽(721)과, 제 1 저벽(721)의 스페이서(74)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고정 유닛(8)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벽과, 제 1 측벽에 면하는 제 2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제한 오목부(73)는, 고정 유닛(8)에 면하는 제 2 저벽(731)과, 제 2 저벽의 스페이서(74)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고정 유닛(8)측으로 연신하는 접촉 벽(75)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74)는, 제 1 측벽의 고정 유닛(8)측으로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제 2 저벽(731)의 스페이서(74)에 인접하는 측까지 경사져서 연신하는 안내면(7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74)에 있어서의 제 1 측벽의 고정 유닛(8)측으로 연신하는 선단과 안내면(741)이 인접하는 개소에 제 1 모따기부(7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연신 아암(51)의 단부와 이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유닛(8)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사시도이며, 도 8은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 유닛(8)은, 수평축(3)에 의해 관통 삽입되며, 가이드 유닛(7)에 대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는 회동 슬리브(80)와, 회동 슬리브(80)로부터 연신하는 접속 슬리브(83)와, 회동 슬리브(80)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홈(801)에 수용되는 동시에, 수용 홈(801)에 의해 안내되고 가이드 유닛(7)을 향하여 돌출하며 제 1 제한 오목부(72) 또는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울 수 있도록 가동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고정 블록(81)과, 수용 홈(801)에 수용되며 고정 블록(81)을 가이드 유닛(7)측을 향하여 압출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8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 수단(5)이 갖는 한쌍의 연신 아암은, 한쌍의 조인트 수단(6)이 각각 갖는 고정 유닛(8)의 접속 슬리브(83)에 각각 내부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한쌍의 조인트 수단(6) 및 수평축(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세 수단(8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용 홈(801)은 가이드 유닛(7)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된 개구(802)와, 개구(802)를 거쳐서 가이드 유닛(7)에 면하는 저벽(803)과, 개구(802)를 저벽(803)의 면적보다 좁게 하는 제한 벽(804)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한편, 고정 블록(81)은 수용 홈(801)에 수용되어 있는 블록체(810)와, 블록체(810)로부터 개구(802)를 경유하고 가이드 유닛(7)을 향하여 돌기하는 돌기부(812)와, 블록체(810)의 돌기부(812)의 반대측으로부터 돌기하며 부세 수단(82)에 삽입하는 삽입부(814)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블록(81)의 돌기부(812)의 선단에서, 상기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질 때 제 1 측벽과 제 2 측벽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주연에, 제 2 모따기부(8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6)과 지지 프레임 수단(5)은, 한쌍의 조인트 수단(6)이 각각 갖는 고정 유닛(8)의 고정 블록(81)이 대응하는 가이드 유닛(7)의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지면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는 수납 위치로 전환되게 되고, 고정 블록(81)이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워져 접촉 벽(75)에 접촉하면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게 되어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위치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 수단(5)이 갖는 한쌍의 연신 아암(51)은 물건을 지지하기 위해서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므로, 이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신 아암(51)에 의해 각각 내부삽입되는 고정 유닛(8)의 접속 슬리브(83)도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도 2에 대응하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위치에 있어서는 고정 유닛(8)이 갖는 고정 블록(81)은 가이드 유닛(7)이 갖는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워지는 위치도 있으므로, 각 조인트 수단(6)이 각각 갖는 고정 유닛(8)에 형성되는 접속 슬리브(83)는, 고정 블록(81)이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워지고 접촉 벽(75)에 접촉하는 지지 위치에서는 동일한 측으로 수평으로 연신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또한, 수평축(3)에 의해 관통 삽입되는 본체(71)에 형성되는 제 1 제한 오목부(72) 및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대해서는, 본체(71)에 있어서 수평축(3)의 연신 방향을 축심으로 하는 원주에 있어서 각각의 원주각의 사이에, 대략 90°의 차이가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한쌍의 조인트 수단(6)이 각각 갖는 고정 유닛(8)의 고정 블록(81)이 대응하는 가이드 유닛(7)의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지면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는 수납 위치로 전환될 수 있게 되며, 그리고 고정 블록(81)이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워지고 접촉 벽(75)에 접촉하면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게 되어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6)이 각각 갖는 가이드 유닛(7)은 수평축(3)에 고정되고, 고정 유닛(8)은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5)에 고정되어 있지만, 고정 유닛(8)이 수평축(3)에 고정되며, 가이드 유닛(7)이 지지 프레임 수단(5)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한쌍의 조인트 수단(6)은, 모두 수평축(3)과 지지 프레임 수단(5)에 있어서의 1개 및 다른 1개에 각각 고정되며, 또한 서로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 유닛(7)과 고정 유닛(8)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도 9 내지 도 11은 가이드 유닛(7)과 고정 유닛(8)의 관계가 도시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고정 블록(81)이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은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블록(81)이 제 2 제한 오목부(73)에 끼워져 있는 상태는 도 2에 도시되는 지지 위치에 대응하며, 고정 블록(81)이 접촉 벽(75)에 접촉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져 있는 상태는 도 3에 도시되는 수납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도 2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 위치로부터 도 3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수납 위치로 전환할 때,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평에 가깝게 배치하는 상태로부터 수직에 가까운 위치로 이행하는 동시에, 고정 블록(81)이 안내면(741)을 따라서 이동하는 동시에 부세 수단(82)이 압축되고,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도달하면 부세 수단(82)에 의해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지게 된다.
도 3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수납 위치로부터 도 2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지지 위치로 전환할 때,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에 끼워져 임시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지 프레임 수단(5)이 수직에 가까운 위치에 안정되게 보지되어 있지만, 힘을 가하여 지지 프레임 수단(5)을 수평에 가깝게 가압하면, 스페이서(74)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모따기부(742)와 고정 블록(81)의 돌기부(812)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모따기부(813)의 대응에 의해서(도 6 및 도 8 참조),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로부터 빠져나가도록 이동하는 동시에 부세 수단(82)이 압축된다. 고정 블록(81)이 제 1 제한 오목부(72)로부터 빠져나가면, 지지 프레임 수단(5)을 수평에 가까운 지지 위치에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서포터 장치는, 예를 들면 유모차 프레임이 갖는 수평축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요동으로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와 물건을 지지하지 않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수단과,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을 상기 수평축에 장착하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을 구비하므로, 한번 장착하면 분리하지 않아도 유모차 프레임과 함께 작게 절첩할 수 있다.
1 : 지지 기둥 3 : 수평축
31 : 연결 슬리브 5 : 지지 프레임 수단
51 : 연신 아암 52 : 연결 아암
53 : 지지 아암 531 : 캐스터
6 : 조인트 수단 7 : 가이드 유닛
701 : 고정 슬리브 71 : 본체
72 : 제 1 제한 오목부 721 : 제 1 저벽
73 : 제 2 제한 오목부 731 : 제 2 저벽
74 : 스페이서 741 : 안내면
742 : 제 1 모따기부 75 : 접촉 벽
8 : 고정 유닛 80 : 회동 슬리브
801 : 수용 홈 802 : 개구
803 : 저벽 804 : 제한 벽
81 : 고정 블록 810 : 블록체
812 : 돌기부 813 : 제 2 모따기부
814 : 삽입부 82 : 부세 수단
83 : 접속 슬리브

Claims (10)

  1. 수평축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요동으로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와 물건을 지지하지 않는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서포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에 배치되는 한쌍의 조인트 수단과,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에 의해 상기 수평축에 대하여 요동하며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은, 모두 상기 수평축과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있어서의 1개 및 다른 1개에 각각 고정되며, 또한 서로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가이드 유닛과 고정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유닛에는, 상기 고정 유닛을 향하여 개구하는 제 1 제한 오목부 및 제 2 제한 오목부와,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와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 사이에 개재하는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유닛을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 또는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울 수 있도록 가동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고정 블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는, 상기 고정 유닛에 면하는 제 1 저벽과, 상기 제 1 저벽의 상기 스페이서에 인접하는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측벽에 면하는 제 2 측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는, 상기 고정 유닛에 면하는 제 2 저벽과, 상기 제 2 저벽의 상기 스페이서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접촉 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에,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저벽의 상기 스페이서에 인접하는 측까지 경사져서 연신하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고정 유닛측으로 연신하는 선단과 상기 안내면이 인접하는 개소에 제 1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의 선단에서, 상기 고정 블록이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에 끼워질 때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벽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주연에, 2개의 제 2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과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고정 유닛의 상기 고정 블록이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유닛의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에 끼워지면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이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되어 상기 수납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 벽에 접촉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이 수평에 가깝게 배치되게 되어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상기 지지 위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배치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을 상기 가이드 유닛을 향하여 압출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수평축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가이드 유닛은, 모두 상기 제 1 제한 오목부와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와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고정 유닛에 면하지 않는 쪽으로부터 연신하는 고정 슬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축이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내부삽입하도록 상기 수평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이 상기 제 2 제한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접촉 벽에 접촉하는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동일한 측으로 수평으로 연신하는 접속 슬리브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한쌍의 조인트 수단이 각각 갖는 상기 고정 유닛의 상기 접속 슬리브에 각각 내부삽입하는 한쌍의 연신 아암과, 양단이 상기 한쌍의 연신 아암이 각각 노출하는 단부와 각각 연속하게 되는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수단은 상기 지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신하는 지지 아암과, 상기 지지 아암에 장착되어 있는 캐스터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 장치.
  10. 수평축을 갖고,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포터 장치가 상기 수평축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2020130003783U 2012-05-16 2013-05-14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04752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202217175U CN202574330U (zh) 2012-05-16 2012-05-16 婴儿载具及其托架装置
CN201220221717.5 2012-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85U true KR20130006785U (ko) 2013-11-26
KR200475270Y1 KR200475270Y1 (ko) 2014-11-21

Family

ID=4724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783U KR200475270Y1 (ko) 2012-05-16 2013-05-14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84831U (ko)
KR (1) KR200475270Y1 (ko)
CN (1) CN202574330U (ko)
TW (1) TWM45915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9346A1 (en) * 2012-10-31 2014-06-12 Patrick William Laffan Stroller with expandable cargo area
CN104554409A (zh) * 2013-10-25 2015-04-2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防车架误用机构及具有该防车架误用机构的婴儿车
CN111634320B (zh) * 2017-01-06 2022-10-14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载具
US11820419B2 (en) * 2021-11-12 2023-11-21 Baby Generation, Inc. Rider board attach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1381B2 (ja) * 1997-12-19 2000-11-20 裕二 橋本 チャイルドステップカー及びこれを用いたベビーカー
KR20000021192U (ko) * 1999-05-21 2000-12-26 김석환 원형 피벗/ 잠금장치 일체형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574330U (zh) 2012-12-05
TWM459154U (zh) 2013-08-11
KR200475270Y1 (ko) 2014-11-21
JP3184831U (ja)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0966B1 (en) Director's chair
CA2910722C (en) A lifting desk
US7614097B1 (en) Structure of a foldable mechanism of a baby mesh bed
US7757999B2 (en) Foldaway worktable
US7464420B2 (en) Infant bed
JP6501585B2 (ja) ベビーカー
US20070186344A1 (en) Structure of a moving joint of a folding baby bed with meshes
KR20130006785U (ko)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US7770246B2 (en) Foldable bed
US20210112967A1 (en) Folding stool or folding table
US20060021136A1 (en) Joint of a foldable bed for babies
CN103070653A (zh) 圆盘升降拖把桶组件
US20100013273A1 (en) Foldable director's chair
US7147242B2 (en) Folding mechanism for a front wheel of a golf cart
KR101150509B1 (ko) 다림질대
KR200458938Y1 (ko) 독서대로 변형가능한 가방
CN209733813U (zh) 便携式马桶
US20140259395A1 (en) Hammock
KR102291003B1 (ko) 접이식 목발
US20040113394A1 (en) Supporting mechanism of a foldable stroller
CN108887821B (zh) 折叠式伞布支撑骨
KR100787158B1 (ko) 상다리 절첩장치
KR200472049Y1 (ko) 의자 기능을 갖는 지팡이
CN208411990U (zh) 折叠滑板车的立杆折叠结构
CN101849750B (zh) 用于连接一顶蓬的顶蓬卡座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