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304B1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304B1
KR101931304B1 KR1020170098093A KR20170098093A KR101931304B1 KR 101931304 B1 KR101931304 B1 KR 101931304B1 KR 1020170098093 A KR1020170098093 A KR 1020170098093A KR 20170098093 A KR20170098093 A KR 20170098093A KR 101931304 B1 KR101931304 B1 KR 101931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upper plate
ring member
plat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클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클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클론
Priority to KR102017009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판 형태로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측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상기 측면 돌기부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측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링 부재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하여 휴대용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R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OF MULTIPLE ROT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현재 다방면으로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특히, 스마트폰)는 통화, 동영상 및 DMB 시청, 음악 재생,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인터넷 사용, 정보 입력 등의 부가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할 때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움직이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는 후면에 파지 또는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액세서리가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안정적으로 이용하거나 장시간 동영상을 보는 경우에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현재 휴대용 기기 또는 휴대용 기기를 커버하는 케이스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파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들과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파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기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25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256호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리의 개방부와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고리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 및 유지시킬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편리하게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는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2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링을 각각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구조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부를 통해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회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는 원형의 판 형태로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측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상기 측면 돌기부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측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면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는 중심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 끼움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 끼움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측면 돌기부와 상기 측면 오목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상기 회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면에 상기 링 부재의 둘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상기 링 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링 수용부; 및 상기 링 수용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링 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회전하면 상기 중심 외측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이 일부 절단 되고, 상기 링 부재의 둘레 내측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가 부착되어 지지대를 탄성 압박하여 고정하기 위한 탄성 압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형의 판 형태로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측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상기 측면 돌기부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측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일측에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으로 회전하기 위한 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일부는 단면이 다각을 갖는 일부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링 고정부는 상기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링 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링 부재와 상기 일부 구간에서 결합하는 헤드부재;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끼움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중심부와 외주면 사이의 일측에서 상기 끼움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 돌기와 대응하는 고정 오목부가 형성되는 끼움 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측면 돌기부와 상기 측면 오목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상기 회전이 조절되고, 상기 링 고정부는 상기 끼움 관통부의 상기 고정 오목부와 상기 고정 돌기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오목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링을 각각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구조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링을 각각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구조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부를 통해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회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부를 통해 링 고정부로부터 링 부재의 회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의 링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원형의 판 형태로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측면 돌기부(112)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110); 상기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상기 측면 돌기부(112)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측면 오목부(121)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120);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120)의 일측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130)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 플레이트(11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판 형태로 하면에 접착 물질이 구비되어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에서 상부 플레이트(120)와 결합되어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1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사각형의 상부 플레이트가(120)가 하부 플레이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120)는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둘레에서 예정된 간격으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일정 높이를 가지는 제1 둘레벽(114)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 둘레벽(114)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볼록한 형태의 측면 돌기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돌기부(112)는 제1 둘레벽(114)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돌기부(112)가 형성되어도 무관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3 개의 측면 돌기부(112)가 형성된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제1 둘레벽(114)은 측면 돌기부(112)의 양측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수직으로 절단되어 측면 돌기부(112)가 후술할 상부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측면 오목부(121)에 수용될 때 측면 돌기부(112)가 형성된 제1 둘레벽(114)이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측면 돌기부(112)가 측면 오목부(121)에 맞물리면 외측으로 펴져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측면 돌기부(112)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맞닿는 측면 오목부(121)가 달라지게 되며, 측면 오목부(121)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이웃한 측면 오목부(121)와 맞닿을 수 있다.
즉, 측면 돌기부(112)는 측면 오목부(121)에 맞닿기 때문에 측면 오목부(121)가 형성된 일정 간격에 대응하는 일정 각도로 상부 플레이트(12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110)는 중심을 관통하는 하부 관통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관통부(118)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끼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이후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 끼움부(122)와 함께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하부 관통부(118)의 둘레에는 제1 둘레벽(114)과 동일한 높이의 제2 둘레벽(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둘레벽(114) 및 제2 둘레벽(116)은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120)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덮어 지고 하부 플레이트(110) 제1 둘레벽(114)의 외주면에 맞닿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20)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플레이트(110)의 측면 돌기부(112)에 대응하는 측면 오목부(121)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부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둘레에서 하부 플레이트(110) 제1 둘레벽(114)의 높이에 대응하는 외벽이 하부 플레이트(110)를 향해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벽 내주면과 하부 플레이트(110)의 제1 둘레벽(114) 외주면이 맞닿는 상태로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를 위에서 아래로 덮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20)의 측면 오목부(121)는 하부 플레이트(110)의 제1 둘레벽(114)과 맞닿는 외벽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측면 오목부(121)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맞닿는 측면 돌기부(112)가 달라질 수 있으며, 측면 오목부(121)와 이웃하는 측면 오목부(121)와의 간격 거리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회전하는 일정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측면은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볼록한 형태의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심미성을 높이거나 이용자가 상부 플레이트(120)를 회전할 때 지지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플레이트(120) 외측면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한정 짓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보다 큰 반경으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30)를 위에서 덮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30) 둘레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측면 오목부(121)가 하부 플레이트(11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측면 돌기부(112)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에는 하부 플레이트(110)와 결합하기 위한 중심 끼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중심 끼움부(122)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10)의 중심에 형성된 하부 관통부(118)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중심 끼움부(122)는 중공형의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연결되지 않는 끝단에서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둘레가 수직으로 절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끼움부(122)는 원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으로 일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 끼움부(122)의 끝단은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 끼움부(122)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끝단이 하부 플레이트(110)의 하부 관통부(118)에 수용될 때 일정 간격으로 수직 절단된 부분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끝단이 하부 플레이트(110)의 하면까지 끼워지면 다시 외측으로 펴져 원 상태로 되돌아와 하부 관통부(118)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끼움부(122)는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10)의 중심에서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1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형의 둘레를 가지는 중심 끼움부(122)와 하부 관통부(118)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10)는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0)는 링 부재(130)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수용되고, 수용된 링 부재(130)를 용이하게 인출하게 하기 위한 링 수용부(128) 및 인출홈(129)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링 수용부(128)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링 부재(13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는 면적의 홈 형태로 형성되어 링 부재(130)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링 수용부(128)는 내측 둘레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홈(129)은 링 수용부(128)에 수용된 링 부재(130)를 보다 쉽게 인출하기 위해 링 수용부(128)의 일측에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홈(129)은 링 수용부(128) 둘레의 예정된 위치에서 링 수용부(128)의 외측 방향으로 예정된 깊이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링 수용부(128)에 수용된 링 부재(130)를 꺼낼 때, 링 수용부(128)의 일측에 형성된 인출홈(129)에 손 끝을 집어넣어 보다 쉽게 링 부재(130)를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면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10)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쉽게 설명하면, 하부 플레이트(110)의 제1 둘레벽(114)과 제2 둘레벽(116) 사이에는 제1 및 제2 둘레벽(114, 116)의 높이를 가지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공간은 상부 플레이트(120)와 하부 플레이트(110)가 결합되어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120)의 끼움 관통부(124)의 둘레에 해당하는 면적은 제외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둘레벽(114, 116)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은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 수납공간에는 휴대용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비콘 및 LED 단자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비콘을 통해 휴대용 기기로부터 예정된 신호를 수신가능하며 LED 단자는 수신된 해당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부 플레이트(120)는 외부에서도 LED의 발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 부재(130)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대략 링 형상을 가지고, 상부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링 수용부(128)에 수용된다.
링 부재는(130)의 일부는 단면이 다각을 갖는 일부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다각이 형성된 링 부재(130)의 일부 구간에서 링 고정부(140)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각으로 형성된 링 부재(130)의 일부 구간은 링 부재(130)의 두께보다 얇거나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링 부재(130)는 회전하는 방향의 단면인 측단면이 다각으로 형성되고, 삼각, 사각, 오각, 그리고 그 이상의 다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링 부재(130)가 다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링 고정부(140)에서 링 부재(130)가 제1 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함이며 아래에서 링 고정부(140)와 함께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링 부재(130)가 상부 플레이트(12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링 부재(130)가 관통되어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한 링 고정부(140)를 통해 링 부재(130)와 상부 플레이트(12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의 일시예에 따른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회전할 때,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과 별개로 상부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결합된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링 고정부(140)는 원형의 기둥 또는 사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링 관통홀(148)에 링 부재(130)가 관통되어 링 부재(130)가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 관통부(124)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링 고정부(140)는 링 부재(130)의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링 부재(130)가 관통되어 상기 링 부재(130)와 상기 일부 구간에서 결합하는 헤드부재(142); 상기 헤드부재(14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146)가 형성되는 끼움 연장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끼움 연장부(144)는 끼움 연장부(144)의 저면 중심에서부터 헤드부재(142)까지 링 관통홀(148)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재(142)는 중심에 제1 축 방향(즉, 링 부재(130)가 링 관통홀(148)에 끼워지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링 관통홀(148)이 관통하면서 형성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링 부재(1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헤드부재(142)는 내주면이 위에서 설명한 일부 구간이 다각으로 형성된 링 부재(130)와 대응하는 내주면을 갖기 때문에 일정 크기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링 부재(130)가 헤드부재(142)의 내부에서 고정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링 부재(130)가 헤드부재(142)의 내부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 부재(130)는 일부 구간의 측단면이 8각으로 형성되고 헤드부재(142)가 이에 대응하는 내주면으로 형성될 경우, 링 부재(130)는 헤드부재(142)를 기준으로 45° 90° 135° 180° 순으로 순차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링 부재(130)의 측단면은 8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링 부재(130)의 일부 구간과 헤드부재(142)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재(142)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부재(14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형의 둘레를 가지는 끼움 연장부(144)와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재(142)와 끼움 연장부(144)는 끼움 연장부(144)의 끝단에서부터 헤드부재(142)의 중심까지 연장 형성되는 링 관통홀(148)에 링 부재(130)가 끼워져 헤드부재(142)의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링 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링 고정부(140)의 헤드부재(142)에는 링 고정부(140)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끼움 관통부(124)에 결합되기 전에 링 부재(130)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링 부재(130)가 헤드부재(142)에 먼저 끼워진 상태로 링 고정부(140)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끼움 관통부(124)에 결합되면, 먼저 끼워진 링 부재(130)로 인해 링 고정부(140)는 예정된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끼움 관통부(124)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재(142)는 끼움 관통부(124)에 예정된 깊이까지 끼워진 후 더 이상의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재(142)의 일측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링 고정부(140)는 끼움 관통부(124)에 예정된 위치까지 끼워진 후 상부 플레이트(120)와 결합할 수 있다.
끼움 연장부(144)는 링 관통홀(148)에 의해 하부 중심부터 반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나눠진 틈 사이로 링 부재(130)가 수용되어 헤드부재(142)까지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 연장부(144)는 끝단이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고, 끼움 연장부(144)가 끼움 관통부(124)에 끼움 결합될 때 링 관통홀(148)에 의해 끼움 연장부(144)가 내측으로 오므라들 수 있다. 이어서, 끼움 연장부(144)는 끝단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끼움 관통부(124) 하면까지 끼워지면 다시 외측으로 펴져 원 상태로 돌아와 끼움 관통부(12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끼움 연장부(144)는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고정 돌기(146)가 형성되며, 고정 돌기(146)는 끼움 관통부(124)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 오목부(126)에 맞닿아 링 고정부(140)의 회전에 따라 이웃하는 다른 고정 오목부(126)와 맞닿을 수 있다.
참고로, 고정 돌기(146)의 위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끼움 연장부(144)의 가장 하단 즉, 외측으로 돌출된 끝단이 일부 구간에서만 돌출되어 고정 돌기(146)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 고정 오목부(126)는 끼움 관통부(124)의 내측 둘레의 예정된 깊이에 형성되어 맞닿은 고정 돌기(146)가 위 아래 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끼움 관통부(124)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부와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주면 사이에서 끼움 연장부(144)의 하면과 대응하는 면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 관통부(124)는 끼움 연장부(144)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높이의 둘레벽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에 형성되고, 둘레벽 내주면에 해당하는 둘레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 돌기(146)와 대응하는 고정 오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오목부(126)는 끼움 관통부(124)부 둘레벽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끼움 연장부(144)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 돌기(146)와 맞닿을 수 있다.
고정 오목부(126)는 고정 돌기(146)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 돌기(146)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끼움 연장부(144)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맞닿는 고정 돌기(146)가 달라질 수 있다.
끼움 연장부(144)는 끼움 관통부(124)에 수용된 상태로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끼움 연장부(144)의 회전축은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축과 동일한 제2 축으로 이루어지며, 끼움 연장부(144)의 회전은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회전할 때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고, 이와 별개로 끼움 관통부(124)의 고정 오목부(126)와 링 고정부(140)의 고정 돌기(146)가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 오목부(126)의 간격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이 조절될 수 있다.
참고로, 링 고정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 부재(130)가 링 고정부(140)의 링 관통홀(148)과 접촉되는 링 부재(130)의 일측은 부분은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탄성 부재에 의해 링 고정부(140)에 형성되는 링 관통홀(148) 사이에서 압력 및 마찰력이 발생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힘(즉, 마찰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축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로 회전된 후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특정 각도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링 부재(130)는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한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만약, 링 부재(130)가 강한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제작될 경우에 외부 압력이 가해져도 파손되지 않고 가압된 방향으로 휘어진 뒤 다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으므로 외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의 링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링 부재(130)는 강한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될 때 일측의 일부가 절단 되어 지지대를 탄성 압박할 수 있는 탄성 압박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압박부(132)는 링 형태의 링 부재(130) 일측에서 제2 축 방향으로 절단되며, 절단된 단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이 부착될 수 있다.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은 절단 단면뿐 아니라 링 부재(130)의 둘레 내측 또는 외측에도 부착되어 지지대를 탄성 압박할 때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 압박부(132)가 절단된 단면의 간격은 일정 간격 이격 되거나 단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즉, 탄성 압박부(132)가 형성된 링 부재(130)는 휴대용 기기를 책상 또는 탁자처럼 바닥에 원하는 각도로 세워둘 뿐 아니라 기둥 또는 차량의 에어컨 토출구 등과 같이 바닥이 없는 곳에서도 휴대용 기기를 지지대에 걸거나 탄성 압박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링 부재(130)는 일측의 일부가 절단된 탄성 압박부(132)로 인해 링 부재(130)의 내측 둘레보다 더 큰 손가락 또는 지지대를 링 부재(130)의 내측으로 탄성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링 부재(130)의 내측 둘레보다 반경이 큰 기둥에 링 부재(130)를 고정할 경우, 링 부재(130)는 절단된 탄성 압박부(132)를 더욱 넓게 벌린 후 기둥을 탄성을 이용해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링 부재(130)는 링 부재(130)의 둘레에 부착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인해 미끄러지지 않은 상태로 기둥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돌출된 부분의 외측면에 이용자의 그립감을 높이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돌출된 링 고정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는 이용자가 링 고정부(140)를 잡고 회전시킬 때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부 플레이트(120)는 중심 끼움부(122)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110)의 하부 관통부(118)와 결합되어 링 부재(130)가 회전하는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즉, 상부 플레이트(12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측면 돌기부(112)와 측면 오목부(121)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이 조절 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플레이트(120)가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회전할 때 링 고정부(140)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어 링 부재(130)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링 고정부(140)가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결합된 경우에 상부 플레이트(120)가 회전을 할 때, 링 부재(13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링 고정부(140)는 상부 플레이트(120)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부 플레이트(120)의 끼움 관통부(124)로부터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고정 돌기(146)와 고정 오목부(126)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상부 플레이트(120)가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부 플레이트(1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링 고정부(1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에서 링 고정부(140)에 관통된 링 부재(130)가 제1 축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링 고정부(140)가 제2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기기를 다양한 각도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20)로부터 링 고정부(140)를 회전하거나, 링 고정부(140)로부터 링 부재(130)를 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 플레이트(110)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20)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상부 플레이트(120), 하부 플레이트(110), 링 고정부(140) 및 링 부재(130)가 모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 스스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110: 하부 플레이트
120: 상부 플레이트
130: 링 부재
140: 링 고정부

Claims (10)

  1. 원형의 판 형태로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측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상기 측면 돌기부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측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측면 오목부와 상기 측면 돌기부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면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는 중심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 끼움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관통부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 끼움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면에 상기 링 부재의 둘레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상기 링 부재가 수용되기 위한 링 수용부; 및
    상기 링 수용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링 부재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을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회전하면 상기 중심 외측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일측이 일부 절단 되고, 상기 링 부재의 둘레 내측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중 적어도 하나가 부착되어 지지대를 탄성 압박하여 고정하기 위한 탄성 압박부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7. 원형의 판 형태로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측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에 상기 측면 돌기부에 대응하여 일정 간격으로 측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일측에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 및
    상기 링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으로 회전하기 위한 링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측면 오목부와 상기 측면 돌기부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의 일부는 단면이 다각을 갖는 일부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링 고정부는
    상기 일부 구간에 대응하는 내주면이 형성되며 상기 링 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링 부재와 상기 일부 구간에서 결합하는 헤드부재;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끼움 연장부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중심부와 외주면 사이의 일측에서 상기 끼움 연장부와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고정 돌기와 대응하는 고정 오목부가 형성되는 끼움 관통부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링 고정부는
    상기 끼움 관통부의 상기 고정 오목부와 상기 고정 돌기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오목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20170098093A 2017-08-02 2017-08-02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931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93A KR101931304B1 (ko) 2017-08-02 2017-08-02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93A KR101931304B1 (ko) 2017-08-02 2017-08-02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304B1 true KR101931304B1 (ko) 2018-12-20

Family

ID=64952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93A KR101931304B1 (ko) 2017-08-02 2017-08-02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3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69A (ko) * 2019-02-20 2020-08-28 장승호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WO2021054571A1 (ko) * 2019-09-19 2021-03-25 김진우 스마트 휴대폰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453889B1 (ko)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624056B1 (ko) * 2014-12-31 2016-05-24 전영병 단말기의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453889B1 (ko) 2014-03-28 2014-10-23 권연욱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KR101624056B1 (ko) * 2014-12-31 2016-05-24 전영병 단말기의 지지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스마트폰 거치대 유링(16.08.1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69A (ko) * 2019-02-20 2020-08-28 장승호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KR102305214B1 (ko) * 2019-02-20 2021-09-24 장승호 표준 USB A 단자용 Jack일체형 모바일 단말기 D-Ring형 거치대
WO2021054571A1 (ko) * 2019-09-19 2021-03-25 김진우 스마트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04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US917956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50122852A1 (en) Portable suppor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079747B2 (en) Container for accommodating cable
KR102121989B1 (ko)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US825384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026850A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880109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JP2024070218A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
WO2022148208A1 (zh) 电子设备支架
KR101903232B1 (ko)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25952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US7649732B2 (en) Strap holding structure
US20200099829A1 (en) Portable Device Accessory
KR20170116899A (ko) 보조 수납수단이 마련된 악세사리 겸용 스마트폰용 거치대
KR20150001868U (ko) 터치펜 장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JP3186332U (ja) 携帯機器用把持具
EP3584683A1 (en) Touch pen holder unit
JP5489256B1 (ja) 操作ボタン誤操作防止具および電子機器
US9247035B1 (en) Twisted case
US20050095081A1 (en) Expandable screw cover
KR10153757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170002299U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KR101944626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