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47462A1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47462A1
WO2015147462A1 PCT/KR2015/002321 KR2015002321W WO2015147462A1 WO 2015147462 A1 WO2015147462 A1 WO 2015147462A1 KR 2015002321 W KR2015002321 W KR 2015002321W WO 2015147462 A1 WO2015147462 A1 WO 20151474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ing
mobile device
outer ring
inner r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23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연욱
권우주
Original Assignee
권연욱
권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연욱, 권우주 filed Critical 권연욱
Publication of WO20151474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474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in particular, the inner ring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mobile device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outer ring for mounting the mobile device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the outer 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arrang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ing.
  • Representative mobile device accessories include cell phone rings for fastening traffic cards or touch pens, cradles for mounting mobile devices on flat or inclined surfaces for multimedia functions, and fastening to fingers or bags to prevent loss of mobile devices. Finger holders, and the like.
  • various mobile device cases are widely used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or components inside the mobile device from scratches and scratches, to protect information lost due to an impact such as damage, and to have a beautiful appearance.
  • the mobile device case protects the mobile device from scratches, scratches and impacts, but does not prevent the mobile device from dropping.
  • Patent Document 1 a portable device case provided with a drop prevention device is known in Patent Document 1.
  • the fall prevention devi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able device ca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leather, silicone.
  • the fall preven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cannot be used to mount a portable device because it is formed using a soft material,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providing a separate accessory when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 the fall preven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bile device case, users who do not use the mobile device case can not use the drop prevention device.
  • Patent Document 2 is known multifunctional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detachable to the portable device, a rotating bracket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a rotating ring rotatably mounted to the rotating bracket, and the elastic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ng ring Member.
  • the rotation ring has a rectangular ring shape and is rotatably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of the rotating bracket.
  • the pivot ring can be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otating bracket.
  • Such multifunctional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can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radles, waist belt hooks and finger holders.
  • Patent Literature 2 on one side, a plate-shaped fixed main body provided with an adhesive means detachably attached to a surface of a predetermined space, and a rotation bracket which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xed main body to support one end of the rotating ring,
  •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is to be used on an inclined surface or where there is shaking such as a dashboard of a vehicle.
  • the rotation ring should accommodate the role of the holder, it should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Since the rotation ring is hard, when the rotation ring is used as a finger hold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finger hurts and blisters. This may cause injury such as being caught.
  • the function is limited because it can be used only in the form of the finger facing up, such as the wall hanging.
  • the rotation ring is formed in a square r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user's finger is formed to be angular, and when the user grips the mobile device with his / her finger in the rotation ring, the rotation ring is angled. Your finger will be pressed to the part.
  • the rotation ring when mounting a mobile device is preferably large in size to support the mobile device stably.
  •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rotation ring to prevent falling of the mobile device.
  • the fingers will loosen and the pivot will not function as a fall protection.
  • the size of the rotation ring becomes smaller, and it becomes less stable to support the mobile device when the rotation ring is used as a holder.
  • the rotation ring since the rotation ring is made of a hard material, it does not stretch and cannot be used if the finger is thicker than the through hole of the rotation ring.
  • the rotating ring and related parts formed of a hard material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recently launched curved smartphone or exterior case, and when u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needs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curved shape. .
  •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formed including a base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
  •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similar in configuration to the multifunctio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s in Patent Document 2,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is are not differ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inner ring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mobile device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outer ring for mounting the mobile device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the outer r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o-r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disposing outside the inner ring.
  • the bas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including an inner ring connected by a connecting neck, the outer ring hinged to the base, the base and the inner ring is It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wherein the outer ring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ng provides a two-r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ing.
  • a finger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provides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in which the outer ring mounts and supports a mobile device,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ring matches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ring.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wherein a lower end of the outer ring protrudes, and a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 the center of the inner ring provides a two-ring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in which a fixed plate is located.
  • the fixing plate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to be used as a mirror,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provides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is formed with a projection.
  • Two rings having different uses that is, an inner ring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mobile device and an outer ring for mounting, are respectively formed, thereby providing an optimized layout for the user's convenience.
  • the outer ring is arranged to surround the inner ring on the outside of the inner ring, to provide an inner ring of a size suitable for general finger thickness, and to arrange the outer ring to receive the inner ring inside, Stable to mount the mobile device.
  •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can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 the user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device to perform various actions such as writing a message or taking a self photo, the user can support the mobile device by hanging the inner ring on the finger,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device from falling. Can be used safely.
  • the inner ring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so that when the user supports the mobile device by putting the inner ring on the finger, even if the user turns the direction of the hand downward, the inner ring is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 finger and the finger.
  • the mobile device can be supported by the friction instead of immediately falling, so that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ime to retreat the mobile device that is about to fall, and as a result, the fall of the mobile device can be prevented.
  • the inner ring and the base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neck.
  • the inner ring is pulled by the connecting neck so that the inner ring is tightened by itself while touching the finger, thereby preventing the fall.
  • connection neck makes it possible to easily use various mobile device functions, such as writing a text message and taking a selfie, even when a fing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ring.
  • the inner ring is connected to the base by a connecting neck, the user can support the mobile device by placing the finger on the inner ring with the back of the hand, so that the user can freely use both hands without removing the mobile device from his or her hand. Can be.
  • connection tree is also formed of a soft material,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or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mobile device, the user can rotate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and the user can hold the mobile device in the most comfortable posture. To help.
  • the inner ring made of soft, flexible material reduces finger fatigue, prevents pain, and prevents falling,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operated with a hand grasping the handle by standing on a shaking train or bus and preventing loss. Can be.
  • the outer ring is formed of a rigid material, when the user uses the DMB and video viewing, navigation functions as a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mount or fix the mobile device in a desired position to increase the convenience.
  • the portable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inside the vehicle.
  • the outer ring can be used to simply mount the mobile device inside the vehicle, as well as to use the navigation.
  • the portable device can be easily mounted, and even if the vehicle used by the user is changed, the port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 the Turing accessories allow you to mount your mobile device where you need it.
  • the outer ring is hinged to the base, the outer ring is rotatable, but when the outer ring is extended by providing a jaw in the base coupled with the outer ring, the mobile device does not fall over a certain angle, It was able to maintain the mounted state stably.
  • the outer ring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ring, to optimize the size of the inner ring to the user's fingers, and the size of the outer ring for mounting the mobile device stably, to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By providing the best layout possible, it provides convenience for users of two-ring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 the portable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but when not using the earphone, the earphone can be gripped to the inner ring is convenient, and can prevent the loss of the earphone.
  • the base since the base also uses a soft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also be used in a mobile device of the curved type that is recently released.
  • the lower end of the outer ring is protruded,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n arcuate convex upward, when mounting the mobile device using the outer ring, the vertices of both ends of the arcuate stable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role of the two-ring accessories for mobile devices and the aesthetics of the mobile device to which the accessories are attached to enhance the aesthetics.
  • a fixing plate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ring, and the fixing plate serves to fix the inner ring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may be on the same plane when the inner ring is not used. Even if the inner ring is not used, the user may not be uncomfortable to use the mobile device, and the aesthetics may be improved without harming the aesthetics.
  • the fixing plate may further form a coating layer to be used as a mirror, the user by using the fixing plate, by adding a function such as simple teeth cleaning and face view after meals,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 a protrusio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so that the portable device can be more stably mounted when the mounting ring is inserted into the CD player of the vehic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FIG.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ring is separated.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ng is separat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ring of the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 6A and 6B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inner ring.
  • FIGS.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horizontally supported by the outer ring.
  • 8A and 8B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vertically supported by the outer ring;
  • FIG. 9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ring is inserted into the CD player to support the mobile device.
  •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is gripped by the inner rin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of Figure 1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ring is separated
  • Figure 4 is an outer ring is separated
  •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ring of a two-ring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 FIGS. 6A and 6B are use stat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use of the inner ring.
  • 7A and 7B are use stat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up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outer ring
  • FIGS. 8A and 8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mobile device is suppo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outer ring.
  • 9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outer ring is inserted into the CD player to support the mobile device
  • FIG. 10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where the earphone is gripped by the inner ring.
  • Two-ring accessory 100 for a mobile devi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101, the base 101, the inner ring 110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neck 103, the base 101 And an outer ring 130 which is hinged.
  • the base 101, the connecting neck 103 and the inner ring 110 is made of a soft material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a flexible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silicone, rubber, leather), integrally formed do.
  • the outer ring 130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 the base 10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the upper side 101a and the lower side 101b of the base are each formed convexly up and down, and all four vertices of the base 101 are rounded, When the two ring accessory 100 is attached to the mobile device 200, the aesthetics is improved.
  • the base 10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but the base 101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an ellipse, or the like, and the shape of the base 101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necting neck 103 is preferably formed as an extension of a length of 5mm ⁇ 15mm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rive in a state of holding the mobile device 200.
  • the neck 103 serves to support the mobile device 200 without discomfort by putting the user to the back of the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put a finger on the inner ring 110, the user is free to hold both hands Can be used.
  • connection tree 103 serves to easily drive while preventing the fall of the mobile device 200 when the user standing or watching the DMB when taking a self-camera, or when using public transport such as trains and buses.
  • the inner ring 110 is formed of a flexible soft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silic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inger fatigue is small even if the user uses it for a long time.
  • the connecting neck 10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ring 110,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ring 110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such as a circular or elliptical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finger.
  • the inner ring 110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prevents the user from falling to the floor when the user holds the mobile device downward.
  • the friction between the inner ring 110 and the finger so that the user can grab the mobile device, such as grab the mobile device before the portable device 200 falls.
  • connection neck 103 is pulled to reach the inner ring 110 finger and tightened by itself to prevent the fall.
  • the base 101, the neck 103, and the inner ring 110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 the base 101 further includes a penetrated receiving portion 105 through which the inner ring 110 and the outer ring 130 may be receiv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neck 103.
  • the receiving portion 105 is formed to be concentric with the inner ring 110, it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outer ring 130 can be accommodated properly.
  • the outer diameter of the inner ring 11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ring 130 are formed to match.
  • the outer ring 13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ncentric with the inner ring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ring 130 is formed to be a straight line or at least two contacts with the bottom.
  • the outer ring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ring 110, it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 connection neck 103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neck 103 is formed bridge 103a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ring 130 to support the connection neck 103.
  • the bridge 103a wraps around the neck 103, and the inner side of the outer ring 130 has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ing 110.
  • the outer ring 130 is hinged to the base 101 by a hinge pin 107.
  • the hinge pins 10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ridge 103a, and a hinge groove 107a for coupling with the hinge pins 107 is furthe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5 of the base 101. .
  • the hinge pin 10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ring 130, but if the up and down rotation and support of the outer ring 130, the hinge pin 107 is formed separately and the outer ring 130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tructure that further forms a hinge groove.
  • the outer ring 130 may be supported by the hinge pin 107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so that the outer ring 130 can be expanded and folded about 100 degrees using the hinge pin 107 to be folded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the portable device 200 can be placed upright.
  • a jaw 104 for supporting the bridge 103a is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05 in which the bridge 103a is accommodated.
  • the jaw 104 is formed by the hinge pin 107 is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bridge 103a, when the user removes the outer ring 130, the outer ring 130 and the outer ring ( The bridge 103a connected to 130 rotates, and the bridge 103a is caught by the jaw 104 so that the outer ring 130 can no longer rotate and is supported.
  • the outer ring 130 is supported by the jaw 104 so as not to rotate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when the mobile device 200 is mounted and supported, the s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 the support protrusion 108 is further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neck 103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outer ring 130.
  • the support protrusion 108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108a formed in the connecting neck 103.
  • the connecting neck 10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08 and the support groove 108a.
  • the outer ring 13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kind of locking projection (not shown)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se 101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fixed from the base 101.
  • the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base 101, and in this case,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base 10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ring 130.
  • one or more grooves 113 are further provided so that one of the inner ring 110 and the outer ring 13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ase 101.
  • the groove 113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ner ring 110 and the outer ring 130, and formed in the inner ring 110 or the outer ring 130 alone, or the inner ring 110 and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ring (130).
  • the groove 113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at is convex upward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ring 110.
  • the shape of the groove 113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user puts a finger into the groove 113 to separate the inner ring 110 or the outer ring 130.
  • the user may pull the finger downward in the groove 113 to separate the inner ring 110 from the base 101, and use the finger as the groove 113. If you walk upward of the outer ring 130 will be separated from the base 101 to be used.
  • the outer ring 130 may be used when the mobile device 200 is mounted in a flat place or a vehicle, such as a tabletop.
  • the outer ring 130 removes the outer ring 130 by placing a finger on the groove 113, and rotates until it is no longer flipped, the mobile device ( 200) can be ori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mobile device 200 may be used vertically, and in this case, the outer ring 130 is supported by the hinge pin 107 so that the outer ring 130 does not fall during use. Do not.
  • the protrusion 133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ring 130 and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133 is convex arched upward, so that when the mobile device 200 is erected vertically, The ring 130 was supported by the bottom and two contacts.
  • the trivet provides stable support and minimizes the feeling of sticking with the floor due to the reduced contact area with the floor compared to the line contact with two point contact.
  •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133 may be variously formed, such as a sawtooth, a wave shape, if only two contacts, which are the minimum number of contacts necessary for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200, are secured.
  • the outer ring 130 may perform a vehicle holder function.
  • the portable device 200 to which the two ring accessor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s automatically mounted on the vehicle.
  • the outer ring 130 is fitted into the CD insertion hole 310 of the CD player 300.
  • the outer ring 130 does not fall out even when the unfolded angle exceeds 90 degrees, and may be used without any assistance up to approximately 120 degrees. Can be.
  • the outer ring 130 When the vehicle is driven while the mobile device 200 is mounted with the outer ring 130 inserted into the CD insertion hole 310, the outer ring 130 is folded up and down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 can lose.
  • the protrusion 135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3 to prevent the outer ring 130 from exiting from the CD insertion hole 310.
  • the protrusion 13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33 formed in the lower convex arcuate shape, in particular, as a triangular projection (135) with rounded corners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is formed arcuate Is formed.
  •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35 may support the state in which the outer ring 130 is inserted into the CD insertion hole 310.
  • the protrusion 135 performs a locking step function in the CD insertion hole 310, so that the outer ring 130 is inside the CD insertion hole 310. Hanging on to support.
  • auxiliary protrusion 136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30, wherein the auxiliary protrusion 136 is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135 from the outer ring 130 from the CD insertion hole 310. Prevent it from escaping
  • the protrusion 135 and the auxiliary protrusion 136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30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ace of the cat, and the aesthetics are smooth and the aesthetics are improved.
  • the fixing plate 15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ring 110.
  • the fixing plate 150 is formed to prevent the inner ring 110 from protruding to become a stumbling block to the use of the mobile device 200 when the inner ring 110 is not used, and the inner ring 110 of the inner ring 110. It is formed into a circle of size and shape to fit.
  • a circumferential groove 151 to which the inner ring 110 is inserted and fixed is further formed around the fixing plate 150.
  • the circumferential groove 151 is formed to allow the inner ring 110 to be tightly fixed to the sid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plate 150.
  • the circumferential groove 151 is formed by providing a jaw recessed in an intaglio form along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150.
  •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fixing plate 150 to be able to use the fixing plate 150 as a mirror 153, the user simply cleans the teeth after meals using the mirror 153 and look at the face, etc. ,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the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fixing plate 150 to allow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50 to function as a mirror 153, but the two-ring for the mobile device has improved aesthetics by drawing a character on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50.
  • Accessories 100 may also be provided.
  • the earphone head 161 may be fixed to the inner ring 110 to prevent the earphone string from being entangled.
  • the base 101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base 101 can be applied to a curved product.
  • the portable device 200 is attached to the two-ring accessory 100 in a pocket or bag )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two ring accessory 100.
  • Two-ring accessory 100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n independent accessory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mobile devices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of the various mobile devices 200 have.
  • the two-ring accessory 100 for a mobile device When the two-ring accessory 100 for a mobile device is formed as an independent accessory, it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mobile device 200 by using an adhesive such as an adhesive tape on the back of the base 101 and the fixing plate 150. have.
  • connection tree 103a bridge
  • hinge pin 107a hinge groove
  • protrusion 136 auxiliary protrusion
  • earphone head 200 mobil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휴대기기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대중화로 인하여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휴대기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휴대기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특히, 스마트폰)들은 넓은 액정화면을 탑재하기 위해 그 크기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며, 일반 통화 외에도 화상 통화, 동영상 및 DMB 시청, 음악 재생,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인터넷 사용, 정보 입력 등의 부가기능이 추가되면서 휴대기기를 손에 들고 눈으로 보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할 때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움직이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의 다기능에 의해 현대인들은 손에 휴대기기를 잡고 있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 또는 지지하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는 항상 두 손으로 휴대기기를 잡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기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휴대기기의 보급과 함께 상기 휴대기기에 보조적으로 장착되는 액세서리도 다양하게 출시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휴대기기용 악세서리로는 교통카드나 터치펜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고리,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휴대기기를 평지나 경사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 휴대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이나 가방에 체결되는 핑거 홀더 등이 있다.
또한,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내부의 부품들을 긁힘 및 흠집으로부터 보호하고, 파손 등의 충격으로 인하여 망실되는 정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다양한 휴대기기 케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 케이스는 긁힘, 흠집 및 충격 등으로부터 휴대기기를 보호하기는 하지만 휴대기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가 특허문헌 1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휴대기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되, 고무, 가죽, 실리콘 등의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낙하방지장치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기기를 거치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상기 휴대기기를 거치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액세서리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낙하방지장치는 휴대기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기기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낙하방지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낙하방지장치가 파손되면, 휴대기기 케이스 자체를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2에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상기 휴대기기에 탈부착되는 결합수단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축회전하는 회전브래킷과, 상기 회전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고리와, 상기 회동고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고리는 사각의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브래킷의 장착공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동고리는, 상기 회전브래킷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는 거치대, 허리벨트 걸이, 핑거 홀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일측면에는 소정 공간의 표면에 탈부착되는 접착수단이 마련된 판 형상의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어 회동고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회동 브라켓을 더 형성하여, 휴대기기를 거치하는 위치가 경사진 표면이거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이 흔들림이 있는 곳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동고리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용해야 하므로,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회동고리는 단단하기 때문에, 상기 회동고리를 일정 시간 이상 핑거 홀더로 사용할 경우, 손가락이 아프고 물집이 잡히는 등의 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딱딱한 재료의 특성상 손이 아래쪽으로 향한 경우, 미끄러지면서 손가락에서 회동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손가락으로 휴대기기를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회동고리와 본체 사이의 연결목이 없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회동고리에 끼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구동할 수 없다.
특히, 손과 팔을 아래로 하고 휴대기기를 휴대하는 경우 낙하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벽걸이 형태와 같이 손가락이 위로 향한 형태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기능이 제한적이다.
또한, 상기 회동고리는 사각 형상의 고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닿는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회동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손으로 쥐게 되면, 회동고리의 각진부분에 손가락이 눌리게 된다.
또한, 휴대기기를 거치할 때의 회동고리는,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크기가 큰 것이 좋은데, 회동고리의 크기가 커지면 사용자가 회동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해 사용할 경우, 손가락이 헐거워져 회동고리가 낙하방지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회동고리의 크기가 커지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회동고리에 끼운채로 휴대기기를 구동하는 것이 더욱 불편해 진다.
반대로, 휴대기기의 낙하방지 기능을 위해 회동고리를 손가락의 크기에 맞춰서 제작하게 되면, 회동고리의 크기가 작아져서, 상기 회동고리를 거치대로 사용할 때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것이 덜 안정적이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고리가 경질의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늘어나지 않아, 회동고리의 관통홀보다 손가락이 굵으면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휴대기기용 액세서리를 차량의 대쉬보드 등에 사용할 경우, 반드시, 고정본체와 회동 브라켓이 필요하게 되어, 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른 설계 및 생산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고정본체는 일정 장소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차량)마다 가지고 다녀야하며, 사용할 때마다 탈부착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단단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회동고리 및 관련 부품들은,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휘어진 형태의 스마트폰이나 외장 케이스에는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휘어진 형태에 알맞게 별도로 제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 게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이 정지되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특허문헌 3에 게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특허문헌 2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와 구성이 유사하며, 이로 인한 문제점 또한 다르지 않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26848호
2.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53763호
3.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131636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링, 상기 베이스와 힌지결합되는 외측 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내측 링은 연질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은 경질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링의 내측이 상기 내측 링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측 링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외측 링은 휴대기기를 거치 및 지지하되, 상기 내측 링의 외경과 상기 외측 링의 내경이 일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의 하단이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측 링의 중심에는 고정판이 위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는 거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의 상면에는 돌기가 더 형성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도가 다른 두 개의 링, 즉,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과, 거치를 위한 외측 링을 각각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측 링을 상기 내측 링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링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일반적인 손가락 굵기에 알맞은 크기의 내측 링을 제공하고, 상기 내측 링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외측 링을 배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측 링과 외측 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사용하여 메시지 작성, 셀프 사진 촬영 등 손을 이용한 여러 가지 행동을 할 때, 내측 링을 손가락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휴대기기를 지지할 수 있어, 상기 휴대기기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 링은 고무 등의 연질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측 링을 손가락에 끼워 휴대기기를 지지하고 있을 때, 손의 방향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더라도, 내측 링과 손가락 사이의 마찰에 의해 휴대기기가 바로 추락하지 않고 상기 마찰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사용자가 추락하려고 하는 휴대기기를 수습할 시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휴대기기의 낙하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링과 베이스는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는데, 휴대기기가 추락하면, 상기 연결목에 의해 내측 링이 당겨져, 상기 내측 링이 손가락에 닿으면서 저절로 조여지도록 하므로 추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목에 의해 내측 링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도 문자 메시지 작성 및 셀프 카메라 촬영 등 다양한 휴대기기의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링이 연결목에 의해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내측 링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손등에 오도록 하여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손에서 놓지 않고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목 또한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혹은 휴대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장 편한 자세로 휴대기기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질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내측 링은 손가락의 피로를 감소시켜주고 아프지 않으며 추락을 방지하기 때문에, 흔들리는 전철, 버스에 서서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도 휴대기기를 작동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휴대기기로 DMB 및 동영상 시청,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때, 상기 휴대기기를 원하는 위치에 거치 혹은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높여준다.
특히, 상기 외측 링을 차량의 CD 플레이어에 끼움으로써, 휴대기기를 차량 내부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링을 사용하여 단순히 휴대기기를 차량 내부에 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네이게이션을 거치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측 링을 이용하면, 차량 내부에 별도의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휴대기기 등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차량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운 거치대를 설치할 필요없이 본 발명의 따른 휴대기기용 투링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필요한 곳에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은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외측 링을 회동가능하게 하되, 외측 링과 결합되는 베이스에 턱을 마련하여 외측 링을 펼쳤을 때, 일정각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거치 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이 상기 내측 링의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우는 내측 링의 크기와,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의 크기를 최적화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상의 레이아웃을 제공함으로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하나만으로도, 휴대기기의 낙하방지 기능, 거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더욱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휴대기기에는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어폰을 내측 링에 파지시킬 수 있어 편리하며, 이어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또한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휘어진 형태의 휴대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의 하단은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 링을 사용하여 휴대기기를 거치할 때, 상기 아치형의 양 끝단의 꼭짓점은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와 상기 액세서리를 부착한 휴대기기의 미관을 아름답게 해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내측 링의 중심에는 고정판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판은 내측 링을 사용하지 않을 때, 베이스의 상면과 내측 링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링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내측 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휴대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미관을 해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고정판을 이용하여, 식사 후 간단한 치아 정리 및 얼굴 보기 등과 같은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의 상면에는 돌기를 더 형성하여, 상기 거치용 고리를 차량의 CD 플레이어에 끼워 거치대로 사용할 때, 상기 휴대기기가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외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의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내측 링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가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외측 링이 CD 플레이어에 삽입되어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내측 링에 의해 이어폰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외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의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내측 링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가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외측 링이 CD 플레이어에 삽입되어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내측 링에 의해 이어폰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는 베이스(101), 상기 베이스(101)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목(103)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링(110), 상기 베이스(101)와 힌지결합되는 외측 링(130)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101)와 연결목(103)과 내측 링(110)은 동일한 소재의 연질 소재(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실리콘, 고무, 가죽 등의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외측 링(13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베이스의 상변(101a)과 하변(101b)은 각각 위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01)의 네 개의 꼭짓점은 모두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 상기 투 링 액세서리(100)를 휴대기기(200)에 부착했을 때, 심미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01)의 형상을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베이스(101)의 형상은 육각이나 타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므로,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연결목(103)은 사용자가 휴대기기(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쉽게 구동할 수 있도록 5mm~15mm의 길이의 연장부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목(103)은 사용자가 내측 링(11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200)를 손등에 오도록 하여 불편함 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때, 사용자는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목(103)은 셀프카메라를 찍거나, 전철 및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시 사용자가 서서 DMB를 시청할 때, 상기 휴대기기(200)의 추락을 방지하면서도 쉽게 구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링(110)은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가락의 피로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목(103)은 상측에는 내측 링(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 링(110)의 단면은 손가락의 피로를 덜기 위해 원형 혹은 타원형 등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상기 내측 링(110)은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잡고 있는 손을 아래 방향으로 내렸을 때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내측 링(110)과 손가락 사이에 마찰이 작용하여, 상기 휴대기기(200)가 떨어지기 전에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다잡는 등 수습할 수 있는 시간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기기(200)가 추락하면 연결목(103)이 당겨져 내측 링(110) 손가락에 닿으며 저절로 조여지게 되어 추락을 방지한다.
베이스(101)와 연결목(103)과 내측 링(110)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1)에는, 내측 링(110)과 연결목(103)의 외측 방향으로 외측 링(130)이 수용될 수 있는 관통된 수용부(105)를 더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05)는 내측 링(110)과 동심원 상에 오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측 링(130)이 꼭 맞게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내측 링(110)의 외경과 상기 외측 링(130)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외측 링(130)은 내측 링(110)과 동심원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측 링(130)의 하측은 직선이거나, 적어도 바닥과의 접점이 두 개 이상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측 링(130)은 내측 링(110)을 감싸 안는 형태로 형성되되,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써 형성된다.
연결목(103)의 양측에는 외측 링(130)과 일체로 형성된 브릿지(103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목(103)을 지지한다.
즉, 상기 브릿지(103a)는 연결목(103)을 감싸고, 외측 링(130)의 내측은 내측 링(1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인 것이다.
상기 외측 링(130)은 베이스(101)에 힌지핀(107)에 의해 힌지결합 된다.
상기 힌지핀(107)은 양측 브릿지(103a)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107)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107a)이 베이스(101)의 수용부(105) 내측면에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핀(107)은 외측 링(130)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외측 링(130)의 상하회동 및 지지가 가능하다면, 힌지핀(107)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외측 링(130)에 힌지홈을 더 형성하는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외측 링(130)은 상기 힌지핀(107)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어, 상기 힌지 핀(107)을 이용하여 100도 가량 펼쳤다가 다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 모두에 대해 상기 휴대기기(200)를 세워 놓을 수 있게 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103a)가 수용되는 수용부(105)의 끝단에는 상기 브릿지(103a)를 지지하는 턱(10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턱(104)은 상기 힌지핀(107)이 브릿지(103a)의 끝단과의 이격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외측 링(130)을 분리해내면, 상기 외측 링(130) 및 외측 링(130)과 연결되어 있는 브릿지(103a)가 회동하다가, 상기 턱(104)에 브릿지(103a)가 걸려 외측 링(13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턱(104)에 의해 외측 링(130)은 일정 각도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상기 휴대기기(200)를 거치 및 지지할 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내측 링(110)을 분리해 내 사용하기 위해 상기 내측 링(110)을 잡아당기면, 상기 연결목(103)의 끝단과 경질의 소재인 외측 링(130)의 모서리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여, 상기 연결목(103)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링(13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연결목(103)에 결합되는 지지돌기(108)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 지지돌기(108)는 연결목(103)에 형성된 지지홈(108a)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측 링(110)을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지지돌기(108)와 지지홈(108a)에 의해 연결목(103)이 지지된다.
연결목(103)이 끝까지 잡아당겨지지 않으므로, 연결목(103)과 외측 링(130)의 모서리 사이에 마찰 발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링(130)에는 상기 베이스(101)로부터 손쉽게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1)와 맞닿는 부분에 일종의 잠금장치용 돌기(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미도시)는 상기 베이스(10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베이스(101)의 상기 외측 링(130)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 둘 중 하나를 베이스(101)로부터 손쉽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113)을 더 마련한다.
상기 홈(113)은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의 경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 링(110)이나 외측 링(130)에 단독으로 형성하거나,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홈(113)을 내측 링(110)의 상측 중앙부에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홈(113)의 형상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홈(113)에 넣어 내측 링(110) 혹은 외측 링(130)을 분리해 내는데 무리가 없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내측 링(11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손가락을 상기 홈(113)의 아래 방향으로 걸어 내측 링(110)을 베이스(101)로부터 분리해 내 사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을 상기 홈(113)의 위쪽으로 걸면 외측 링(130)을 베이스(101)로부터 분리해 내 사용할 수 있도록 있는 것이다.
외측 링(130)은 탁상과 같이 평편한 장소나 차량 내부에 휴대기기(200)를 거치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측 링(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113)에 손가락을 걸어 외측 링(130)을 분리해 낸 후, 더 이상 젖혀지지 않을 때까지 회동시켜 상기 휴대기기(200)를 가로 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링(130)은 힌지핀(107)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상기 외측 링(130)이 접혀져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200)를 세로로 세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힌지핀(107)에 의해 외측 링(130)이 지지되어 사용 중 외측 링(130)이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측 링(130)의 하단에 돌출부(133)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33)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이 되도록 하여, 휴대기기(200)를 세로로 세웠을 때, 외측 링(130)이 바닥과 두 개의 접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삼발이 형태의 안정적인 지지와, 두 개의 점 접촉으로 선접촉에 비해 바닥과의 접촉면적 감소로 인한 바닥과의 들러붙는 느낌의 최소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3)의 하변은 휴대기기(200)를 거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접점의 개수인 두 개의 접점만 확보된다면, 톱니형, 파도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측 링(130)은 차량용 거치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링(130)을 차량의 CD 플레이어(300)에 꽂아서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 링 액세서리(100)가 부착된 휴대기기(200)는 자동으로 차량에 거치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외측 링(130)은 CD 플레이어(300)의 CD 삽입구(310)에 끼워진다.
대부분의 차량용 CD 플레이어(300)는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뒤쪽으로 조금 비스듬히 누워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외측 링(130)이 펼쳐진 각이 90도가 넘어가더라도 빠지지 않으며, 대략 120도까지는 아무런 보조장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링(130)을 CD 삽입구(310)에 끼워 휴대기기(200)를 거치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하면, 도로의 노면상태 등에 따라, 상기 외측 링(130)이 상하 회동하면서 조금씩 접혔다 펴졌다 할 수 있다.
이때,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 링(13)의 상면에는 돌기(135)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기(135)는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 돌출부(133)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아치형이 형성된 하변의 양 끝단에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형상의 돌기(135)로써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돌기(135)의 형상은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에 삽입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무리가 없다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에 끼워지면, 상기 돌기(135)가 CD 삽입구(310) 내부에서 걸림턱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 내부에 매달려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링(130)의 상면의 좌우측에는 보조 돌기(136)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돌기(136)는 돌기(135)와 함께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외측 링(13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135)와 보조돌기(136)는 흡사 고양이의 얼굴과 흡사한 형상을 하고 있어, 미관이 유려해져 심미성이 향상된다.
내측 링(110) 중심에는 고정판(15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150)은 내측 링(110)을 사용하지 않을 때, 내측 링(110)이 돌출되어 휴대기기(200) 사용에 걸림돌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내측 링(110)의 내측과 들어맞는 크기와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50)의 둘레에는 내측 링(110)이 끼워져 고정되는 둘레홈(151)이 더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151)은 내측 링(110)이 고정판(150)의 측면 둘레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151)은 고정판(150)의 측면을 따라 음각으로 파인 턱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150)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50)을 거울(153)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기 거울(153)을 이용하여 식사 후 간단히 치아 정리하고 얼굴을 살피는 등,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50)의 하면에 거울 코팅을 하여 상기 고정판(150)의 상면이 거울(15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고정판(150)의 상면도 코팅처리하여 스크래치 등이 덜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판(150)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고정판(150)의 상면이 거울(153)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으나, 고정판(150)의 상면에 캐릭터를 그려 넣는 등 미관이 향상된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200)에 이어폰 줄(160)을 감아 놓았을 때, 이어폰 줄이 풀려 엉키지 않도록, 이어폰 머리(161)를 내측 링(11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형이 휘어진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와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의 상면은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주머니나 가방 속에 투 링 액세서리(100)가 부착된 휴대기기(200)를 보관할 시,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투 링 액세서리(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는 다양한 휴대기기(2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액세서리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휴대기기(200)의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가 독립적인 액세서리로서 형성될 경우, 상기 베이스(101)와 고정판(150)의 후면에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휴대기기(200)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부호의 설명)
100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101 : 베이스
103 : 연결목 103a : 브릿지
104 : 턱 105 : 수용부
107 : 힌지핀 107a : 힌지홈
108 : 지지돌기 108a : 지지홈
110 : 내측 링 113 : 홈
130 : 외측 링 133 : 돌출부
135 : 돌기 136 : 보조 돌기
150 : 고정판 151 : 둘레홈
153 : 거울 160 : 이어폰 줄
161 : 이어폰 머리 200 : 휴대기기
300 : CD 플레이어 310 : CD 삽입구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링;
    상기 베이스와 힌지결합되는 외측 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내측 링은 연질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은 경질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링의 내측이 상기 내측 링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외측 링은 휴대기기를 거치 및 지지하되,
    상기 내측 링의 외경과 상기 외측 링의 내경이 일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의 하단이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의 중심에는 고정판이 위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거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의 상면에는 돌기가 더 형성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PCT/KR2015/002321 2014-03-28 2015-03-11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151474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22A KR101453889B1 (ko) 2014-03-28 2014-03-28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2014-0037122 2014-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7462A1 true WO2015147462A1 (ko) 2015-10-01

Family

ID=5199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2321 WO2015147462A1 (ko) 2014-03-28 2015-03-11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3889B1 (ko)
WO (1) WO20151474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142A (zh) * 2019-05-05 2019-07-12 白郁 一种可调节支撑位置的手机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41B1 (ko) * 2015-04-02 2016-06-21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866881B1 (ko) 2015-11-25 2018-06-12 (주) 폰투조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733435B1 (ko) * 2016-04-04 2017-05-24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KR101903232B1 (ko) 2016-07-08 2018-10-01 김성준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825404B1 (ko) * 2016-10-12 2018-02-06 주식회사 더메이크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KR101935108B1 (ko) * 2016-12-29 2019-01-04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875326B1 (ko) * 2017-04-07 2018-08-02 장평순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16494B1 (ko) * 2017-04-13 2018-01-08 전대형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KR101956536B1 (ko) * 2017-06-19 2019-03-11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960354B1 (ko) * 2017-07-10 2019-07-15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101931304B1 (ko) 2017-08-02 2018-12-20 주식회사 싸이클론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957480B1 (ko) * 2017-09-21 2019-03-12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101880109B1 (ko) 2017-11-20 2018-07-19 맹용주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US11527913B2 (en) 2017-11-22 2022-12-13 Fouring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88704Y1 (ko) * 2017-11-22 2019-03-12 (주)훠링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9112130A1 (ko) *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38441B1 (ko) * 2018-11-29 2020-07-27 이성훈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KR102164720B1 (ko) * 2019-02-28 2020-10-12 장대규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KR102157957B1 (ko) * 2019-03-28 2020-09-18 주식회사 맥스컴코리아 핸드폰 홀더
KR102023331B1 (ko) 2019-05-20 2019-09-20 주식회사 퓨림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USD926748S1 (en) * 2019-06-14 2021-08-03 Nlu Products, L.L.C. Wristband connector for mobile device
KR102388410B1 (ko) * 2020-12-10 2022-04-19 현진오 핸드 홀더용 그립 톡
KR102528155B1 (ko) 2021-10-26 2023-05-02 김경진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30026848A (ko) * 2011-09-06 2013-03-14 권연욱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KR20130003749U (ko) * 2011-12-14 2013-06-26 진주하 휴대폰용 파지구
KR20140017142A (ko) * 2012-07-31 2014-02-11 장경선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20130026848A (ko) * 2011-09-06 2013-03-14 권연욱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KR20130003749U (ko) * 2011-12-14 2013-06-26 진주하 휴대폰용 파지구
KR20140017142A (ko) * 2012-07-31 2014-02-11 장경선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142A (zh) * 2019-05-05 2019-07-12 白郁 一种可调节支撑位置的手机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889B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47462A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WO2020116869A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WO2012096471A2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WO2014021486A1 (ko)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WO2019027213A1 (ko)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WO2012086908A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WO2013051887A2 (ko) 체형 맞춤 구조를 갖는 어깨 거치식 다용도 걸이구
WO2015182948A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WO2016021946A2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19013457A1 (ko) 사용자 맞춤형 손 보조기
WO2016111490A1 (ko) 블루투스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기기 거치대
WO2015062207A1 (en) Smart electronic device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6060526A2 (ko) 스마트폰 거치대
WO2014137146A1 (ko)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WO2013172570A1 (ko)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WO2022149631A1 (ko) 컴퓨팅 기기용 거치장치
WO2020040466A1 (ko) 멀티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 케이스
KR101753173B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100003929U (ko) 휴대폰용 거치대
WO2017126796A1 (ko) 보호필름 부착용 기구
WO2014003495A1 (ko)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구조체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6068399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9103448A1 (ko)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679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3.01.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679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