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363B1 - 스킨링 - Google Patents

스킨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363B1
KR102137363B1 KR1020180109951A KR20180109951A KR102137363B1 KR 102137363 B1 KR102137363 B1 KR 102137363B1 KR 1020180109951 A KR1020180109951 A KR 1020180109951A KR 20180109951 A KR20180109951 A KR 20180109951A KR 102137363 B1 KR102137363 B1 KR 10213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ase
ring
coupled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224A (ko
Inventor
신성수
김홍중
Original Assignee
신성수
김홍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수, 김홍중 filed Critical 신성수
Priority to KR102018010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3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킨링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가지며, 소정의 너비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부착면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회전링;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링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링과 결합된 제1 회전부재 및 제2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는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하는 베이스를 하나만 이용하면서 그 두께를 최소화하더라도 회전링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킨링{SKIN RING}
본 발명은 스킨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차가여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킨링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은 휴대폰을 생필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더욱이, 휴대폰을 통해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어플레케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이를 위해 스마트폰의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일정관리, 날씨정보 확인, 게임 및 정보검색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S 등을 통해 온라인에서 이용자 간의 네트워크 구축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으로 이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스마트폰과 관련된 여러 주변기기들 또한 발달하고 있는데, 그 중 이어폰, 외장배터리, 스마트폰 케이스, SC 메모리 카드 등 스마트폰 외에 다양한 기기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외에 다양한 기기들을 휴대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스마트폰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한 손으로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파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를 위해 최근 스마트폰 등에 부착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256호(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다.
종래기술은 링을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런데,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두 개의 판을 이용하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에 따라 종래기술은 스마트폰에 부착할 때 그 두께가 일정 이상일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초기에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회전에 대한 마찰로 인해 링의 회전에 마찰이 감소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링을 위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256호 (2015.01.0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할 때,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킨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스킨링의 회전링이 움직일 때, 일정 이상의 마찰이 지속될 수 있는 스킨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은,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가지며, 소정의 너비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부착면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회전링;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링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링과 결합된 제1 회전부재 및 제2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는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는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중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상기 중앙돌기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회전부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에는 끝단에 상기 회전링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수직회전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링은, 상기 회전링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수직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는 상기 두 개의 수직회전부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지지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하는 베이스를 하나만 이용하면서 그 두께를 최소화하더라도 회전링을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축에 해당되는 중심돌기 및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를 제1 및 제2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압박하여 조립할 수 있어, 회전링의 움직임이 마찰을 유지한 상태로 움직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회전링을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의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의 수직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의 수평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100)은, 휴대용단말기에 부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스킨링(100)은, 베이스(110), 회전링(120), 커버(130), 제1 회전부재(141), 제2 회전부재(143), 지지링(150) 및 지지핀(160)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일면에 회전링(120), 커버(130),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배치되며, 일면의 반대 면인 타면에 지지링(150) 및 지지핀(160)이 결합된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타면에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는 접착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접착물질은, 휴대용 단말기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양면테이프일 수 있으며, 재 부착이 가능한 물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10)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베이스(110)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이나 그 외에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110)의 중심에는 중심돌기(116)가 배치될 수 있고, 중심돌기(116)를 둘러싸도록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배치되기 위한 회전홈(114)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돌기(116)의 내부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상면에는 두 개의 고정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부(112)는 회전링(12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때, 회전링(120)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회전링(120)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때, 두 개의 고정부(112)는 회전링(120)의 링홀(1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링(120)은 베이스(110)에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회전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될 수 있게 베이스(110)에 결합된다. 수직 방향으로의 회전은 하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약 180도의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회전은 베이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의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회전링(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링홀(122)이 형성되며, 링홀(122)의 일 측에 수직회전부(124)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회전부(124)는 링홀(122)의 일 측에서 두 개가 링홀(122)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며,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회전부(124)의 끝단에는 각각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서로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130)는 후술할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를 덮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커버(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 형상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130)의 측면에는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가 삽입될 수 있는 커버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각각 도넛 형상이 수직으로 잘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3)를 결합하면, 하나의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베이스(110)에 형성된 중심돌기(116)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결합될 때, 그 중심에 회전부재홀(1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회전부재홀(145)에 베이스(110)의 중심돌기(116)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의 측면에는 각각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가 삽입될 수 있는, 수직회전홀(147)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회전홀(147)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에 각각 홀이 대략 절반으로 잘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가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홀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겠지만,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서로 결합되더라도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120)의 두 개의 수직회전부(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링(150)은 베이스(110)의 하부에 끼워지며, 지지핀(160)이 커버(130)와 결합될 때, 지지핀(160)이 베이스(110)에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구비된다.
지지핀(160)은 베이스(11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결합되며, 커버(130)와 결합되어 커버(130)가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지지핀(160)과 커버(130)가 결합되더라도 지지핀(160)은 회전링(120)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 제2 회전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의 결합관계 및 커버와의 결합관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는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1 회전부재(141)와 제2 회전부재(143)의 사이에 회전링(120)의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의 중앙의 회전부재홀(145)에 베이스(110)의 중심돌기(116)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에 커버(130)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를 덮도록 베이스(110)에 결합되는데, 커버(130)의 내부 수용공간의 직경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베이스(110) 상에 배치되었을 때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렇게 커버(130)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를 덮도록 결합됨에 따라 서로 이격된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서로 밀착되면서,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의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110)의 중심돌기(116)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는 서로 밀착되는데, 그 밀착정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서로 밀착되면서,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 사이에 배치된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와 서로 밀착되는데, 그 밀착정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가 서로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배치된 중심돌기(116),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와의 밀착정도가 높아지면서, 그 사이에서의 마찰력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링(120)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움직임이 제1 수직 회전바(126) 및 제2 수직 회전바(128)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둔화될 수 있다. 또한, 회전링(120)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때의 움직임이 중앙돌기와 제1 회전부재(141) 및 제2 회전부재(143)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둔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의 수직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의 수평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킨링(100)은, 회전링(12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0)에 형성된 커버홀(132)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 회전링(120)이 회전될 때, 커버(130)도 같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킨링
110: 베이스
112: 고정부
114: 회전홈
116: 중심돌기
120: 회전링
122: 링홀
124: 수직회전부
126: 제1 수직 회전바
128: 제2 수직 회전바
130: 커버
132: 커버홀
141: 제1 회전부재
143: 제2 회전부재
145: 회전부재홀
147: 수직회전홀
150: 지지링
160: 지지핀

Claims (5)

  1.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부착면을 가지며, 소정의 너비를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부착면의 반대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회전링;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링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링과 결합된 제1 회전부재 및 제2 회전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는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스킨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중앙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상기 중앙돌기가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회전부재홀이 형성된 스킨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에는 끝단에 상기 회전링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재의 사이에 수직회전홀이 형성된 스킨링.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은, 상기 회전링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링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수직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회전바는 상기 두 개의 수직회전부의 끝단에 배치된 스킨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지지핀을 더 포함하는 스킨링.
KR1020180109951A 2018-09-14 2018-09-14 스킨링 KR10213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51A KR102137363B1 (ko) 2018-09-14 2018-09-14 스킨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51A KR102137363B1 (ko) 2018-09-14 2018-09-14 스킨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24A KR20200031224A (ko) 2020-03-24
KR102137363B1 true KR102137363B1 (ko) 2020-07-23

Family

ID=7000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51A KR102137363B1 (ko) 2018-09-14 2018-09-14 스킨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592B1 (ko) * 2020-07-08 2022-10-06 김재성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3203Y1 (ko)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101843247B1 (ko) 2016-03-07 2018-03-28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56B1 (ko)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363B1 (ko) 2012-04-03 2013-10-08 김범진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83203Y1 (ko) 2015-11-06 2017-04-14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101843247B1 (ko) 2016-03-07 2018-03-28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8-04-19 김진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24A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75B2 (ja) 携帯端末機用ホルダー
EP3900388A1 (en) Audio device charging case with data connectivity
KR102121989B1 (ko)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KR200493571Y1 (ko) 폴더블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유닛
KR101316210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US20150244408A1 (en) Mobile device jacket
JP2015149693A (ja) スマートフォン用ケース
US20160195117A1 (en) Alignment structure
KR200397129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EP3491482B1 (en) Hinged device with living hinge
US20110176262A1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137363B1 (ko) 스킨링
TWM565934U (zh) 保護套
TWM455309U (zh) 電話機
KR101624056B1 (ko) 단말기의 지지대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US20170142853A1 (en)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38437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KR101744788B1 (ko) 휴대전자기기용 힌지장치
KR102132526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102317025B1 (ko) 핸드폰 케이스
RU2605765C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карт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KR101850541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20240236222A9 (en) Supporting structure and mobile phone case thereof
US20240137434A1 (en) Supporting structure and mobile phone ca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