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889B1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3889B1 KR101453889B1 KR1020140037122A KR20140037122A KR101453889B1 KR 101453889 B1 KR101453889 B1 KR 101453889B1 KR 1020140037122 A KR1020140037122 A KR 1020140037122A KR 20140037122 A KR20140037122 A KR 20140037122A KR 101453889 B1 KR101453889 B1 KR 1014538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outer ring
- portable device
- inner ring
- access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휴대기기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대중화로 인하여 필수 소지품이 되었다.
휴대기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휴대기기의 보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특히, 스마트폰)들은 넓은 액정화면을 탑재하기 위해 그 크기가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이며, 일반 통화 외에도 화상 통화, 동영상 및 DMB 시청, 음악 재생,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인터넷 사용, 정보 입력 등의 부가기능이 추가되면서 휴대기기를 손에 들고 눈으로 보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할 때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움직이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의 다기능에 의해 현대인들은 손에 휴대기기를 잡고 있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휴대기기를 사용자의 손에 고정 또는 지지하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는 항상 두 손으로 휴대기기를 잡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사용자의 실수로 휴대기기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휴대기기의 보급과 함께 상기 휴대기기에 보조적으로 장착되는 액세서리도 다양하게 출시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휴대기기용 악세서리로는 교통카드나 터치펜을 체결하여 사용하는 휴대폰 고리, 멀티미디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휴대기기를 평지나 경사면에 거치시키는 거치대, 휴대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이나 가방에 체결되는 핑거 홀더 등이 있다.
또한,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 내부의 부품들을 긁힘 및 흠집으로부터 보호하고, 파손 등의 충격으로 인하여 망실되는 정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다양한 휴대기기 케이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 케이스는 긁힘, 흠집 및 충격 등으로부터 휴대기기를 보호하기는 하지만 휴대기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가 특허문헌 1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상기 낙하방지장치는 휴대기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되, 고무, 가죽, 실리콘 등의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낙하방지장치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휴대기기를 거치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상기 휴대기기를 거치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액세서리를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낙하방지장치는 휴대기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휴대기기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은 낙하방지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낙하방지장치가 파손되면, 휴대기기 케이스 자체를 교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2에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상기 휴대기기에 탈부착되는 결합수단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축회전하는 회전브래킷과, 상기 회전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고리와, 상기 회동고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고리는 사각의 고리 모양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브래킷의 장착공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동고리는, 상기 회전브래킷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는 거치대, 허리벨트 걸이, 핑거 홀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일측면에는 소정 공간의 표면에 탈부착되는 접착수단이 마련된 판 형상의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어 회동고리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는 회동 브라켓을 더 형성하여, 휴대기기를 거치하는 위치가 경사진 표면이거나 차량의 대쉬보드와 같이 흔들림이 있는 곳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동고리는 거치대의 역할을 수용해야 하므로,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회동고리는 단단하기 때문에, 상기 회동고리를 일정 시간 이상 핑거 홀더로 사용할 경우, 손가락이 아프고 물집이 잡히는 등의 상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딱딱한 재료의 특성상 손이 아래쪽으로 향한 경우, 미끄러지면서 손가락에서 회동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다른 손가락으로 휴대기기를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회동고리와 본체 사이의 연결목이 없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회동고리에 끼운 상태에서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구동할 수 없다.
특히, 손과 팔을 아래로 하고 휴대기기를 휴대하는 경우 낙하방지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벽걸이 형태와 같이 손가락이 위로 향한 형태로만 사용이 가능하여 기능이 제한적이다.
또한, 상기 회동고리는 사각 형상의 고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닿는 부분이 각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회동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손으로 쥐게 되면, 회동고리의 각진부분에 손가락이 눌리게 된다.
또한, 휴대기기를 거치할 때의 회동고리는,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크기가 큰 것이 좋은데, 회동고리의 크기가 커지면 사용자가 회동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해 사용할 경우, 손가락이 헐거워져 회동고리가 낙하방지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회동고리의 크기가 커지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회동고리에 끼운채로 휴대기기를 구동하는 것이 더욱 불편해 진다.
반대로, 휴대기기의 낙하방지 기능을 위해 회동고리를 손가락의 크기에 맞춰서 제작하게 되면, 회동고리의 크기가 작아져서, 상기 회동고리를 거치대로 사용할 때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것이 덜 안정적이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고리가 경질의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늘어나지 않아, 회동고리의 관통홀보다 손가락이 굵으면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휴대기기용 액세서리를 차량의 대쉬보드 등에 사용할 경우, 반드시, 고정본체와 회동 브라켓이 필요하게 되어, 필요한 부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른 설계 및 생산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고정본체는 일정 장소에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차량)마다 가지고 다녀야하며, 사용할 때마다 탈부착해야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단단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회동고리 및 관련 부품들은, 최근 출시되고 있는 휘어진 형태의 스마트폰이나 외장 케이스에는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휘어진 형태에 알맞게 별도로 제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3에 게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베이스부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이 정지되는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특허문헌 3에 게시된 휴대단말기용 거치대는 특허문헌 2의 휴대기기용 다기능 액세서리와 구성이 유사하며, 이로 인한 문제점 또한 다르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링, 상기 베이스와 힌지결합되는 외측 링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와 상기 내측 링은 연질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은 경질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링의 내측이 상기 내측 링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측 링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외측 링은 휴대기기를 거치 및 지지하되, 상기 내측 링의 외경과 상기 외측 링의 내경이 일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의 하단이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측 링의 중심에는 고정판이 위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에는 거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의 상면에는 돌기가 더 형성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용도가 다른 두 개의 링, 즉,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과, 거치를 위한 외측 링을 각각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측 링을 상기 내측 링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링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일반적인 손가락 굵기에 알맞은 크기의 내측 링을 제공하고, 상기 내측 링을 내측에 수용하도록 외측 링을 배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내측 링과 외측 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사용하여 메시지 작성, 셀프 사진 촬영 등 손을 이용한 여러 가지 행동을 할 때, 내측 링을 손가락에 걸어 사용함으로써, 휴대기기를 지지할 수 있어, 상기 휴대기기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측 링은 고무 등의 연질 소재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내측 링을 손가락에 끼워 휴대기기를 지지하고 있을 때, 손의 방향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더라도, 내측 링과 손가락 사이의 마찰에 의해 휴대기기가 바로 추락하지 않고 상기 마찰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사용자가 추락하려고 하는 휴대기기를 수습할 시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휴대기기의 낙하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링과 베이스는 연결목에 의해 연결되는데, 휴대기기가 추락하면, 상기 연결목에 의해 내측 링이 당겨져, 상기 내측 링이 손가락에 닿으면서 저절로 조여지도록 하므로 추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목에 의해 내측 링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도 문자 메시지 작성 및 셀프 카메라 촬영 등 다양한 휴대기기의 기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링이 연결목에 의해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내측 링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손등에 오도록 하여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손에서 놓지 않고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목 또한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혹은 휴대기기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장 편한 자세로 휴대기기를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연질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된 내측 링은 손가락의 피로를 감소시켜주고 아프지 않으며 추락을 방지하기 때문에, 흔들리는 전철, 버스에 서서 손잡이를 잡은 손으로도 휴대기기를 작동할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휴대기기로 DMB 및 동영상 시청,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때, 상기 휴대기기를 원하는 위치에 거치 혹은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높여준다.
특히, 상기 외측 링을 차량의 CD 플레이어에 끼움으로써, 휴대기기를 차량 내부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링을 사용하여 단순히 휴대기기를 차량 내부에 거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네이게이션을 거치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측 링을 이용하면, 차량 내부에 별도의 거치대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휴대기기 등을 손쉽게 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하는 차량이 변경되더라도, 새로운 거치대를 설치할 필요없이 본 발명의 따른 휴대기기용 투링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필요한 곳에 휴대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은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외측 링을 회동가능하게 하되, 외측 링과 결합되는 베이스에 턱을 마련하여 외측 링을 펼쳤을 때, 일정각도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휴대기기가 거치 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이 상기 내측 링의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우는 내측 링의 크기와, 휴대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의 크기를 최적화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상의 레이아웃을 제공함으로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하나만으로도, 휴대기기의 낙하방지 기능, 거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더욱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휴대기기에는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어폰을 내측 링에 파지시킬 수 있어 편리하며, 이어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또한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휘어진 형태의 휴대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의 하단은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 링을 사용하여 휴대기기를 거치할 때, 상기 아치형의 양 끝단의 꼭짓점은 안정적으로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와 상기 액세서리를 부착한 휴대기기의 미관을 아름답게 해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내측 링의 중심에는 고정판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판은 내측 링을 사용하지 않을 때, 베이스의 상면과 내측 링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내측 링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내측 링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휴대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미관을 해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코팅층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고정판을 이용하여, 식사 후 간단한 치아 정리 및 얼굴 보기 등과 같은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링의 상면에는 돌기를 더 형성하여, 상기 거치용 고리를 차량의 CD 플레이어에 끼워 거치대로 사용할 때, 상기 휴대기기가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외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의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내측 링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가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외측 링이 CD 플레이어에 삽입되어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내측 링에 의해 이어폰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외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의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내측 링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가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9는 외측 링이 CD 플레이어에 삽입되어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내측 링에 의해 이어폰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외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의 내측 링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내측 링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가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외측 링에 의해 휴대기기가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외측 링이 CD 플레이어에 삽입되어 휴대기기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10은 내측 링에 의해 이어폰이 파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는 베이스(101), 상기 베이스(101)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목(103)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링(110), 상기 베이스(101)와 힌지결합되는 외측 링(130)을 포함한다.
이때, 베이스(101)와 연결목(103)과 내측 링(110)은 동일한 소재의 연질 소재(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실리콘, 고무, 가죽 등의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체로 형성된다.
외측 링(13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베이스(101)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베이스의 상변(101a)과 하변(101b)은 각각 위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01)의 네 개의 꼭짓점은 모두 라운드 처리되어 있어, 상기 투 링 액세서리(100)를 휴대기기(200)에 부착했을 때, 심미감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01)의 형상을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베이스(101)의 형상은 육각이나 타원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므로,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기 연결목(103)은 사용자가 휴대기기(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쉽게 구동할 수 있도록 5mm~15mm의 길이의 연장부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목(103)은 사용자가 내측 링(110)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200)를 손등에 오도록 하여 불편함 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이때, 사용자는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결목(103)은 셀프카메라를 찍거나, 전철 및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시 사용자가 서서 DMB를 시청할 때, 상기 휴대기기(200)의 추락을 방지하면서도 쉽게 구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측 링(110)은 폴리우레탄이나 실리콘과 같이 유연한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가락의 피로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연결목(103)은 상측에는 내측 링(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 링(110)의 단면은 손가락의 피로를 덜기 위해 원형 혹은 타원형 등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유연한 재질로 형성된 상기 내측 링(110)은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잡고 있는 손을 아래 방향으로 내렸을 때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내측 링(110)과 손가락 사이에 마찰이 작용하여, 상기 휴대기기(200)가 떨어지기 전에 사용자가 휴대기기를 다잡는 등 수습할 수 있는 시간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기기(200)가 추락하면 연결목(103)이 당겨져 내측 링(110) 손가락에 닿으며 저절로 조여지게 되어 추락을 방지한다.
베이스(101)와 연결목(103)과 내측 링(110)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01)에는, 내측 링(110)과 연결목(103)의 외측 방향으로 외측 링(130)이 수용될 수 있는 관통된 수용부(105)를 더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05)는 내측 링(110)과 동심원 상에 오도록 형성되되, 상기 외측 링(130)이 꼭 맞게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내측 링(110)의 외경과 상기 외측 링(130)의 내경이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외측 링(130)은 내측 링(110)과 동심원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외측 링(130)의 하측은 직선이거나, 적어도 바닥과의 접점이 두 개 이상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측 링(130)은 내측 링(110)을 감싸 안는 형태로 형성되되, 금속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소재로써 형성된다.
연결목(103)의 양측에는 외측 링(130)과 일체로 형성된 브릿지(103a)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목(103)을 지지한다.
즉, 상기 브릿지(103a)는 연결목(103)을 감싸고, 외측 링(130)의 내측은 내측 링(1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인 것이다.
상기 외측 링(130)은 베이스(101)에 힌지핀(107)에 의해 힌지결합 된다.
상기 힌지핀(107)은 양측 브릿지(103a)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핀(107)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107a)이 베이스(101)의 수용부(105) 내측면에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힌지핀(107)은 외측 링(130)과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외측 링(130)의 상하회동 및 지지가 가능하다면, 힌지핀(107)을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외측 링(130)에 힌지홈을 더 형성하는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외측 링(130)은 상기 힌지핀(107)에 의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어, 상기 힌지 핀(107)을 이용하여 100도 가량 펼쳤다가 다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 모두에 대해 상기 휴대기기(200)를 세워 놓을 수 있게 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103a)가 수용되는 수용부(105)의 끝단에는 상기 브릿지(103a)를 지지하는 턱(104)이 더 형성된다.
상기 턱(104)은 상기 힌지핀(107)이 브릿지(103a)의 끝단과의 이격으로 인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외측 링(130)을 분리해내면, 상기 외측 링(130) 및 외측 링(130)과 연결되어 있는 브릿지(103a)가 회동하다가, 상기 턱(104)에 브릿지(103a)가 걸려 외측 링(13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턱(104)에 의해 외측 링(130)은 일정 각도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상기 휴대기기(200)를 거치 및 지지할 때,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내측 링(110)을 분리해 내 사용하기 위해 상기 내측 링(110)을 잡아당기면, 상기 연결목(103)의 끝단과 경질의 소재인 외측 링(130)의 모서리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여, 상기 연결목(103)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링(13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연결목(103)에 결합되는 지지돌기(108)를 더 형성하였다.
상기 지지돌기(108)는 연결목(103)에 형성된 지지홈(108a)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측 링(110)을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지지돌기(108)와 지지홈(108a)에 의해 연결목(103)이 지지된다.
연결목(103)이 끝까지 잡아당겨지지 않으므로, 연결목(103)과 외측 링(130)의 모서리 사이에 마찰 발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외측 링(130)에는 상기 베이스(101)로부터 손쉽게 분리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1)와 맞닿는 부분에 일종의 잠금장치용 돌기(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미도시)는 상기 베이스(10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베이스(101)의 상기 외측 링(130)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 둘 중 하나를 베이스(101)로부터 손쉽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홈(113)을 더 마련한다.
상기 홈(113)은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의 경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 링(110)이나 외측 링(130)에 단독으로 형성하거나,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홈(113)을 내측 링(110)의 상측 중앙부에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홈(113)의 형상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홈(113)에 넣어 내측 링(110) 혹은 외측 링(130)을 분리해 내는데 무리가 없다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내측 링(11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손가락을 상기 홈(113)의 아래 방향으로 걸어 내측 링(110)을 베이스(101)로부터 분리해 내 사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을 상기 홈(113)의 위쪽으로 걸면 외측 링(130)을 베이스(101)로부터 분리해 내 사용할 수 있도록 있는 것이다.
외측 링(130)은 탁상과 같이 평편한 장소나 차량 내부에 휴대기기(200)를 거치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측 링(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홈(113)에 손가락을 걸어 외측 링(130)을 분리해 낸 후, 더 이상 젖혀지지 않을 때까지 회동시켜 상기 휴대기기(200)를 가로 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링(130)은 힌지핀(107)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 상기 외측 링(130)이 접혀져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200)를 세로로 세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힌지핀(107)에 의해 외측 링(130)이 지지되어 사용 중 외측 링(130)이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측 링(130)의 하단에 돌출부(133)를 더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33)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이 되도록 하여, 휴대기기(200)를 세로로 세웠을 때, 외측 링(130)이 바닥과 두 개의 접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삼발이 형태의 안정적인 지지와, 두 개의 점 접촉으로 선접촉에 비해 바닥과의 접촉면적 감소로 인한 바닥과의 들러붙는 느낌의 최소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33)의 하변은 휴대기기(200)를 거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접점의 개수인 두 개의 접점만 확보된다면, 톱니형, 파도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측 링(130)은 차량용 거치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링(130)을 차량의 CD 플레이어(300)에 꽂아서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투 링 액세서리(100)가 부착된 휴대기기(200)는 자동으로 차량에 거치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외측 링(130)은 CD 플레이어(300)의 CD 삽입구(310)에 끼워진다.
대부분의 차량용 CD 플레이어(300)는 운전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해 뒤쪽으로 조금 비스듬히 누워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외측 링(130)이 펼쳐진 각이 90도가 넘어가더라도 빠지지 않으며, 대략 120도까지는 아무런 보조장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링(130)을 CD 삽입구(310)에 끼워 휴대기기(200)를 거치한 상태로 차량을 주행하면, 도로의 노면상태 등에 따라, 상기 외측 링(130)이 상하 회동하면서 조금씩 접혔다 펴졌다 할 수 있다.
이때,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 링(13)의 상면에는 돌기(135)가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기(135)는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 돌출부(133)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아치형이 형성된 하변의 양 끝단에 모서리가 둥근 삼각형 형상의 돌기(135)로써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돌기(135)의 형상은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에 삽입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무리가 없다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에 끼워지면, 상기 돌기(135)가 CD 삽입구(310) 내부에서 걸림턱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 내부에 매달려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링(130)의 상면의 좌우측에는 보조 돌기(136)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 돌기(136)는 돌기(135)와 함께 외측 링(130)이 CD 삽입구(31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외측 링(130)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135)와 보조돌기(136)는 흡사 고양이의 얼굴과 흡사한 형상을 하고 있어, 미관이 유려해져 심미성이 향상된다.
내측 링(110) 중심에는 고정판(15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150)은 내측 링(110)을 사용하지 않을 때, 내측 링(110)이 돌출되어 휴대기기(200) 사용에 걸림돌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내측 링(110)의 내측과 들어맞는 크기와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50)의 둘레에는 내측 링(110)이 끼워져 고정되는 둘레홈(151)이 더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151)은 내측 링(110)이 고정판(150)의 측면 둘레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둘레홈(151)은 고정판(150)의 측면을 따라 음각으로 파인 턱을 마련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150)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판(150)을 거울(153)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기 거울(153)을 이용하여 식사 후 간단히 치아 정리하고 얼굴을 살피는 등,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50)의 하면에 거울 코팅을 하여 상기 고정판(150)의 상면이 거울(153)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고정판(150)의 상면도 코팅처리하여 스크래치 등이 덜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판(150)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고정판(150)의 상면이 거울(153)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으나, 고정판(150)의 상면에 캐릭터를 그려 넣는 등 미관이 향상된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기기(200)에 이어폰 줄(160)을 감아 놓았을 때, 이어폰 줄이 풀려 엉키지 않도록, 이어폰 머리(161)를 내측 링(11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형이 휘어진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1)와 내측 링(110)과, 외측 링(130)의 상면은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주머니나 가방 속에 투 링 액세서리(100)가 부착된 휴대기기(200)를 보관할 시, 걸리적 거리지 않도록 하여, 상기 투 링 액세서리(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는 다양한 휴대기기(2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액세서리로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휴대기기(200)의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가 독립적인 액세서리로서 형성될 경우, 상기 베이스(101)와 고정판(150)의 후면에 접착테이프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휴대기기(200)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101 : 베이스
103 : 연결목 103a : 브릿지
104 : 턱 105 : 수용부
107 : 힌지핀 107a : 힌지홈
108 : 지지돌기 108a : 지지홈
110 : 내측 링 113 : 홈
130 : 외측 링 133 : 돌출부
135 : 돌기 136 : 보조 돌기
150 : 고정판 151 : 둘레홈
153 : 거울 160 : 이어폰 줄
161 : 이어폰 머리 200 : 휴대기기
300 : CD 플레이어 310 : CD 삽입구
103 : 연결목 103a : 브릿지
104 : 턱 105 : 수용부
107 : 힌지핀 107a : 힌지홈
108 : 지지돌기 108a : 지지홈
110 : 내측 링 113 : 홈
130 : 외측 링 133 : 돌출부
135 : 돌기 136 : 보조 돌기
150 : 고정판 151 : 둘레홈
153 : 거울 160 : 이어폰 줄
161 : 이어폰 머리 200 : 휴대기기
300 : CD 플레이어 310 : CD 삽입구
Claims (5)
- 베이스(101);
상기 베이스(101)와 일체로 형성되되, 연결목(103)에 의해 연결되는 내측 링(110);
상기 베이스(101)와 힌지결합되는 외측 링(130);을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101)와 상기 내측 링(110)은 연질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130)은 경질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링(130)의 내측이 상기 내측 링(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100).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외측 링은 휴대기기를 거치 및 지지하되,
상기 내측 링의 외경과 상기 외측 링의 내경이 일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의 하단이 돌출되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하변이 위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의 중심에는 고정판이 위치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거울로 사용될 수 있도록 코팅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 링의 상면에는 돌기가 더 형성되는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122A KR101453889B1 (ko) | 2014-03-28 | 2014-03-28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PCT/KR2015/002321 WO2015147462A1 (ko) | 2014-03-28 | 2015-03-11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7122A KR101453889B1 (ko) | 2014-03-28 | 2014-03-28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3889B1 true KR101453889B1 (ko) | 2014-10-23 |
Family
ID=5199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7122A KR101453889B1 (ko) | 2014-03-28 | 2014-03-28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3889B1 (ko) |
WO (1) | WO2015147462A1 (ko) |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8041B1 (ko) * | 2015-04-02 | 2016-06-21 |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KR101733435B1 (ko) * | 2016-04-04 | 2017-05-24 |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
KR20170060805A (ko) | 2015-11-25 | 2017-06-02 | 신우수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KR101816494B1 (ko) * | 2017-04-13 | 2018-01-08 | 전대형 |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
KR101825404B1 (ko) * | 2016-10-12 | 2018-02-06 | 주식회사 더메이크 |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
KR20180027394A (ko) | 2017-11-20 | 2018-03-14 | 맹용주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KR20180077981A (ko) * | 2016-12-29 | 2018-07-09 |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KR101875326B1 (ko) * | 2017-04-07 | 2018-08-02 | 장평순 |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101903232B1 (ko) | 2016-07-08 | 2018-10-01 | 김성준 |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KR101931304B1 (ko) | 2017-08-02 | 2018-12-20 | 주식회사 싸이클론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KR20180137773A (ko) * | 2017-06-19 | 2018-12-28 |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
KR20190006413A (ko) * | 2017-07-10 | 2019-01-18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200488704Y1 (ko) * | 2017-11-22 | 2019-03-12 | (주)훠링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WO2019059473A1 (ko) * | 2017-09-21 | 2019-03-28 | 임영찬 |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
WO2019112130A1 (ko) * | 2017-12-04 | 2019-06-13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200488765Y1 (ko) * | 2017-12-13 | 2019-07-04 | 박경호 |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102023331B1 (ko) | 2019-05-20 | 2019-09-20 | 주식회사 퓨림 |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
KR20200064756A (ko) * | 2018-11-29 | 2020-06-08 | 이성훈 |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
WO2020175946A1 (ko) * | 2019-02-28 | 2020-09-03 | 장대규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KR102157957B1 (ko) * | 2019-03-28 | 2020-09-18 | 주식회사 맥스컴코리아 | 핸드폰 홀더 |
USD926748S1 (en) * | 2019-06-14 | 2021-08-03 | Nlu Products, L.L.C. | Wristband connector for mobile device |
KR102388410B1 (ko) * | 2020-12-10 | 2022-04-19 | 현진오 | 핸드 홀더용 그립 톡 |
US11527913B2 (en) | 2017-11-22 | 2022-12-13 | Fouring Co., Ltd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KR102528155B1 (ko) | 2021-10-26 | 2023-05-02 | 김경진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12142A (zh) * | 2019-05-05 | 2019-07-12 | 白郁 | 一种可调节支撑位置的手机套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557B1 (ko) * | 2011-05-27 | 2011-09-05 | 김혜련 |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
KR20130026848A (ko) * | 2011-09-06 | 2013-03-14 | 권연욱 |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949Y1 (ko) * | 2011-12-14 | 2013-09-12 | 진주하 | 휴대폰용 파지구 |
KR20140017142A (ko) * | 2012-07-31 | 2014-02-11 | 장경선 |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
-
2014
- 2014-03-28 KR KR1020140037122A patent/KR1014538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3-11 WO PCT/KR2015/002321 patent/WO201514746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2557B1 (ko) * | 2011-05-27 | 2011-09-05 | 김혜련 | 휴대단말기 거치링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
KR20130026848A (ko) * | 2011-09-06 | 2013-03-14 | 권연욱 |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
Cited B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59743A3 (ko) * | 2015-04-02 | 2016-11-24 | (주)유리네트웍스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KR101628041B1 (ko) * | 2015-04-02 | 2016-06-21 |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KR20170060805A (ko) | 2015-11-25 | 2017-06-02 | 신우수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KR101733435B1 (ko) * | 2016-04-04 | 2017-05-24 | 주식회사 유리네트웍스솔루션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
KR101903232B1 (ko) | 2016-07-08 | 2018-10-01 | 김성준 |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KR101825404B1 (ko) * | 2016-10-12 | 2018-02-06 | 주식회사 더메이크 |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
KR20180077981A (ko) * | 2016-12-29 | 2018-07-09 | 이룸디자인스킨 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KR101875326B1 (ko) * | 2017-04-07 | 2018-08-02 | 장평순 |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
WO2019039709A1 (ko) * | 2017-04-13 | 2019-02-28 | 전대형 |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
KR101816494B1 (ko) * | 2017-04-13 | 2018-01-08 | 전대형 | 슬림형 아이템 수납 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액세서리 |
KR101956536B1 (ko) | 2017-06-19 | 2019-03-11 |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
KR20180137773A (ko) * | 2017-06-19 | 2018-12-28 | 주식회사 워프솔루션 | 사용자 단말에 탈부착되는 무선 충전 지원 액세서리 및 이에 기반한 무선 충전 시스템 |
KR101960354B1 (ko) * | 2017-07-10 | 2019-07-15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20190006413A (ko) * | 2017-07-10 | 2019-01-18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101931304B1 (ko) | 2017-08-02 | 2018-12-20 | 주식회사 싸이클론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CN111133739A (zh) * | 2017-09-21 | 2020-05-08 | 任荣赞 | 移动设备放置装置 |
CN111133739B (zh) * | 2017-09-21 | 2021-10-29 | 第一企鹅公司 | 移动设备放置装置 |
WO2019059473A1 (ko) * | 2017-09-21 | 2019-03-28 | 임영찬 |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
KR20180027394A (ko) | 2017-11-20 | 2018-03-14 | 맹용주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KR200488704Y1 (ko) * | 2017-11-22 | 2019-03-12 | (주)훠링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US11527913B2 (en) | 2017-11-22 | 2022-12-13 | Fouring Co., Ltd |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WO2019112130A1 (ko) * | 2017-12-04 | 2019-06-13 |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
KR200488765Y1 (ko) * | 2017-12-13 | 2019-07-04 | 박경호 |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20200064756A (ko) * | 2018-11-29 | 2020-06-08 | 이성훈 |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
KR102138441B1 (ko) * | 2018-11-29 | 2020-07-27 | 이성훈 | 몰래카메라 탐지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 보조 장치 |
WO2020175946A1 (ko) * | 2019-02-28 | 2020-09-03 | 장대규 | 휴대용 단말기의 그립 보조 장치 |
KR102157957B1 (ko) * | 2019-03-28 | 2020-09-18 | 주식회사 맥스컴코리아 | 핸드폰 홀더 |
KR102023331B1 (ko) | 2019-05-20 | 2019-09-20 | 주식회사 퓨림 | 휴대 단말장치용 액세서리 |
USD926748S1 (en) * | 2019-06-14 | 2021-08-03 | Nlu Products, L.L.C. | Wristband connector for mobile device |
KR102388410B1 (ko) * | 2020-12-10 | 2022-04-19 | 현진오 | 핸드 홀더용 그립 톡 |
KR102528155B1 (ko) | 2021-10-26 | 2023-05-02 | 김경진 | 다기능형 휴대 단말기용 목걸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47462A1 (ko) | 2015-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3889B1 (ko) |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 | |
CN101242716B (zh) | 可用作支架的旋转和枢转带夹 | |
US9306612B2 (en) |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 |
US20090218454A1 (en) |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WO2016002536A1 (ja) | 携帯電子端末保持具 | |
KR20130034563A (ko) |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 |
KR101733435B1 (ko)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 |
KR101837311B1 (ko)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
KR20160018306A (ko) |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 |
KR200451725Y1 (ko) | 휴대폰용 거치대 | |
KR20160063599A (ko) |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 |
KR20150003379U (ko) | 핸드폰용 흡착식 거치대 | |
KR20130026848A (ko) | 낙하방지 장치가 구비된 휴대기기 케이스 | |
KR20120035810A (ko) |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 |
KR101628041B1 (ko) | 휴대단말기용 고리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
KR20170001075A (ko) |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 |
KR20120082247A (ko) |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 |
KR20080032818A (ko) | 휴대용 단말기 | |
KR200457661Y1 (ko) |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 |
KR101338217B1 (ko) | 휴대형 전자기기의 지지대 | |
KR101946952B1 (ko) | 휴대폰 케이스 | |
KR101034107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받침장치 | |
KR102358279B1 (ko) | 절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핸드그립 | |
KR20150083984A (ko) | 휴대폰 다용도 결속 장치 | |
KR10065470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