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507A -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 Google Patents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507A
KR20210067507A KR1020190157208A KR20190157208A KR20210067507A KR 20210067507 A KR20210067507 A KR 20210067507A KR 1020190157208 A KR1020190157208 A KR 1020190157208A KR 20190157208 A KR20190157208 A KR 20190157208A KR 20210067507 A KR20210067507 A KR 2021006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steering
sea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1154B1 (ko
Inventor
오승용
Original Assignee
오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용 filed Critical 오승용
Priority to KR102019015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1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프레임과; 조향부와; 모터부와; 좌석부와; 배터리부와;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발판부와 상기 조향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좌석부와 상기 조향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에 상기 좌석부와 상기 조향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Electric kickboard with structural conversion}
개시된 내용은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이동하기 위한 시간은 너무나 아깝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전거,오토바이, 자동차 등을 선택한다.
하지만, 바쁜 현대인들에게 우리나라의 도로는 너무나도 답답하다. 그래서 대중교통을 타기 위해 노력한다. 대도시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은 대체로 정시 운행이 이루어지는 지하철이다.
지하철을 타러 가기 위한 거리가 가깝거나 도착역에서 최종 목적지가 가까운 경우에는 고민을 하지 않고 지하철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출발역까지의 거리와 도착역에서 최종 목적지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또다시 시간이 아깝고 힘들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따라서 출발지에서 출발역까지, 그리고 도착역에서 도착지까지 자전거나 킥보드 등을 사용하여 환승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공휴일에만 자전거를 휴대하여 지하철을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사용에 제약이 뒤따르며, 이에 비하여 킥보드는 자전거에 비해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며 지하철에도 휴대하여 탑승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특히 젊은 층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종래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4403호의 "절첩 가능한킥보드"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는 핸들과 보드에 각각 프레임과 플레이트를 샤프트로 조립하여 회전하도록 하며, 프레임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핸들이 보드 위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휴대와 보관이 간편하게 되도록 한 것으로, 운반 시에는 후륜 측에 위치하는 핸들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세워 전륜이 지면에 접하도록 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절첩 가능한 킥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전륜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마치 외발수레와 같이 세심한 주의를기울이지 않으면 넘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접은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없어 한 손으로는 계속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운반 도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 다른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국제공개특허 WO2013065978 A1의 "접이식 킥보드"가 있다.
상기 국제공개특허의 접이식 킥보드는 핸들지지프레임이 발판 위로 접히도록 구성하고, 후륜 측에 스탠드를 구비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운반 도중에 스탠드에 의해 세워둘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국제공개특허의 접이식 킥보드는 발판의 후단부에 스탠드를 구비하여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하는 도중에 넘어지지 않게 세워 둘 수 있게 되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후륜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마치 외발수레와 같이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넘어지려고 하기 때문에 운반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들지지프레임과 발판을 접기 위한 접이구조가 핸들지지프레임의 하단과 발판의 선단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었을 때 전체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하여 핸들지지프레임의 길이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전체 길이가 보드의 길이 이하로 짧아질 수 없어 보관하거나 차량에 적재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이식 킥보드의 선행기술로서 3개의 바퀴가 있는 "접이식 킥보드"가 있다. 이와 같은 접이식 킥보드는 후륜을 좌우 2개로 구성하여 접은 상태에서 캐리어형으로 견인하여 운반 시 전륜 1개와 후륜 2개를 포함하는 3개의 바퀴가 지면에 닿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접이식 킥보드는 접은 상태에서 전륜 1개와 후륜 2개가 좌우로 일직선상에 놓이기 때문에 접은 상태에서는 자체적으로 세워둘 수 없어 한 손으로는 계속 핸들을 잡고 있어야 하므로 운반 도중 휴대전화를 사용하거나 물건을 구입하는 등 다른 일을 병행하는 경우 다른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3개의 바퀴가 조밀하게 위치되어 불안정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킥보드를 수직으로 접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킥보드는 사용자가 바퀴가 장착된 발판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쪽 발로 지면을 박차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서, 스케이트보드와 달리 발판에 수직되게 올라온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상기 킥보드는 인라인스케이트나 자전거와 같이 평상시 출·퇴근의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되거나, 또는 주말에강변 등에서 레포츠용 이동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킥보드는 보관과 휴대의 편의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핸들을 발판과 수평되게 접철시키도록 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단순히 핸들이 발판에 인접하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접을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킥보드가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지지도 않으며, 접혀져 있는 킥보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를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이와 같이 접혀져 있는 킥보드는 눕혀서 보관하거나 들어서 운반할 수 있을 뿐 이를 어디에도 활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효용성도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종래기술의 킥보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9040호로서 공개된 접철식 자전거와 같이, 지금까지 개발된 종래의 접철식 킥보드는 단순히 핸들이 발판에 인접하도록 90도 각도로 접혀지는 정도에 불과하여, 접을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접혀진 상태에서 세워지지도 않으며, 접혀져 있는 킥보드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를 들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킥보드에 따르면, 90도 각도로 접혀지도록 마련된 힌지(hinge) 자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방식으로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게 되는데, 힌지 자체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만으로는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은 힌지의 구조상 안정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04403호 2. 국제공개특허 WO2013065978 A1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9040호
개시된 내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레임의 상부에 조향부와 좌석부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구비하고, 조향부와 좌석부는 프레임의 외측에 힌지 결합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조향부와 좌석부가 폴딩 후 수납부의 상부에 발판부가 결합 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동 킥보드나 스케이트보드로 손쉽게 구조를 변환 할 수 있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내용은, 프레임과; 조향부와; 모터부와; 좌석부와; 배터리부와;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발판부와 상기 조향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좌석부와 상기 조향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에 상기 좌석부와 상기 조향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판부를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발판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향부는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조향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지지부는 절첩이 가능한 다단봉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지 좌석부는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는 좌석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석연결부는 절첩이 가능한 다단봉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륜 및 후륜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배터리부에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는 폴딩이 가능한 조향부와 좌석부를 통해, 평상시에는 전동 킥보드로 사용하고, 수납부에 폴딩 후에는 스케이트보드로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전륜 및 후륜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배터리부에 저장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 (a),(b),(c)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조향부(200), 모터부, 좌석부(300), 배터리부 및 모터부와 결합되어 구동을 하는 전륜, 후륜(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도 2(a), (b),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수납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부(110)에는 후술할 조향부(200)와 좌석부(300)가 수납되는 것으로 수납부(110)의 상부는 상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수납부(110)의 길이 및 깊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조향부(200)와 좌석부(300)가 동시에 수납되거나, 어느 하나가 수납되어야 하는 것인바 수납부(110)의 길이는 프레임(10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되 조향부(200) 또는 좌석부(300)의 길이(높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부(110)의 깊이는 조향부(200)와 좌석부(300)가 동시에 수납될 수 있는 깊이의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400)는 프레임(10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발판부(400)는 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발판부(400)는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 사용시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곳으로 운행시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판부(400)는 수납부(110)의 상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판부(400)는 수납부(110)에 조향부(200) 또는 좌석부(3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부(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발판부(400)는 수납부(110)의 상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부(110)를 완전히 덮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을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판부(400)는 프레임(100)의 측면에 한 개 또는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발판부(400)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발판부(400)의 가로 및 세로길이는 수납부(110)의 가로 및 세로길이에 대응되는 값을 갖게 형성되어야 하며, 두 대의 발판부(400)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이 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가로 및 세로길이는 수납부(110)의 가로길이에 대응되는 세로길이의 값을 갖되 가로길이는 수납부(110) 가로길이의 절반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400)는 프레임(10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데, 결합고정력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힌지 결합을 통해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결합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과 결합방법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의 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턱(1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턱(113)은 발판부(400)를 수납부(110)의 상부로 회동시켜 결합시, 발판부(400)의 하면을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발판을 제공하게 된다.
지지턱(113)의 돌출된 정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후술할 조향부(200)와 좌석부(300) 회동시 조향부(200)의 핸들부(210)와 좌석부(300)의 안장부(310)가 걸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지지턱(113)의 돌출된 정도가 지나치게 긴 값을 갖게 형성된다면, 발판부(400)의 하면과 면접하게 되는 면적이 넓어져 결합력 및 고정력은 강화될 수는 있지만, 조향부(200)와 좌석부(300) 회동시 간섭이 되어, 회동구동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지턱(113)이 형성되는 지점, 즉 수납부(110)의 측벽에서 형성되는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발판부(400)의 상면은 발판부(400)가 수납부(110)에 삽입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평면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발판부(400)는 수납부(110)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 되고, 상면은 사용자에게 발을 디딜 수 있게 평면으로 제공하기 위해 발판부(400)를 수납부(110)의 상부로 삽입시키는 위한 회동시 발판부(400)의 상단이 수납부(110)의 상단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해야 하므로, 지지턱(113)은 이를 고려하여, 수납부(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부(200)는 핸들부(210)와 조향지지부(220)로 이루어진다.
핸들부(210)는 조향지지부(220)의 상단에 결합 되어 전륜의 좌우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지지부(220)는 핸들부(210)가 형성되는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조향지지부(220)는 원통형, 직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조향지지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이 가능한 다단봉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길이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부가 관통되어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고 그 공간에 분절된 각 조향지지부(220)가 삽입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향지지부(220)의 세로길이(높이)와 핸들부(210)의 가로길이(폭)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조향부(200)는 프레임(100)의 수납부(110)에 수납되야 하므로, 핸들부(210)의 가로길이(폭)는 프레임(100)의 가로길이(폭)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어야 하고. 조향지지부(220)의 세로길이(높이)는 접었을 때의 높이가 프레임(100)의 가로길이 즉 길이방향의 길이 보다 작은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지지부(220)의 타단은 프레임(100)의 일측에 힌지 결합 된다.
이를 통해 조향부(200)는 힌지 결합된 지점을 축으로 하여 프레임(100)의 수납부(110)가 형성되는 방향에서, 프레임(100)의 수직된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 하게 된다.
힌지 결합에 대한 구성 및 원리는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좌석부(300)는 사용자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안장부(310)와 일단이 안장부(31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좌석연결부(320)로 이루어진다.
안장부(310)는 일반적인 자전거 안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전거 안장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석연결부(320)는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이 가능한 다단봉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조향지지부(220)와 같은 이유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연결부(320)의 타단은 프레임(100)의 타측에 힌지 결합 된다.
다만, 조향부(200)와 좌석부(300)를 폴딩 후 수납부(110)의 상면에는 발판부(400)가 결합 되는데,
이때 발판부(400)의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조향부(200)와 좌석부(300)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부(130)는 프레임(100)의 외측에 형성되되 프레임(100)의 상단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상부의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하측으로 함입형성되는 폴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힌지부(130)는 폴딩홈(120)이 형성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조향부(200)와 좌석부(300)를 폴딩하여 수납부(110)에 수납시킨 후 발판부(400)를 수납부(110)의 상부에 결합시키게 되면 사용자에게 평면상태의 발판부(400)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제어부(500)가 형성된다.
제어부(500)는 배터리부와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어,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0)는 프레임(1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배터리부가 프레임(100)의 하부나 내부에 형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프레임(100)의 내부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00)에는 에너지전환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전환부는 사용자가 제어부(500)를 통해 배터리부의 전기에너지의 공급을 차단한 후, 수동으로 전동 킥보드를 타는 경우, 전륜(1) 및 후륜(2)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배터리부에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는 폴딩이 가능한 조향부(200)와 좌석부(300)를 통해, 평상시에는 전동 킥보드로 사용하고, 수납부(110)에 폴딩 후에는 스케이트보드로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케이트보드로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배터리부에 저장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륜
2 : 후륜
100 : 프레임
110 : 수납부
113 : 지지턱
120 : 폴딩홈
130 : 힌지부
200 : 조향부
210 : 핸들부
220 : 조향지지부
300 : 좌석부
310 : 안장부
320 : 좌석연결부
400 : 발판부
500 : 제어부

Claims (6)

  1. 프레임과; 조향부와; 모터부와; 좌석부와; 배터리부와;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 킥보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발판부; 및
    상기 조향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좌석부와 상기 조향부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에 상기 좌석부와 상기 조향부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수납부의 상면에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발판부를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발판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조향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지지부는 절첩이 가능한 다단봉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지 좌석부는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안장부와 상기 안장부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힌지 결합되는 좌석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석연결부는 절첩이 가능한 다단봉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배터리부 및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전륜 및 후륜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배터리부에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KR1020190157208A 2019-11-29 2019-11-29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KR102311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08A KR102311154B1 (ko) 2019-11-29 2019-11-29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08A KR102311154B1 (ko) 2019-11-29 2019-11-29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07A true KR20210067507A (ko) 2021-06-08
KR102311154B1 KR102311154B1 (ko) 2021-10-13

Family

ID=7639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208A KR102311154B1 (ko) 2019-11-29 2019-11-29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1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40A (ko) 2002-04-01 2003-10-10 임춘남 절첩식 자전거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접철식 퀵보드
KR20140053176A (ko) * 2010-07-07 2014-05-07 라울 파리엔티 전기엔진을 갖는 접이식의 초경량 삼륜자전거
KR20170043940A (ko) * 2015-10-14 2017-04-24 박재훈 자가발전형 구동륜
CN206351743U (zh) * 2016-10-13 2017-07-2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多功能滑板
CN109131662A (zh) * 2018-09-04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折叠两用代步车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040A (ko) 2002-04-01 2003-10-10 임춘남 절첩식 자전거
KR20140053176A (ko) * 2010-07-07 2014-05-07 라울 파리엔티 전기엔진을 갖는 접이식의 초경량 삼륜자전거
WO2013065978A1 (ko) 2011-11-02 2013-05-10 Kim Youngsan 접철식 퀵보드
KR20170043940A (ko) * 2015-10-14 2017-04-24 박재훈 자가발전형 구동륜
CN206351743U (zh) * 2016-10-13 2017-07-25 哈尔滨理工大学 一种多功能滑板
CN109131662A (zh) * 2018-09-04 2019-01-04 惠州市万顺桔企业管理服务有限公司 一种折叠两用代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154B1 (ko) 202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7852B2 (en) Foldable scooter
CN102673619B (zh) 随意手拉车
EP3024715B1 (en) Folding scooter
CN1925768B (zh) 通过轮子滑行的行李箱
US9493206B1 (en) Transformable folding electric scooter
EP1565371B1 (en) Means of personal transport
CA2405305A1 (en) Baggage item with rollers
TWM289405U (en) Folding bike
CN109789911A (zh) 机器人化的三轮车
US11267527B2 (en) System for rolling a folded bike
KR102311154B1 (ko) 구조 변환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KR100999649B1 (ko) 접이형 자전거
KR102150090B1 (ko) 캐리어형 접이식 킥보드
KR20120044165A (ko) 접이식 개인 이동 수단 및 이를 이용한 소형 차량
CN105501365B (zh) 一种折叠车架及折叠电动车
KR101191789B1 (ko) 변환좌석을 구비한 동력 운반수레
CN101780828A (zh) 框箱式折迭多用车
CN201287745Y (zh) 具有梯架的搬运推车结构
KR200443371Y1 (ko) 운반용 수레
AU2018101685A4 (en) The Scooteroo Project
CN204548339U (zh) 一种脚踏式物流运输车
CN201808626U (zh) 售货车
CN211076192U (zh) 一种独轮车
CN205872321U (zh) 一种折叠车
BE1013785A6 (fr) Chariot orientable, prolonge ou non par une trottine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