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311B1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311B1
KR101837311B1 KR1020160167234A KR20160167234A KR101837311B1 KR 101837311 B1 KR101837311 B1 KR 101837311B1 KR 1020160167234 A KR1020160167234 A KR 1020160167234A KR 20160167234 A KR20160167234 A KR 20160167234A KR 101837311 B1 KR101837311 B1 KR 101837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se
unit
hol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화
Original Assignee
김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화 filed Critical 김진화
Priority to KR1020160167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 및 화면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며, 타면에 회동안내부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안내부와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 바깥으로 이어지는 연결프레임과 걸이부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회동부를 수용하면서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가 회동부에 의해 회동하면서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지지부의 회동시 걸이부는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바깥 또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며, 회동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바깥쪽에 위치하는 지지부의 고리형상의 걸이부에 끼운 손가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대{HOLDE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안내부와 회동부에 의해 회동하거나 틸팅하는 지지부의 걸이부를 휴대단말기의 바깥둘레 밖으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이부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 및 화면 조작을 보다 편리하게 하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간편하면서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 되어가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더불어, 휴대단말기는 본래 이동통신 기능 이외의 TV, 영화감상, 사진기 등의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를 통해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영상출력부를 사용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로 유지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들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테이블과 같은 곳에서 무엇이든 받침대에 의해 받쳐 기대어 세워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 있으면 어깨와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장시간 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며, 테이블에 무언가로 기대어 세우기엔 별도의 받침대를 늘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가중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성이 있는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연결고리가 상단 일측에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신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휴대용이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최근 휴대전화 중 스마트폰과 같은 기종의 경우에는 단부에 고리 또는 장신구가 구비된 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별도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에서 미끄러져 낙하하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한 회동가능한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갖는 거치대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휴대단말기를 지지하기 위한 고리형상의 지지부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고리형상의 지지부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조작할 때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화면 조작 등이 쉽지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리형상의 지지부를 통해 휴대단말기를 폭방향으로 지지하여 세울 때에는 문제가 없지만, 길이방향으로 지지하여 세울 때에는 고리형상의 지지부의 길이가 짧아 불안정하게 지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621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63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거치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 상에서 회동안내부와 회동부에 의해 회동하는 지지부를 트러스트 구조의 연결프레임에 연결된 고리형상의 걸이부로 구성하여, 휴대단말기에 상기 거치대를 부착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의 걸이부가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바깥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걸이부에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경우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화면의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 및 화면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며, 타면에 회동안내부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안내부와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 바깥으로 이어지는 연결프레임과 걸이부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회동부를 수용하면서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지부가 회동부에 의해 회동하면서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지지부의 회동시 걸이부는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바깥 또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안내부는 고리형의 톱니이고, 상기 회동부는 판스프링으로 일측의 끝단 하면의 회동돌기가 상기 고리형의 톱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부의 연결프레임 및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샤프트축을 더 포함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절곡된 타측의 끝단 내에 상기 샤프트축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샤프트축이 관통되는 고정부의 관통부는 샤프트축과 미세간격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스프링은 회동돌기 주변 및 중간부에 선형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부 상의 회동안내부 둘레에 배치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오링의 회전방지를 위해 고리형의 톱니 바깥둘레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와 오링의 안쪽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가 삽입되는 스토퍼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부의 탈부착을 위해 일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부의 한쪽 모서리는 일면의 바닥과 일정 간격을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부의 연결프레임은 트러스트 구조이고, 걸이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부는 덮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 및 고정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스프링과 샤프트축 및 고정핀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고,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및 고정부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이며, 특히 상기 판스프링은 열처리된 스프링 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회동에 의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바깥쪽에 위치하는 지지부의 고리형상의 걸이부에 끼운 손가락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걸이부에 검지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 셀카 및 카메라 촬영시 휴대단말기를 흔들림 없이 잡고서 촬영할 수 있고, 중지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 이동시에도 휴대단말기를 안정된 자세로 잡고 이동할 수 있으며, 약지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 엄지와 검지로 화면의 줌인과 줌아웃과 같은 화면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부의 고리형상의 걸이부가 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 아래쪽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할 때에도 상기 걸이부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직으로 세워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지지부의 틸팅으로 휴대단말기를 비스듬히 세워 지지할 때, 지지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폭방향은 물론 길이방향으로도 안정적으로 세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를 바닥으로 접어 휴대단말기를 눕혀 놓았을 때, 거치대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 중심부에 걸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한 고리형상 거치대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떠있게 되어 안정감이 있고 제품보호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거치대의 지지부를 회동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정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걸이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밀착시켜 상기 휴대단말기를 눕혀놓았을 때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거치대의 지지부를 틸팅시켜 상기 휴대단말기를 길이방향으로 비스듬히 눕혀 지지하는 경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거치대의 지지부를 틸팅시켜 상기 휴대단말기를 폭방향으로 비스듬히 눕혀 지지하는 경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사용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그 외 다양한 사용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하는 베이스부(1), 상기 베이스부(1)의 회동안내부(2)와 결합되는 회동부(3), 연결프레임(4)과 걸이부(5)로 이루어진 지지부(6), 상기 회동부(3)를 수용하면서 지지부(6)의 연결프레임(4)과 연결되어 베이스부(1)에 고정되는 고정부(7)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는 도면에서 사각의 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판 형상 등 다양한 판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중심부에 회동안내부(2)로 고리형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에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으로 양면테이프(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상기 베이스부(1)를 부착하기 전에 양면테이프(8)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양면테이프(8) 면에는 보호필름(미도시)이 덮여져 있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의 한쪽 모서리는 일면의 바닥면과 떨어진 일정 간격을 두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한 후 탈착하고자 할 때, 바닥면과 떨어진 베이스부(1)의 한쪽 모서리 부분으로 신용카드와 같은 것을 밀어 넣어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과 떨어진 한쪽 모서리 부분에는 예컨대 삼각형 등을 표시해 놓음으로써 쉽게 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3)는 일측 끝단의 하면에 아래로 돌출된 V형상의 회동돌기(9)가 형성된 판스프링으로 구성하여 베이스부(1)의 고리형의 톱니 형상의 회동안내부(2) 상에 배치하되, 상기 판스프링의 회동돌기(9)가 상기 회동안내부(2)의 고리형의 톱니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도록 하며, 타측 끝단의 일부는 절곡하도록 한다. 회동부(3)가 되는 상기 판스프링의 회동돌기(9) 아래에는 양쪽 끝단이 절곡된 선형의 절개부(11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동돌기(9)가 고리형의 톱니를 타고 넘어 회동할 때 부드럽게 타고 넘으면서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의 중간의 결합공(H) 주위에도 ㄷ자 형상의 절개부(11b)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지지부(6)의 원활한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6)는 반원프레임(4a)과 이 반원프레임(4a)의 상부 양쪽에 각각 연결되어 일직선으로 뻗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4b)으로 된 트러스트 구조의 연결프레임(4)과 상기 연결프레임(4)에 연결된 고리형상의 걸이부(5)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의 반원프레임(4a)이 베이스부(1) 상에서 판스프링으로 된 회동부(3)와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프레임(4)의 반원 프레임(4a) 내에 회동부(3)가 배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4)의 일직선으로 뻗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4b)과 이에 연결된 고리 형상의 걸이부(5)는 베이스부(1) 테두리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6)의 연결프레임(4)에서 반원 프레임(4a)의 양쪽에 관통된 관통공(h)을 통해 사프트축(10)이 삽입되어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의 절곡된 타측 끝단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도 3의 종단면도를 참조하면 샤프트축(10)에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이 걸쳐져 있으므로, 손톱깎이의 손잡이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로 샤프트축(10)이 텐션을 받아 틸팅각도를 유지하면서 자연스럽게 사용에 적당한 힘을 지닌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7)는 원형의 덮개 형상으로 내부에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을 수용하면서 양쪽으로 지지부(6)의 연결프레임(4)이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 상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7)의 고정은 중심부에 관통된 결합공(H)을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의 중심부의 결합공(H)과 베이스부(1) 중심부의 결합공(H)을 일치시켜, 상기 고정부(7) 상에서 결합공(H)들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12)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7)에 지지부(6)를 연결하는 것은 덮개 형태로 구성된 고정부의 양쪽에 관통홈(13)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6)의 연결프레임(4)을 구성하는 반원프레임(4a)을 고정부(7)의 둘레에 걸쳐, 상기 반원프레임(4a)의 관통공(h)을 상기 고정부(7) 양쪽의 관통홈(13)과 일치시킨 후 이를 통해 샤프트축(10)을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샤프트축(10)과 고정부(7)의 양쪽의 관통홈(13) 사이는 미세한 간격, 예컨대 0.8mm 정도의 간격을 두도록 상기 관통홈(13)의 높이를 샤프트축(10)의 직경보다 상하로 더 크게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지지부(6)의 틸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 중심부의 회동안내부(2), 즉 고리형의 톱니 주위에는 고리형의 오링(14)을 배치함으로써 지지부(6)가 고정부(7)와 함께 회동할 때 베이스부(1) 면의 마모를 방지하고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리형의 톱니 양쪽에는 스토퍼 돌기(15)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오링(14) 내의 양쪽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15)가 삽입되는 스토퍼 홈(16)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6)가 고정부(7)와 함께 회동할 때 오링(14)도 같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회동부(3)가 되는 상기 판스프링과 샤프트축(10) 및 고정핀(12)의 재질은 일정한 값 이상의 강도가 있어야 하므로 스테인리스 스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부(1)와 지지부(6) 및 고정부(7)의 재질은 일정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의 감소를 위해 알루미늄 합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판스프링은 계속해서 굽힘작용을 하므로 높은 강도를 위해 열처리된 스프링 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케이스로 일부 젤리케이스의 경우 특성상 양면테이프(8)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베이스부(1)에 접착되어 있는 양면테이프(8)를 제거하고, 별도로 제공되는 여분의 3M 테이프로 교환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3M 테이프로 부착한 후 하루 정도 고착시키시면 보다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3M 테이프는 보다 강력하여 직접 휴대단말기에 붙이시면 떼어내실 때 제품손상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접착력이 떨어지는 케이스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M 테이프는 초반 재접착은 가능하나 사용 후 재접착성은 없는 테이프이다.
참고로 기존의 단순한 링 계열 거치대의 겔 테이프의 접착력은 약 700gf/in이고, 본 발명의 거치대의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은 800gf/in이며, 별도로 제공되는 3M 테이프의 접착력은 1,300gf/in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2000gf/in로 접착력이 좋아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거치대의 지지부를 회동시켜 사용하는 경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로서, 휴대단말기(17)의 측면으로 돌출시킨 지지부(6)의 걸이부(5)에 손가락을 끼워 고리를 중심으로 받침점이 생성되는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손가락 하나만으로도 5인치 화면 이상의 휴대단말기(17)를 자유롭게 제어 및 지지함으로써 상기 휴대단말기(17)를 상시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휴대 및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휴대단말기(17)의 배면에 부착된 중심의 고정부(7)로부터 트러스트 구조로 연장되어 손가락을 끼우는 지지부(6)의 고리형상의 걸이부(5)가 휴대단말기(17)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되며, 상기 걸이부(5)에 끼워진 손가락이 지렛대의 받침점 역할로 작용하여 휴대단말기와 손과의 자연스러운 각도를 지지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걸쳐진 중력에 의해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대의 지지부(6)를 회동시킬 때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의 회동돌기(9)가 베이스부(1)의 회동안내부(2)의 고리형의 톱니에 맞물려 적당한 힘을 동반한 15도씩 클릭감을 유지하면서 스토퍼 회동하며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거치대의 지지부(6)를 회동시켜 상기 지지부(6)의 걸이부(5)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단말기(17)를 조작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5)에 검지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셀카 및 카메라를 촬영할 때 휴대단말기(17)의 조작이 용이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5)에 중지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 이동시 안정된 자세로 휴대단말기(17)를 잡고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5)에 약지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 엄지와 검지로 휴대단말기(17) 화면의 줌인과 줌아웃 등의 핀치 투 줌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부(6)가 휴대단말기(17)의 배면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7)를 눕혀 놓더라도 상기 지지부(6)를 포함한 본 발명의 거치대 전체가 휴대단말기(17)의 배면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7)는 기울어지지 않고 지면에서 수평으로 떠있어 안정감이 있고 제품을 잘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거치대의 지지부를 틸팅시켜 상기 휴대단말기를 길이방향으로 비스듬히 눕혀 지지하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도로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거치대의 지지부를 틸팅시켜 상기 휴대단말기를 폭방향으로 비스듬히 눕혀 지지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의 베이스부(1) 중심부의 고정부(7) 내부에 장착된 회동부(3)가 되는 판스프링은 앞뒤 방향별 두 가지 기능을 발휘하는 특별한 부속이다. 즉 지지부(6)를 회동시킬 때 15도씩 클릭감을 유지하면서 회동하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고, 상기 지지부(6)를 틸팅시킬 때에 상기 판스프링은 지지부(6)와 연결된 샤프트축(10)을 베이스부(10) 면에서 힘점으로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6)의 반원프레임(4a)과 고정부(7)의 관통홈(13) 사이의 간격인 0.8mm를 들어 올려 손톱깎이와 같은 지렛대 원리의 탄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틸팅은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80도의 각도까지 다양한 각도에서 텐션감을 구현하면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테이블 등에 거치할 때 구조상 틸팅자동의 적당한 저항력이 있어 거의 90도에 가깝게 세울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이는 휴대단말기를 어디에든 올려놓고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셀카나 단체사진을 찍을 경우 삼각대가 없이도 촬영이 가능하다는 것 때문에 장점이 된다. 이러한 장점은 기존의 링 거치대의 경우 다양한 각도의 거치 기능이 있다고 소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서와 같이 판스프링에 의한 텐션감에 의해 거의 90도까지 다양한 틸팅각도로 힘을 받아 유지하는 상태가 지속적으로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거치대를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할 때에는 베이스부(1)의 아래쪽 테두리가 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 아래쪽 하단에서 2㎝ 정도 위에 위치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거치대를 구성하는 지지부(6)를 회동시켜 고리형상 걸이부(5)가 휴대단말기의 양측면이나 아래쪽에 위치할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 하단 끝단이 걸이부(5)의 고리 안쪽에 살짝 걸쳐져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기 편리하게 된다. 다만 상기 지지부(6)를 회동시킬 때에는 틸팅시켜 세운채로 회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럴 경우 샤프트축(10)이 마모되어 수명을 단축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1클릭당 15도씩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지지부(6)를 회동시킬 때 고리형상 걸이부(5)의 권장위치는 휴대단말기의 폭방향의 수평선 위치에서 2클릭 회동시켜 올린 위치, 즉 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 수직선 위치에서 60도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바람직한 사용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끝만 지지부(6)의 고리형상 걸이부(5)에 걸어도 사용이 가능하기에 특별히 손가락이 굵은 사용자의 경우에도 사용이 편안하다. 또한 사용자가 고리형상 걸이부(5)에 끼우는 손가락이 검지일 경우 사진 찍기에 편리하고, 중지일 경우 이동시 가장 안정적인 파지법이 되며, 약지는 한 손 멀티터치(핀치 투 줌)가 가능하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성이나 어린이와 같은 손가락이 가는 사용자의 경우 지지부(6)를 더 회동시켜, 손가락이 고리형상 걸이부(5)와 휴대단말기 테두리 사이에 끼이도록 조여서 밀착감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의 고리형상 걸이부(5)에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때 전화가 걸려올 경우, 걸이부(5)에 끼운 손가락 그대로 지지부(6)를 직각으로 세워 통화하면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 한쪽 모서리의 삼각형 표시된 부분이 지면과 떨어져 있으므로, 이 부분으로 신용카드와 같은 것을 밀어 넣으면 본 발명의 거치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6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의 그 외 다양한 사용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a)는 거치대의 지지부를 손으로 잡고서 통화하는 도면이고, (b)는 왼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아서 파지할 때 지지부의 고리형상 걸이부에 왼손의 중지를 끼우고 파지하는 도면이며, (c) 및 (d)는 스키장갑과 같은 두터운 장갑을 끼운 상태에서 본 발명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파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베이스부 2 : 회동안내부
3 : 회동부 4 : 연결프레임
4a : 반원프레임 4b : 지지프레임
5 : 걸이부 6 : 지지부
7 : 고정부 8 : 양면테이프
9 : 회동돌기 10 : 샤프트축
11a,11b : 절개부 12 : 고정핀
13 : 관통홈 14 : 오링
15 : 스토퍼 돌기 16 : 스토퍼 홈
17 : 휴대단말기 h : 관통공
H : 결합공

Claims (14)

  1.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 및 화면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일면이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며, 타면에 회동안내부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안내부와 결합된 회동부;
    상기 회동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테두리 바깥으로 이어지는 연결프레임과 걸이부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회동부를 수용하면서 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부의 회동안내부는 고리형의 톱니이고, 상기 회동부는 판스프링으로 일측의 끝단 하면의 회동돌기가 상기 고리형의 톱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회동돌기 주변 및 중간부에 선형의 절개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가 회동부의 판스프링에 의해 회동하면서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지지부의 회동시 걸이부는 휴대단말기의 테두리 바깥 또는 안쪽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연결프레임 및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된 샤프트축을 더 포함하여, 상기 판스프링의 절곡된 타측의 끝단 내에 상기 샤프트축을 수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축이 관통되는 고정부의 관통부는 샤프트축과 미세간격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5. 삭제
  6.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의 회동안내부 둘레에 배치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회전방지를 위해 고리형의 톱니 바깥둘레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와 오링의 안쪽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가 삽입되는 스토퍼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8.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탈부착을 위해 일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9.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한쪽 모서리는 일면의 바닥과 일정 간격을 두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0.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연결프레임은 트러스트 구조이고, 걸이부는 고리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1.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덮개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2.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부 및 고정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과 샤프트축 및 고정핀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고, 상기 베이스부와 지지부 및 고정부의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열처리된 스프링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0160167234A 2016-12-09 2016-12-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837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34A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6-12-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234A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6-12-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311B1 true KR101837311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234A KR101837311B1 (ko) 2016-12-09 2016-12-09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3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7677B1 (ja) * 2018-10-31 2019-02-13 あけび動作の学校株式会社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KR20190132013A (ko) * 2018-05-18 2019-11-27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20200031224A (ko) * 2018-09-14 2020-03-24 신성수 스킨링
KR102285473B1 (ko) * 2020-05-07 2021-08-03 김태권 휴대 연결 고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148845B1 (ko) 2011-09-08 2012-07-02 주식회사 다스텍 멀티미디어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멀티미디어 기기용 핑거 홀더
KR101624056B1 (ko) * 2014-12-31 2016-05-24 전영병 단말기의 지지대
JP2016111681A (ja) * 2014-12-01 2016-06-20 禪 定井 携帯電子端末保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57B1 (ko) 2011-05-27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148845B1 (ko) 2011-09-08 2012-07-02 주식회사 다스텍 멀티미디어 기기용 보호케이스 및 멀티미디어 기기용 핑거 홀더
JP2016111681A (ja) * 2014-12-01 2016-06-20 禪 定井 携帯電子端末保持具
KR101624056B1 (ko) * 2014-12-31 2016-05-24 전영병 단말기의 지지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13A (ko) * 2018-05-18 2019-11-27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102132526B1 (ko) * 2018-05-18 2020-07-09 윤여신 휴대용 단말기 거치 홀더
KR20200031224A (ko) * 2018-09-14 2020-03-24 신성수 스킨링
KR102137363B1 (ko) 2018-09-14 2020-07-23 신성수 스킨링
JP6467677B1 (ja) * 2018-10-31 2019-02-13 あけび動作の学校株式会社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JP2020072398A (ja) * 2018-10-31 2020-05-07 あけび動作の学校株式会社 端末保持具及び端末収納ケース
KR102285473B1 (ko) * 2020-05-07 2021-08-03 김태권 휴대 연결 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311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453889B1 (ko)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US9942369B2 (en)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8282060B2 (en) Auxiliary fastening apparatus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101733435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AU2007254680A1 (en) Rotating and pivoting belt clip that can be used as a stand
US20190064638A1 (en) Holder for mobile devices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US11223713B1 (en) Wearable mobile phone holder
KR20100003929U (ko) 휴대폰용 거치대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KR101628041B1 (ko)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U2014231348B2 (en) Holder for a mobile device to capture images
KR20170001075A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JP3203438U (ja) 携帯情報端末用支持具
KR101559317B1 (ko) 손가락 고리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451592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전자기기용 핸드그립
JP3833837B2 (ja) ビデオカメラ
KR102199563B1 (ko)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스트랩
KR20190106122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KR200484027Y1 (ko) 스마트기기 케이스용 액세서리
GB2594757A (en) Apparatus for holding and standing a smartphone or simila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